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87B1 - 유아관리기 - Google Patents

유아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487B1
KR101705487B1 KR1020160077176A KR20160077176A KR101705487B1 KR 101705487 B1 KR101705487 B1 KR 101705487B1 KR 1020160077176 A KR1020160077176 A KR 1020160077176A KR 20160077176 A KR20160077176 A KR 20160077176A KR 101705487 B1 KR101705487 B1 KR 10170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diaper
baby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센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센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센콤
Priority to KR102016007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 A61F2013/8479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including electric or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유아관리기를 보조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유아의 신체에 장착을 하면, 동작감지부를 이용해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곁을 벗어나도 유아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체크가 가능하며, 또한 유아의 질식사고 및 낙상사고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저귀감지부를 이용해 유아의 배변 시 신속한 배변처리로 유아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감지부를 통해 얻은 유아의 상태정보를 스마트폰의 유아관리어플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 가능하게 하여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아관리기에 있어서, 유아의 배변유무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저귀감지부와, 상기 기저귀감지부를 몸체케이스에 연결하는 센서케이블 상기 센서케이블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기저귀감지부를 몸체케이스에 수납하게 하는 감개부, 또한 유아의 활동과 자세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와, 상기 감지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소리와 빛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장치, 몸체케이스의 배면에 위치하여 기저귀와 옷에 부착하게 하는 걸개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관리기{baby manager}
본 발명은 유아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동작과 상태을 감지하고 이를 어머니와 같은 유아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유아관리장치를 구비하여서,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유아의 자세와 배변상태를 확인함으로서, 각종 유아사고 방지와 효율적인 유아관리가 일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유아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3세 미만으로 유약하여 항상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하여 유아의 주변에는 항상 어머니와 같은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상태를 안전하고 건강하게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아들의 수면에 있어 유아를 침대에 잠을 재우게 되면 수면과정 중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얼굴이 침대에 파묻혀 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들의 수면과정 중 움직임에 의하여 침대 밑으로 낙상하는 문제점이 있어 침대 테두리에 울타리를 설치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스스로 배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기저귀 등의 제품을 사용한다.
또한, 기저귀를 착용한 유아들은 배변 시 느껴지는 피부 촉감을 통하여 울음으로서 유아관리자에게 자신의 불편함을 알려 기저귀의 교체 등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를 관리함에 있어서 유아관리자가 항상 옆에 붙어있을수 없으며,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곁에 없을 때 유아의 활동에 대하여 알수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침대에 유아를 재울 때 유아들이 몸을 자유로이 가누지 못하여 질식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침대에 유아를 재울 때 유아들이 몸을 자유로이 가누지 못하여 질식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유가관리자는 유아의 배변사실을 오직 유아의 울음을 통하여 인지하였고, 유아의 수면 시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늦은 배변처리로 인하여 유아의 엉덩이가 짓무르는 등의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04126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아관리에 있어서, 유아관리자가 항상 곁에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 유아가 침대에 잠을 잘 때에 스스로 몸을 자유로이 돌리지 못해 질식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 수명 중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한 낙상사고 발생의 문제점, 침대에 설치되는 낙상 방지를 위한 울타리에 대한 유아들이 폐쇄에 대해 공포와 불안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또한, 관리자가 유아의 배변사실은 오로지 유아의 울음을 통하여 인지하며 유아의 수면 시에는 배변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여 늦은 배변처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아의 엉덩이가 짓무르는 등의 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아를 관리함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의 배변유무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저귀감지부와, 상기 기저귀감지부를 몸체케이스에 연결하는 센서케이블, 상기센서케이블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몸체케이스에 내장하게 하는 감개부, 또한 유아의 자세와 활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와, 감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소리와 빛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장치, 몸체케이스를 기저귀와 옷과 같은 곳에 부착하는 있는 걸개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보조부착장치와 유아관리어플을 구비하여 관리기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유아의 신체에 장착을 하면, 동작감지부를 이용해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곁을 벗어나도 유아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체크가 가능하며, 또한 유아의 질식사고 및 낙상사고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저귀감지부를 이용해 유아의 배변 시 신속한 배변처리로 유아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감지부를 통해 얻은 유아의 상태정보를 스마트폰의 유아관리어플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 가능하게 하여 유아관리자가 유아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부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센서케이블과 기저귀감지부의 수납을 실시한 예를 보인 상부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하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센서케이블과 기저귀감지부의 수납을 실시한 예를 보인 하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세 구성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덧기저귀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덧기저귀의 후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덧기저귀에 유아관리기를 수납한 예시도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암밴드의 착용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관리어플의 유아상태기록창을 보인 동작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관리어플의 유아관리창을 보인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아상태감지장치를 통하여 유아의 상태정보를 유아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유아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유아관리기에 있어서, 유아의 배변유무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저귀감지부(110)와,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연결하는 센서케이블(200), 상기 센서케이블(200)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게 하는 감개부(300), 또한 유아의 자세와 활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120)와, 상기 감지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10),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20), 소리와 빛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장치(430), 몸체케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기저귀와 옷에 부착하게 하는 걸개장치(5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는 유아의 배변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케이블(200)은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일정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선과 상기 도선을 보호하며 유연성을 지닌 실리콘과 같은 외부피복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감개부(300)은 센서케이블(200)의 끝이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케이블(200)의 길이를 조절하며 감는 감개장치(310), 상기 센서케이블(200)과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는 수납공간, 상기 감개장치(31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감개손잡이(3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감개손잡이(320)는 상기 감개장치(310)의 축의 중심에 위치하며, 돌출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동작감지부(120)는 몸체케이스(100)에 내부에 위치하여 유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와 누워있는 유아의 각도로 유아의 자세를 알 수 있는 자이로센서로 구성된 동작감지센서(120a)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동작감지부(120)는 몸체케이스(100)에 상부면에 위치하여 유아의 뒤집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로 구성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동작감지부(120)는 몸체케이스(100)에 상부면에 위치하여 유아의 뒤집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초음파센서 같은 근접감지센서(120b)로 구성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장치(430)는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스피커장치(430b) 와 점등표시장치(430a)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걸개장치(500)는 유아의 옷이나 기저귀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클립형이나 벨크로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 같은 센서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는 온도스위치(101)와 습도스위치(102) 같은 센서조각스위치를 몸체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420)를 통한 정보를 보여주며 장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유아관리어플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아관리어플은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하며 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보여주는 유아상태기록창(610)과 유아관리창(62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유아상태기록창(610)은 유아의 활동기록, 배변기록, 온도기록등을 시간, 일, 월 등으로 분석하여 보여주는 기록표시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아관리창(620)은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여 일 측에는 유아자세표시창부(623)와 다른 측에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로 구성되며, 상기 유아자세표시창부(623)와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를 분할하며 상황에 따라 중요한 표시창부를 확대시켜 부각 인지시키는 크기조절경계부(621)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아자세표시창부(623)는 유아의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유아이미지표시부와 유아의 상태를 문자와 기호로 표시하는 유아문자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는 기저귀의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저귀이미지표지부와 기저귀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기저귀상황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케이스(100)를 유아의 신체에 착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조부착장비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부착장비는 유아의 기저귀위에 덧입혀서 착용하는 덧기저귀와 유아의 팔에 감아서 사용하는 암밴드(800)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덧기저귀는 T자형의 전면덧기저귀부(710), T자형의 후면덧기저귀부(72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두 기저귀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각각의 일측면의 T자형 모서리끝에는 벨크로와 같은 덧기저귀결합부(7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덧기저귀부(710)의 정면 상부에는 발명의 몸체케이스(100)를 넣을 수 있는 관리기보관주머니(711), 상기 관리기보관주머니(711)의 하부에는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빼낼 수 있는 주머니구멍(712)이 있으며, 상기 주머니구멍(712) 하부에는 기저귀감지부(110)와 센서케이블(200)을 끼울 수 있는 센서케이블고정밴드(71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아의 관리에 있어서 유아의 배변유무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저귀감지부(110)와,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연결하는 센서케이블(200), 상기 센서케이블(200)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게 하는 감개부(300), 또한 유아의 자세와 활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120)와, 상기 감지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10),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20), 소리와 빛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장치(430), 몸체케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기저귀와 옷에 부착하게 하는 걸개장치(5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유아의 배변상태, 활동상태, 자세상태 등을 유아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관리자가 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처 및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유아의 배변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를 구비하고 이를 기저귀에 장착하여 실시하게 되면, 유아가 배변을 하여 기저귀감지부(110)가 온도와 습도의 상승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유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유아관리자가 신속한 기저귀 교환을 통해 유아의 배변에 의한 엉덩이 짓무름 등을 방지하고 유아에게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한 길이를 지닌 유연한 센서케이블(20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자유로운 위치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정보를 센서케이블(200)의 도선을 통해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제어부(410)에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감개부(300)을 센서케이블(200)의 끝에 연결하고, 센서케이블(200)의 길이를 조절하며 감는 감개장치(310), 상기 센서케이블(200)과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는 수납공간, 상기 감개장치(31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감개손잡이(320)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감개손잡이(320)의 조작으로 센서케이블(200)의 길이를 자율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또한 감개손잡이(320)를 완전히 감음으로써 센서케이블(200)과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감개손잡이(320)를 상기 감개장치(310)의 중심축에 위치하며, 돌출이 가능해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돌출하여 사용하여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동작감지부(120)를 유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와 누워있는 유아의 각도를 알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로 구성된 동작감지센서(120a)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동작감지부(120)의 가속도센서를 통하여 유아의 활동상태를 알 수 있으며, 상기 동작감지부(120)의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누워있는 유아의 각도를 알게 되어 유아의 자세를 알 수 있다. 이로인해 유아의 자세와 활동을 유아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관리자가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처 및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자이로 센서를 통한 유아의 각도에 있어서 일정각도를 넘어서면 알림장치를 통해 유아관리자에게 알려지도록 설정을 하면 유아의 뒤집힘에 따른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동작감지부(120)를 압력센서 또는 근접감지센서(120b)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유아가 뒤집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리게 되어 유아의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알림장치(430)를 스피커장치(430b) 와 점등표시장치(430a)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유아의 상태를 소리와 빛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걸개장치(500)를 클립형이나 벨크로형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이를 이용하여 유아의 옷이나 기저귀에 쉽게 장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 같은 센서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는 온도스위치(101)와 습도스위치(102) 같은 센서조각스위치를 몸체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황에 따라 필요한 센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통신부(420)를 통한 정보를 보여주며 장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유아관리어플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관리자가 유아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확인 및 조작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유아관리어플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하며 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보여주는 유아상태기록창(610)과 유아관리창(62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관리자가 상기 유아상태기록창(610)을 통해 활동기록, 배변기록, 온도기록등을 시간, 일, 월 등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유아관리창(620)을 통해 유아의 자세와 기저귀상태의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유아관리창(620)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하여 일 측에는 유아자세표시창부(623)와 다른 측에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로 표시하고 분할된 화면의 중앙에 크기조절경계부(621)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크기조절경계부(621)가 상황에 따라 중요상태를 부각 인지시켜주어 유아관리에 있어 편리성을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케이스(100)를 유아의 신체에 착용을 위한 보조부착장비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부착장비를 유아의 기저귀위에 덧입어서 착용하는 덧기저귀와 유아의 팔에 감아서 사용하는 암밴드(800)로 구비하며 실시하게 되면 관리자가 상기 관리기를 유아에게 쉽게 착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덧기저귀는 T자형의 전면덧기저귀부(710), T자형의 후면덧기저귀부(72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두 기저귀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각각의 일측면의 T자형의 모서리에는 벨크로와 같은 덧기저귀결합부(730)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전면덧기저귀의 정면 상부에는 발명의 몸체케이스(100)를 넣을 수 있는 관리기보관주머니(711), 상기 관리기보관주머니(711)의 하부에는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빼낼 수 있는 주머니구멍(712), 상기 주머니구멍(712) 하부에는 기저귀 감지부와 센서케이블(200)을 끼울 수 있는 센서케이블고정밴드(713)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유아의 기저귀위에 덧기저귀를 덧입혀 쉽게 관리기를 유아에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밴드(800)를 이용하여 유아의 팔에 관리기를 부착하게 되면 유아의 겨드랑이에 기저귀감지부(110)를 끼워 유아의 체온과 습도를 측정하여 유아가 느끼는 환경의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이용해 유아의 환경을 조절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00 : 몸체케이스
101 : 온도스위치 102 : 습도스위치
110 : 기저귀감지부 110a : 습도센서 110b : 온도센서
120 : 동작감지부 120a : 동작감지센서 120b : 근접감지센서
200 : 센서케이블
300 : 감개부 310 : 감개장치 320 : 감개손잡이
400 : 전원부 410 : 제어부 420 : 통신부
430 : 알림장치 430a : 점등표시장치 430b : 스피커장치
500 : 걸개장치
610 : 유아상태기록창 620 : 유아관리창
621 : 크기조절경계부
623 : 유아자세표시창부 624 : 기저귀상태표시창부
710 : 전면덧기저귀부 711 : 관리기보관주머니
712 : 주머니구멍 713 : 센서케이블고정밴드
720 : 후면덧기저귀부
730 : 덧기저귀결합부
800 : 암밴드

Claims (4)

  1. 유아관리기에 있어서;
    유아의 배변유무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저귀감지부(110)와,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연결하는 센서케이블(200), 상기 센서케이블(200)의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게 하는 감개부(300), 또한 유아의 자세와 활동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120)와, 상기 감지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10),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20), 소리와 빛을 통해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장치(430), 몸체케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기저귀와 옷에 부착하게 하는 걸개장치(500)로 구성하고,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는 유아의 배변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로 구성하고,

    상기 습도센서(110a)와 온도센서(110b)를 조작할 수 있는 온도스위치(101)와 습도스위치(102)를 몸체케이스(100)에 상부에 구성하고,

    상기 센서케이블(200)은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일정량의 길이로 되어있으며, 상기 기저귀감지부(110)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선과 상기 도선을 보호하는 유연성을 지닌 소재로 외부피복을 구성하고,

    상기 감개부(300)은 센서케이블(200)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케이블(200)의 길이를 조절하며 감는 감개장치(310), 상기 센서케이블(200)과 기저귀감지부(110)를 몸체케이스(100)에 수납하는 수납공간, 상기 감개장치(31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감개손잡이(320)로 구성하며,
    상기 감개손잡이(320)는 상기 감개장치(310)의 축의 중심에 위치하며, 돌출이 가능해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동작감지부(120)는 몸체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여 유아의 활동을 체크하기 위해 운동량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또는 누워있는 유아의 누워있는 각도를 측정하여 유아의 자세를 알 수있는 자이로센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동작감지센서(120a)로 구성하고,

    상기 알림장치(430)는 유아의 상태를 알려주는 스피커장치(430b) 와 점등표시장치(430a)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걸개장치(500)는 유아의 옷이나 기저귀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클립형이나 벨크로형 중 선택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관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부(120)는 몸체케이스(100) 상부면에 위치하여 유아의 뒤집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근접감지센서(120b)를 선택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관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관리기는 상기 통신부(420)를 통한 정보를 보여주며 장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유아관리어플을 구성하고,
    상기 유아관리어플은 상기 통신부(4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하며 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보여주는 유아상태기록창(610)과 유아관리창(620)을 구성하고,

    상기 유아상태기록창(610)은 유아의 활동기록, 배변기록, 온도기록 등 상태기록을 시간, 일, 월 등 시간적으로 분석하여 보여주는 기록표시부로 구성하고,

    상기 유아관리창(620)은 유아의 움직임, 자세, 온도, 배변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실시간표시부로 구성하며,
    상기 유아관리창(620)은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여 일 측에는 유아자세표시창부(623)와 다른 측에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로 구성되며, 상기 유아자세표시창부(623)와 기저귀상태표시창부(624)를 분할하며 상황에 따라 중요한 표시창부를 확대시켜 부각 인지시키는 크기조절경계부(62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관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관리기는 상기 몸체케이스(100)를 유아의 신체에 착용을 윈활하게 하기 위한 덧기저귀와 암밴드(800)로 보조부착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덧기저귀는 T자형의 전면덧기저귀부(710), T자형의 후면덧기저귀부(72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전후면 두 기저귀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각각의 일측면의 T자형의 모서리끝에는 벨크로와 같은 덧기저귀결합부(730)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덧기저귀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몸체케이스(100)를 넣을 수 있는 관리기보관주머니(711), 상기 관리기보관주머니(711)의 하부에는 상기 기저귀감지부(110)를 빼낼 수 있는 주머니구멍(712)이 있으며, 상기 주머니구멍(712) 하부에는 기저귀 감지부와 센서케이블(200)을 끼울 수 있는 센서케이블고정밴드(7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관리기.
KR1020160077176A 2016-06-21 2016-06-21 유아관리기 KR10170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6A KR101705487B1 (ko) 2016-06-21 2016-06-21 유아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6A KR101705487B1 (ko) 2016-06-21 2016-06-21 유아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487B1 true KR101705487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76A KR101705487B1 (ko) 2016-06-21 2016-06-21 유아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73B1 (ko) * 2020-01-14 2020-08-25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기저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60A (ko) 2007-10-23 2009-04-28 고광석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KR20100091612A (ko) * 2009-02-11 2010-08-19 이재인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기저귀를 사용하는 배뇨, 배변 감시 장치및 방법
KR101390845B1 (ko) * 2010-06-18 2014-05-02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저귀형 생체신호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60A (ko) 2007-10-23 2009-04-28 고광석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KR20100091612A (ko) * 2009-02-11 2010-08-19 이재인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기저귀를 사용하는 배뇨, 배변 감시 장치및 방법
KR101390845B1 (ko) * 2010-06-18 2014-05-02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저귀형 생체신호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73B1 (ko) * 2020-01-14 2020-08-25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기저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7990C (en) Infant monitor
US8803682B2 (en) Sleep-posture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US5400012A (en) Breathing monitor
KR20090074212A (ko) 인간의 자세와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15457A1 (en) Device for Monitoring Respiratory Movements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JP2018069084A (ja) 温度センサによる起動
JP2007501664A (ja) 人体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US20150302717A1 (en) Infant position and movement monitor
US11497673B2 (en)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US9437096B2 (en) Slouching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KR101292186B1 (ko)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US10561364B2 (en) Physiological sensor system
KR20160085403A (ko) 아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8784B1 (ko) 영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영유아용 수면 조끼 및 그 구동 방법
KR101705487B1 (ko) 유아관리기
KR20130072428A (ko) 유아 급사 방지구 및 유아 급사 방지구를 포함하는 유아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80199857A1 (en) Antisnoring device
US9261231B2 (en) Band for holding a fluid detection system
KR101717170B1 (ko)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배뇨 감지 시스템
KR101941543B1 (ko) 수면베개
US7052470B2 (en) Breathing detection/confirmation device
JPH0349748A (ja) いびき防止装置
JP2018171236A (ja) 検出装置
CN217365834U (zh) 全方位照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