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819B1 -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819B1
KR101702819B1 KR1020160120108A KR20160120108A KR101702819B1 KR 101702819 B1 KR101702819 B1 KR 101702819B1 KR 1020160120108 A KR1020160120108 A KR 1020160120108A KR 20160120108 A KR20160120108 A KR 20160120108A KR 101702819 B1 KR101702819 B1 KR 10170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cement
p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도
길배수
박완신
장석준
김선웅
이종원
남의현
정권영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04Compound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ir cations
    • C04B2103/001Alkaline earth metal or Mg-compounds
    • C04B2103/0011B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6Materials exhibiting reduced plastic shrinkage crac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문제점인 과도한 수화열 및 수축으로 인해 초기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륨(Ba)계 상전이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을 혼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Composition Of Cement Mortar With Phase Change Material}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균열 이후 취성적 파괴가 발생되는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와는 달리 초기균열 발생 이후에도 강도의 저하 없이 변형률이 증가하는 유사변형경화 특성을 나타내는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train-hardening cement-composite, SHCC)를 이용하되, 상기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문제점인 과도한 수화열 및 수축으로 인해 초기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륨(Ba)계 상전이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train-hardening cement-composite, SHCC)는 인장균열 이후 취성적 파괴가 발생되는 일반 시멘트 복합체와는 달리 초기균열 발생 이후에도 강도의 저하 없이 변형률이 증가하는 유사변형경화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이다.
그러나 SHC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화열 및 수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SHCC는 섬유의 분상성 및 균질성 향상을 위하여 굵은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다량의 결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도한 수화열 및 수축으로 인해 초기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2004년에 미시건대학에서 발표된 "Life-Cycle Cost Model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Bridge Decks"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 시멘트에 비해 SHCC의 경우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 등 바인더의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상전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은 물질의 위상이 변할 때 필요한 잠열을 축적하는 물질로써, 상전이온도를 경계로 고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로 상전이가 되면서 열을 흡수 및 방출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 이외에도 PCM은 잠열저장 성능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물질의 급격한 온도상승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PCM을 활용하여 시멘트의 온도변화를 제어하고 시멘트 벽체의 단열성능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고층건물 및 장견간 교량 등 대형구조물이 증가하면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제어가 중요시되고 있다. 초기 매스콘크리트는 급격한 수화열 상승에 의해 높은 온도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콘크리트 내외부에 예측이 불가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등 다양한 저열재료를 사용하는 방법과, 프리쿨링 및 파이프쿨링 공법등을 활용하는 시공적 방법의 매스콘크리트 저감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프리쿨링 공법은 배합 이전에 물, 골재, 바인더와 같은 재료를 냉각하여 초기 타설온도 저감을 통해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하는 공법이며, 파이프쿨링 공법은 콘크리트 내에 온도제어를 위한 파이프를 매설하는 공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공적 방법은 재료의 물성 및 배합의 변화 없이 초기수화열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추가적인 구조물의 시공에 다른 비용 및 공사기간의 증가가 우려되는 문제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09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문제점인 과도한 수화열 및 수축으로 인해 초기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화열 및 수축을 저감하면서도 압축강도의 저감은 최소화하고 인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륨(Ba)계 상전이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을 혼입한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시멘트와,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물 40 ∼ 50중량부와, 모래 35 ∼ 45중량부와, 합성섬유 1 ∼ 2 중량부와, Ba계 PCM(Phase Change Material: 상전이물질) 3 ∼ 5중량부를 혼입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0.3 ∼ 0.5중량부의 분말형 친수성 고분자가 더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섬유는 PVA(Polyvinyl alcohol)인 합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반수석고 2 ∼ 3중량부를 더 혼입시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PVA 합성섬유 100중량부에 20 ∼ 30중량부의 유리섬유가 더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따르면,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에 바륨(Ba)계 상전이물질을 혼입함으로써,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문제점인 과도한 수화열 및 수축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축강도의 저감은 최소화되어 구조물의 초기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에 비해 인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PVA 합성섬유에 유리섬유를 혼입하여 구조물의 내화학성, 내열성, 인장강도 및 인장 탄성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Ba+HP 사용)과, 기존 PCM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PCM이 혼입되지 않은 변형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의 수화온도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Ba+HP 사용)과, 기존 PCM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PCM이 혼입되지 않은 변형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의 수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Ba+HP 사용)과, 기존 PCM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PCM이 혼입되지 않은 변형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의 인장성능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첨가하여 양생 시 압축강도의 저감 없이 수화열 및 수축저감 성능 및 인장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와,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물 40 ∼ 50중량부와, 모래 35 ∼ 45중량부와, 합성섬유 1 ∼ 2 중량부와, Ba계 PCM(Phase Change Material: 상전이물질) 3 ∼ 4중량부를 혼입하여 구성된다.
Ba계 PCM은 압축강도의 저감 없이 수화열 및 수축저감 성능을 형상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최대 수화열 발생 시점을 현저히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Ba계 PCM에서 압축강도의 저하 없이 수화열저감 및 수축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최대치로 3 ∼ 4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4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수화열 저감효과는 상승하지만, 양생시간이 지나갈수록 급격히 압축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3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양생시간이 지나도 압축 강도의 저하는 크게 발생하지 않지만, 약간의 수화열 저감은 일어나되 수화열 저감효과라고 하기에는 미미한 수준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0.3 ∼ 0.5중량부의 분말형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 HP)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친수성 고분자가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친수성 고분자가 과다한 수분을 흡수하여 시멘트 복합체의 유동성(작업성)에 현저한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0.3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친수성 고분자의 혼입수준이 낮기 때문에 수분흡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3차원 망상 구조를 가지면서 카르복시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다량의 물을 흡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Ba계 PCM과 함께 사용하여 SHCC의 과도한 수축 및 수화열 저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친수성 고분자는 높은 압력에서도 물을 방출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중량대비 최대 5000배까지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친수성 고분자를 SHCC에 혼입할 경우에 친수성 고분자가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SHCC의 자기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SHCC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함유된 Ba계 PCM은 Ba(OH)2·8H2O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분으로 인해 응집력이 높아 분산성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Ba계 PCM에 분말형 친수성 고분자를 건비빔하여 사용할 경우 Ba계 PCM 내부의 수분을 친수성 고분자가 흡수하여 Ba계 PCM의 분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합성섬유는 이외에 PET, PET+PE, PET+PVA 합성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PVA(Polyvinyl alcoh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PVA(Polyvinyl alcohol)는 섬유 자체에 OH기를 가지고 있어 시멘트 경화시에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며, 또 그 표면의 요철은 시멘트 매트릭스와의 물리적 결합(앵커 효과)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상기 PVA 합성섬유는 크게 6가지의 특성을 갖는데, 그 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적은 신축성과 높은 탄성률을 갖고 있어 건조수축균열을 저감할 수 있는 균열저감의 특성을 갖는다.
두번째로, 친수성 섬유로서 부착성능이 매우 좋아 깔끔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는 부착력/표면마감성의 특성을 갖는다.
세번째로, 화학적으로 높은 알카리 저항성이 있는 내알칼리성 특성을 갖는다.
네번째로,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구조물의 기능을 형상시키는 분산성의 특성을 갖는다.
다섯번째로, 분자 중에 알코올기가 있기 때문에, 분자 절단의 원인이 되지 않아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은 특성을 갖는다.
여섯번째로, 탄소(C), 수소(H), 산소(O)로 이루어져 있어, 연소할 때에는 H2O와, CO2로 되어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PVA 합성섬유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술된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2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특성의 실익과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실험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라 Ba계 PCM 및 친수성 고분자(HP)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일반 SHCC 조성물 및 일반 SHCC에 기존 PCM을 첨가한 기존 PCM 조성물에 대해 간이단열온도 성능실험과 수축성능실험 및 인장성능실험을 위하여 [표 1]과 같은 배합비율로 각각 제작하였고, 이때 일반 SHCC의 배합비율은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w/B(%)
Fiber volume fraction (%) Unit weight (kg/m3)
Water Cement Sand 기존 PCM Ba계 PCM HP
일반 SHCC
조성물
45 1.5 484 1075 430 - - -
기존 PCM 조성물 45 1.5 484 1075 430 32.25 - -
실시예 45 1.5 484 1075 430 - 32.25 4.3
먼저 간이단열 성능 실험을 위하여 내경 100×100×100㎜, 단열재 두께 100㎜의 스티로폼 몰드를 제작하였고, 열전대를 이용하여 실험체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간이단열온도 상승 실험 시 초기타설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0℃를 목표온도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수축성능실험은 40×40×160㎜ 각주형 공시체를 이용하여 재령 91일까지 건조수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SHCC 조성물의 경우 타설온도와 수화반응 이후 최대온도 차이가 51.4℃로 나타났으며, 최대온도까지의 반응시간은 17.6분으로 나타났다. 기존 PCM 조성물을 사용한 배합의 최대온도는 60.5℃로 타설온도에 비해 40.5℃의 발열량을 나타내었다. 최대온도까지의 반응시간은 19.8분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SHCC 조성물에 비해 수화열이 감소하고, 반응시간이 미소하게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실시예를 사용한 배합의 발열량은 55.8℃로 나타났으며, 기존 SHCC 조성물에 비해 발열량이 15.6℃ 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열량의 감소는 기존 PCM 조성물에 비해 4.7℃로서 그다지 현저한 효과로 볼 수 없지만, 최대온도까지의 반응시간이 28.6분으로 나타내어 기존 PCM 조성물의 19.8분에 비해 8.8분 지연됨으로서 수화반응 지연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SHCC 조성물의 수축량은 재령 28일 371㎛로 나타났으며, 기존 PCM 조성물 및 본 실시예의 수축량은 각각 222㎛ 및 16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기존 PCM 조성물보다 수축저감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Ba계 PCM 및 친수성 고분자(HP)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일반 SHCC 조성물 및 일반 SHCC에 기존 PCM을 첨가한 기존 PCM 조성물에 대한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구간 100 ㎜, 단면 30×30㎜의 덤벨형(dumbbell-shape) 시험체를 제작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SHCC 조성물의 인장강도는 2.37㎫로 나타났으며, 인장강도 시 변형률은 1.46%로 나타났다. 기존 PCM 조성물을 사용한 배합의 인장강도는 2.59㎫로 나타났으며, 최대강도 시 변형률은 1.99%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배합의 인장강도는 2.84㎫로 나타났으며, 일반 SHCC 조성물에 비해 약 20%의 강도향상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PCM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도 대략 9%의 강도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인장강도 시 변형률은 2.95%를 나타내었으며, 초기수축 및 수화열 저감의 효과를 인해 변형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에서 인장강도 시 변형률은 일반 SHCC 조성물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PCM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약 36%의 향상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는 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2 ∼ 3중량부의 반수석고가 더 혼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수석고는 시멘트의 폭렬현상을 방지하여 수화열을 억제할 수 있도록 기능 하는 것으로, 3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구조물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화열의 억제 효과가 미비하여 실익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에는 PVA 합성섬유 100중량부에 20 ∼ 30중량부의 유리섬유가 더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유리섬유는 구조물의 내화학성, 내열성, 인장강도 및 인장 탄성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구조물의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율이 미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0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PVA 합성섬유의 본래 기능을 저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시멘트와,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물 40 ∼ 50중량부와, 모래 35 ∼ 45중량부와, 합성섬유 1 ∼ 2중량부와, Ba계 PCM(Phase Change Material: 상전이물질) 3 ∼ 5중량부 및 분말형 친수성 고분자 0.3∼0.5중량부를 혼입하여 구성되는 것을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는 PVA(Polyvinyl alcohol) 합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VA 합성섬유 100중량부에 20 ∼ 30중량부의 유리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반수석고 2 ∼ 3중량부를 더 혼입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20160120108A 2016-09-20 2016-09-20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0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108A KR101702819B1 (ko) 2016-09-20 2016-09-20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108A KR101702819B1 (ko) 2016-09-20 2016-09-20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819B1 true KR101702819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108A KR101702819B1 (ko) 2016-09-20 2016-09-20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5755A (zh) * 2018-06-07 2018-09-28 黄志贵 一种相变负离子玻镁人造石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723B1 (ko) 2004-06-18 2006-08-08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콘크리트(자기발열형 수경성 무기화합물)의 수밀성 개선및 균열 억제를 위한 규불화염계 수화열 저감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807761B1 (ko) * 2007-04-27 2008-02-28 주식회사 콘크리닉 알파형반수석고를 이용한 시멘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294796B1 (ko) * 2013-02-26 2013-08-08 태륭건설(주)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723B1 (ko) 2004-06-18 2006-08-08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콘크리트(자기발열형 수경성 무기화합물)의 수밀성 개선및 균열 억제를 위한 규불화염계 수화열 저감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807761B1 (ko) * 2007-04-27 2008-02-28 주식회사 콘크리닉 알파형반수석고를 이용한 시멘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294796B1 (ko) * 2013-02-26 2013-08-08 태륭건설(주)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ng-Ro Kim et. al., Effect of barium-based phase change material (PCM) to control the heat of hydr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ss concrete, Thermochimica Acta, vol.613, pp.100~107, 20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5755A (zh) * 2018-06-07 2018-09-28 黄志贵 一种相变负离子玻镁人造石板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389B1 (ko) 고인성 내화모르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내회피복 보수공법
KR100792015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증진된 자기충전성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0698550B1 (ko) 내화 및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ishnaraja et al. Flexural performance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layered reinforced concrete beams
KR101672700B1 (ko) 자기 치유성을 갖는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내구성 증진공법
KR100666312B1 (ko) 폴리머 혼합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프리캐스트 제품의 접합방법
KR101227379B1 (ko) 내화 및 단열 성능이 우수한 친환경 내화재 조성물
KR100613902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모르타르 조성물
KR101246114B1 (ko) Tbm 공법에 적용되는 세그먼트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성능 콘크리트 세그먼트
KR20160011081A (ko) 고흡수성 수지가 포함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00526B1 (ko) 내화·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고강도 내화·내진패널의 제조방법
JP2009096657A (ja) 左官用セメントモルタル
KR101176823B1 (ko) 분말수지 및 폴리파이버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27377B1 (ko) 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0659457B1 (ko) 영구거푸집 및 내화패널 겸용의 고강도 고인성 패널을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 부재의 내화공법
KR100659458B1 (ko) 자기충전성을 갖는 내화충전모르타르를 사용한고강도콘크리트의 폭열방지공법
KR100874584B1 (ko)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02819B1 (ko) 상전이물질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0824374B1 (ko) 흡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55637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마감재용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2577733B1 (ko)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 모르타르층,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KR102158500B1 (ko) 바텀애시 골재와 기포를 이용한 저탄소 단열 콘크리트
KR100651181B1 (ko) 보강 섬유를 포함하는 시멘트재와 이의 조성물
KR20180138079A (ko) 고강도 콘크리트 폭열방지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폭열방지용 모르타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