KR101705945B1 -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945B1
KR101705945B1 KR1020140106738A KR20140106738A KR101705945B1 KR 101705945 B1 KR101705945 B1 KR 101705945B1 KR 1020140106738 A KR1020140106738 A KR 1020140106738A KR 20140106738 A KR20140106738 A KR 20140106738A KR 101705945 B1 KR101705945 B1 KR 10170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am
mold
water
underwat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918A (ko
Inventor
문형관
신재원
이신원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에코해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에코해양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Priority to KR102014010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02B7/10Gravity dams, i.e. those in which the weight of the structure prevents overtu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2Cylindrical or tubula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섬진강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의 하측 내부에 물을 방류할 수 있는 방류터널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중력심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 하천으로 물을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 및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력발전에 필요한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특히,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DROUGHT WATER MEMBRAN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섬진강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의 하측 내부에 물을 방류할 수 있는 방류터널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중력심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 하천으로 물을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 및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력발전에 필요한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특히,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댐은 콘크리트를 댐 본체 재료로 하는 댐의 총칭으로서, 설계이론에 의하여 콘크리트 중력댐, 중공 중력댐, 아치댐, 부벽 댐 등으로 분류된다.
콘크리트 댐 외에 토석을 댐 본체 재료로 하는 필 타입 댐이 있으나, 경제성, 안전성, 신뢰성 또는 시공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콘크리트 댐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오리피스 수문용 앵카매설물의 수밀판과 수문의 수밀 고무를 긴밀하게 밀착고정시켜 콘크리트가 열신축에 의하여 블록조인트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댐의 수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오리피스 수문용 앵카매설물 신축수밀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81437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섬진강댐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江津面) 옥정리(玉井里)와 정읍시 산내면(山內面) 종성리(宗聖里) 사이에 있는 댐으로 댐 높이 64 m, 제방길이 344.2 m이며 저수용량 4억 6600만 t이다. 동진강(東津江) 하류지역의 수리불안전답과 계화도(界火島) 간척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호남지방의 전력난(電力難) 해소에 도움을 주고자 1961년 8월 착공하여 1965년 12월 완공한 콘크리트 중력식(重力式) 댐이다.
그러나, 섬진강댐 직하류는 1928년 섬진강 구댐(운암제) 건설이후 관개기(0.5㎥/s)를 제외하고는 하천에 물이 흐르지 않는 상황으로서, 섬진강댐 재개발 사업을 통하여 추가 확보된 65백만㎥의 용수를 하류 하천에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필요 또한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814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섬진강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의 하측 내부에 물을 방류할 수 있는 방류터널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중력심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 하천으로 물을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 및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력발전에 필요한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특히,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수중 구조물 주변의 수중 지반에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댐체를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댐체의 상부에 상기 댐체와 연통되는 가설통로관을 수직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댐체내의 물 및 상기 가설통로관내의 물을 상기 댐체의 외부 및 상기 가설통로관의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와; e) 상기 수중 구조물의 하부에 굴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댐체와 연통되는 방류터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 형상 및 상기 수중 구조물 주변의 수중 지반의 지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거푸집을 제작하는 단계와; a2) 상기 거푸집을 상기 수중 구조물 주변의 수중 지반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에 밀착고정시키는 단계와; a3) 상기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단계의 상기 댐체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댐체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에 수밀고정되고, 상기 댐체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상기 몸체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측단부와 상기 관통구 주변의 표면부위에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판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의 상기 플랜지부의 연장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몰탈이 충진되고, 상기 연장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내에 충진된 상기 몰탈이 상기 공간의 외측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판의 일측에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면부위에 밀착되는 누출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e)단계 후 f) 상기 댐체의 내부에 상기 가설통로관 및 상기 방류터널과 연통되는 굴곡관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f) 단계 후 g) 상기 댐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섬진강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의 하측 내부에 물을 방류할 수 있는 방류터널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중력심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 하천으로 물을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 및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 하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력발전에 필요한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특히,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중 구조물 주변의 수중 지반에 거푸집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거푸집밀림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트레미관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트레미관내의 잔류콘크리트를 트레미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댐체를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댐체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댐체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2는 플랜지부의 연장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몰탈이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댐체의 상부에 가설통로관을 수직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댐체의 내부 및 가설통로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수중 구조물의 하부에 댐체와 연통되는 방류터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댐체의 내부에 굴곡관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댐체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댐체의 상부에 실린더게이트를 수직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은 크게, a)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댐체고정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가설통로관고정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펌딩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및 e) 방류터널 형성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수중 구조물(1) 주변의 수중 지반(3)에 거푸집(9)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섬진강댐 등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1) 하측 주변의 수중 지반(3)에 기초콘크리트(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단계는 a1)거푸집제작단계(이하, 'a1)단계'라 한다.), a2)거푸집고정단계(이하, 'a2)단계'라 한다.) 및 a3)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이하, 'a3)단계'라 한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기초콘크리트(도 5의 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 형상 및 상기 수중 구조물(1) 주변의 수중 지반(3)의 지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거푸집(9)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가령, 지표투과레이더 등의 탐사장치를 통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 중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하부형상과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주변의 수중 지반(3)의 지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상기 거푸집(9)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a2)단계는 상기 거푸집(9)을 상기 수중 구조물(1) 주변의 수중 지반(3)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에 밀착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9)의 상부와 상기 거푸집(9)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거푸집(9)의 평단면 형상은 'ㄷ'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9)의 하부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주변의 수중 지반(3)의 지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주변의 수중 지반(3)의 지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9)의 일측은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에 볼트고정,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거푸집(9)은 바지선의 상부에 구비된 기중기 등의 중장비에 의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주변의 수중 지반(3)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거푸집밀림방지부재(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a2)단계에서 상기 거푸집(9)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외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 밀림방지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거푸집 밀림방지부재(9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버팀대(901)와 하부버팀대(9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버팀대(901)와 상기 하부버팀대(902)는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상부는 상기 거푸집(9)의 일측을 제외한 상기 거푸집(9)의 타측 외주면, 상기 거푸집(9)의 전측 외주면 및 상기 거푸집(9)의 후측 외주면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버팀대(901)는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거푸집(9)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사선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버팀대(902)는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수중 지반(3)에 수평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버팀대(902)의 상부에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밀림방지부재(90)는 다른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석재재질 등의 중량물(9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중량물(903)은 상기 거푸집(9)의 일측을 제외한 상기 거푸집(9)의 타측 외주면, 상기 거푸집(9)의 전측 외주면 및 상기 거푸집(9)의 후측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거푸집(9) 주변의 수중 지반(3)에 상기 거푸집(9)의 하부에서 상기 거푸집(9)의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하적층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9)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 외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거푸집밀림방지부재(9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거푸집밀림방지부재(904)는 볼트(904a), 세트엥커(904b) 및 연결줄(904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904a)는 상기 거푸집(9)의 타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트엥커(904b)는 상기 거푸집(9)의 타측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거푸집(9)내의 수중 지반(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904c)은, 와이어, 밧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있다.
상기 연결줄(904c)의 상부는 상기 볼트(904a)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줄(904c)의 하부는 상기 세트엥커(904b)의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거푸집(9)내에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3)단계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9)내에 콘크리트(5)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이다.
상기 콘크리트(5)는 유동성이 우수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 등의 수중콘크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기중기 등의 중장비에 의해 트레미관(50)이 수중 구조물(1)의 타측 주변의 일정 수위의 물(2)에 침수될 수 있다.
상기 트레미관(50)의 상부가 일정 수위의 물(2)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는 상기 거푸집(9)의 내부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 주변의 물(2)과 동일한 수위의 물(2)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수용된 물(2)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티로폼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볼형태 등의 부유물(6)이 부유할 수 있다.
콘크리트 펌프카 등의 중장비를 통해 상기 트레미관(50)내로 상기 콘크리트(5)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부유물(6)로 인해 상기 트레미관(50)내로 공급되는 상기 콘크리트(5)와 상기 트레미관(50)내의 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트레미관(50)내로 공급되는 콘크리트(5)가 상기 부유물(6)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6)은 점차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하측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트레미관(50)내의 물(2)은 상기 부유물(6)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하측으로 완전 하강한 상기 부유물(6) 또한 상기 트레미관(50)내로 공급되는 콘크리트(5)의 압력에 의해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된 상기 부유물(6)은 부력에 의해 상기 트레미관(50)의 상부 주변의 물(2)의 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트레미관(50) 상부 주변의 물(2)의 수면으로 상승한 상기 부유물(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트레미관(50)내의 물(2)이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완전배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미관(50)을 통해 상기 거푸집(9)내로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과정 중에 상기 트레미관(50)은 기중기 등의 중장비에 의해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9)의 내부 하측에서 상기 거푸집(9)의 내부 상측으로 한번에 상기 콘크리트(5)가 타설될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5)가 상기 거푸집(9)으로 가하는 강한 세기의 압력 때문에 상기 거푸집(9)이 파손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푸집(9)의 내부로 상기 콘크리트(5)를 2회이상으로 나누어 간헐적으로 타설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에는 상기 거푸집(9)내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5)의 타설량을 촬영하기 위한 수중CCTV 등의 촬영부(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7)를 통해 상기 거푸집(9)의 내부 하측에 일정량의 상기 콘크리트(50가 타설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거푸집(9)내로 콘크리트(5)의 타설을 일정시간동안 중지하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9)의 내부 하측에 타설된 일정량의 상기 콘크리트(5)를 양생시킬 수 있다.
상기 거푸집(9)의 내부 하측에 타설된 일정량의 상기 콘크리트(50)가 양생된 후 다시 상기 거푸집(9)의 내부 상측까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5)를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다.
도 7은 트레미관(50)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트레미관(50)을 통해 상기 거푸집(9)의 내부로 상기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과정 중에 상기 트레미관(50)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9)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 외주면에는 부력방지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방지부재(60)는 중량물(610)과 연결줄(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610)은 상기 거푸집(9)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610)은 무게추로 이루어거나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된 석재재질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줄(620)은 와이어, 밧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줄(620)의 하부는 상기 중량물(610)의 상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줄(620)의 상부는 상기 중량물(6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편(501)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돌출편(501)에 감김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트레미관(50)내의 잔류콘크리트(5)를 트레미관(50)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판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트레미관(50)을 통해 상기 거푸집(9)의 내부로의 상기 콘크리트(5)의 타설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을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트레미관(50)내에 잔류하는 일부 잔류콘크리트(5)가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거푸집(9)내로 타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트레미관(50)내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미관(50)내의 일부 잔류콘크리트(5)를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판부(7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판부(70)는 판부재(701)와 수직로드(7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701)는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일부 잔류콘크리트(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로드(702)는 상기 판부재(701)의 상부면 중심부에서 상기 판부재(70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로드(702)의 상부에는 환형의 링부(703)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펌프카 등의 중장비를 통해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상측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상측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배출판부(70)는 점차 하강하면서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일부 잔류콘크리트(5)를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수중CCTV 등의 상기 촬영부(7)를 통해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 외측으로 상기 배출판부(70)가 완전배출된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판부(70)를 다시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로 인입시킨 후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된 상기 배출판부(70)를 상기 트레미관(50)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미도시)는 연결줄과 윈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줄의 하측은 상기 배출판부(70)의 수직로드(702)의 환형의 링부(703)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환형의 상기 링부(703)에 감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바지선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줄의 상측은 상기 윈치에 권취될 수 있다.
도 9는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댐체(20)를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9)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5)를 양생하여 형성된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댐체(20)를 안착고정하는 단계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앗으나. 상기 댐체(20)는 바지선의 상부에 구비된 기중기 등의 중장비에 의해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댐체(20)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b)단계의 상기 댐체(20)가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댐체(20)의 일측은 상기 댐체(20)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수밀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댐체(20)는 몸체(210)와 플랜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몸체(210)는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몸체(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몸체(210)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의 중심부에는 상기 몸체(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구(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에는 연장판(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21)은 외측연장판(221a)과 내측연장판(2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연장판(221a)은 사각틀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220)의 외측단부, 즉 상기 플랜지부(220)의 상단부, 하단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상기 몸체(210)의 일측부위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연장판(221b)은 사각틀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220a) 주변의 상기 플랜지부(220)의 표면부위 즉, 상기 관통구(220a)의 상부방향, 상기 관통구(220a)의 하부방향, 상기 관통구(220a)의 전측방향 및 상기 관통구(220a)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플랜지부(220)의 표면부위에서 상기 몸체(210)의 일측부위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21)의 일측이 상기 몸체(210)의 일측부위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2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몸체(21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몸체(2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스크류 잭 등으로 이루질 수 있는 승강부재(1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21)의 일측이 상기 몸체(210)의 일측부위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댐체(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상기 댐체(20)를 설치하는 과정 중에 상기 댐체(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방지부재(200)는 턴버클(201), 고정대(202) 및 연결줄(2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턴버클(201)의 상부는 상기 댐체(2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02)는 상부고정빔(202a)와 하부고정빔(20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빔(202a)은 상기 댐체(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푸집(9)의 상부 외주면 주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빔(202b)은 상기 상부고정빔(202a)의 하부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빔(202b)의 하부는 상기 거푸집(9)의 상부 외주면에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203)은 와이어, 밧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줄(203)의 상부는 상기 턴버클(201)의 하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줄(203)의 하부는 상기 고정대(202)의 상부고정빔(202a)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플랜지부(220)의 연장판(221)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2)내에 몰탈(8)이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의 상기 플랜지부(220)의 연장판(221)의 외측연장판(221a)과 내측연장판(221b)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2)내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탈(8)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방향과 상기 몸체(2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랜지부(220)의 상부와 상기 플랜지부(220)의 하부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주입관(223)과, 배출관(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223)에는 상기 주입관(223)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2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24)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공간(222)내의 물을 강제펌핑하기 위한 펌핑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주입관(223)과 연결되는 파이프, 호스 등의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이 수중 잠수부에 의해 상기 주입관(223)과 연결되고 상기 개폐밸브(223a)가 상기 주입관(223)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공간(222)내의 물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공간(222)외부로 강제펌핑할 수 있다.
상기 펌프가 강제펌핑한 물은 상기 펌프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222)내로 몰탈(8)을 공급하기 위한 몰탈공급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탈공급부(300)는 몰탈(8)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탱크(301)와; 상기 저장탱크(301)와 상기 주입관(223)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밀연결되는 파이프, 호스 등의 공급라인(302)과; 상기 공급라인(302)의 타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301)내에 몰탈(8)을 상기 공급라인(302)을 통해 상기 공간(222)내로 강제펌핑하는 펌프(3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302)은 수중 잠수부에 의해 상기 주입관(223)과 연결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223a)는 상기 주입관(223)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공간(222)내에 몰탈(8)이 공급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공간(222)내의 공기는 상기 배출관(224)을 통해 상기 공간(22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21)의 외측연장판(221a)과 내측연장판(221b)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2)내에 충진된 상기 몰탈(8)이 상기 공간(222)의 외측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댐체(20)주변의 물(2)이 상기 공간(222)과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221)의 외측연장판(221a)의 일측과 상기 내측연장판(221b)의 일측에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면 하부부위에 밀착되는 차수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누출방지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댐체(20)의 상부에 가설통로관(30)을 수직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2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에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설통로관(30)을 수직고정하는 단계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설통로관(30)은 바지선의 상부에 구비된 기중기 등의 중장비에 의해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가설통로관(30)을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 방향으로 이송하기전 상기 기초콘크리트(10)로부터 상기 거푸집(9)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설통로관(30)의 상부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 주변의 물(2)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가설통로관(30)의 하부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에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댐체(20)의 내부 및 가설통로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재(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내의 물(2) 및 상기 가설통로관(30)내의 물(2)을 상기 댐체(20)의 외부 및 상기 가설통로관(30)의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댐체(20)의 몸체(210)내의 물(2) 및 상기 가설통로관(30)내의 물(2)을 상기 댐체(20)의 외부 및 상기 가설통로관(30)의 외부로 강제펌핑하기 위한 펌핑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400)는 상기 가설통로관(3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내부 하측으로 인입되는 주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라인과(401)과; 상기 배출라인(40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펌프(4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402)가 상기 배출라인(401)을 통해 강제펌핑한 물은 상기 펌프(402)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5는 수중 구조물(1)의 하부에 댐체(20)와 연통되는 방류터널(11)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하부에 굴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와 연통되는 방류터널(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류터널(11)은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와 연통되도록 상기 굴착장치에 의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수평으로 굴착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댐체(20)의 내부에 굴곡관(40)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 후, f) 굴곡관 고정단계(이하, 'f)단계'라 한다.)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f)단계는 상기 댐체(20)의 내부에 상기 가설통로관(30) 및 상기 방류터널(11)과 연통되는 굴곡관(4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굴곡관(40)은 상기 댐체(20)의 몸체(210) 내에 사전에 수용되거나, 상기 방류터널(11)을 통해 상기 댐체(20)의 몸체(210)내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굴곡관(40)의 상부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2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 내주면 중심부에 볼트고정,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굴곡관(40)은 상기 굴곡(40)의 상부에서 상기 굴곡관(40)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댐체(20)의 일측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굴곡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댐체(20)의 내부에 콘크리트(5)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 주변의 물(2)이 상기 굴곡관(40)과 상기 방류터널(11)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 중에 수압에 의해 상기 굴곡관(40)에 진동이 발생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f) 단계 후 g) 댐체콘크리트 충진단계(이하, 'g)단계'라 한다.)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g)단계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내부에 콘크리트(5)를 충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관(212) 및 배출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212)에는 상기 공급관(21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13)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212)의 상측에는 파이프 등의 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급라인(214)의 하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13)의 상측에는 파이프 등의 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라인(215)의 하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14)의 상측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타측 주변의 물(2)에 침수되지 않고, 상기 공급관(212)의 개폐밸브(212a)가 상기 공급관(212)을 개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펌프카 등의 중장비를 통해 상기 공급관(212)의 내부로 콘크리트(5)를 공급하여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내부에 콘크리트(5)를 충진시킬 수 있다.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5)가 충진되는 과정 중에 상기 댐체(20)의 몸체(210)내의 공기는 상기 배출관(213)과 상기 배출라인(215)을 통해 상기 댐체(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류터널(11)내에는 수압철관(500)이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방류터널(11)내로 상기 수압철관(500)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해 상기 수압철관(500)의 하부에는 바퀴부재가 상기 수압철관(50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수압철관(500)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굴곡관(40)과 상기 수압철관(5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굴곡관(40)의 일측은 상기 수압철관(50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수압철관(500)의 타측에 볼트고정,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류터널(11)의 내주면과 상기 수압철관(5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콘크리트 펌프카 등의 중장비 등에 의해 콘크리트(5)가 충진될 수 있다.
도 19는 댐체(20)의 상부에 실린더게이트(80)를 수직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g)단계 후 h) 실린더게이트 고정단계(이하, 'h)단계'라 한다.)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h)단계는 상기 댐체(20)의 몸체(210)의 상부로부터 상기 가설통로관(3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댐체(20)의 상부에 상기 방류터널(11)로의 물(2)을 방류 및 방류차단하기 위한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를 수직구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상부에 볼트고정 또는 엥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700)에 의해 상하길이가 신장 및 상부가 개폐되면서 상기 방류터널(11)로의 물(2)을 방류 및 방류차단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는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89523호(다단식 실린더게이트) 등을 통해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의 상부에는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의 상측 내부로 물(2)이 유입되는 과정 중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스크린(8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체(20)의 상부에는 상기 다단식 실린더게이트(80)가 상기 굴곡관(40)의 상부를 개방하여 상기 굴곡관(40)의 내부로 물(2)이 유입되는 과정 중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상기 굴곡관(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스크린(9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섬진강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1)의 하측 내부에 물(2)을 방류할 수 있는 상기 방류터널(11)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콘크리트 중력심 댐 등의 수중 구조물(1) 하류 하천으로 물을 공급하여 갈수기 섬진강 유황을 개선 및 콘크리트 중력식 댐 등의 수중 구조물(1) 하류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소의 수력발전에 필요한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단절된 특히, 섬진강 물을 85년 만에 다시 흐르게 하여 역사와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수중 구조물, 3; 수중 지반,
10; 기초콘크리트, 11; 방류터널,
20; 댐체, 30; 가설통로관.

Claims (6)

  1. a) 기초콘크리트(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 형상 및 상기 수중 구조물(1) 주변의 수중 지반(3)의 지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거푸집(9)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9)을 상기 수중 구조물(1) 주변의 수중 지반(3)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에 밀착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중 구조물(1) 주변의 물(2)에 상부가 침수되지 않도록 트레미관(50)을 침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수용된 물(2)의 표면에 콘크리트(5)와 물(2)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물(6)이 부유하는 상태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콘크리트(5)를 공급하여 상기 콘크리트(5)가 상기 부유물(6)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6)이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 하측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트레미관(50)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트레미관(50)의 상부 주변의 물(2)의 수면으로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트레미관(50)내의 물(2)이 상기 부유물(6)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거푸집(9)내에 상기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9) 내부로의 상기 콘크리트(5)의 타설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일부 잔류콘크리트(5)의 상부에 안착되는 배출판부(70)가 수압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트레미관(5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일부 잔류콘크리트(5)가 상기 트레미관(5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거푸집(9)내에 타설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9)내에 타설된 콘크리트(5)를 양생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10)를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와;
    b)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안착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210)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상기 몸체(210)와 연통되는 관통구(220a)가 형성되며 외측단부와 상기 관통구(220a) 주변의 표면부위에 상기 몸체(210)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판(22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2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2)내에 몰탈(8)이 충진되는 플랜지부(220)와, 상기 연장판(221)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222)내에 충진된 상기 몰탈(8)이 상기 공간(222)의 외측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판(2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210)와 마주보는 상기 수중 구조물(1)의 면부위에 밀착되는 차수고무로 이루어지는 누출방지부재(230)로 구성되는 댐체(20)를 상기 기초콘크리트(10)의 상부에 고정하는 댐체고정단계와;
    c) 상기 댐체(20)의 상부에 상기 댐체(20)와 연통되는 가설통로관(30)을 수직고정하는 가설통로관고정단계와;
    d) 상기 댐체(20)내의 물(2) 및 상기 가설통로관(30)내의 물(2)을 상기 댐체(20)의 외부 및 상기 가설통로관(30)의 외부로 펌핑하는 펌핑단계와;
    e) 상기 수중 구조물(1)의 하부에 굴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댐체(20)와 연통되는 방류터널(11)을 형성하는 방류터널 형성단계와;
    f) 상기 댐체(20)의 내부에 상기 가설통로관(30) 및 상기 방류터널(11)과 연통되는 굴곡관(40)을 고정하는 굴곡관 고정단계와;
    g) 상기 댐체(20)의 내부에 콘크리트(5)를 충진시키는 댐체콘크리트충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거푸집(9)이 상기 수중 구조물(1)의 외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푸집(9)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거푸집(9)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상부버팀대(901)와, 상기 상부버팀대(901)의 하부가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중 지반(3)에 안착되는 하부버팀대(902)로 구성 또는 상기 거푸집(9)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거푸집(9) 주변의 수중 지반(3)에 상하적층되는 복수의 중량물(903)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밀림방지부재(90)와;
    상기 거푸집(9)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볼트(904a)와, 상기 거푸집(9)내의 수중 지반(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세트엥커(904b)와, 상기 볼트(904a)의 일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세트엥커(904b)의 상부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줄(904c)로 구성되는 보조거푸집밀림방지부재(904);가 구비되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트레미관(50)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중량물(610)과, 상기 중량물(610)의 상부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트레미관(50)의 하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연결줄(620)로 구성되는 부력방지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댐체(20)의 연장판(221)의 일측이 상기 수중 구조물(1)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21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상기 몸체(2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스크류 잭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10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댐체(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댐체(20)의 하부 외주면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턴버클(201)과, 상기 거푸집(9)의 상부 외주면 주변에 수평구비되는 상부고정빔(202a)과 상기 상부고정빔(202a)의 하부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거푸집(9)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빔(202b)으로 구성되는 고정대(202)와, 상기 턴버클(201)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대(202)의 상부고정빔(202a)에 연결되는 연결줄(203)로 구성되는 부력방지부재(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06738A 2014-08-18 2014-08-18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KR10170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38A KR101705945B1 (ko) 2014-08-18 2014-08-18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38A KR101705945B1 (ko) 2014-08-18 2014-08-18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18A KR20160021918A (ko) 2016-02-29
KR101705945B1 true KR101705945B1 (ko) 2017-02-13

Family

ID=554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38A KR101705945B1 (ko) 2014-08-18 2014-08-18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1427A (zh) * 2020-07-22 2020-10-30 桂林生 一种水电站新型截流及围堰坝体以及坝体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32A (ja) * 2000-09-28 2002-04-10 Nkk Corp 貯水ダムの取水設備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JP5149098B2 (ja) * 2008-08-20 2013-02-20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ダム堤体の仮締切装置及び仮締切工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437B1 (ko) 1996-09-04 1999-04-01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오리피스 수문용 앵카매설물 신축수밀장치
KR100420074B1 (ko) * 2001-02-20 2004-02-25 (주)한석엔지니어링 수중콘크리트 타설 공법
KR101086829B1 (ko) * 2009-07-13 2011-11-25 배형진 케이슨 하단 차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32A (ja) * 2000-09-28 2002-04-10 Nkk Corp 貯水ダムの取水設備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JP5149098B2 (ja) * 2008-08-20 2013-02-20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ダム堤体の仮締切装置及び仮締切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18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1657B (zh) 大型多功能水上施工平台的施工方法
CN105544575B (zh) 一种采用钢桁架加筋的水下封底混凝土施工方法
WO2015135471A1 (zh) 水上平台结构水底固定用空心筒墩及其安装施工方法
KR100383409B1 (ko) 강재 가물막이를 이용한 직접기초 시공방법
CN110106904B (zh) 一种钢管桩结构及导管架基础施工工艺
CN104975612A (zh) 水上沉井施工新工艺
CN209229194U (zh) 上浮管道修复结构
WO2010143976A2 (en) A founda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undation,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foundation on a seabed
KR101705945B1 (ko) 수중 가물막이 시공방법
CN107012890B (zh) 沉管浇筑系统及浇筑方法
KR1010099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해상연결장치 및 방법
KR100647091B1 (ko) 수중 구조물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KR101031571B1 (ko) 분리형 우물통 시공방법
CN105401564B (zh) 将潮流能发电装置固定于水底的施工方法和潮流发电装置
CN105443311B (zh) 固定于水底的潮流能发电装置
KR20170080051A (ko) 조류발전 지지구조 시스템
KR100768552B1 (ko) 강재우물통기초 시공 공법 및 그 설비
KR100733082B1 (ko) 우물통 설치 장치 및 그 공법
CN106677075B (zh) 一种用于桥墩施工的围堰挂桩与度汛方法
RU2480557C1 (ru) Морская гравитационно-свай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постановки ее на морское дно
WO2014202948A1 (en) Gravity base for a marine structure
CN108239919A (zh) 一种水下承台、构建水下承台的装置及施工方法
CN210066790U (zh) 套箱施工系统
KR101245334B1 (ko) 온도유지 해수피막을 이용한 케이슨 기초 콘크리트 양생공법
CN101768968A (zh) 潜水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