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819B1 -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 Google Patents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819B1
KR101704819B1 KR1020100093764A KR20100093764A KR101704819B1 KR 101704819 B1 KR101704819 B1 KR 101704819B1 KR 1020100093764 A KR1020100093764 A KR 1020100093764A KR 20100093764 A KR20100093764 A KR 20100093764A KR 101704819 B1 KR101704819 B1 KR 10170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er
baffle
header pipe
receiv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2233A (en
Inventor
이홍열
김종철
김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0009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819B1/en
Publication of KR2012003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제1헤더파이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양단부가 제1 및 제2헤더파이프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어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간에 냉매를 유동시키고 서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들과,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각각은, 내부공간을 나누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배플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제2배플은, 냉매를 유출하기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매 유출홀들과,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냉매에 포함된 냉동유를 유출하기 위하여 냉매 유출홀보다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냉매 유출홀들 보다 낮게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동유 유출홀들이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냉매와 분리된 냉동유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저하 및 응축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에 적체되는 냉동유를 줄임으로써 압축기 내에서의 냉동유 감소로 인한 압축기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irst header pip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 second header pipe spaced from the first header pipe and coupled to the receiver dryer, 1 and the second header pipe so as to flow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and a plurality of tubes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tubes to promot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ffles for dividing the inner space therein and the second baffle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flow- A refrigerant outlet hole for discharging freezing oil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flowing dow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2 locat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pipe provides a condenser having one or a plurality of refrigeration oil receiver drier outlet holes are formed which is located lower than the refrigerant outlet 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drier and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the condenser by preventing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receiver drier, thereby reducing refrigerating oil accumulated in the receiver drier and the conden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유로 인한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응축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and a receiver dryer that can prevent a performance degradation of a receiver dryer and a condenser due to refrigerant flow.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액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기에서 액화된 냉매를 냉방부하에 따라 필요한 양을 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응축기로부터 응축되지 않은 기상의 냉매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공간활용 측면과 냉매량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일체화 시킨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 실용화되고 있다. Generally, a condenser serves to condense (liquefy)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out of a compressor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and a receiver drier is installed between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so that a refrigerant liquefied in the condenser is supplied in a required amount The condenser and the receiver dri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refrigerant and the space utilization aspect. In recent years, the condenser and the receiver dri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amount of refrigerant. Has been practically used.

한편, 종래에는 냉매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압축기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냉매에 냉동유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냉동유와 혼합된 냉매의 특성은 냉동유의 농도에 따라 다른지만 상기 냉동유의 용해 및 분리되는 한계온도에 따라 냉매와 냉동유가 서로 용해 또는 분리되는 특성이 있다. 즉, 만약 상기 냉매와 냉동유가 있는 분위기가 한계온도의 이상이 되면 냉매와 냉동유가 분리되고 반면 상기 한계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냉매와 냉동유는 용해되어 시스템 내에서 일체로 유동한다. 따라서, 고온고압 분위기인 압축기에서는, 상기 냉매와 상기 냉동유의 혼합성 온도가 상기 한계온도 이상이므로, 냉매와 냉동유가 각각 기상의 냉매와 냉동유로 분리되고, 분리된 냉동유는 압축기 내를 순환하면서 작동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a compressor in a refrigerant system, refrigerant is mixed with refrigera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nt mixed with the freezing oil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reezing oil, but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dissolved or separated depending o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freezing oil and the separated limit temperature. That is, if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exceeds the limit temperature,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separated, whereas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limit temperature,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dissolve and flow integrally in the system. Therefore, in a compressor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tmosphere, the mixing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imit temperature, so that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그런데,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상기 기상의 냉매와 상기 냉동유는, 응축기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와 분리된 일부의 냉동유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된 후 리시버 드라이어 내의 건조제에 흡수되거나 필터 하부에 적체되고, 나아가 응축기의 서브쿨 구간의 튜브에 적체되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의 성능을 악화시킴은 물론, 상기 냉동유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응축기에 적체됨에 따라 압축기측으로 재유입되는 냉동유가 감소하여 압축기의 내구성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the freezing oil flow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receiver drier and a part of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ceiver drier and then absorbed by the desiccant in the receiver drier, The refrigerant is re-introduced into the tube of the subcooling section of the condenser and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dryer and the condenser. In addition, as the refrigerant is accumulated in the receiver dryer and the conden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is reduced.

본 발명은, 냉매와 분리된 냉동유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유가 응축기에 적체되지 않고 압축기로 원활하게 유출되게 하여 응축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can prevent refrigerant from being separated from a refrigerant and prevent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a receiver drier,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a receiver drier and preventing freezing oil from flowing smoothly into a compressor without being accumulated in a condenser,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ier.

본 발명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간에 상기 냉매를 유동시키고 서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각각은, 내부공간을 나누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배플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배플은, 상기 냉매를 유출하기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매 유출홀들과,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상기 냉매에 포함된 냉동유를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유출홀보다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냉매 유출홀들 보다 낮게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동유 유출홀들이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irst header pip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out, a second header pipe spaced from the first header pipe and coupled to the receiver dryer, A plurality of tube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low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for promoting heat exchange,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ffles for dividing an inner space, The second baffle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refrigerant outlet holes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And a receiver dryer having a receiver dryer having one or more refrigerant outflow holes positioned close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than the refrigerant outflow hole and lower than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for discharging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Lt; / RTI >

따라서, 본 발명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는, 냉매와 분리된 냉동유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되지 않고, 응축기의 서브쿨 구간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하여 냉동유 유입으로 인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denser having the receiver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can be bypassed to the sub-cool section of the condenser without flowing into the receiver dryer, thereby preventing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drier due to refrigerant inflow .

또한, 본 발명은, 응축기의 서브쿨 구간의 튜브에 냉동유가 적체되지 않고 응축기의 유출구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응축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응축기 내에 압력강하량을 감소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ondenser by allowing freezing oil to flow smoothly out to the outflow port of the condenser without being frozen in the tube of the sub-cool sec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amount of pressure drop in the condenser .

또한,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에 적체되는 냉동유를 줄임으로써 순환되는 냉동유 감소로 인한 압축기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from being lowered due to the reduction of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lated by reducing the refrigeration oil accumulated in the receiver dryer and the condenser.

도 1 내지 도 3은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사용되는 냉매와 냉동유의 유체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배플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튜브에 대한 제2배플의 위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2배플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1 to 3 are graphs showing fluid characteristics of refrigerant and freezing oil used in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baffle of Figure 5;
Figure 7 is a view of the location of the second baffle relative to the tube of Figure 6;
Figure 8 is a top view of the second baffle of Figure 6;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의 냉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Before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nt of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응축기를 유동하는 냉매는, 냉동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냉동유는 상기 냉매에 비하여 비중 및 점성이 높은 유체특성을 가지며 압축기의 내구성을 유지 및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First,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ndenser includes freezing oil. The freezing oil has a specific gravity and a high viscosity as compared with the refrigerant, and maintains and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이렇게, 상기 냉매와 상기 냉동유가 혼합된 유체 특성은, 한계온도 이상일 때는 상기 냉매와 상기 냉동유가 서로 분리되고, 반면 상기 한계온도 이하일 때는 상기 냉매와 상기 냉동유가 서로 용해되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냉매는, 상일반적인 냉매(R134a) 또는 대체냉매인 HFO-1234yf(R-1234yf; HydroFluoroOlefin) 냉매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HFO-1234yf냉매는, 일반적인 냉매(R134a)와 비교하여 GWP(Global Warming Potential) 지수가 월등히 낮아 지구온난화방지는 물론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When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mixed,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imit temperature, while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dissolved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limit temperature. Meanwhile, the refrigerant may be a general refrigerant (R134a) or an alternative refrigerant HFO-1234yf (R-1234yf; HydrofluoroOlefin) refrigerant. The HFO-1234yf refrigerant has a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index much lower than that of a general refrigerant (R134a), thus it has an environment-friendly and stable characteristic as well as prevention of global warming.

이에, 도 1 내지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상기 냉매 및 대체냉매에 대한 냉동유의 혼합특성 및 상기 냉매와 상기 대체냉매의 유체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nt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nt and the alternative refrigerant, and fluid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nt and the alternative refrigera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일반 냉매(R134a)와 냉동유의 혼합성 특성 나타낸 그래프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일반 냉매와 냉동유(PAG modify)는, 한계온도인 65℃를 기준으로 상기 한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냉매와 냉동유가 분리되고, 미만일 경우에는 냉매와 냉동유가 용해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와 냉동유의 용해 및 분리의 한계온도는 냉동유의 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제일 낮은 온도는 약 65℃이다. 즉, 이러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에어컨 시스템의 경우, 냉매와 냉동유의 혼합성은 온도가 약 65℃ 이상인 압축기 내에서는 냉매와 냉동유가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냉동유는 압축기 작동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반면, 압축기를 제외한 응축기와 리시버드라이어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내에서는, 온도가 65℃ 이하가 되어 냉매와 냉동유가 용해되어 일체로 흐르게 된다.Referring to FIG. 1, which is a graph showing the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refrigerant R134a and the freezing oil, the general refrigerant and the PAG modify are stored in the refrigerant / If the refrigerating oil is separated,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dissolved. Here, the limit temperature for dissolving and separating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vari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reezing oil, but the lowest temperature is usually about 65 ° C. 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system, the mixt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in the compressor having a temperature of about 65 ° C. or higher, and the separated freezing oil improves the durability against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On the other hand, in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except for the compressor,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65 ° C, and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dissolve and flow integrally.

그러나, 일반 냉매가 아닌 대체냉매(HFO-1234yf)의 경우에는, 냉동유와의 혼합특성에 있어서 일반 냉매와는 용해 및 분리 온도가 다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체 냉매와 냉동유는, 일반 냉매보다 낮은 온도인 40~45℃에서 상기 대체냉매와 상기 냉동유가 분리된다. 이러한 이유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대체냉매(HFO-1234yf)는 일반 냉매(R134a)보다 열역학적인 면에서 응축잠열 및 증발잠열이 작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 사이즈의 응축기나 증발기를 사용하더라도 대체냉매가 빨리 응축되고 증발된다. 즉, 응축기 내에서는 냉매의 액화가 더 빨리 진행되고 증발기 내에서는 냉매의 기화가 더 빨리 진행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n alternative refrigerant (HFO-1234yf) which is not a general refrigerant, the melting and separation temperatures of the refrigera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rdinary refrigerants in mixing characteristics with the refrigerant oil. Referring to FIG. 2, the alternativ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separated from the alternativ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t a temperature of 40 to 45.degree.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3, the alternative refrigerant (HFO-1234yf) has less latent heat of condensation and latent heat of vaporization in terms of thermodynamic than the ordinary refrigerant (R134a). In other words, even if a condenser or evaporator of the same size is used, the alternative refrigerant condenses and evaporates quickly. That is, in the condenser, the liquefaction of the refrigerant proceeds more quickly and the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proceeds faster in the evaporator.

때문에, 대체냉매와 냉동유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응축기에서 냉매와 냉동유가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냉동유와 냉매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alternativ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mixed,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ondenser, and the separated freezing oil and the refrigera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dryer.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를 제외하고 냉매온도가 제일 높은 응축기에서 상기 냉매와 냉동유가 분리되었을 때, 분리된 냉동유가 응축기 내에서 적체되고, 또한 상기 냉동유가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되어 건조제(210; 도 4참조)에 흡수되거나 필터(220) 하부에 적체되어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 및 나아가 응축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동유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로 유입시키지 않고 응축기 서브쿨구간으로 바이패스시켜 냉동유가 적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순환되는 구조로서,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ondenser having the highest refrigerant temperature except for the compressor, the separated freezing oil is accumulated in the condenser and the freezing oil flows into the receiver drier, The refrigerant is bypassed to the condenser sub-cool section without being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dryer in order to prevent the refrigeration oil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receiver 220 or adversel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dry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dens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eezing oil is circulated smoothly without being accumul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100)는, 제1헤더파이프(110)와, 제2헤더파이프(120)와, 튜브(130)들과, 방열핀(140)과, 제1 및 제2배플(150,160)들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a condenser 100 having a receiver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der pipe 110, a second header pipe 120, tubes 130, a radiating fin 140 ), And first and second baffles (150, 160).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는, 밀폐된 구조로 상부 일측에 압축기로부터 냉매(1)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상기 냉매(1)가 유출되어 증발기로 공급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first header pipe 110, an inlet 1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1 flows from the compress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and the refrigerant 1 flows out to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and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 outlet 112 is formed.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는,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와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는 냉매유입구(121)와 냉매유출구(122)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유입구(121)로는 응축기(100)의 응축구간(170)과 연통되어 응축구간(170)의 냉매(1)가 유입되며, 상기 냉매유출구(122)는 응축기(100)의 서브쿨구간(180)과 연통되어 리시버 드라이어(200)로부터 유출되는 액상의 냉매(1)가 서브쿨구간(180)으로 유출한다. The second header pipe 120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der pipe 110 and connected to the receiver dryer 200 at one side. The receiver dryer 200 and the second header pip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frigerant inlet 121 and a refrigerant outlet 122. The refrigerant inlet 121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section 100 of the condenser 100 The refrigerant outlet port 122 communicates with the subcooling sec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receiver dryer 200 through the condenser section 170. [ The refrigerant 1 flows out to the sub-cool section 180. [

상기 튜브(130)들은,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110,120)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110,120) 간에 상기 냉매(1)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 개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이격되게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The tubes 13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110 and 120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110 and 120 ,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방열핀(140)은, 열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지그재그형상으로 상기 튜브(130)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냉매(1)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heat dissipation fins 140 intervene between the tubes 130 in a zigzag shape to promot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1 in orde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for heat exchange.

상기 제1배플(150)은,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제1배플(150)은, 원형플레이트형상으로 응축기(100) 내의 냉매(1)흐름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배플(150) 하나가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 내에서 응축기(100)의 응축구간(170)과 서브쿨구간(180)을 각각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baffle 150 is disposed in the first header pipe 110 to define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One or more of the first baffles 1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refrigerant 1 in the condenser 100. In this embodiment, Cool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respectively.

상기 제2배플(160)은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배플(160)이 하나 구비되어, 응축기(100)의 응축구간(170)과 서브쿨구간(180)을 각각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응축기(100) 내의 냉매(1) 흐름, 응축기(100)의 용량, 헤더파이프의 크기, 응축액의 양 등에 따라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 내에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cond baffle 160 is disposed in the second header pipe 120 to define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12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affle 160 is provided so as to divide the condensing section 170 and the sub-cool sec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respectively. However, the condenser 100 and the sub- A plurality of the first header pipe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refrigerant 1 in the second header pipe 120, the capacity of the condenser 100, the size of the header pipe, and the amount of the condensate.

상기 제2배플(160)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매 유출홀(162a)들과,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동유 유출홀(161a)들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 유출홀(162a)들은,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 내의 액상의 냉매(1)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로 유출하지 않고 응축기(100)의 서브쿨구간(180)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들은,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 내에 상기 냉매(1)에 포함되어 분리된 냉동유(2)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쿨구간(180)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baffle 160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refrigerant outflow holes 162a and one or more refrigerant outflow holes 161a.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162a bypass the liquid refrigerant 1 in the second header pipe 120 to the subcooling sec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without flowing out to the receiver dryer 200 It plays a role. The freezing oil outflow holes 161a are formed in the second header pipe 120 so that the freezing oil 2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1 and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1 is not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dryer 200, (180). ≪ / RTI >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은 상기 냉매유출홀(162a)보다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의 내주면에 가깝도록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냉동유(2)는 상기 냉매(1)에 비하여 점성 등이 높아 주로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기 때문에 이렇게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냉동유(2)를 효과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함이다. 5, the refrigerant outflow hole 161a is positioned at an edge closer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120 than the refrigerant outflow hole 162a. This is because the refrigerating oil 2 has a higher viscosity than the refrigerant 1 and flows dow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120. This effectively flows out the refrigerating oil 2 flowing dow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배플(160)은, 제1배플부(161)와, 제2배플부(162)와, 제3배플부(16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baffle 160 includes a first baffle portion 161, a second baffle portion 162, and a third baffle portion 163.

상기 제1배플부(161)는, 플레이트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들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배플부(161)는, 상기 제2헤더파이프(120)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단부(1611)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플부(161)의 전체적인 종단면형상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is positioned at the e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plate, and the free oil outflow holes 161a are formed.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is formed such that the end portion 1611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120 is inclined upward so that the overall longitudinal sectional shape of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is concave Respectively.

상기 제2배플부(162)는, 플레이트형상으로 상기 제1배플부(161)의 안쪽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 유출홀(162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배플부(162)는, 상기 제1배플부(161)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냉매(1)는 상기 냉동유(2)보다 비중이 낮아 상기 냉동유(2)는 상기 냉매(1)의 하방으로 적체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냉동유(2)가 바이패스되는 냉동유 유출홀(161a)이 형성된 제1배플부(161)를 제2배플부(162)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냉동유(2)가 원활하게 응축기(100) 서브쿨구간(180)으로 원활하게 바이패스 되게 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in the shape of a plate, and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162a are formed.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frigerant 1 is lower than that of the refrigerating oil 2 so that the refrigerating oil 2 is accumul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nt 1 and thus the refrigerating oil 2 is bypassed,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in which the hole 161a is forme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so that the freezing oil 2 smoothly flows smoothly into the sub cool por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 This is to make it pass.

상기 제3배플부(163)는, 상기 제1배플부(161)와 상기 제2배플부(162)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향 중심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도(θ)는 상기 냉동유(2)의 원활한 유체흐름을 위하여 0도<θ<90도사이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baffle portion 163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and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and is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in the upward center direction, For smooth fluid flow of the freezing oil 2,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ange of 0 degree < [theta] < 90 degree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배플(160)은, 상기 제1배플부(161)와 상기 제2배플부(162) 간의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가 상기 튜브(130)의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배플(160)이 밑면 기준하여 핀높이보다 높으면 튜브(130) 내의 냉매(1)가 뿜어져 나올 때 냉매 유출홀(162a)부에 부딪치게 되어 제2헤더파이프(120) 내 유체 유동에 영향을 미쳐 전체적으로 에어컨과 같은 냉동시스템의 압력강하나 성능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한편, 핀높이는 통상 5~8mm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배플(150)과 제2배플(160)의 높이 차이는 5m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a height of the second baffle 160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and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ube 130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if the second baffle 160 is higher than the pin height on the basis of the bottom surface, the refrigerant 1 in the tube 130 will hit the refrigerant outlet hole 162a when it is blown out, Which adversely affects the pressure drop and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ion system as a whole. The height of the first baffle 150 and the second baffle 160 is preferably 5 mm to 8 mm.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은, 상기 냉매(1)보다 점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냉동유(2)가 원활하게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냉매 유출홀(162a)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한다. Since the refrigerant flow-out hole 161a is higher in viscosity than the refrigerant 1, the refrigerant flow-out hole 161a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refrigerant outflow hole 162a so that the refrigerant oil 2 is smoothly bypassed.

상세하게는,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은, 그 단면적을 0.5㎣~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의 단면적의 크기 상기 제2배플(160)의 내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응축기(100)의 파괴압이 약 100kgf/㎠이상 걸리므로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의 단면적이 크면 그만큼 상기 제2배플(160)의 내압이 낮아져 상기 제2배플(160)의 변형을 유발하여 기능을 상실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의 단면적이 작으면, 냉동유(2) 자체가 점성이 크기 때문에 바이패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eeze-out oil-discharge hole 161a is preferably 0.5 to 20 ° C. This is becau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eeze-oil-discharge hole 161 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affle 160. Since the breaking pressure of the condenser 100 is about 100 kgf / cm 2 or more,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oil discharge hole 161a is larg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baffle 160 is lowered, 2 baffle 160 and may lose its fun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eezing oil outlet hole 161a is small, the freezing oil 2 itself may not be smoothly bypassed because of its large viscosity.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매 유출홀(162a)은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들은 상기 제2배플(160)의 중심부에 대하여 동일반경을 따라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냉동유 유출홀(161a)들이 방사상으로 동일반경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배플(160)의 내압이 불균형해져 상대적으로 내압이 취약한 부분으로 기울어지거나 변형이 되어 제2배플(160)의 기능감소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refrigerant outflow hole 162a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affle 160.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161a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baffle 160 along the same radius. In addition, the freezing oil-discharge holes 161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is because if the freeze-out oil discharge holes 161a are not radially spaced along the same radiu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baffle 160 becomes unbalanced and tilted or deformed to a portion where the internal pressure is relatively weak This may result in a reduction in function of the second baffle 160.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112)는, 최저높이가 상기 응축기(100)의 서브쿨구간(180)의 최하위 튜브(130)의 최저높이에 대하여 동일 또는 낮게 위치한다. 이는, 서브쿨구간(180)으로 유입된 냉동유(2)는 비중차에 의하여 최하위 튜브(130)에 흐르게 되는데, 이렇게 최하위 튜브(130)에 흐르는 냉동유(2)를 유출구(112)로 원활하게 유출하게 하고, 유출구(112)에서 압축기측으로 원활하게 유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출구(112)는,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 하면에서 중심부까지의 높이(d)가, 핀의 높이와 튜브(130)의 직경(높이)를 포함한 값을 고려하여, 6.3mm<d<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통상 핀의 높이는 5mm~8mm이고, 튜브(130)의 높이는 1.3mm~2mm이기 때문이다. 9, the outlet 112 formed in the first header pipe 110 has a minimum height equal to the minimum height of the lowermost tube 130 of the subcooling section 180 of the condenser 100 Or lower. The freezing oil 2 flowing into the sub-cool section 180 flows to the lowermost tube 130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he freezing oil 2 flowing in the lowermost tube 130 flows smoothly to the outlet 112 And smoothly flows out from the outlet 112 to the compressor side. The height d of the outlet 112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center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including the height of the fin and the diameter of the tube 130, It is preferable that 6.3 mm <d <10 mm.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pin is usually 5 mm to 8 mm and the height of the tube 130 is 1.3 mm to 2 mm.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배플(160)은, 응축기(100)의 응축구간(170)과 서브쿨구간(180)을 구분하는 지점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로 상기 냉동유(2)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냉매유입구(121)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냉매유입구(121)로부터는 상기 제2배플(160)의 냉동유(2) 유출용량에 따라 제2배플(160)에 고인 냉동유(2)가 상기 냉매유입구(121)로 역유입되지 않을 정도로 높이차를 두어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배플(160)의 제1 및 제2배플부(161,162)가 각각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오목한 타입 등 상기 제1배플부(161)가 상기 제2배플부(162) 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냉매 및 냉동유가 유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 등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baffle 160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separates the condensing section 170 of the condenser 100 from the sub-cool section 180, but the receiver dryer 200 The refrigerant inlet port 12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frigerant inlet port 121 to prevent the refrigerant oil 2 from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port 121 of the second baffle 160, The second baffle 160 may be provided with a difference in height to the extent that the refrigerant oil 2 that has been accumulated in the second baffle 160 does not flow back into the refrigerant inlet 121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acit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affle portions 161 and 162 of the second baffle 160 are plate-shaped. However, the first baffle portion 161 and the second baffle portion 161 may be concave-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baffle portion 162 and the refrigerant and the freezing oil can flow out.

또한, 본 실시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로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가 응축기와 일체로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 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0)와 응축기가 서로 결합된 리시버 드라이어 분리형 응축기로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applicable to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in which a receiver dryer integrated condenser in which the receiver dryer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ndenser or a receiver-dryer detachable condenser in which the receiver dryer 200 and a condenser are coupled to each other .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배플(150)과 제2배플(160)의 평면상의 형상이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와, 제2헤더파이프(120)의 평단상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제1배플(150)과 제2배플(160)의 평면상의 형상은 상기 제1헤더파이프(110)와, 제2헤더파이프(120)의 평면상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hape of the first baffle 150 and the second baffle 160 on the plan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and the second header pipe 120 The shape of the first baffle 150 and the shape of the second baffle 160 in a plane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eader pipe 110 and the second header pipe 110. [ 12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응축기 110... 제1헤더파이프
120... 제2헤더파이프 150... 제1배플
160... 제2배플 161... 제1배플부
161a... 냉동유 유출홀 162... 제2배플부
162a... 냉매 유출홀 163... 제3배플부
100 ... condenser 110 ... first header pipe
120 ... second header pipe 150 ... first baffle
160 ... second baffle 161 ... first baffle portion
161a ... Frozen oil outlet hole 162 ... Second baffle portion
162a ... Refrigerant outflow hole 163 ... Third baffle portion

Claims (11)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에 각각 연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간에 상기 냉매를 유동시키고 서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헤더파이프 각각은, 내부공간을 나누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배플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배플은, 상기 냉매를 유출하기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매 유출홀들과,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상기 냉매에 포함된 냉동유를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유출홀보다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냉매 유출홀들 보다 낮게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냉동유 유출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플은,
플레이트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동유 유출홀들이 형성된 제1배플부와,
플레이트형상으로 중심부에서 상기 제1배플부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 유출홀들이 형성된 제2배플부와,
상기 제1배플부와 상기 제2배플부를 연결하며 상향 중심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3배플부를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A first header pip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out, a second header pipe spaced from the first header pipe and connected to the receiver dry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eader pipe, A plurality of tubes inserted into the first header pipe and the second header pip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flow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ubes interposed between the tubes to promot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In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ffles for dividing an inner space,
The second baffle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refrigerant outlet holes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outlet holes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flowing dow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One or a plurality of free oil outflow holes positioned nea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and positioned lower than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are formed,
Wherein the second baffle comprises:
A first baffle portion which is formed at an e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plate shape and which is formed such that an end portion thereof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der pipe is inclined upwardly,
A second baffl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ffle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in a plate shape and having the refrigerant outflow holes formed therein,
And a third baffl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affle portion and the second baffle portion and inclined to be narrowed toward an upward cen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은,
상기 제1배플부와 상기 제2배플부 간의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가 상기 튜브의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affle comprises:
And a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affle portion and the second baffle portion is smaller than a height of the tub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동유 유출홀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냉동유 유출홀들은 상기 제2배플의 중심부에 대하여 동일반경을 따라 대칭되게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frigerant oil outflow holes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oil outflow holes are symmetrically formed along the same radiu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aff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냉동유 유출홀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freezing oil outflow holes have a receiver drier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은,
상기 냉매 유출홀들이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동유 유출홀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baffle comprises:
Wherein the refrigerant outlet holes are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oil outlet holes are located at an e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HFO-1234yf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frigerant is HFO-1234y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최저높이가 상기 응축기의 서브쿨 구간의 최하위 튜브의 최저높이에 대하여 동일 또는 낮게 위치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let
And the lowest height is located at the same or low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st height of the lowest tube of the sub-cool section of the condens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응축기와 일체로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 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가 서로 결합된 리시버 드라이어 분리형 응축기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denser having the receiver dryer,
A receiver dryer integral condenser in which the receiver dry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denser, or
And a receiver dryer, wherein the receiver dryer and the condenser are coupled to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과 상기 제2배플은,
평면상의 형상이 상기 제1헤더파이프의 평면상의 형상과, 상기 제2헤더파이프의 평면상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인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baffle and the second baffle,
Wherein a shape on a plane corresponds to a shape on a plane of the first header pipe and a shape on a plane of the second header pipe, respectively.
KR1020100093764A 2010-09-28 2010-09-28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KR101704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64A KR101704819B1 (en) 2010-09-28 2010-09-28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64A KR101704819B1 (en) 2010-09-28 2010-09-28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33A KR20120032233A (en) 2012-04-05
KR101704819B1 true KR101704819B1 (en) 2017-02-08

Family

ID=4613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764A KR101704819B1 (en) 2010-09-28 2010-09-28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8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857A1 (en) * 2021-12-10 2023-06-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exchanger and bypass valve used in heat exchan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42B1 (en) * 2018-05-03 2020-01-22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microchannel heat exchanger for reducing driving load of a compres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81B1 (en) * 2002-09-27 2005-03-08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Condensor for airconditioner
KR100622444B1 (en) * 2005-09-07 2006-09-12 주식회사 두원공조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529A (en)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Oil separator of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81B1 (en) * 2002-09-27 2005-03-08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Condensor for airconditioner
KR100622444B1 (en) * 2005-09-07 2006-09-12 주식회사 두원공조 Condenser integrated with receiver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857A1 (en) * 2021-12-10 2023-06-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exchanger and bypass valve used in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33A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858B1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1797176B1 (en) Dual pipe structure for internal heat exchanger
JP2008281326A (en) Refrigerating unit and heat exchanger used for the refrigerating unit
KR101326841B1 (en) Condenser for vehicle
CN105402964A (en) Gas-liquid separator, refrigerating circulating device with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system
KR101173157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Water-Cooled Condenser and Water-Cooled Heat Exchanger for Supercooling
CN111114243A (en) Cooling module for a vehicle
KR101704819B1 (en) Condenser having receiver dryer
JP2015064157A (en) Condenser for compression type refrigerator
JP2011012828A (en) Refrigerating device
JP2005016874A (en) Freezing and refrigerating unit and refrigerator
KR102009751B1 (en) Refrigeration Equipment using Air cooling type Condenser and Supercooling of Refrigerant
JP5677220B2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100629354B1 (en) Oil separator of air conditioner
JP2012102992A (en) Parallel flow multi-stage condensation subcooler for outdoor unit
KR20090045473A (en) A condenser
KR101898994B1 (en) Air conditioner having refrigerant booster
KR101359932B1 (en) Refrigeration-air conditioning system of truck refrigerator using ejector
KR20060129789A (en) An air-conditioner without out-door machine
KR20090080312A (en) Condenser having integrated receiver drier
JP2005249282A (en) Refrigerator
KR102422490B1 (en) Ehp type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low gwp refrigerant
KR102536383B1 (en) Device including a refrigerant cycle
KR102342956B1 (en) High efficiency evaporative condenser
CN106595134B (en) A kind of vapo(u)rization system and air-conditioning system in air-cond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