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588B1 -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588B1
KR101702588B1 KR1020150133374A KR20150133374A KR101702588B1 KR 101702588 B1 KR101702588 B1 KR 101702588B1 KR 1020150133374 A KR1020150133374 A KR 1020150133374A KR 20150133374 A KR20150133374 A KR 20150133374A KR 101702588 B1 KR101702588 B1 KR 10170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ermanent magnet
booster
circuit breaker
manip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지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2Operating arrangements using bistable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linear polarised electromagnet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유지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터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자 로드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자 로드를 선형 구동시키는 코일과, 상기 가동자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스터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는 상기 가동자 로드의 일단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 홀더; 상기 자석 홀더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스터용 자석; 및 상기 자석 홀더와 부스터용 자석을 고정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Permanent Magnetic Actuator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유지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터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 또는 개폐장치에는 진공인터럽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 중에서 최근에는 영구자석의 전자기력을 이용한 영구자석 조작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있어서 영구자석 조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각각 투입상태 및 개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는 도 1에 있어서 부스터의 하우징의 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1)는 먼저 지지 및 외형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a)와 베이스 몰드(1b), 진공인터럽터 몰드(1c), 가동부 몰드(1d)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진공인터럽터 몰드(1c), 베이스 몰드(1b), 가동부 몰드(1d)는 베이스 플레이트(1a)의 상부에 일렬로 연결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진공인터럽터 몰드(1c)에는 진공인터럽터(VI)가 내장된다. 진공인터럽터(VI)는 고정접점부(1e)와 가동접점부(1f)가 구비된다. 고정접점부(1e)는 각 상으로 연결된다. 가동접점부(1f)는 가동로드(1g)에 결합되어 절연로드(1h) 및 링크(2)를 거쳐 구동장치 즉, 영구자석 조작기(3)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면서 고정접점부(1e)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가동접점부(1f)가 고정접점부(1e)에 접촉하는 경우 전원측(또는 1차측)으로부터 부하측(또는 2차측)으로 전류가 통전되고, 가동접점부(1f)가 고정접점부(1e)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여기서, 구동장치는 영구자석 조작기(Permanent Magnet Actuator)로 구비될 수 있다. 영구자석 조작기(3)는 영구자석(3a)의 자력과 코일(3b,3c)에 유도되는 기자력을 이용하여 가동자(3d)를 왕복운동시키는 기기로서 크기에 비해 구동력이 우수하여 차단기의 구동장치로서 많이 사용된다.
가동자(3d)의 구동력은 링크(2) 및 절연로드(1h)를 거쳐 진공인터럽터(VI)의 가동로드(1g)에 전달된다.
영구자석 조작기는, 영구자석(3a)에 의해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3e), 중앙부에 종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자(3d), 영구자석(3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각각 전원 인가 시 상기 가동자(3d)를 투입위치 및 트립위치 사이에서 선형구동시키기 위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투입코일(3c) 및 트립코일(3b)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가동자(3d)의 유지력(holding force)를 증대시키기 위해 부스터(4)가 구비된다. 부스터(4)는 요크(3e)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4a), 하우징(4a) 내부에 설치되는 부스터용 자석(4b), 가동자(3d)의 단부에 설치되어 부스터용 자석(4b)의 자력을 받는 가동판(4c) 등으로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영구자석 조작기의 작동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와 같이, 투입코일(3c)에 전원이 인가되고 트립코일(3b)에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가동자(3d)는 투입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부스터(4)는 부스터용 자석(4b)의 자력에 의해 가동판(4c)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힘은 유지력으로서 진공인터럽터(VI)의 접압력을 증대시켜 의도치 않은 접점부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유지력은 링크(2)의 압축스프링(2a)에 탄성 저장되었다가 차단시 복원력으로 제공되어 개방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도 4b와 같이, 투입코일(3c)에 전원이 차단되고 트립코일(3b)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가동자(3d)는 개방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링크(2)의 압축스프링(2a)에 탄성 저장되었던 유지력이 복원력으로 제공되어 개방시간을 단축시키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영구자석 조작기에 있어서 부스터(4)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4a)와 가동판(4c)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스터용 자석(4b)은 디스크 타입의 원형 자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면대면으로 하우징(4a)와 가동판(4c)의 접촉충격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하우징(4a) 내부에 내장된 부스터용 자석(4b)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부스터용 자석(4b)의 자기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부스터용 자석(4b)이 원형 자석으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비표준형 자석인 원형 자석을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공정이나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3a 또는 도 3b에 나타나듯이 하우징(4a)은 캡부(4a1)와 하부덮개부(4a2)로 구성된다. 이때, 캡부(4a1)는 부스터용 자석(4b)의 상부에 발생하는 N극과 부스터용 자석(4b)이 하부에 발생하는 S극의 자기력을 동시에 포함하게 되므로 자력이 상쇄된다. 또한, 캡부(4a1)와 하부덮개부(4a2)가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자기력선의 연속성이 끊어지므로 자력이 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스터용 자석의 파손을 방지하고, 자력의 감소로 인한 유지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자 로드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자 로드를 선형 구동시키는 코일과, 상기 가동자 로드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스터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는 상기 가동자 로드의 일단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 홀더; 상기 자석 홀더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스터용 자석; 및 상기 자석 홀더와 부스터용 자석을 고정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스터용 자석은 사각 자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에는 중앙부에 상기 가동자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에는 상기 복수 개의 자석 홀더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 수단이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는 각형 막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관통홀 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를 감싸며 지지하는 브래킷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는 브래킷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일부에는 상기 자석 홀더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 홀더의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의하면 부스터에 사용되는 자석이 사각자석으로 구비되고 폭이 좁은 측면부가 요크에 접촉하게 되므로 자석이 깨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기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원형자석이 아닌 표준품의 사각 자석을 활용하므로 가공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부스터에는 자석의 'N'극과 'S'극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구성요소가 제거되므로 자력의 상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있어서 영구자석 조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각각 투입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있어서 부스터의 하우징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동작상태도로서 각각 투입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부스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동작상태도로서 각각 투입상태 및 투입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부스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는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요크(15), 상기 요크(15)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자 로드(20)와, 상기 수용부(1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30)과, 상기 영구자석(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자 로드(20)를 선형 구동시키는 코일(40)과, 상기 가동자 로드(20)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스터(50)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50)는 상기 가동자 로드(20)의 일단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 홀더(51); 상기 자석 홀더(51)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스터용 자석(60); 및 상기 자석 홀더(51)와 부스터용 자석(60)을 고정하는 체결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에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수용부(11)에는 요크(15)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프레임(10)은 구성요소들을 양측면에서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요크(15)는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 즉 수용부(11)에 설치된다. 요크(15)는 대략적으로 'E'자 형태로 형성되어,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요크(15)는 '8'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5)는 철재 등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크(15)는 영구자석(30) 또는 코일(4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하게 된다. 요크(15)는 내측면에 제1삽입부(16)와 제2삽입부(17)가 형성된다.
가동자 로드(20)는 한 쌍의 요크(15) 사이에서 영구자석 조작기의 종축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동자 로드(20)는 진공인터럽터(VI, 도 1 참조)의 가동로드(1g, 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차단기를 투입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가동자 로드(20)에는 플런저(25)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25)는 가동자 로드(20)의 중앙부를 감싸는 판재 또는 로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동자 로드(20)는 플런저(25)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가동자 로드(20,21)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25)가 요크(15)의 내부상단부(18, 도면상에서 좌측)와 내부하단부(19, 도면상에서 우측)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움직이게 되는 거리(스트로크)는 진공인터럽터의 가동자가 움직이게 되는 거리와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30)이 요크(15)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때, 영구자석(30)은 내측이 'N'극, 외측이 'S극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영구자석(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플런저(25) 및 가동자 로드(20)와 요크(15)를 따라 상측(도면상 좌측)으로 형성되는 자로와 하측(도면상 우측)으로 형성되는 자로를 이룬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절대균형의 상태라고 가정할 때, 상측으로 형성되는 자로와 하측으로 형성되는 자로에 의한 자기력은 서로 반대방향이고 그 크기는 동일하므로 플런저(25)는 요크(15)의 중심부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요크(15)의 내부에 코일(40)이 복수 개 설치된다. 상측(도면상 좌측)에 제1코일(41)이 설치되고, 하측(도면상 우측)에 제2코일(4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코일(41)은 요크(15)의 제1삽입부(16)에 설치되고, 제2코일(42)은 요크(15)의 제2삽입부(17)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코일(41)은 투입코일로서 투입시 전류가 인가되어 상측으로 형성되는 자로를 발생시켜 가동자 로드(20)를 투입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제2코일(42)은 트립코일로서 개방시 전류가 인가되어 하측으로 형성되는 자로를 발생시켜 가동자 로드(20)를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1코일(41)과 제2코일(42)의 활용방식은 제어방법이나 동작방식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1코일(41)과 제2코일(42)의 작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부스터(50)는 가동자 로드(20)의 유지력(holding force)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부스터(50)는 크게 자석 홀더(51)와 부스터용 자석(60) 및 체결 수단(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는 각형 막대(rod or bar)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3개로 구성된 자석 홀더(51:51a,51b,51c)가 도시되어 있다. 자석 홀더(51)는 철재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부스터용 자석(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자석 홀더(51) 중에서 중앙에 구비되는 자석 홀더(51b)에는 중앙부에 가동자 로드(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는 삽입홀(52)에 가동자 로드(20)가 끼워져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에는 상기 삽입홀(52)에 수직하고 복수 개의 자석 홀더(51)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홀(53)이 형성된다. 체결홀(53)은 삽입홀(52)의 인근에 형성되고, 또한 부스터용 자석(60)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 홀더(5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 또는 관통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 또는 관통홈(54)이 형성되어 자석 홀더(51)는 충실바가 아닌 중공바가 되어 자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부스터용 자석(60)이 자석 홀더(51)의 사이사이에 설치된다. 부스터용 자석(60)은 판재형, 특히 사각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스터용 자석(60)은 기성품의 표준형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부스터용 자석(60)이 기성품으로 구비됨에 따라 원형 자석 등 별도의 가공이 소요되었던 종래에 비해 작업공정이 줄고 재료비용 및 생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부스터용 자석(60)은 사각 자석, 즉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넓은 면이 정면(61) 및 후면(62)을 이루고 좁은 면이 측면(63)을 이룬다. 정면(61)과 후면(62)은 자석 홀더(51)에 밀착하여 접촉하게 된다. 측면(63)은 노출되고 요크(15)에 접촉될 수 있다.
체결 수단(70)은 나사 및 너트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수단(70)에 의해 복수 개의 자석 홀더(51)는 부스터용 자석(60)을 사이사이에 구비한 채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동작상태도로서 각각 투입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부스터(50)는 요크(1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가동자 로드(20)의 일단(가동자 로드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외측의 가동자 로드 (21))에 결합된다. 부스터(50)는 자석 홀더(51)의 사이사이에 부스터용 자석(60)의 정,후면(61,62)이 면접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부스터(50)가 요크(15)에 접촉할 때 부스터용 자석(60)은 측면(63)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요크(15)에 부스터용 자석(60)이 접촉할 때, 넓은 면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압력에 의해 깨질 위험성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자력의 감소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7a와 같이 제1코일(41)에 전류가 흘러 가동자 로드(20)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부스터(50)는 요크(15)에 접촉하게 되며 부스터용 자석(60)과 요크(15) 사이의 자력에 의해 유지력이 증대된다. 이러한 유지력은 일부는 진공인터럽터(VI, 도 1 참조)의 접점부의 접압력을 상승시키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게 되고, 일부는 링크(2, 도 1 참조)의 압축스프링(2a, 도 1 참조)에 탄성력으로 저장된다.
도 7b와 같이 개방시에는 제2코일(42)에 전류가 흘러 가동자 로드(20)를 개방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이때 압축스프링(2a, 도 1 참조)에 저장되었던 탄성력은복원력으로 발생되어 차단속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즉, 차단기의 개방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의하면 부스터에 사용되는 자석이 사각자석으로 구비되고 폭이 좁은 측면부가 요크에 접촉하게 되므로 자석이 깨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기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원형자석이 아닌 표준품의 사각 자석을 활용하므로 가공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부스터에는 자석의 'N'극과 'S'극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구성요소가 제거되므로 자력의 상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가운데 구비되는 자석 홀더(51b)는 N극을 갖게 되고, 양 측면에 구비되는 자석 홀더(51a, 51c)는 S극을 갖게 되어 자석의 'N'극과 'S'극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구성요소가 제거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자석 홀더(51)를 감싸는 브래킷(80)이 더 포함된다.
브래킷(80)은 대략적으로 'ㄷ'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80)은 자석 홀더(51)와 부스터용 자석(60)이 연결된 일측면을 감싸고 자석 홀더(51)의 체결홀(53)이 형성된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80)에는 체결홀(53)에 연동되는 브래킷홀(81)이 형성되어 체결 수단(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삽입홀(52)에 연동되는 브래킷삽입홀(82)이 형성되어 가동자 로드(20,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브래킷(80)에 의해 자석 홀더(51)와 부스터용 자석(60)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자석 홀더(5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90)가 더 포함된다.
가이드(90)는 요크(15)의 일부 또는 수용부(11)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90)는 원형 로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 홀더(51) 중에서 양측에 구비되는 자석 홀더(51a,51c)의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9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홀(5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90)가 가이드(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부스터(50)가 직선운동할 때 자석 홀더(51)를 흔들리지 않고 안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수용부
15 요크 16 제1삽입부
17 제2삽입부 20,21 가동자 로드
25 플런저 30 영구자석
40 코일 41 제1코일
42 제2코일 50 부스터
51:51a,51b,51c 자석 홀더 52 삽입홀
53 체결홀 54 관통홀 또는 관통홈
55 가이드 홀 60 영구 자석
61 정면 62 후면
63 측면 70 체결 수단
80 브래킷 81 브래킷홀
82 브래킷삽입홀 90 가이드

Claims (10)

  1.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자 로드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자 로드를 선형 구동시키는 코일과, 상기 가동자 로드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스터가 구비된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는
    상기 가동자 로드의 일단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 홀더;
    상기 자석 홀더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스터용 자석; 및
    상기 자석 홀더와 부스터용 자석을 고정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용 자석은 사각 자석으로 마련되고, 폭이 좁은 측면부가 상기 요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자석 홀더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에는 중앙부에 상기 가동자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에는 상기 복수 개의 자석 홀더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 수단이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는 각형 막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관통홀 또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를 감싸며 지지하는 브래킷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는 브래킷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부에는 상기 자석 홀더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홀더의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KR1020150133374A 2015-09-21 2015-09-21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KR10170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374A KR101702588B1 (ko) 2015-09-21 2015-09-21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374A KR101702588B1 (ko) 2015-09-21 2015-09-21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588B1 true KR101702588B1 (ko) 2017-02-03

Family

ID=5815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374A KR101702588B1 (ko) 2015-09-21 2015-09-21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05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67B1 (ko) * 2012-04-18 2013-10-08 정동훈 차단기용 마그네틱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67B1 (ko) * 2012-04-18 2013-10-08 정동훈 차단기용 마그네틱 액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05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KR102021866B1 (ko) * 2018-02-22 2019-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3467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9576760B2 (en) Contact device
US9378914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US8570125B2 (en) Electromagnetic switch
EP2711965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8823472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11139133B2 (en) Contact device,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ical device
US10755883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2860749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210136823U (zh) 直流继电器
WO2012157170A1 (ja) 電磁接触器
JP2016072020A (ja) 接点装置
CN210489542U (zh) 直流继电器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KR101702588B1 (ko) 차단기용 영구자석 조작기
US20210082649A1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19103063A1 (ja) 接点モジュール、接点装置、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JP6198449B2 (ja) 電磁石装置
RU2013114981A (ru) Магнитный привод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JP2012104359A (ja) 接点装置
KR102021866B1 (ko) 영구자석형 조작기의 보조 가압장치
US11636992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fixed terminal having chamfered shape or movable contact piece having chamfered shape
JP2012104363A (ja) 接点装置
KR20230146984A (ko) 전자 계전기
JP2012199112A (ja) 電磁継電器および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