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37B1 -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 Google Patents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37B1
KR101702437B1 KR1020150152184A KR20150152184A KR101702437B1 KR 101702437 B1 KR101702437 B1 KR 101702437B1 KR 1020150152184 A KR1020150152184 A KR 1020150152184A KR 20150152184 A KR20150152184 A KR 20150152184A KR 101702437 B1 KR101702437 B1 KR 10170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oor frame
casing
suppor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641A (ko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PCT/KR2016/0013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33309A1/ko
Publication of KR2016010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가 내장되면서 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가 외측에 노출토록 되는 케이싱의 일측에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를 통하여 문틀의 상측에 케이싱이 고정될 때 문틀에 장착되는 문비에 실린더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문비의 적어도 일측이 내장토록 연결되는 케이싱은 문틀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하여 하향이 방지토록 연결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PULLING UP FLOODGATE HAVING MONOLITHIC STRUCTURE OF CYLINDER}
본 발명은 실린더가 내장되면서 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가 외측에 노출토록 되는 케이싱이 구비되어 그 일측에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를 통하여 문틀의 상측에 케이싱이 고정될 때 문틀에 장착되는 문비에는 실린더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문비의 적어도 일측이 내장토록 연결되는 케이싱은 문틀의 상단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하여 하향이 방지토록 연결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댐이나 저수지에는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하여 수문이 설치되는데 이와같이 설치되는 수문들은 기계식이나 유압식으로된 수문개폐장치와 연결되어 수문 개폐장치에 유압의 공급시 개폐토록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수문들은 그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만 아니라 작동 또한 정확하지 않았다.
또한, 유압실린더는 물론 유압실린더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는 실린더로드의 훼손을 방지하여 주는 장치가 준비되어 있지 않는 것은 물론 수문을 닫았을때 수문의 지수고무가 문틀내면에 견고히 밀착되지 않아 지수역활을 완벽하게 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수문들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그 설치 및 사용이 불편 하였을 뿐만아니라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작동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사용수명 또한 짧아 유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에 필요이상으로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 제523818호에 수문의 기술을 제시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이나 하천의 댐이나 저수지 등지에 설치되는 수문결합용 문틀(10)에 수문(20)의 양측을 결합하고 이 수문(20)과 거꾸로 연계설치한 유압실린더(30)의 승강작동으로 직접 수문(20)을 상,하로 승강시켜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거꾸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0)를 수문(20)의 양측단에 형성된 밀폐형 실린더설치부(21) 내부로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30) 몸체 하측단의 고정편(32)에 구비된 수평장공(32a)을 문틀(10)의 상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브라켓트(11)에 고정핀(33)으로 결합하여 상기 유압실린더(30)가 수평장공(32a)의 안내를 받으며 전,후로 위치변동이 가능 하도록 고정설치하고,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실린더로드(31) 끝단은 수문(20)의 실린더설치부(21) 하측단 내부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수문(20)과 문틀(1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웨지(wedge)(12)(22)를 각각 돌출형성하여서 수문(20)을 닫았을때 이들이 밀착되면서 수문(20)이 앞으로 밀려 수문(20)에 구비된 지수고무가 문틀(10)내면에 밀착되어 수문(20)이 완전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문틀(10)의 상측에는 웨지(wedge)(12)(22)와 반대방향이고 수문(20)의 상측단보다 높은 위치에 지수고무보호용 가이드레일(13)을 돌출형성하여,수문(20)의 승강시 수문(20)의 상측에 형성된 돌기(23)가 지수고무보호용 가이드레일(13)에 밀착되면서 수문(20)이 뒤로 밀려 수문(20)에 구비된 지수고무(25)가 문틀(10)내면으로부터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지수고무(25)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함은 물론, 이와같이 수문(20)이 지수고무보호용 가이드레일(13)과 웨지(11)(22)들에 의해 수문(20)이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게 될 경우에도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30)들이 유압실린더(30)몸체 하측단의 고정편(32)에 구비된 수평장공(32a)이 고정핀(33)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수평장공(32a)의 안내를 받으면서 수문(20)과 함께 동시에 전진,후퇴하면서 충격을 완화해주어 유압실린더(30)의 파손이 없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인양수문은, 수평장공(32a)에 끼워지는 고정핀(33)에 전단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핀(33)의 풀림시 유압실린더(30)의 견고한 결합이 힘들게 되고, 수평장공을 일치시켜야 하여 고정핀에 의한 결합작업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3의 종래기술 같이, 문틀(10)에 의해 지지되는 수문(20)의 양측이 문틀(10)에 대응토록 문틀(10)의 상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브라켓트(11)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유압실린더(30)의 중심 즉 문틀의 내측으로 동일간격(t1)으로 등분한 지점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문틀(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까지 수납된 상태가 되어 모래등의 쌓임이 빈번하여 작동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비를 지지하는 가이드홀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모래 쌓임을 방지토록 하며, 인양수문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양수문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수문과 실린더의 변형을 방지토록 하고, 문비의 개도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싱의 슬라이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비에 실린더로드로 연결되는 실린더의 일측에 지지부를 직접 연결하여 문틀의 상측에 연결되거나
실린더가 밀폐형으로 내장되면서 문비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가 노출토록 설치되는 케이싱의 일측에 지지부를 설치하여 문틀의 상측에 연결하는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는 지지부가 문틀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지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문비는 문틀의 상단에 위치결정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부를 통하여 지지되면서 실린더의 동작시 문틀에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홀에 양측이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은, 지지플레이트를 통하여 위치결정되어 문비에 장착되는 실린더의 중심이 가이드홀의 깊이방향 중심의 외측에 편심 위치토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가이드홀에서 편심 지지토록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가 문틀에서 편심 지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등 지지토록 문틀의 양측면 및 후방과 전방 양측에서 각각 돌출토록 형성되는 고정판을 문틀의 상단에 더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문비는 케이싱과의 연결부에 물넘침방지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문비의 저부에는 이물질배출공이 더 구비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측에 와이어보호파이프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보호파이프에 삽입되는 개도파이프 일단이 로드에 연결될 때 타단이 케이싱 상부에 장착되는 와이어개도계에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개도계는 개도파이프의 하강거리를 계측토록 설치되는 엔코더로 이루어진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고정판의 상측에 위치결정수단이 더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연결되는 보호커버로서 이루어져 그 내측에 지지부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지지부가 접촉되는 슬라이딩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지지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방지하면서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상부가 노출되거나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측면을 지지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커버는, 지지플레이트과 지지부의 접촉부에 슬라이딩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지지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개구를 갖는 상판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플레이트는 문틀의 상측에 결합되는 브라켓 일체형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린더는, 실린더로드가 문비의 상단에 연결되거나 실린더의 일부가 문비에 내장되는 상태로 실린더로드가 문비의 하단에 연결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비를 지지하는 가이드홀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문비를 지지하면서도 모래 쌓임을 최소화하여 문비의 동작이 원활하며, 인양수문의 조립이 용이하고, 인양수문의 내구성을 높이며, 수문과 실린더의 변형을 방지하고, 문비의 개도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며, 케이싱의 슬라이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각각 종래의 인양수문을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지지상태를 종래기술과 대비한 도면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 및 케이싱의 분해상태도이다.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 결합상태도 및 분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단의 개도장치 연결상태도이다.
도11 내지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지지상태를 종래기술과 대비한 도면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 및 케이싱의 분해상태도이며,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 결합상태도 및 분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수단의 개도장치 연결상태도이며, 도11 내지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양수문의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인양수문(100)은, ㄷ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가이드홀(119)을 갖는 양측의 문틀(110)에 의해 문비(150)가 지지되어 장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문비(150)는 문틀(110)의 상단 및 문비(150)의 하단에 연결되는 케이싱(200)을 통하여 문틀의 내측에서 문비(150)를 인양 및 하강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200)에는 실린더(170)가 밀폐형으로 내장되면서 상기 실린더(170)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75)의 일부가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70)는, 문틀(110)에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싱(200)의 내측에 일체로 내장되는 밀폐형구조이면서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75)가 케이싱(200)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의 하측에 연결될 때 실린더가 밀폐형 구조로 내장되는 케이싱(200)의 적어도 일측이 문비(150)에 수납되어 내장되므로써 문틀에서 문비(150)가 승,하강할 때 문비(150)의 상측에서 케이싱(200)의 일측이 수납 및 노출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200)의 상부나, 하부 또는 높이방향 일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는 문틀(110)의 상단에서 지지토록 되는 지지부(210)가 케이싱의 폭 방향으로 돌출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0)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싱 없이 실린더(170)의 일측에 지지부(210)를 직접 설치하여 문틀(110)에 연결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실린더(170)는,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의 상측에 직접연결되거나 실린더(170)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된 후 이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의 하단에 연결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지지부(210)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보다 돌출되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의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 대향 설치되는 2개의 지지봉(210a), 실린더 또는 케이싱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210b)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210)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지지홀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210c)및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지지봉(210a)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를 통하여 실린더(170) 또는 케이싱(200)이 문틀(110)의 상단에 지지될 때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에서 노출되는 실린더로드는 문틀(110)에 장착되는 문비(150)의 상측에 연결되거나 문비를 관통하여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는 문비(150)의 내측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연결부가 노출되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어 실린더로드가 문비의 하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상기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에 연결될 때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의 적어도 일측이 문비(150)에 내장토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110)에 장착되면서 일체로 연결되는 실린더(170) 및 케이싱(200)은 문틀(110)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310)에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이 지지부를 통하여 지지될 때 문비를 승하강토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미끄럼운동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10)는, 문틀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통하여 연결될 때 지지부의 하향을 방지하면서 실린더 또는 케이싱이 삽입되어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이동토록 장착홀(313)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딩패드(350)가 상측에 더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문비(150)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과의 연결부에 물넘침방지턱(15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문비(150)의 저부에는 이물질배출공(157)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00)의 내측에 와이어보호파이프(410)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보호파이프(410)에 삽입되는 개도파이프(430) 일단이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실린더로드와 일체로 동작할 때 상기 개도파이프(430)의 타단에는 케이싱(200) 상부에 장착되는 와이어개도계(400)의 와이어(450)가 연결되어 개도파이프(430)의 이동을 와이어에 의해 감지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개도계(400)는, 개도파이프(430)의 하강 및 상승거리를 계측토록 설치되는 엔코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개도계에서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갖도록 개도파이프(43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보호파이프(410)는 누드 상태로 설치되는 실린더(170)의 외측에 연결설치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위치결정수단(3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연결되는 보호커버(330)로서 이루어져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에서 돌출되는 지지부(210)가 내장되는 상태로 하향 및 상향을 방지하는 공간(S)이 일체로 형성한다.
즉,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지지부(210)의 저면과 측면 및 상부면중 적어도 한면 이상에서 접촉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330)는, 지지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판(331)및 상기 측면판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개구(331a)를 갖는 상판(333)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보호커버의 개구를 통하여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상부가 노출되거나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일측이 개구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부가 노출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상부가 노출토록 되는 개구를 통하여 와이어가 케이싱의 개도파이프에 연결되거나 실린더에 유압공급을 위하여 유압관(209) 등이 연결된다.
그리고,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문틀(110)은, 지지플레이트(310)를 통하여 위치결정되어 문틀(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실린더(170)의 가로방향 중심(C)이 가이드홀(119)의 깊이방향 중심선(C1)의 외측으로 일정거리(δT) 이동하여 위치토록 가이드홀의 깊이가 최소화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는 문틀(110)의 전방으로 노출토록 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10)가 문틀(110)에서 일정거리(dt) 이동되어 문틀의 상측에서 편심 지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등 지지토록 문틀(110)의 상측에 문틀에서 노출토록 ㄷ자 형상을 갖는 고정판(370)이 더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고정판(370)은, 문틀(110)의 둘레를 따라 그 양측면 및 후방과 전방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모래 쌓임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최소깊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문비(150)의 장착시 가이드홀 및 문틀의 상측에서 편심 위치되는 실린더(170)를 균등 지지하기 위해서는 문틀(110)의 일측을 더 확장시켜 실린더의 지지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등 분포토록 하여야 하고, 본 발명에서는 문틀(110) 보다 큰 면적을 갖는 고정판(370)은 문틀(110)의 상측에 용접하여 이 문제를 해소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370)은 문틀(110)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처짐을 방지토록 문틀(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라켓(371)이 일체로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370)은 지지플레이트(310)보다 확장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인양수문(100)은, 양측의 문틀(110)에 의해 지지되는 문비(150)가 문틀(110)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문비에 연결되는 실린더(170)의 동작시 문비가 문틀의 내측에서 인양토록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70)는 사각 또는 원형 형상인 케이싱(200)에 내장되는 밀폐형 구조로서 특히 사각형상일 때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외부에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가 내장시 그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유압관 등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실린더(170)는, 케이싱(200)이 더 구비되어도 좋으나 별도의 케이싱 없이 노출되는 누드 상태로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75)가 케이싱(200)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어 실린더의 동작시 실린더로드(175)만이 문비의 내측에서 노출된 상태로 승,하강할 때 케이싱(200)의 일부가 문비의 상측에서 수납 및 노출토록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70)는, 케이싱(200)에 내장될 때 상기 케이싱(2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부(210)를 통하여 문틀(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실린더의 동작시 양측의 문틀(110) 내측에서 문비를 승,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200)에서 노출되는 실린더로드는 문틀(110)에 장착되는 문비(150)를 관통하여 문비의 하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에 연결될 때 케이싱(200)의 적어도 일측이 문비(150)에 내장토록 연결되어 케이싱을 통하여 지지됨으로써 실린더의 손상을 방지한다.
더하여, 상기 문비(150)는 케이싱(200)과의 연결부에 물넘침방지턱(155)이 더 구비되어 문비를 월류하는 이물질이 케이싱이 삽입되는 문비의 내측에 유입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문비(150)와 케이싱(200)의 연결부를 통한 물등의 유입시 문비의 저부에 형성되는 이물질배출공(157)을 통하여 배출토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200)의 상부나 하부 또는 일측면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는 케이싱의 폭보다 돌출토록 되는 지지부(210)가 일체로 설치되어 문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위치결정수단(300)에 의해 지지될 때 하향이 방지되어 문비를 일정높이 까지 승강토록 한다.
이때, 상기 문틀(110)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케이싱(200)을 지지토록 하는 위치결정수단(300)은, 문비가 문틀(110)의 어느 한방향 이상으로 이동토록 할 때 상기 문비를 지지하는 케이싱(200)이 지지부를 통하여 동시에 이동토록 하여 케이싱을 중심으로 문비의 하중발생시 실린더에서 돌출되는 실린더로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싱 없이 실린더(170)의 일측에 지지부(210)를 직접 설치하여 문틀(110)에 연결하여도 동일한 동작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70)는,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의 상측에 직접연결되거나 실린더(170)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된 후 이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175)가 문비(150)의 하단에 연결되어도 동일한 동작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수단(300)은, 문틀의 상단에 고정될 때 지지부의 하향을 방지하면서 실린더 또는 케이싱이 적어도 한방향 이상으로 이동토록 장착홀(313)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수직방향 이동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보호커버(330)로 이루어져 지지플레이트와 보호커버 내측에 지지부(21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실린더 및 케이싱을 지지하는 상태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10)는 지지부의 접촉부에 슬라이딩패드(350)가 더 구비되어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써 소음 및 마모의 발생없이 지지부(21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 대향 설치되는 2개의 지지봉,
실린더 또는 케이싱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져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일측에서 연결높이 및 연결구조를 다양하게 하여 설치지역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210)는, 실린더 또눈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지지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지지봉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도 동일한 효과의 구현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문틀의 상측에 연결되는 브라켓(371) 일체형 고정판(370)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71)은 문틀의 상부에 편심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토록 문틀의 측면에 돌출되어 결합되면서 고정판(370)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70)은 문틀의 둘레보다 확장되는 면적을 갖도록 되어 문틀보다 큰 기구물등의 설치에 따른 제약이 없어 문틀의 상측에 장비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 또는 문틀이 장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등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장비등의 장착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71)은, 적어도 2면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삼각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문틀(110)의 측면에 고정되면서 고정판(370)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고정판(370)의 확장시 처짐등에 의한 지지플레이트의 지지불량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330)는 지지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판(331) 개구를 갖는 상판(333)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판을 지지플레이트에 조립한 후 상기 측면판의 상측에 상판을 조립하면 보호커버가 완성되어 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을 중심으로 실린더로드(175)가 노출되어 문비(150)가 하강하면 상기 와이어보호파이프(41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와이어개도계(400)의 와이어(450)가 연결되는 개도파이프(430)가 동시에 노출되어 와이어(450)를 인출함으로써 와이어개도계(400)가 동작 문비의 닫힘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토록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개도계(400)는, 개도파이프(430)의 하강거리를 계측토록 설치되는 엔코더로 이루어져 상기 개도파이프(430)의 하강시 개도파이프(430)에 연결되어 인출토록 되는 와이어(450)의 풀림정도에 의해 문비의 하강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문틀(110)은, 지지플레이트(310)를 통하여 위치결정되어 문틀(110)의 상단에서 장착되는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의 가로방향 중심(C)이 가이드홀(119)의 깊이방향 중심선(C1)의 외측으로 일정거리(dt) 이동하여 위치토록 할 때 가이드홀(119)의 깊이가 최소화토록 설치됨으로써 모래 등의 쌓임이 최소화 된다.
즉, 상기 문비(150)의 양측이 최소의 깊이로 지지되어 모래 쌓임에 의한 승,하강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20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는 문틀(110)의 전방으로 노출토록 되어 문틀(110)의 상단에서 편심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본 발명에서는 문틀(110)에서 일정거리(dt)만큼 편심되는 지지플레이트(310)를 문틀(110)의 상측에서 균등 지지토록 문틀(110)의 상측에 ㄷ자 형상을 갖는 고정판(370)을 더 연결하여 지지플레이가 편심지지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홀의 깊이를 최소화 하면서도 실린더 또는 케이싱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고정판(370)을 통하여 편심됨이 없이 문틀(110)의 상측에서 지지토록 되는 것이다.
100...인양수문 110...문틀
150...문비 170...실린더
200...케이싱 210...지지부
300...위치결정수단 400...와이어개도계
430...개도파이프

Claims (8)

  1. 문비에 실린더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의 일측에 지지부를 직접 설치하여 실린더를 문틀의 상측에 연결하거나
    실린더가 밀폐형으로 내장되면서 문비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가 노출토록 설치되는 케이싱의 일측에 지지부를 설치하여 문틀의 상측에 케이싱을 연결하는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또는 케이싱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는 지지부가 문틀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토록 설치되고,
    상기 문비는 양측 문틀의 상단에 위치결정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부를 통하여 지지되면서 실린더의 동작시 양측에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홀에 양측이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문틀은, 지지플레이트를 통하여 문틀에서 문비가 위치결정될 때 문비에 장착되는 실린더의 중심이 가이드홀의 깊이방향 중심의 외측에 편심 위치하면서 실린더의 외부 일측이 노출되는 상태로 수납토록 가이드홀의 깊이가 축소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중심이 가이드홀에서 편심되면서 실린더의 외부 일측이 문틀에서 노출되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문틀의 상측에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토록 문틀에서 노출되는 고정판을 문틀의 상단에 더 연결하며,
    상기 고정판은, 문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문틀의 양측면 및 후방과 전방 양측에서 각각 돌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문틀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처짐을 방지토록 문틀의 측면에 고정되면서 고정판의 저면에 지지되는 브라켓이 일체로 더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결정수단이 더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케이싱 또는 실린더가 삽입되는 장착홀을 갖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연결되는 보호커버로서 이루어져 그 내측에 지지부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지지부가 접촉되는 슬라이딩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지지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방지하면서 케이싱 또는 실린더의 상부가 노출되거나 케이싱 또는 실린더의 측면을 지지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비는, 케이싱과 또는 실린더의 연결부에 물넘침방지턱이 더 구비되고, 저부에 이물질배출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와이어보호파이프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보호파이프에 삽입되는 개도파이프 일단이 실린더로드에 연결될 때 상기 개도파이프의 타단은 케이싱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개도계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 또는 실린더의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에 대향 설치되는 2개의 지지봉, 케이싱 또는 실린더의 상단, 하단, 높이방향 일측의 구성중 어느 한 곳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 또는 실린더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지지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지지봉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장되는 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관이 상측면 외부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지지플레이트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케이싱 또는 실린더가 삽입되거나 노출토록 개구를 갖는 상판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8. 삭제
KR1020150152184A 2015-02-16 2015-10-30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KR10170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1316 WO2016133309A1 (ko) 2015-02-16 2016-02-05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3088 2015-02-16
KR1020150023088 201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41A KR20160101641A (ko) 2016-08-25
KR101702437B1 true KR101702437B1 (ko) 2017-02-07

Family

ID=5688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84A KR101702437B1 (ko) 2015-02-16 2015-10-30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30B1 (ko) 2018-01-16 2018-08-09 일성보산업(주) 유압식 인양수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9786B (zh) * 2020-11-13 2022-05-03 宋广科 黄水澄清节制闸及澄清河水和保持水土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88B1 (ko) * 2007-02-07 2007-11-19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인양수문용 수문개도측정장치
KR100980897B1 (ko) * 2010-04-28 2010-09-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유압실린더의 동조가 용이한 인양수문
KR101261776B1 (ko) * 2012-07-18 2013-05-07 주식회사 지현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88B1 (ko) * 2007-02-07 2007-11-19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인양수문용 수문개도측정장치
KR100980897B1 (ko) * 2010-04-28 2010-09-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유압실린더의 동조가 용이한 인양수문
KR101261776B1 (ko) * 2012-07-18 2013-05-07 주식회사 지현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30B1 (ko) 2018-01-16 2018-08-09 일성보산업(주) 유압식 인양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41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034B1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0523818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KR101702437B1 (ko)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090109938A (ko)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1788624B1 (ko) 유지관리가 편리한 유압식 인양수문
CN113614310B (zh) 用于翻板闸门的水密结构和包括水密结构的翻板闸门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1220424B1 (ko) 인양식 수문
GB2323621A (en) Self-actuating flood barrier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KR200323111Y1 (ko) 유압식 수문설치 구조
EP2182120A1 (en) Overflow da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water level at one side of the dam
KR20160013363A (ko) 인양식 수문장치의 문틀 플레이트
KR101018358B1 (ko) 수로용 일체식 문비
CN110086138B (zh) 高水头平板闸门振动监测系统、线缆保护装置及布置方法
WO2016133309A1 (ko) 실린더 일체형 인양수문
JP5197395B2 (ja) 止水板および止水板装置
JP3225136U (ja) 非常用防護装置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0631472B1 (ko) 유압식 수문설치 구조
KR102640244B1 (ko)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8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19

Effective date: 201701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