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70B1 - 케이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70B1
KR101702370B1 KR1020150064024A KR20150064024A KR101702370B1 KR 101702370 B1 KR101702370 B1 KR 101702370B1 KR 1020150064024 A KR1020150064024 A KR 1020150064024A KR 20150064024 A KR20150064024 A KR 20150064024A KR 101702370 B1 KR101702370 B1 KR 10170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nut
union nut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514A (ko
Inventor
김부근
Original Assignee
(주)뉴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뉴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4Corrugat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며, 일측 및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유니언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경사부가 형성된 체결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다단지게 줄어들도록 상부슬리브, 중간슬리브 및 하부슬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슬리브 상단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가 삽입되는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슬리브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 장치{cable fixator}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장비 일측에 마련되어 전장장비 내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안전하게 케이블 연결 장치 내측 중심에 안전하게 고정시켜주며, 케이블을 고정하는 체결너트가 진동 등에 의하여 풀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잇는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연결 장치는, 산업 현장이나, 선박, 건물 등에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장장비 일측에 마련되는 장치이며, 제어함 내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장비 일측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에 마련되는 케이블 연결 장치는, 상기 전장장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전장장비 내측으로 물이나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전장장비 내측에 인입되는 케이블이 케이블 연결 장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기/전자 장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연결 장치는, 상기 케이블 연결 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연결 장치의 체결너트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박 또는 산업현장의 기계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블 연결 장치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체결너트가 풀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장치는, 유니언너트 일단에 형성되는 밀착부가 체결너트의 체결에 따라 케이블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을 고정지지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유니언너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 내측에는, 상기 밀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유니언너트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너트가 풀리지 않는 케이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며, 일측 및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유니언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외 경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경사부가 형성된 체결너트와,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다단지게 줄어들도록 상부슬리브, 중간슬리브 및 하부슬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슬리브 상단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가 삽입되는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슬리브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슬리브 외측면에는 상기 슬리브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리브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압착되면 상기 슬리브홈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경사부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될 때, 상기 밀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니언너트에서 상기 체결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는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격판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이격부와, 상기 격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을 상기 격판 하단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유니언너트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의 외부피복을 상기 유니언너트 외측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는 상기 유니언너트 일단에는, 상기 유니언너트 외측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복수개가 형성된 상기 밀착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밀착홈이 마련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유니언너트에 체결될 때, 상기 밀착부 내경의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장치는, 유니언너트 일단에 형성되는 밀착부가 체결너트의 체결에 따라 케이블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을 고정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니언너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 내측에는, 상기 밀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유니언너트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너트가 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 및 밀착홈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 결합 측단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1 실시예 >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며, 일측 및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유니언너트(110)와, 상기 유니언너트(110)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는 고정너트(120)와, 상기 유니언너트(110)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경사부(132)가 형성된 체결너트(130) 및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는 슬리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에는, 유니언너트(110)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언너트(110)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일측 및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너트(120) 및 체결너트(130)가 상기 나사산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니언너트(110) 일측에는, 고정너트(1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120)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너트(120)는, 상기 유니언너트(110)의 일측이 전장장비 일측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120)가 상기 전장장비 내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유니언너트(110)를 상기 전장장비 일측에 고정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니언너트(110) 타측에는, 체결너트(1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너트(130)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너트(130)는, 상기 고정너트(120)에 의해 상기 유니언너트(110)의 일측이 상기 전장장비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상기 유니언너트(110)에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130)에는, 경사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32)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132)는, 상기 체결너트(130) 상단으로 갈수록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너트(130)가 상기 유니언너트(110)에 체결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슬리브(140) 상단면을 압착하게 되며, 만곡되어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슬리브(140)가 내측에 인입되는 케이블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는 슬리브(140)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삽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인입되는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슬리브(140)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체결너트(13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너트(130)가 상기 유니언너트(110)에 체결될 때, 상기 체결너트(130)의 상기 경사부(132)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고정 지지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슬리브(14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다단지게 줄어들도록 상부슬리브(141)), 중간슬리브(142) 및 하부슬리브(1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슬리브(141)는, 상기 체결너트(1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상기 중간슬리브(142)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까지 삽입되며, 상기 하부슬리브(143)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부까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니언너트(110) 일단에서 내측 단턱까지 삽입되는 상기 중간슬리브(142) 상단 외측면에는, 슬리브돌기(144)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돌기(144)는, 상기 중간슬리브(142) 외측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삽입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안착홈(112)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중간슬리브(142)가 삽입되는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 상단에는,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2)은,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 상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140)가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슬리브돌기(144)가 상기 안착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140)가 상기 유니언너트(110) 내측에 고정 지지되게 된다.
즉, 상기 슬리브돌기(144)가 상기 안착홈(112)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어, 상기 슬리브(140)가 체결너트(130)의 의해 회전하며 압착될 때, 상기 체결너트(13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압착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슬리브(140) 외측면에는, 슬리브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홈(145)은, 상기 슬리브(140)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리브홈(145)은, 상기 체결너트(13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상단슬리브(140)가 압착되면, 상기 슬리브홈(145)에 의해 상기 슬리브(140)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슬리브(140)가 상기 케이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140)와 케이블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전장장비 내측으로 물 또는 분진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제2 실시예 >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니언너트(210), 고정너트(220), 체결너트(230), 경사부(232)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니언너트(210) 일단에 형성되는 북수개의 밀착부(212)와, 상기 밀착부(21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밀착홈(214)과, 상기 경사부(232)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234)와, 상기 밀착부(212)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240)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먼저,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에는, 밀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체결너트(230)와 체결되는 상기 유니언너트(210)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210)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유니언너트(210) 일단에 바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플랙시블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너트(230)에 의해 상기 밀착부(212) 상단이 압착될 때, 상기 경사부(232)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밀착부(212) 내측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케이블 외측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12) 사이 공간에는, 밀착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홈(214)은, 복수개가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12) 사이의 이격공간에 해당된다. 즉, 상기 밀착홈(214)은, 소정의 공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12) 사이의 공간이며, 상기 체결너트(230)가 상기 유니언너트(210)에 체결될 때, 상기 밀착부(212) 내경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밀착홈(2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돌기(234)가 안착되어 상기 체결너트(230)가 상기 유니언너트(21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부(232) 내측면에는, 체결돌기(2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34)는, 상기 경사부(232)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32)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234)는, 상기 체결너트(230)가 체결될 때, 상기 체결돌기(234)가 상기 밀착홈(214)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 상기 유니언너트(210)에서 상기 체결너트(230)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장기간 사용 또는 반복적인 진동이 발생하는 곳이 설치될 때, 상기 체결너트(230)가 상기 유니언너트(21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체결너트(230)가 잠기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너트(230)를 상기 유니언너트(210)에 체결할 때, 상기 체결돌기(234)가 상기 밀착부(212)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너트(230)가 체결될 때, 상기 체결돌기(234)가 상기 밀착홈(214)에 삽입되고, 회전에 의해 인접한 다음 밀착홈(214)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12)는, 경사면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34)가 상기 밀착홈(21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체결너트(230)의 체결시에는 상기 체결너트(2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고, 반대로, 해체는 보다 많은 저항을 가지게 함으로 상기 체결너트(230)가 상기 유니언너트(21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212) 내측에는, 슬리브(240)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2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구성 및 기능이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상기 상단슬리브(141)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240)에는, 슬리브홈(24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홈(242)은 그 구성 및 기능이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상기 슬리브홈(242)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 제3 실시예 >
먼저,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유니언너트(310), 밀착부(311), 밀착홈(312), 고정너트(320), 체결너트(330), 경사부(332), 체결돌기(334), 슬리브(340), 슬리브홈(342)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313)과, 상기 격판(313)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이격부(314)와, 상기 격판(313)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을 상기 격판(313) 하단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15)과, 상기 유니언너트(310)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의 외부피복을 상기 유니언너트(310) 외측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316)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먼저,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에는, 격판(313)이 형성된다. 상기 격판(313)은,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격판(313) 상단에는, 이격부(314)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314)는, 상기 격판(313) 상단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케이블은 외부피복 내측에 적어도 두 개의 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전선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으로 케이블을 인입시키게 되면, 상기 이격부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케이블 내측의 전선을 분기시키게 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판(313)에는, 관통공(31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격판(313)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을 상기 격판(313) 하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유니언너트(310) 일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이 상기 유니언너트(310)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관통공(315)은,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상기 케이블의 전선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유니언너트(310) 측면에는, 배출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316)는, 상기 유니언너트(310)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에 의해 분기된 상기 케이블의 외부피복을 상기 유니언너트(3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출부(316)는, 상기 격판(313) 상단의 상기 유니언너트(310) 내측면에서 외측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이격부(314)에 의해 분기된 상기 케이블의 전선 및 외부피복 중 전장장비 내에서 사용하는 전선 이외에 불필요한 외부피복을 상기 유니언너트(31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배출부(316)는, 상기 외부피복이 상기 유니언너트(310)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니언너트(310) 외부로1 배출된 상기 외부피복은, 사용자에 의해 절단되거나, 상기 체결너트(330)의 체결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즉, 외부로 배출된 상기 외부피복은, 칼 등과 같은 도구로 절단하거나, 상기 체결너트(330) 하단에 마련되는 칼날에 의해 상기 체결너트(330) 체결시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310 : 유니언너트
120, 220, 320 : 고정너트
130, 230, 330 : 체결너트
132, 232, 332 경사부
234, 334 : 체결돌기
140, 240, 340 : 슬리브
145, 242, 342 : 슬리브홈
212, 311 : 밀착부
214, 312 : 밀착홈

Claims (5)

  1.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며, 일측 및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유니언너트;
    상기 유니언너트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는 고정너트;
    상기 유니언너트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외 경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경사부가 형성된 체결너트;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다단지게 줄어들도록 상부슬리브, 중간슬리브 및 하부슬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슬리브 상단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리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가 삽입되는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슬리브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슬리브 외측면에는,
    상기 슬리브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리브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압착되면 상기 슬리브홈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경사부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될 때, 밀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니언너트에서 상기 체결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는,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격판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니언너트 내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분기시키는 이격부와, 상기 격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을 상기 격판 하단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유니언너트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에 의해 분기된 케이블의 외부피복을 상기 유니언너트 외측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는 상기 유니언너트 일단에는,
    상기 유니언너트 외측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복수개가 형성된 상기 밀착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밀착홈이 마련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유니언너트에 체결될 때, 상기 밀착부 내경의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4024A 2015-05-07 2015-05-07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70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24A KR101702370B1 (ko) 2015-05-07 2015-05-07 케이블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24A KR101702370B1 (ko) 2015-05-07 2015-05-07 케이블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14A KR20160131514A (ko) 2016-11-16
KR101702370B1 true KR101702370B1 (ko) 2017-02-27

Family

ID=5754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024A KR101702370B1 (ko) 2015-05-07 2015-05-07 케이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6084A1 (en) 2010-03-19 2011-09-22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CN203859483U (zh) 2014-05-23 2014-10-01 倍仕得电气(杭州)有限公司 金属电缆固定头
EP2784887A1 (en) 2013-03-28 2014-10-01 GEWISS S.p.A. Cable gland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11Y1 (ko) * 1987-01-07 1989-09-20 배준집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6084A1 (en) 2010-03-19 2011-09-22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EP2784887A1 (en) 2013-03-28 2014-10-01 GEWISS S.p.A. Cable gland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CN203859483U (zh) 2014-05-23 2014-10-01 倍仕得电气(杭州)有限公司 金属电缆固定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14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10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кабеля на патрубке для вывода кабеля
US8698011B2 (en) Device for fixing a cable to a cable outlet connector
US6384735B1 (en) Device for signaling conditions for electrical machines
RU2551461C2 (ru) Спиралеобра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нижения натяжения кабеля
RU2756303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кабельный проход
US9735558B1 (en) Electrical cut-in floor box assembly
KR101514371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200493089Y1 (ko)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
KR101702370B1 (ko) 케이블 연결 장치
CN105391229A (zh) 用于接线盒和电机的紧固系统
JP4414776B2 (ja) ボタン式固定デバイス
JP2017220379A (ja) コネクタ
US4426677A (en) Combined shade and socket holder
EP3139458B1 (en) Tubular part, embeddable electrical box, and kits formed by both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KR200477258Y1 (ko) 멀티탭
KR100557750B1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KR101677724B1 (ko) 차량용 도어 커넥터 체결장치
KR200163778Y1 (ko) 원터치방식의전선보호관용커넥터
KR20160149131A (ko) 표시등
KR20170002134U (ko) 접지볼트용 접지러그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