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44B1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 Google Patents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44B1
KR101705844B1 KR1020140031729A KR20140031729A KR101705844B1 KR 101705844 B1 KR101705844 B1 KR 101705844B1 KR 1020140031729 A KR1020140031729 A KR 1020140031729A KR 20140031729 A KR20140031729 A KR 20140031729A KR 101705844 B1 KR101705844 B1 KR 101705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ixed
display device
display unit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8658A (en
Inventor
이승봉
Original Assignee
이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봉 filed Critical 이승봉
Priority to KR102014003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44B1/en
Publication of KR2015010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을 때에는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삽입되게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전면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을 때에는 그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판을 고정틀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틀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판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2부재를 갖추어 구비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device,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which functions when the display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is turned off,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can be quickly and easily opened and clos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 fixed frame and a fixed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fixed frame to function as an original func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and to open and close a plate configured to view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side One end is achieved by consisting, including a fixed first member, and each one end is fixed a second engaging means provided to be equipped with a member on the back surface sides of the plate.

Description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을 때에는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functioning when the display apparatu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a facility is turned of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which can quickly and easily open and close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최근들어,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아울러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미용실, 욕실, 경대, 전시장 쇼룸 등의 벽면에 거울과, 이 거울에 부착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매립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as a display device using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s become cheaper, A mirror, and a flat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mirror may be buried in a wall surface of a display screen, a display screen, a showroom, and the like.

이렇게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평상시 디스플레이 장치가 꺼져 있을 때에는 거울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mirror device functions as a mirror when the display device is normally off, and can display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의 설치는 특허출원번호 10-2008-00116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울(10)의 후면에 개구부(21)가 형성된 지지판(2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판(20)의 개구부(21)에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후방에서 덮개(4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60)에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10)을 수용할 수 있는 홈과, 배선이 통과되는 배선통로(61)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60)의 홈에 단열재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홈에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100)을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100)의 테두리에 고정 및 습기방지용 재료를 주입하여 벽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of the mirror serving as a display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support plate 20 having an opening 21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10 a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1661,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display device 30 on an opening 21 of the display device 30 and installing a lid 40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device 30, A step of forming a wiring groove (61) through which a wiring can pass and a groov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60); a step of treating the groove (60)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step of inserting a fixing and anti-fogging material into the rim of the mirror 100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and attaching the fixing and anti-fogging material to the wall.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의 고정 설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테두리에 고정 및 습기방지용 재료를 주입하여 벽체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을 고정 설치하게 되므로 고정 설치에 따른 작업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에 따른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mirror for bo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mirror is fixed by installing the fixed and moisture-proof material on the rim and attaching it to the wall as described above, And it takes much time to replace or repair the display device in the future.

특허출원번호 10-2008-0011661호, 출원일 2008년02월05일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1661, filing date Feb. 05, 2008 발명의 명칭;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의 설치방법 및 그 조립체Title: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MIRROR AS A DISPLAY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을 때에는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which can display and easily open and close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mounting gro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as the description procee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삽입되게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B)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틀(110)과, 상기 고정틀(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D)가 꺼져 있을 때에는 그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D)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판을 고정틀(110)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판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2부재를 갖추어 구비되는 걸림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xing frame (110) fixedly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B) formed in a facility to insert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rt (D) And a display unit D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110 and serves as a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D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ff, A first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 to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xed frame 11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onstructed plate from the fixed frame 110 and a second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130).

또한, 상기한 걸림수단(130)은,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면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단면은 하향 경사진 제1접촉면(131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131)와, 상기 판의 배면 양측에 각 일면이 고정되되, 하단면은 판을 고정틀(110) 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131)의 제1접촉면(131a)과 면접촉되어 슬라이드 걸림되는 것에 의해 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판의 배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제2접촉면(133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133)로 구성되고, 상기 판의 배면 하단부에는 제1걸림부재(131)가 제2걸림부재(133)에 면접촉되어 슬라이드 걸림시 고정틀(110)의 내측면 바닥에 안착되어 판을 지지가능하도록 고정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aging means 130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member 131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131a formed to be slidable downwar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lower end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131a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by pushing the plate toward the fixed frame 110,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133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surface 133a inclined upward to the back side of the plate so that the plate can be fixed by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33.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And the fixing member 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plate when the sliding member engages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133.

그리고, 상기한 걸림수단은 벽체(A)에 형성된 설치홈(B)에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가능하게 사각틀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각 일면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양단은 서로 대향되는 내측면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전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앵글부재와, 상기 제1앵글부재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판이 고정틀(1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판의 배면 양측에 일면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부착되어 구비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타면에 일단 양측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앵글부재와 대향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슬라이드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앵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gag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B formed in the wall A using a fixing pin, A first angle member having both ends bent and protruded toward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front end portion inclined upwardly and a second angle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so that the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frame 110 by being hooked on the first angle member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opposite to the first angle member,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And a second angle member which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and overlaps with each other to be able to slid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따르면,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을 때에는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홈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facility is off,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open and close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홈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홈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in the installation groove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flush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display device in an installation groove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flus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는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삽입되게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B)에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틀(110)과, 상기 고정틀(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D)가 꺼져 있을 때에는 거울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D)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판을 고정틀(110)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판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2부재를 갖추어 구비되는 걸림수단(130)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110 (see FIG. 1) provided in an installation groove B formed in a facility to insert a display unit including the display unit D, And a display unit D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110 to function as a mirror when the display unit D is off and to display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n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nd a second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130). ≪ / RTI >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의 고정틀(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A)에 형성된 설치홈(B)에 삽입 고정되어 평상시 디스플레이부(D)가 꺼져 있을 때에는 거울(C)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D)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된 기술의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걸림수단(130)을 통하여 슬라이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된다.1, the fixing frame 1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an installation groove B formed in the wall A so that the display unit D normally A mirror C serving as a display device which is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see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D when the display section D is turned on is used as the mirror C when the display section D is turned off, Shaped frame so that the slide can be seated through the opening 130.

한편, 상기한 디스플레이부(D)는 거울(C)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홈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D)를 고정하고 있는 부재를 거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D)가 꺼져 있을 때에는 판서가 가능한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D)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는 공지의 판서용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D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unit D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ff, the display unit D functions as a writer.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n, the display unit D displays a screen Or a known sign board.

상기한 걸림수단(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10)의 양내측면과 고정부재(5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부(D)가 배면에 고정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각각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1, the engaging means 130 includes a fixing member 50 and a fixing member 50. The fixing member 5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50, The mirror C serving as a display device is pushed to the side of the fixed frame 110 so that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from the fixed frame 110 do.

즉, 상기한 걸림수단(130)은 고정부재(5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부(D)가 배면에 고정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면이 접착제 또는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단면은 하향 경사진 제1접촉면(131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131)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 양측에 각 일면이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되되, 하단면은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 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131)의 제1접촉면(131a)과 면접촉되어 슬라이드 걸림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거울(C)의 배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제2접촉면(133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133)로 구성된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latching means 130 pushes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fixed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D to the side of the fixing frame 110 via the fixing member 50,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via an adhesive agent or a plurality of screws so that the fixing surface C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xing frame 110, And a lower end surface of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by means of an adhesive agen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131a and 131a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are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131a so that the mirror C Upward gauge Gin is the second contact surface (133a) comprised of a second locking member 133 is provided is formed.

상기한 고정부재(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에 디스플레이부(D)를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1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이 고정틀(110)에 걸림 고정시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 하단부를 고정틀(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 지지시킬 수 있도록 거울(C)의 배면 하부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지지바(51)와, 상기 고정지지바(51)의 타면에 일단이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부(D)를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지지편(53)으로 구성되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xing member 50 is provided to fix the display unit 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serving as a display device, When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is fixed by the means 130 to the fixing frame 110, the mirror C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rror C, A fixed support bar 51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fixing support bar 51 through an adhesive agent and one e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upport bar 51 via a screw, And a stationary support piece 53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ress-suppo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된 걸림수단의 제2걸림부재가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각 일단이 고정된 제1걸림부재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을 고정틀(1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의 양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앵글과, 상기 제1앵글에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의 배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앵글로 구성된 구성된 걸림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을 고정틀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ngaging member of the engaging mean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the one shown in Figs. 4 and 5 And a second angle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serving as a display device so as to be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angle, I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즉, 상기한 걸림수단(1300)은 벽체(A)에 형성된 설치홈(B)에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가능하게 사각틀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각 일면이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양단은 서로 대향되는 내측면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전단부가 45도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제1앵글(1310)과, 상기 제1앵글(1310)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이 고정틀(11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가 배면에 고정된 거울(C)의 배면 양측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부착되어 구비되는 고정편(1330)과, 상기 고정편(1330)의 타면에 일단 양측이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45도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앵글(1310)과 대향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포개어지면서 슬라이드 안착가능하도록 "⊃"의 형상 단면으로 구비되는 제2앵글(1350)로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hooking means 1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which is formed in a square shape so as to be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B formed in the wall body A using fixing pins, Shaped first angle 1310 having both ends thereof bent and protrude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and inclined upward at an angle of 45 degrees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a first angle 1310 ' So that the display unit 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xed frame 110 by being hook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irror C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ece 1330 is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1330 through a plurality of screws.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ece 1330 is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45 degrees, ) On both sides of Is formed in a first angle 1310 and the opposite end face are installed be used consists of a second angle (1350) provided in the image section of the "⊃" to slidably seated As overlaid each other.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을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에 매립되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면 양측에 걸림용홀(110a)이 설치홈의 천정면에 형성된 홈과 일치되게 사각틀 형상의 고정틀(110)을 벽체(A)에 형성된 설치홈(B)에 삽입시킨 후 다수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틀(110)을 고정시킨다.When a mirror serving as a display device is to be embedded in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wall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rectangular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B formed in the wall A so that the locking holes 110a are aligned with the grooves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0).

상기와 같이 설치홈(B)에 고정틀(110)이 고정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고정부재(5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부(D)가 고정 설치되고 배면 양측에 걸림수단(130)의 제2걸림부재(133)의 일면이 고정된 거울(C)을 고정틀(110)의 전면 상부에서 고정틀(110)측으로 이동시킨다.2, the display unit 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0 via the fixing member 50 and the engaging means 130 The mirror C to which the one side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133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33 is fixed is mo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to the side of the fixing frame 110.

상기 거울(C)의 배면이 고정틀(110)측으로 이동되면, 제2걸림부재(133)의 제2접촉면(133a)이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고정된 제1걸림부재(131)의 제1접촉면(131a)의 상면에 포개어 진다.When the back surface of the mirror C is moved toward the fixing frame 110, the second contact surface 133a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133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1 contact surface 131a.

이때, 거울을 고정틀측으로 더 밀게 되면, 제2걸림부재(133)가 제1걸림부재(131)의 제1접촉면(13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거울을 고정틀측으로 삽입되고, 아울러 거울(C)의 배면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5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10)의 내측면 바닥에 안착된다.At this time, when the mirror is further pushed to the fixing frame side, the second engaging member 133 moves along the first contact surface 131a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to insert the mirror into the fixing frame side, The fixing member 50 provid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130)의 제1,2걸림부재(131,133)에 고정틀(110)측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거울(C)의 배면과 고정틀(110) 사이에는 이격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3, since a load acts 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131 and 133 of the locking means 130 on the side of the fixing frame 110 as shown in FIG. 3, the mirror C So that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fixed frame 110 and the fixed frame 1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벽체
B ; 설치홈
C ; 거울
D ; 디스플레이부
50 ; 고정부재
100 ;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
110 ; 고정틀
130, 1300 ; 걸림수단
A; Wall
B; Installation home
C; mirror
D; Display portion
50; Fixed member
100;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mbedded Display Device
110; A fixed frame
130, 1300; [0030]

Claims (3)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삽입되게 시설물에 형성된 설치홈(B)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틀(110)과;
상기 고정틀(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D)가 꺼져 있을 때에는 거울(C) 본연의 기능을 하고, 디스플레이부(D)를 켰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거울(C)을 고정틀(110)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부재와, 상기 거울(C)의 배면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2부재를 갖추어 구비되는 걸림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수단(130)은, 고정틀(110)의 양내측면에 일면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단면은 하향 경사진 제1접촉면(131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131)와, 상기 거울(C)의 배면 양측에 각 일면이 고정되되, 하단면은 거울(C)을 고정틀(110) 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재(131)의 제1접촉면(131a)과 면접촉되어 슬라이드 걸림되는 것에 의해 거울(C)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거울(C)의 배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제2접촉면(133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133)로 구성되고, 상기 거울(C)의 배면 하단부에는 제1걸림부재(131)가 제2걸림부재(133)에 면접촉되어 슬라이드 걸림시 고정틀(110)의 내측면 바닥에 안착되어 거울(C)을 지지가능하도록 고정부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50)는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에 디스플레이부(D)를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수단(1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이 고정틀(110)에 걸림 고정시 디스플레이 장치 겸용 거울(C)의 배면 하단부를 고정틀(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 지지시킬 수 있도록 거울(C)의 배면 하부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지지바(51)와, 상기 고정지지바(51)의 타면에 일단이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부(D)를 가압 지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지지편(53)으로 구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flush display apparatus,
A fixing frame 110 fixedly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B formed in the facility to insert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unit D;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n, the user can se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when the display unit D is turned on,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frame 110 so that the mirror C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fixing frame 110 and a second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And an engaging means (130) provided with a member,
The engaging means 130 includes a first engaging member 131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131a formed to be slidable downwardly on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110, The lower surface of the mirror C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mirror C while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131a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by pushing the mirror C toward the fixed frame 110,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133 having a second contact surface 133a inclined upward to the rear side of the mirror C so that the mirror C can be fixed by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mirror C,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133 so as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t the time of the slide engagement so as to support the mirror C, 50,
The fixing member 50 is provided to fix the display unit 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and the mirror unit C serving as the display unit is fixed by the fixing unit 130 to the fixing frame 110, And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one surface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through an adhesiv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C serving as the display device can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10 A fixed support bar 51 and a fixed support piece 53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bar 51 via screws at one end and pressab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D at the other end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31729A 2014-03-18 2014-03-1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KR101705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29A KR101705844B1 (en) 2014-03-18 2014-03-1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29A KR101705844B1 (en) 2014-03-18 2014-03-1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58A KR20150108658A (en) 2015-09-30
KR101705844B1 true KR101705844B1 (en) 2017-02-13

Family

ID=5424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29A KR101705844B1 (en) 2014-03-18 2014-03-1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208A (en)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The imbedded display device in which maintenance and repair facilit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296A (en) * 2020-06-05 2020-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Wall hanging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541A (en) * 2001-06-29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Device for mounting plasma display panel
JP2005224267A (en) * 2004-02-10 2005-08-25 Nishiyama Stainless Chem Kk Large mirror with flat pane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8408A1 (en) 2001-12-20 2005-11-24 Molock Frank F Photochromic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541A (en) * 2001-06-29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Device for mounting plasma display panel
JP2005224267A (en) * 2004-02-10 2005-08-25 Nishiyama Stainless Chem Kk Large mirror with flat panel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208A (en) 2021-05-25 2022-12-0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The imbedded display device in which maintenance and repair facili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58A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0084B (en) A mounting bracket for mounting a monitoring camera
KR100770982B1 (en) Display apparatus
JP2006202792A (en) Rack
KR20150103623A (en) Fixing device, fixing structure of apparatus, and fixing method of apparatus
KR101093386B1 (en) Mounting structure for speaker and flat panel display
KR101705844B1 (e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US20120153106A1 (en) Bracket for mounting expansion card to different slots
JP2005516487A (en) Cabinet for display device
KR20150108655A (e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buried type
EP2587110A2 (en) Display apparatus
JP2007272097A (en) Projector and device for suspending projector
JP6077429B2 (en) Hot air heater
US8123184B2 (en) Device-mounting stand
CN202992575U (en) Wall hanging support of flat panel television
JP4790546B2 (en) Wall hanger rail mounting structure and hanger rail
JP2013152419A (en) Thin display device
JP2010134174A (en) Video projector
JP5478457B2 (en) Oil heater
KR200479153Y1 (en) Structure for mounting monitor, monitor and pos terminal thereof
KR101437062B1 (en) Display panel for showcase
JP2019050289A (en) Fixing member
JP2009075166A (en) Display device
JP6472335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8249924A (en) Stand apparatus
EP2580987A1 (en) A drawer including a drawer panel and a draw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