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26B1 -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26B1
KR101702326B1 KR1020150155432A KR20150155432A KR101702326B1 KR 101702326 B1 KR101702326 B1 KR 101702326B1 KR 1020150155432 A KR1020150155432 A KR 1020150155432A KR 20150155432 A KR20150155432 A KR 20150155432A KR 101702326 B1 KR101702326 B1 KR 10170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astle
hydraulic
cast
ston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275A (ko
Inventor
김건기
강갑석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돌
강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돌, 강갑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돌
Priority to KR102015015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by pressing, e.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성곽석을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Natural stone brick and method of making and building it}
본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성곽석을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城)은 외적의 침입이나 자연적인 재해로부터 성안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인위적인 시설물을 말하며, 이러한 성은 나무로 만든 목책이 있고, 돌로 만든 석축이 있으며, 벽돌로 쌓은 전축이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성곽은 네모꼴로 쌓은 성(城)과 성의 바깥에 다시 네모꼴로 쌓은 곽(郭)으로 구성되는 이중의 벽을 말하며, 안쪽의 것을 성이라 하고 바깥쪽의 것을 곽이라 하며 이를 통칭하여 성곽(城郭)이라 한다.
이러한 성곽을 쌓을 때 사용되는 돌을 성곽석 또는 성각석이라고 하며, 근래에는 도시의 미관을 높이고 건물의 고풍스러움을 위해 성곽석을 이용한 석축쌓기가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축쌓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성곽석은 석산에서 파단된 상태 그대로의 조경석을 굴려 모서리를 둥글게 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산에서 채취한 원석을 절삭톱을 이용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석재를 다시 절삭장치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파단하여 최종적으로 성곽석을 생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파단된 자연면을 파단면(FP)으로 표시하고 점을 이용해 해칭을 함으로써 절삭톱에 의해 절삭된 절삭면(CP)과 다르게 표시하였다.
먼저, 전자의 경우 석산에서 파단된 조경석의 크기가 너무나 제각각이어서 일정한 높이로 석축을 쌓기가 힘이 들고, 조경석 사이에 많은 틈이 생겨 이를 메우기 위한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들며, 그 강도를 부분 부분마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다음, 후자의 경우 채취한 원석을 일정한 크기로 절삭하기 위해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공장까지의 이송과정이 필연적으로 필요하고, 일정한 크기로 절삭하기 위한 절삭톱을 이용한 2번의 절삭작업 즉, 성곽석의 높이에 맞추기 위한 절삭작업과 폭에 맞추기 위한 절삭작업이 각각 필요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절삭면(CF, cutting face)이 아닌 자연스러운 면 즉, 파단면(FP, fracture plane)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절삭작업과는 별도로 따로 파단작업을 해야하는 등 그 생산방법이 매우 까다롭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자연스럽게 파단된 파단면(FP)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재되므로 성곽석이 적재되는 면은 절삭면(CF)이 되고, 이로써 절삭면끼리 맞닿은 상태로 적재되므로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미끄러짐이 많이 발생하며, 이로써 적재되는 성곽석 사이에 별도의 접착부재 즉, 시멘트나 석재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석재를 파단하는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11-226941호에 제안되어 있는 시멘트 블록의 파단 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연직의 사이드가드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프레스가드와 전기 사이드가드로부터 완충기를 개입시켜 매달려 시멘트 블록이 반입되는 테이블과 전기 프레스가드로부터 램 실린더와 그 램 실린더보다 소용량의 사이드 램 실린더를 개입시켜 전기 테이블의 윗쪽에 매달린 상칼날 홀더와 그 상칼날 홀더로부터 하향에 수평의 직선 모양에 늘어놓을 수 있는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한 다수 상칼날과 그 상칼날 마다 설치되고 그 상칼날을 개별적으로 하강시키는 상칼날 실린더와 전기 상칼날 홀더와 대치해 전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된 하칼날 홀더와 그 하칼날 홀더로부터 상향으로 수평의 직선 모양에 늘어놓을 수 있는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한 다수 하칼날과 그 하칼날 마다 설치되고 그 하칼날을 개별적으로 상승시키는 하칼날 실린더와 전기 테이블 표면의 측방에 연직의 직선 모양에 늘어놓은 개별적으로 전기 테이블의 표면에 진퇴 가능한 복수의 측칼날과 그 측칼날 마다 설치되고 그 측칼날을 개별적으로 전기 테이블 표면으로 향해 진출시키는 측칼날 실린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블록의 파단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일정한 형상을 갖는 시멘트 블록의 파단은 파단이 가능하나 제품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단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품을 파단한 뒤 재 파단할 때 별도의 이송장치가 없어 파단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며, 그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자연석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성곽석을 시공하되, 파단면끼리 접촉된 상태로 적재하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치 않아 시공공정이 간편하며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석축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은 석산에서 원석을 채취하는 원석 채취단계와; 채취된 원석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파단하는 파단단계와; 파단된 반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길이에 맞추어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은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며, 그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비용 및 운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방법의 경우 파단면끼리 접촉된 상태로 적재하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치 않아 시공공정이 간편하며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석축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성곽석 제조공정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성곽석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스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스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성곽석 시공방법의 시공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성곽석 시공방법의 타실시 예시도
본 발명은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성곽석을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성곽석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스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스의 사용상태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은 석산에서 원석을 채취하는 원석 채취단계와; 채취된 원석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파단하는 파단단계와; 파단된 반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길이에 맞추어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원석 채취단계는 석산(석광)에서 원석을 채취하는 단계이며, 주로 발파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원석의 크기에 맞추어 가상의 직육면체 형상의 모서리인 폭(w), 높이(h), 길이(l)에 맞게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들에 다이너마이트를 집어넣은 후 다이너마이트를 폭발시켜 원석을 채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취된 원석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외부면이 모두 파단면(FP, fracture plane) 즉, 자연면이 되는데, 파단면(FP)의 경우 점을 이용해 해칭을 함으로써 절삭면과 구분을 할 수 있도록 표시하였다.
상기 파단단계는 채취된 원석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폭(w)과 높이(h)에 맞추어 파단하는 단계로써, 망치와 징과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행하거나 다시 한번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다이너마이트를 넣고 폭발시켜 파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원석 채취단계에서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원석을 채취할 수도 있고, 성형단계에서 다시 한번 폭과 높이에 맞추어 파단하거나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파단단계에서 만들어진 반제품은 성형단계에서 성곽석의 길이에 맞추어 파단하거나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망치와 징 등의 수공구를 이용해 파단하거나 절단하여 일정한 크기의 성곽석을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성곽석은 그 크기에 있어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으나, 석축을 쌓기 위해 시공할 때 그 틈을 작은 돌이나 시멘트 등으로 메지를 메워주게 되면 성곽석이 적재된 면이 자연면 즉, 절삭면이 아닌 파단면(FP)이므로 서로 간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석축의 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성곽석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서 노출되지 않는 면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만들 수 있다.
즉, 성형단계에서 성형할 때 직육면체가 아닌 양쪽이 경사지게 파단하여 넓은 면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시공하고 그 사이를 자갈과 흙 등으로 메워줄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는 수공구 이외에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유압프레스를 이용해 성형할 수 있는데, 상기 유압프레스(10)는 지면에 고정되는 컬럼(11)과, 상기 컬럼(11)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15)와,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되는 유압하우징(12)과, 상기 유압하우징(12)에 결합되어 있는 파단커터(13)와, 상기 유압하우징(12)에 유압을 가하는 유압실린더(14)와, 컬럼(11) 내로 들어오는 석재를 정렬하는 푸셔(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석재(S)는 체인과 모터에 의해 움직이는 컨베이어를 따라 움직이고, 상기 컬럼(11)의 일측에는 이송수단(30)이 형성되어 석재에서 성곽석의 크기로 성형된 제품을 이송시키기되, 상기 이송수단(30)은 컨베이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봉(34)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석재의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새들(32)과, 상기 새들의 일측에 결합되어 석재(S)에서 성곽석의 크기로 성형된 제품(P)을 파지하는 파지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컬럼(column, 11)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이며, 상기 컬럼(11)에는 가이드(15)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유압하우징(12)이 상하로 왕복 운동된다.
상기 유압하우징(12)의 일단에는 파단커터(1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압하우징(12)은 유압실린더(14)에 인가되는 유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므로, 결국 유압실린더(14)에 인가되는 유압에 의해 유압하우징(12)과 파단커터(13)가 상하로 같이 왕복 운동된다.
상기 파단커터(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파단커터마다 하나의 오일댐퍼(17)가 설치되어 있어 석재의 형상에 따라 비교적 높은 압력이 특정한 파단커터에 작용할 경우 상기 오일댐퍼(17)로 인해 압력을 흡수하면서 파단커터(13)가 오일댐퍼(17)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컬럼(11)의 일측에는 컬럼 내로 들어오는 석재를 정렬해주기 위한 푸셔(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푸셔(16)는 유압프레스(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개의 푸셔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유압프레스의 중심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성곽석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파단된 석재는 체인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20)의 롤러(21)를 따라 이동되는데, 비교적 길이가 긴 석재의 경우 유압프레스(10)에 의한 한 번의 파단만으로는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크기에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컬럼(11)의 일측에 별도의 이송수단(30)이 형성된다.
즉, 컬럼(11)의 일측에는 베이스(3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1)에는 석재에서 일정 길이로 파단된 제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는 컨베이어(20)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30)은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봉(34)을 따라 새들(32)이 이동되면서 석재(S)를 이송시키는데, 상기 가이드봉(34)은 컨베이어(20)에 형성된 롤러(21)에 의해 석재(S)가 이송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전,후진 운동을 하며, 새들(32)의 일측에는 파지부(33)가 형성되어 석재(S)에서 성곽석의 크기로 성형된 제품을 파지한 뒤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파지부(33)는 상기 푸셔(16)와 같이 유압프레스의 중심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동시에 새들에 의해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에 따른 석재의 이송방향으로도 왕복 운동되어 성형된 제품을 하나씩 이송시킴으로써 성형되지 않은 석재(S)와 성형 후 제품(P)의 충돌을 없앤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파단단계에서 성곽석의 폭과 넓이에 맞추어 절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성곽석의 높이와 길이에 맞추어 파단한 뒤 성형단계에서 폭에 맞추어 파단하여도 동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노출되는 면이 절삭면 즉, 절삭톱에 의한 절삭면일 경우 절삭기를 이용해 성곽석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절단한 뒤 높이에 맞추어 파단하여 파단면을 성곽석끼리 적재되는 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성곽석 시공방법의 시공예시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의 시공방법은 일정한 넓이로 터를 파는 터파기 단계와; 터파기가 완료된 자리에 성곽석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성곽석 적재단계와; 적재된 성곽석 사이의 틈을 메우는 틈 메움단계와; 적재가 완료된 성곽석의 배면에 자갈과 흙을 이용해 채우는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재단계는 하단 성곽석의 바깥쪽 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띄운 뒤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터파기 단계는 쌓고자 하는 석축의 폭과 길이에 맞도록 땅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맞추어 고르는 단계이며, 최하단에 설치되는 성곽석은 일부가 지면 아래로 잠기도록 한다.
다음, 터파기가 완료된 자리에 성곽석을 적재하는 성곽석 적재단계가 진행되는데, 만들고자 하는 석축의 높이에 맞도록 다단으로 적재하며, 적재된 성곽석 사이의 틈을 메우는 틈 메움단계가 진행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성곽석의 경우 자연석을 파단하여 만듦으로써 육면체의 6면 모두가 어느 정도의 굴곡이 져 있고 이로써 상,하부에 적재된 성곽석 사이에 틈이 생기고, 좌,우에 적재된 성곽석 사이에도 틈이 생긴다. 이러한 틈에 작은 돌이나 자갈 또는 시멘트 등을 이용해 틈을 메우게 되며, 이후 적재가 완료된 성곽석의 배면 즉, 성곽석이 노출되지 않는 면 쪽으로 자갈과 흙을 채우는 채움단계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단계는 성곽석의 노출면이 석축의 측면에서 봤을 때 일정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이 아닌 도 6과 같이 최하단에 적재된 성곽석이 가장 바깥쪽으로 노출되고 이후 위로 적재되는 성곽석은 순차적으로 일정길이(d)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적재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적재되는 성곽석은 성곽석 간의 접촉면이 기계에 의해 절삭된 절삭면이 아닌 어느 정도 불규칙하게 굴곡이 져 있는 파단면이므로 그 자체로 마찰력이 매우 높아 석축의 배면에서 가하는 토압이나 수압에 대해 견디는 힘이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재단계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 층의 성곽석이 적재되고 나면 다음 층의 성곽석을 적재하기 전에 성곽석의 후면 쪽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그물망(mesh)을 놓고 그 위에 성곽석을 적재하며, 채움단계에서 상기 그물망에 자갈이나 흙을 채워넣음으로써 토압에 의해 성곽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성곽석 사이의 접촉되는 면이 파단면이어서 충분한 마찰이 일어날 수 있으나,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 그물망을 넣고 상기 그물망의 일정부분을 성곽석의 후면 쪽으로 노출시켜 노출된 부분에 자갈이나 흙을 채워넣음으로써 보다 견고한 석축을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M)은 성곽석의 하중으로 인해 상,하로 적재된 성곽석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고 이로써 상부에 적재된 성곽석의 경우 성곽석의 노출면 쪽으로의 이동하려면 그물망의 코에 걸려 이동이 더욱 어렵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은 석산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로 파단하고 성형하여 성곽석을 만들며, 그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비용 및 운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방법의 경우 파단면끼리 접촉된 상태로 적재하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치 않아 시공공정이 간편하며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석축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유압프레스
11. 컬럼 12. 유압하우징 13. 파단커터
14. 유압실린더 15. 가이드 16. 푸셔
17. 오일댐퍼
20; 컨베이어
21. 롤러
30; 이송수단
31. 베이스 32. 새들 33. 파지부
34. 가이드봉 35. 유압실린더
S. 석재 P. 제품 M. 그물망

Claims (1)

  1.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곽석의 시공방법은 일정한 넓이로 터를 파는 터파기 단계와; 터파기가 완료된 자리에 성곽석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성곽석 적재단계와; 적재된 성곽석 사이의 틈을 메우는 틈 메움단계와; 적재가 완료된 성곽석의 배면에 자갈과 흙을 이용해 채우는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재단계는 하단 성곽석의 바깥쪽 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띄운 뒤 순차적으로 적재하되, 한 층의 성곽석이 적재되고 나면 다음 층의 성곽석을 적재하기 전에 성곽석의 후면 쪽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그물망(M)을 놓고 그 위에 성곽석을 적재하며, 채움단계에서 상기 그물망에 자갈이나 흙을 채워넣음으로써 토압에 의해 성곽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성곽석은 석산에서 원석을 채취하는 원석 채취단계와; 채취된 원석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파단하는 파단단계와; 파단된 반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성곽석의 길이에 맞추어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유압프레스(10)를 이용하되,
    상기 유압프레스(10)는 지면에 고정되는 컬럼(11)과, 상기 컬럼(11)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15)와,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되는 유압하우징(12)과, 상기 유압하우징(12)에 결합되어 있는 파단커터(13)와, 상기 유압하우징(12)에 유압을 가하는 유압실린더(14)와, 컬럼(11) 내로 들어오는 석재를 정렬하는 푸셔(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석재(S)는 체인과 모터에 의해 움직이는 컨베이어(20)의 롤러(21)를 따라 움직이고, 상기 컬럼(11)의 일측에는 이송수단(30)이 형성되어 석재에서 파단된 제품을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수단(30)은 컨베이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봉(34)과 상기 가이드봉(34)을 따라 석재의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새들(32)과, 상기 새들(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석재(S)에서 파단된 제품(P)을 파지하는 파지부(33)와, 상기 파지부(33)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유압실린더(3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33)는 유압프레스의 중심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동시에 새들(32)에 의해 컨베이어 롤러(21)의 회전에 따른 석재의 이송방향으로도 왕복 운동되어 파단된 제품을 하나씩 이송시킴으로써 파단되지 않은 석재(S)와 파단 후 제품(P)의 충돌을 방지한 것이 특징인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의 시공방법.
KR1020150155432A 2015-11-06 2015-11-06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Active KR10170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432A KR101702326B1 (ko) 2015-11-06 2015-11-06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432A KR101702326B1 (ko) 2015-11-06 2015-11-06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20 Division 2015-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275A KR20160150275A (ko) 2016-12-29
KR101702326B1 true KR101702326B1 (ko) 2017-02-06

Family

ID=5773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432A Active KR101702326B1 (ko) 2015-11-06 2015-11-06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96Y1 (ko) * 2005-08-29 2005-12-02 예종정 식재용 옹벽 블록
KR100845975B1 (ko) * 2008-01-28 2008-07-16 동호마블(주) 굴림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림석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48B1 (ko) * 2002-09-02 2005-10-20 허수영 개비온을 이용한 축벽의 시공방법
KR100649120B1 (ko) * 2003-11-29 2006-11-24 홍건영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96Y1 (ko) * 2005-08-29 2005-12-02 예종정 식재용 옹벽 블록
KR100845975B1 (ko) * 2008-01-28 2008-07-16 동호마블(주) 굴림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림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275A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1314A (zh) 一种深部嗣后回采矿房—分层回采矿柱的联合采矿法
CN111042817B (zh) 一种间隔胶结支柱削壁充填采矿法
KR100710410B1 (ko) 터널고속굴착공법
CN102589372A (zh) 采空区的硐室与深孔爆破法
HU183660B (en) Mining method particularly for breaking exploitation of large-extension mineral occurrences
RU2563857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наклонных рудных залежей в диапазоне углов залегания 15-35 градусов и мощности рудных тел 15-30 метров с обрушением руды и вмещающих пород
KR10170232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성곽석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N105240017B (zh) 一种双层极薄玉石矿块状切割顶推出矿采矿方法
KR101566168B1 (ko) 석재 파단용 유압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성곽석 제조방법
NO762410L (ko)
CN109208938B (zh) 钢筋混凝土板定向无损静力切割拆除处理方法
CN106759464A (zh) 一种地下建筑及其施工法
RU1153628C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блочного камня
CN103375169A (zh) 使金刚石绳锯用于大截面地下岩石工程的方法
RU2323337C2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ощных рудных тел
RU2659292C1 (ru) Способ эффек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руднообрушаемой кровлей в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х забоях
CN110761832A (zh) 一种采空区经纬状充填方法
KR101633281B1 (ko) 암반을 이용한 납골당용 공동의 시공방법
KR101195920B1 (ko) 석재 절단 채석방법
Mamray et al. Experience of dimension stone extraction by quarry cutting machine in pokostovsky deposit (Ukraine)
CN112012743B (zh) 一种胶结充填采矿方法
JP2018168546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表面を所定の深さではつる方法
RU2101498C1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й добычи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RU2571118C1 (ru) Способ ударного распилива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92906C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1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61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86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