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59B1 -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59B1
KR101701959B1 KR1020140162974A KR20140162974A KR101701959B1 KR 101701959 B1 KR101701959 B1 KR 101701959B1 KR 1020140162974 A KR1020140162974 A KR 1020140162974A KR 20140162974 A KR20140162974 A KR 20140162974A KR 101701959 B1 KR101701959 B1 KR 10170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version module
power conversion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514A (ko
Inventor
안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전력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전력공급장치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전력변환모듈,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전력변환모듈, 제1전력변환모듈과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직류연결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과,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의 직류연결단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 및 스위치부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에 각각 포함된 제1전력변환모듈에 입력되는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스위치부를 닫아 직류연결단을 서로 병렬로 공유하고, 전압값이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 스위치부를 개방하여 직류연결단을 서로 분리한다.

Description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측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구동장치 등에 원활하게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너지는 사용시에 별도의 오염물질 등이 발생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근래 제반 기술의 발달로 전기에너지의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있으며 종래의 내연기관 등도 모터 등 전기력을 이용한 기관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연구분야에서는 전기모터를 엔진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완전히 대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해양 운송분야에서도 선박의 추진력을 대출력의 전동기로부터 얻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전기추진선박(Electric propulsion ship)은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동력의 주된 부분을 추진모터로부터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진모터는 구동계나 스러스터(Thruster) 등 변동하는 부하에 연결되며 배터리나 발전기 등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전력변환장치를 거쳐 공급받도록 되어있다. 특히, 선박에는 메인 스러스터 외에도 자세유지를 위해 다양한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여러 개의 스러스터들이 설치될 수 있어 이러한 스러스터들을 보다 원활히 구동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발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기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모터는 구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발전기가 정지하거나 정지하지 않더라도 문제가 생겨 전력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우,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스러스터를 추진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선체의 자세를 원활하게 유지하거나 운항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44609호, (2005.05.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측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구동장치 등에 원활하게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장치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전력변환모듈,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전력변환모듈,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과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직류연결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의 상기 직류연결단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에 입력되는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닫아 상기 직류연결단을 서로 병렬로 공유하고, 상기 전압값이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개방하여 상기 직류연결단을 서로 분리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직류연결단의 사이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를 닫아 상기 직류연결단 간의 전압을 일치시킨 후, 상기 제1스위치를 닫고 상기 제2스위치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직류연결단의 사이를 개폐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하여 상기 직류연결단 간의 전압이 일치하기 이전에,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측에 문제가 생겨 전력공급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수준의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계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항 중 선박의 발전기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더라도 운항에 차질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에 대한 복구작업이나 처리작업 또한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공급장치의 드라이브모듈 및 스위치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스위치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전력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전력공급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력공급장치의 드라이브모듈 및 스위치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력공급장치(1)는 복수 개의 전원부(G1, T1, G2, T2, G3, T3) 및 복수 개의 구동부(M1, M2, M3)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전원부(G1, T1, G2, T2, G3, T3) 중 어느 하나의 쌍, 예를 들어, (G1, T1)이 하나의 전원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공급장치(1)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이 스위치부(200a, 200b)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제1전력변환모듈(110), 제2전력변환모듈(120), 제1전력변환모듈(110)과 제2전력변환모듈(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직류연결단(130)을 포함하며, 특히, 직류연결단(130)이 서로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공유된다.
각각의 직류연결단(130)에는 전하가 충전되고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전력이 저장된다. 따라서 이를 서로 공유하면 서로 다른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 사이에서 전력을 적절히 재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원부(G1, T1, G2, T2, G3, T3)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G1, T1)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로 공유되는 직류연결단(130)으로부터 전력을 수급하여 대응하는 구동부(예를 들어 M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FRT(Fault Ride Through)와 같은 전력계통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운항에 차질을 빚지 않고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공급장치(1)는 직류연결단(130)을 상시 공유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부(200a, 200b)를 개폐하여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만 직류연결단(130)을 공유한다. 즉, 전력공급장치(1)는 평상시에는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이 독립적으로 구동부(M1, M2, M3)에 전력을 공급하여 최적의 운전 효율을 유지하고, 전원부(G1, T1, G2, T2, G3, T3) 측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직류연결단(130)을 공유함으로써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부(200a, 20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선로를 유기적으로 개폐하고, 직류연결단(130)이 공유될 때 선로에 흐를 수 있는 과전류 등을 해소하여 전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에도 서로 다른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 사이에서 보다 안전하게 전력을 재분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전력공급장치(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복수 개로 형성된다.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동부(M1, M2, M3)의 개수에 대응하여 그 개수가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체에 서로 다른 6개의 스러스터가 설치된 경우 이를 구동하는 각각의 구동부(M1, M2, M3)에 대응하여 6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이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이 보다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본 명세서 상에서는 전원부, 구동부, 드라이브모듈 각각의 일부를 예시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전원부(G1, T1, G2, T2, G3, T3)와 연결되는 제1전력변환모듈(110), 구동부(M1, M2, M3)와 연결되는 제2전력변환모듈(120), 및 제1전력변환모듈(110)과 제2전력변환모듈(120) 사이를 연결하는 직류연결단(130)을 포함한다. 제1전력변환모듈(110)은 전원부(G1, T1, G2, T2, G3, T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생산된 교류전력을 제공받고 이를 직류로 일차 변환하며, 제2전력변환모듈(120)은 변환된 직류로부터 원하는 크기 및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합성하여 구동부(M1, M2, M3)에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직류연결단(130)의 캐패시터 양단에는 제1전력변환모듈(110)을 거쳐 변환된 직류전류가 공급되어 전하가 충전되고 직류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된다.
제1전력변환모듈(110) 및 제2전력변환모듈(120)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직 변환이 가능한 양방향 컨버터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G1, T1, G2, T2, G3, T3)는 교류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G1, G2, G3)와 발전기(G1, G2, G3)로부터 생산된 전력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변압기(T1, T2, T3)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M1, M2, M3)는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로부터 출력된 교류전력을 바탕으로 구동되는 유도전동기, 또는 동기전동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전력변환과정에서 교류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 등을 조절하여 구동부(M1, M2, M3)에 제공함으로써 구동부(M1, M2, M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M1, M2, M3)는 스러스터(미도시) 등에 축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스위치부(200a, 20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의 직류연결단(130)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다. 스위치부(200a, 200b)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의 개수에 대응하여 그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200a, 200b)는 직류연결단(130)의 사이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210), 제1스위치(210)에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치(220), 및 제2스위치(220)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체(221)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00a, 200b)는 필요에 따라 제1스위치(210)가 연결되지 않은 직류연결단(130)의 사이를 개폐하는 제3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직류연결단(130)의 양극과 양극, 음극과 음극 사이를 결선하여 병렬 연결하고, 각각의 선로 일 측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10) 및 제3스위치(230)를 각각 형성하여 이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상상황이 아닌 경우 직류연결단(130)을 서로 완벽히 분리하기 위해 제1스위치(210) 및 제3스위치(230)를 모두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해당 선로에서 제3스위치(230)를 제거하여 제1스위치(210)만으로 직류연결단(130)의 사이가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위치부(200a, 200b)는 특히, 제1스위치(210)와 병렬 연결된 제2스위치(220) 및 제2스위치(220)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체(221)를 포함한다. 저항체(221)는 서로 다른 직류연결단(130)간의 전압이 일치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제한하며,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이를 소실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고 전압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200a, 200b)는 제2스위치(220)를 닫아 직류연결단(130) 사이의 전압을 일치시킨 후, 제1스위치를 닫고 제2스위치(220)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부(200a, 200b)에 연결되고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여 스위치부(200a, 200b)가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과도 연결되어 각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포함된 제1전력변환모듈(110)과 제2전력변환모듈(120)의 운전상황이나 출력 등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각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을 제어하는 상위 제어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합된 하나의 제어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각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 및 스위치부(200a, 200b)에 연결된 중간 제어기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형태의 제어부(300)를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각각 포함된 제1전력변환모듈(110)에 입력되는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스위치부(200a, 200b)를 닫아 직류연결단(130)을 서로 병렬로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압값이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 스위치부(200a, 200b)를 개방하여 직류연결단(130)을 서로 분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00)는 전원부(G1, T1, G2, T2, G3, T3)로부터 각각의 제1전력변환모듈(110)로 입력되는 전압값의 변동 상황을 파악하여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위치부(200a, 200b)를 제어할 수 있다.
전압값은 별도로 구성된 센싱회로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300)에 전송될 수도 있고,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내장된 회로로부터 직접 측정되어 제어부(3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300)는, 각 제1전력변환모듈(110)에 입력되는 전압값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값 미만이면 비상상황으로 판별하여 직류연결단(130)이 서로 병렬로 공유되도록 스위칭하며, 각 제1전력변환모듈(110)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별하여 직류연결단(130)이 서로 분리되도록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스위치부(200a, 200b)가 동작하여 직류연결단(130) 간의 전압이 일치하기 이전에, 구동부(M1, M2, M3)에 연결된 제2전력변환모듈(120)의 출력이 감소되도록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G1, T1, G2, T2, G3, T3)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G1, T1)라도 문제가 생기면 전원부(G1, T1, G2, T2, G3, T3)에서 생산된 전력이 구동부(M1, M2, M3)에 일대일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이 되므로, 각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의 직류연결단(130)을 공유하는 동시에 제2전력변환모듈(120)로부터 구동부(M1, M2, M3)에 제공되는 출력을 적절히 감소시켜 전력이 원활하게 재분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전력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치부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스위치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부(도 1의 G1, T1, G2, T2, G3, T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G1, T1)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와 연결된 드라이브모듈(100a)의 제1전력변환모듈(1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급격히 줄어들거나 전력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110)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기준값 미만으로 측정된다. 기준값은 예를 들어, 정상전압의 90퍼센트가 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값의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신호(S1)가 제어부(300)에 전달되면, 제어부(300)는 전력공급에 문제가 있는 비상상황으로 판별하고 스위치부(200a, 200b)에 제어신호(S2)를 전송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위치(23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1스위치(210)를 개방하고 제1스위치(210)와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치(220)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압 불일치에 의해 서로 다른 직류연결단(130) 사이에서 급격히 흐를 수 있는 전류가 저항체(221)에 의해 제한되고 저항체(221)를 통과하면서 열로 전환되어 자연스럽게 소모된다.
따라서, 서로 병렬 연결된 직류연결단(130)이 동일한 전압이 될 때까지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전압값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류연결단(130) 간의 전압이 일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위치(23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1스위치(210)를 닫고 제2스위치(220)가 개방되도록 제어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부(200a, 200b)를 작동시켜 직류연결단(130)을 서로 용이하게 병렬로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전력공급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은 도 8의 순서도를 기준으로 도 5 내지 도 7의 도면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정상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원부(G1, T1, G2, T2, G3, T3)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서로 다른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각각 일정량의 전력을 공급한다.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구동부(M1, M2, M3)에 전력을 제공하여 구동부(M1, M2, M3)를 원하는 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장치(1)가 작동하는 동안, 전력공급장치(1)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입력되는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S100).
전원부(G1, T1, G2, T2, G3, T3)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G1, T1)에 문제가 발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이 감소하거나 중단되어 해당 드라이브모듈(100a)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기준값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값의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신호(S1)가 제어부(300)에 전송되면(S200), 제어부(300)는 각 스위치부(200a, 200b)를 제어하는 제어신호(S2)를 송출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압값이 감소한 드라이브모듈(100a)로부터 해당 구동부(M1)로 제공되는 출력은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제어신호(S2)에 의해 스위치부(200a, 200b)가 작동하면, 각각의 스위치부(200a, 200b)가 닫혀 서로 다른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의 직류연결단(130)이 서로 병렬로 공유된다(S300). 스위치부(200a, 200b)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과전류를 용이하게 해소하면서 직류연결단(130) 간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0)는 스위치부(200a, 200b)가 작동하여 직류연결단(130) 간의 전압이 일치되기 이전에,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또 다른 제어신호(S3)를 전송하여 제2전력변환모듈(120)로부터 구동부(M1, M2, M3)에 제공되는 출력을 일정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류연결단(130) 사이에서 전력이 재분배되어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제공되고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이 모든 구동부(M1, M2, M3)를 원활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생산전력이 감소한 상황에서도 특정 구동부(예를 들어, M1) 등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스러스터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전원부(G1, T1)가 복구되는 시간까지 선박을 안전하게 제어하여 운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에도, 전력공급장치(1)는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입력되는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전압값이 감소한 드라이브모듈(100a)의 전압값이 다시 기준값 이상으로 복구되었는지를 측정한다(S400). 이 때, 전력공급장치(1)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 중 어느 하나라도 입력되는 전압값이 기준값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구동부(M1, M2, M3)에 일정 수준 감소된 출력을 제공하면서 비상상태로 운항을 지속한다. 그러나, 모든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에 종료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시퀀스를 중지하고 정상상태의 운항으로 제어를 변경한다(S500).
이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부(200a, 200b)가 개방되고, 각각의 드라이브모듈(100a, 100b, 100c)은 출력이 정상상태로 복구된다(S600, S700).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공급장치(1)를 작동시켜 전원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비상상황에도 매우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전력공급장치 100a, 100b, 100c: 드라이브모듈
110: 제1전력변환모듈 120: 제2전력변환모듈
130: 직류연결단 200a, 200b: 스위치부
210: 제1스위치 220: 제2스위치
221: 저항체 230: 제3스위치
300: 제어부
S1: 측정신호 S2, S3: 제어신호
G1, T1, G2, T2, G3, T3: 전원부
M1, M2, M3: 구동부

Claims (5)

  1.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전력변환모듈,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전력변환모듈,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과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직류연결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의 상기 직류연결단의 양극과 양극, 음극과 음극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브모듈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에 입력되는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닫아 상기 직류연결단을 서로 병렬로 공유하고, 상기 전압값이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개방하여 상기 직류연결단을 서로 분리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직류연결단의 양극과 양극 사이을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체 및 상기 직류연결단의 음극과 음극사이를 개폐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를 닫아 상기 직류연결단 간의 전압을 일치시킨 후, 상기 제1스위치를 닫고 상기 제2스위치를 개방하는 전력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직류연결단의 사이를 개폐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하여 상기 직류연결단 간의 전압이 일치하기 이전에,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전력공급장치.
KR1020140162974A 2014-11-20 2014-11-20 전력공급장치 KR10170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4A KR101701959B1 (ko) 2014-11-20 2014-11-20 전력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4A KR101701959B1 (ko) 2014-11-20 2014-11-20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4A KR20160060514A (ko) 2016-05-30
KR101701959B1 true KR101701959B1 (ko) 2017-02-02

Family

ID=5712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74A KR101701959B1 (ko) 2014-11-20 2014-11-20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1275A (zh) * 2021-12-29 2022-04-08 西安瑞峰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电源供电异常后自动保护和恢复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5828A (ja) * 2011-09-05 2013-03-21 Ntt Facilities Inc 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8805A1 (de) 2001-11-30 2003-06-18 Siemens Ag Schiffsantrieb
GB2456179B (en) * 2008-01-07 2012-02-15 Converteam Technology Ltd Marine power distribution and propulsion systems
KR20110074370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효성 발전량에 따른 전력제어방법 및 그 전력변환장치
KR101837205B1 (ko) * 2012-12-31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5828A (ja) * 2011-09-05 2013-03-21 Ntt Facilities Inc 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4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347B1 (ko) 해양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력 시스템
US9153974B2 (en) Battery parallel balancing circuit
US9148080B2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ES2347364T3 (es) Sistema de distribucion de potencia de cc.
EP2270969B1 (en) Control methods for parallel-connected power converters
US20180109122A1 (en) Energy accumulator device
RU2667019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9834206B1 (en) Fault-tolerant operation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8017559A (ja) 電圧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10744897B2 (en) Power-supply apparatus
US819729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ssel
US9744875B2 (en) Motor vehicle, batt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US11370308B1 (en) Parallel power distribution and charging system
US201500845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an electric drive with electric current
KR101701959B1 (ko) 전력공급장치
KR100630210B1 (ko) 잠수함
US11201468B2 (en) Redundant power supply network and water vehicle with redundant power supply network as onboard network
KR102369134B1 (ko) 수중 이동체에서 전력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수중 이동체
US9718364B2 (en) Drive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with a combustion engine
US20120071044A1 (en) System for operating a vessel
CN214566091U (zh) 一种多种能源混合过程的无缝切换链接可调器装置
JP6379817B2 (ja) 電気推進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12600453A (zh) 用于分相不平衡负载的车辆发电机-逆变器
JP2011159194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770129B1 (ko) 연근해 제로 에미션 존 운항용 하이브리드 전기 선박의 고장 대응을 위한 전기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