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51B1 -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51B1
KR101702351B1 KR1020160023360A KR20160023360A KR101702351B1 KR 101702351 B1 KR101702351 B1 KR 101702351B1 KR 1020160023360 A KR1020160023360 A KR 1020160023360A KR 20160023360 A KR20160023360 A KR 20160023360A KR 101702351 B1 KR101702351 B1 KR 10170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gelato
dispenser
shaf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순우
Original Assignee
㈜ 케이엘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케이엘통상 filed Critical ㈜ 케이엘통상
Priority to KR102016002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51B1/ko
Priority to CN201710107356.9A priority patent/CN10712542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1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at the discharge end of freezing chambers
    • A23G9/28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at the discharge end of freezing chambers for dispensing multi-flavour ice-crea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for dispensing bulk ice-cr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for finishing or filling ice-cream cones or other edible containers; Manipulating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30Cleaning; Keeping clean; Sterilis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는, 받침판의 후단부분에서 수직으로 위치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부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下端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캡슐을 안치시킬 캡슐홀더가 삽입될 구멍이 형성된 트레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트레이에 안치된 캡슐의 상부를 눌러서 캡슐에 저장된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작동 및 정지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Dispenser for extruding gelato filled in capsule}
본 발명은 젤라또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플런저(plunger)로 밀어서 압출방식으로 배출하여 컵에 받아서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정량(定量)을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디스펜서가 콤팩트하여 유지 관리도 매우 편리한,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젤라또('젤라또'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는 반고체의 얼린 상태로 차갑게 먹는데, 공장에서 완전히 얼려서 소단위로 포장한 상태로 보급되어 낱개로 판매되는 것과, 대형 용기에 젤라또를 담아서 냉동장치를 갖춘 보관함에 넣어둔 상태에서 판매시 일정량을 스푼이나 주걱 등으로 퍼서 컵이나 콘에 담아 판매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포장되어 낱개 단위로 판매되는 젤라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판매시 스푼이나 주걱으로 퍼서 판매하는 젤라또는 판매할 때마다 젤라또가 들어 있는 대형 용기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청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푼이나 주걱으로 퍼서 판매할 경우 젤라또의 양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2012-71169호 "아이스크림 분배기"와 같이 캡슐형으로 포장된 아이스크림을 소포장한 상태에서, 판매할 때마다 아이스크림 분배기에 개별 포장된 캡슐형 아이스크림을 투입하고 전동 또는 공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캡슐형 아이스크림을 압출방식으로 짜내면서, 하부에서는 승강되도록 장착된 받침대에 거치시킨 콘이나 컵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압출되어 나오는 아이스크림을 받도록 구성된 기술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아이스크림(젤라또) 분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컵이나 콘을 거치시키는 받침대가 자동으로 승강되고, 아이스크림이 압출되는 순간부터 아이스크림을 받는 콘이나 컵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분배기가 승강수단과 회전수단 및 실린더를 작동시킬 구동수단을 모두 갖춰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 자체가 크고 매우 복잡하여 고장발생율이 높고, 장비의 가격도 고가(高價)라는 문제가 있다.
둘째, 거치대에 얹혀진 캡슐 용기의 상부를 압출바로 눌러주면, 아이스크림이 대부분 캡슐 하부로 압출되어 나가지만, 일부는 캡슐 상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압출바에 묻기 때문에 압출바를 자주 닦아서 청소해 주어야 하는데, 압출바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려면 실린더와 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들어있는 케이스 전체를 분해해야만 하므로 압출바를 청소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캡슐 용기에 들어 있는 아이스크림을 다 밀어내고 받침대에 거치된 콘이나 컵을 빼내고 난 다음, 거치대에 얹혀진 캡슐 용기에 묻어 있는 액체 상태의 아이스크림이 방울져서 낙하하게 되면, 아이스크림 방울이 받침대에 형성된 콘 결합구멍을 지나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위에 떨어지게 되어 분배기 자체가 불결해질 뿐만 아니라 위생상태가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아이스크림의 성분에 따라 압출바를 눌러주는 힘과 속도가 달라야 하는데, 아이스크림의 성분에 상관없이 동일한 힘과 속도로 압출바를 눌러주기 때문에 컵이나 콘에 담긴 아이스크림의 모양이 달라지고 모터에 무리가 가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15-105062호 "일회용 용기에 담긴 아이스크림을 압출시키는 아이스크림 디스펜서", 특허출원 제2015-124274호 "가요성 용기에 담긴 아이스크림을 압출방식으로 배출하는 아이스크림 분배기"를 개발하여 출원했으며, 실제 제작하여 판매 및 사용하면서 연구 개발을 계속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개선하여 본 발명과 같은 디스펜서의 개발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로 밀어서 압출방식으로 배출하여 컵이나 콘에 받아서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가 작동시키더라도 항상 정량(定量)을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디스펜서의 구성도 콤팩트할 뿐만 아니라 플런저를 청소하기도 수월하여 유지 관리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며, 젤라또의 성분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정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는, 받침판의 후단부분에서 수직으로 위치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부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下端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캡슐을 안치시킬 캡슐홀더가 삽입될 구멍이 형성된 트레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트레이에 안치된 캡슐의 상부를 눌러서 캡슐에 저장된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작동 및 정지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에는, 샤프트를 중심에 두고 주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은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데, 제2고정브라켓의 양단(兩端)은 상기 케이스 배출부의 양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샤프트 하단에 결합된 플런저는 제2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의 상하방향 작동의 최고와 최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가 케이스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보호관의 측면에는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움직이는 가이드보조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보조부재는, 하단(下端)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에 연결되고, 상단(上端)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은 샤프트의 상하운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센서와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측벽에는, 트레이가 착탈될 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더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단부(端部) 부분에는 트레이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캡슐에 저장된 젤라또의 성분에 따라 모터에 인가하는 전류값을 달리하여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를 청소하기 위해 구동부를 구동시킬 때는, 트레이를 케이스에서 분리한 다음, 작동버튼을 일정시간 동안 계속 눌러주면 플런저가 케이스의 배출부 외부로 돌출되어 정지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젤라또 디스펜서는, 젤라또를 담는 용기는 한번 사용하고 폐기시키는 일회용 캡슐을 사용하고,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로 한번에 밀어서 압출방식으로 모두 배출하여 컵이나 콘에 받아서 먹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가 판매를 하더라도 항상 정량(定量)을 위생적으로 판매할 수 있고, 디스펜서의 구성 자체가 콤팩트하여 어느 장소에라도 디스펜서를 간편하게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청소모드로 작동시켜 플런저를 분리하여 매우 수월하게 청소할 수 있어서, 디스펜서의 유지 관리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이다.
또한, 구동부를 상부에 배치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시킬 때, 구동부에서 보면 플런저를 밀어서 배출시키게 되므로 플런저를 당겨서 배출시킬 때보다 미는 힘의 세기를 콘트롤 하기가 용이하다. 또, 젤라또의 성분(녹차, 초코렛, 과일, 요거트 등)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달리하여 구동시키기 때문에 플런저를 미는 힘과 속도의 세기가 다르도록 제어되게 되어 젤라또의 성분에 관계없이 컵이나 콘에 담긴 젤라또의 모양이 동일하고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소음 발생도 거의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디스펜서의 케이스 일부를 분해하여 내부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펜서의 플런저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펜서의 플런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캡슐에 든 젤라또를 압출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캡슐에 든 젤라또를 압출시키고 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젤라또 디스펜서는, 일회용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켜 누가 작동시키더라도 항상 정량(定量)을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디스펜서의 구성을 콤팩트하게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고 청소모드로 작동시켜 플런저를 쉽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어서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이게 했다는 점과, 젤라또의 성분에 따라 모터에 인가하는 전류값을 다르게 제어하여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가요성(可撓性) 일회용 캡슐 내에 담겨 있는 젤라또를 컵이나 콘에 담아서 먹을 수 있도록 캡슐(40)에 담겨 있는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20) 및 제어부(50)와, 캡슐(40)을 안치시켜 케이스(10)와 결합되는 트레이(30) 및 캡슐홀더(35)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케이스(10)는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이루는 구성으로, 받침판(11)과 바디부(12) 및 배출부(13) 부분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구동부(20)가 장착되며, 배출부(13)의 하단부에는 트레이(33)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작동버튼(15) 및 정지버튼(16)이 설치되어 있다. 바디부(12)는 받침판(11)의 후단부분에서 수직으로 위치한 부분을 말하고, 바디부(12)의 상부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배출부(13)라고 지칭한다(도 1 참조).
트레이(tray)(30)는 배출부(13)의 하단부(下端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캡슐(40)을 안치시킬 캡슐홀더(35)가 삽입될 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캡슐홀더(35)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데, 캡슐(40)이 안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캡슐(40)과 같은 형상이고 상방이 개방된 것으로, 하부 중앙에는 젤라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도 2 참조), 캡슐(40)에서 압출된 젤라또가 배출구멍을 통해서 그 하부에 가져다 댄 컵이나 콘에 담겨지게 된다.
케이스(10)의 내측 양 측벽에는 트레이(30)가 착탈될 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1)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31)의 단부(端部) 부분에는 트레이(30)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 트레이(3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작동버튼(15)을 누르더라도 모터(21)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단지 플런저(23)를 청소하기 위해 구동부(20)를 구동시킬 때는, 트레이(3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한 다음, 작동버튼(15)을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계속 눌러주면 플런저(23)가 케이스의 배출부(13) 외부로 최대로 돌출될 때까지 작동했다가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23)를 청소한 다음, 작동버튼(15)을 다시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계속 눌러주면 모터(21)가 구동하여 플런저(23)가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제어된다.
구동부(2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와, 모터(2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221)와, 샤프트(221)의 하단에 결합되어 트레이(30)에 안치된 캡슐(40)의 상부에 있는 뚜껑(42)을 눌러서 캡슐(40)에 저장된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23)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모터(21)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제1고정브라켓(211)은 모터(21) 상부에서 모터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제2고정브라켓(212)은 모터(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부(22)의 하단에서 가이드부(22)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고정브라켓(211, 212)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서 구동부(20)가 케이스(10)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모터(21)가 작동하더라도 구동부(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부(22)는, 샤프트(221)를 중심에 두고 주위에 관 형상의 지지브라켓(222)이 고정 설치되어 구성되며, 지지브라켓(222)의 하단은 제2고정브라켓(212)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21)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해준다.
제2고정브라켓(212)의 양단(兩端)은 케이스의 배출부(13)의 내측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며, 샤프트(221)는 제2고정브라켓(212)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샤프트(221)의 하단에 나사결합된 플런저(23)는 제2고정브라켓(2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플런저(23)의 상하방향 작동의 최고와 최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케이스(10)의 내측 측벽에는 제1 및 제2센서(232, 23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지지브라켓(222)의 측면에는 제2고정브라켓(212)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보조부재(231)가 설치된다. 또, 가이드보조부재(231)는, 하단(下端)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샤프트(221)의 하단부분에 연결되고, 상단(上端)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단부(端部)는 샤프트(221)의 상하운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센서(232, 233)와 접촉되게 된다.
가이드보조부재(231)는 일단(一端)이 샤프트(22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21)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보조부재(231)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가이드보조부재(231)의 상단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단부(端部)가 제1센서(232)에 접촉되는 순간 최고점에 도달한 것으로 인지되어 모터(21)가 작동을 멈추게 되고, 또, 플런저(23)가 하강할 때는 가이드보조부재(231)의 상단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단부(端部)가 제2센서(233)에 접촉되는 순간 최하점에 도달한 것으로 인지되어 모터(21)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제어부(50)는 구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분인데, 케이스(10)에 설치된 작동버튼(15) 및 정지버튼(16)과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며 각종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10)에 트레이(30)와 캡슐홀더(35)를 및 캡슐(40)을 장착한 다음, 작동버튼(15)을 누르면 구동모터(21)가 작동하고 플런저(23)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캡슐 뚜껑(42)을 눌러주고, 플런저(23)의 누르는 힘에 의해 캡슐 뚜껑(42)이 본체(41)의 바닥면에 닿는 순간 가이드보조부재(231)의 절곡된 단부(端部)도 제2센서(233)에 접촉되면서 모터의 작동이 멈추었다가, 모터(21)가 역회전하면서 플런저(23)는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제어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캡슐(40)에 저장된 젤라또의 성분(녹차, 초코렛, 과일, 요거트 등)에 따라 모터(21)에 인가하는 전류값을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젤라또의 성분에 따라 모터(2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달리하여 구동시키기 때문에 플런저(23)를 미는 힘과 속도의 세기가 다르도록 제어되게 되어 젤라또의 성분에 관계없이 컵이나 콘에 담긴 젤라또의 모양이 동일하고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모터에 무리가 갈 때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음 발생도 없어진다.
샤프트(221)를 포함한 구동부(20)는 수직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10°정도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의 배출부(13) 단부(端部)는, 샤프트(221)가 경사진 만큼 수평에 대하여 경사져서 하단부(下端部)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13)의 선단부가 약간 들려 있어서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사람이 젤라또가 제대로 배출되고 있는지 확인하기도 수월하고 플런저(23)를 분리하거나 청소할 때도 훨씬 수월하다.
이하에서는 도 6과 7을 참조하여 캡슐(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슐(40)은, 본체(41)와 뚜껑(42)이 결합되고, 뚜껑의 바닥면에 젤라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멍(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슐을 사용하기 전에는 배출구멍(412)을 스티커(43)로 폐쇄시킨 상태이며, 캡슐(40)을 트레이(30)에 삽입된 캡슐홀더(35)에 안착시키기 전에 스티커(43)를 손으로 떼어낸다.
본체(41)는 사발과 같이 단면(斷面)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원뿔대 형상이고,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 중간 높이에 둘레를 따라 단(段)(411)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젤라또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멍(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합성수지 종류를 사용하는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42)은 본체(41)의 상단과 결합되어 본체(41)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구성인데, 그 형상은 본체(41)와 결합시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의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본체의 단(段)(411)이 형성된 부분까지는 하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단(411)에 얹혀지게 되는 내단면(421) 내부에서는 상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다가 본체(41)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뚜껑(42)의 재질은 합성수지 종류를 사용하는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41)에 젤라또가 담겨져 캡슐(40)이 캡슐홀더(35)에 얹혀진 상태에서 뚜껑(42) 상면을 플런저(23)로 밀어서 본체(41) 내부에 담겨 있는 젤라또를 압출시킨 후에는, 뚜껑(42)의 내단면(421) 내측 부분이 뒤집어지면서 형상이 바뀌게 되어 뚜껑(42)은 본체(4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도 7 참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받침판
12 : 바디부 13 : 배출부
15 : 작동버튼 16 : 정지버튼
20 : 구동부 21 : 모터
211 : 제1고정브라켓 212 : 제2고정브라켓
22 : 가이드부 221 : 샤프트
222 : 지지브라켓
23 : 플런저 231 : 가이드보조부재
232 : 제1센서 233 : 제2센서
30 : 트레이 31 : 가이드레일
32 : 제3센서 35 : 캡슐홀더
40 : 캡슐 41 : 본체
411 : 단(段) 412 : 배출구멍
42 : 뚜껑 421 : 내단면
43 : 스티커
50 : 제어부

Claims (8)

  1. 일회용 캡슐에 담겨 있는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받침판의 후단부분에서 수직으로 위치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부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下端部)에서 케이스 전방으로 인출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캡슐을 안치시킬 캡슐홀더가 삽입될 구멍이 형성된 트레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트레이에 안치된 캡슐의 상부를 눌러서 캡슐에 저장된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작동 및 정지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샤프트를 중심에 두고 그 주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은 케이스의 배출부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면에는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움직이면서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보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샤프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된 플런저는 제2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플런저를 청소하기 위해 구동부를 구동시킬 때는, 상기 트레이를 케이스에서 분리한 다음, 작동버튼을 일정시간 동안 계속 누르면 플런저가 케이스의 배출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하방향 작동의 최고와 최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가 케이스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보조부재는, 하단(下端)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에 연결되고, 상단(上端)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단부(端部)가 샤프트의 상하운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센서와 접촉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캡슐에 저장된 젤라또의 성분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달리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단면(斷面)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원뿔대 형상이고,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 중간 높이에 둘레를 따라 단(段)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젤라또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과 결합되어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며, 본체와 결합시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단(段)이 형성된 부분까지 하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서는 상향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다가 본체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뚜껑;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KR1020160023360A 2016-02-26 2016-02-26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KR10170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60A KR101702351B1 (ko) 2016-02-26 2016-02-26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CN201710107356.9A CN107125424A (zh) 2016-02-26 2017-02-27 用于挤压出封装的冰淇淋的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60A KR101702351B1 (ko) 2016-02-26 2016-02-26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351B1 true KR101702351B1 (ko) 2017-02-15

Family

ID=5811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360A KR101702351B1 (ko) 2016-02-26 2016-02-26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2351B1 (ko)
CN (1) CN1071254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686A (en) * 2017-10-20 2019-04-24 Vi Healthy Living Ltd Dispensing apparatus
GB2567687A (en) * 2017-10-20 2019-04-24 Vi Healthy Living Ltd Dispen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14807A1 (en) * 2018-05-18 2019-11-21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Ice cream dispensing machine and cartridge
CN111476947A (zh) * 2020-04-21 2020-07-31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冰淇淋无人售卖机
CN113892551B (zh) * 2021-10-21 2023-12-05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一种冰淇淋机用定量出料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91B1 (ko) * 2006-04-25 2007-01-24 (주)동서엠.티 아이스크림 압출 장치
JP3929268B2 (ja) * 2001-09-03 2007-06-13 サンデン株式会社 半固形食品押出装置
JP4313575B2 (ja) * 2001-04-23 2009-08-12 マギル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分配手段
KR200446989Y1 (ko) * 2009-06-26 2009-12-17 최효심 아이스크림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575B2 (ja) * 2001-04-23 2009-08-12 マギル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分配手段
JP3929268B2 (ja) * 2001-09-03 2007-06-13 サンデン株式会社 半固形食品押出装置
KR100673591B1 (ko) * 2006-04-25 2007-01-24 (주)동서엠.티 아이스크림 압출 장치
KR200446989Y1 (ko) * 2009-06-26 2009-12-17 최효심 아이스크림 압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686A (en) * 2017-10-20 2019-04-24 Vi Healthy Living Ltd Dispensing apparatus
GB2567687A (en) * 2017-10-20 2019-04-24 Vi Healthy Living Ltd Dispensing apparatus
US11622568B2 (en) 2017-10-20 2023-04-11 Vi Healthy Living Ltd. Disp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25424A (zh)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351B1 (ko) 캡슐에 담긴 젤라또를 압출방식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
DK172469B1 (da) Apparat for dispensering af et frossent produkt
KR101615541B1 (ko) 일회용 용기에 담긴 아이스크림을 압출시키는 아이스크림 디스펜서
US7278555B2 (en) Dispensing apparatus
EP1907300B1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storing food
EP0995685A1 (en) Frozen Dessert Dispensing System
CA2382624A1 (en) Dispensing machine and pack
US9393533B2 (en) Blender
US20100196556A1 (en) Container system
KR101598460B1 (ko) 가요성 용기에 담긴 아이스크림을 압출방식으로 배출하는 아이스크림 분배기
EP0700332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food product such as hard ice cream
JP2004523440A (ja) 分配手段
KR20190091078A (ko) 아이스크림 압출 장치
EP1123010B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frozen dessert from pre-filled containers, and a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dispenser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KR20220052496A (ko) 캡슐 아이스크림 정량(定量) 추출기
EP1763478A2 (en) A food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2644614A (en) Popcorn dispenser
KR20220036658A (ko) 캡슐 아이스크림 정량(定量) 추출기
KR100603831B1 (ko) 전동식 아이스크림 디셔
US11849739B1 (en) Collapsible, deformable container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230104361A1 (en) Refrigerator ice-cream dispenser and matching capsules
GB2344139A (en) A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foldaway dispenser and pre-filled containers
JP2007282611A (ja) 冷菓製造装置及び冷菓製造装置用添加装置
KR20170107965A (ko) 개별 냉동 드링크 디스펜서
KR200372056Y1 (ko) 전동식 아이스크림 디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