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13B1 -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13B1
KR101701913B1 KR1020160015227A KR20160015227A KR101701913B1 KR 101701913 B1 KR101701913 B1 KR 101701913B1 KR 1020160015227 A KR1020160015227 A KR 1020160015227A KR 20160015227 A KR20160015227 A KR 20160015227A KR 101701913 B1 KR101701913 B1 KR 10170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nose
base plate
coupled
cross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하
박광련
오재훈
Original Assignee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01B2202/021Turning or tilting or elasticall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는 열차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두 개의 경로를 지닌 윙레일, 각각의 윙레일과 동일한 경로상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유도레일이 구비되고 윙레일 및 유도레일을 연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크래들,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윙레일 및 유도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가동노즈블럭 및 가동노즈블럭을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하는 부상방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LIFTING DEFENDER FOR HINGED TYPE MOVABLE-NOSE CRO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동노즈가 회전하며 선로의 교차를 안내하는 크로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노즈의 사행운동으로 인한 횡압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고 상부로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가 운행하는 경로인 선로는 두 개의 레일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철도의 양측 차륜이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선로를 두 방향으로 분리하는 설비를 갖추기도 하고, 두 개의 선로가 동일 평면에서 교차되기도 한다.
이때 하나의 선로를 두 방향으로 분리하는 설비는 분기기(turnout)라 하고, 두 개의 선로가 동일 평면에서 교차하는 것을 크로싱(crossing)이라 한다.
크로싱은 다양하게 환경과 목적에 맞추어 실시되고 있으며, 그 중 가동노즈 크로싱은 크래들 상에 위치한 가동노즈의 일단이 방향을 바꾸어 회전하며 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고정식 크로싱등 다른 크로싱 장치와 비교하여 가동노즈 크로싱은 선로의 단절로 발생되는 결선부를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실시되고 있다.
가동노즈 크로싱은 레일 일부 또는 노즈(nose)부가 움직이도록 하여 결선부를 최소화 하게 되며, 레일 또는 노즈부가 이동하여야 하는 특성상 그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까다롭고, 유지보수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열차의 차륜이 노즈부를 통과할 때 열차의 차륜에 의하여 측면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사행운동(serpentine motion)이 발생될 수 있었고, 사행운동은 노즈부와 크래들의 내구성을 낮추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열차의 주행안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노즈부를 따라 차륜이 이동하며 노즈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작용점도 변화하게 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의 작용점 변화에 따라 노즈부의 일부가 상부로 리프팅되는 현상 또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즈부의 측면 또는 상방으로의 사행운동 또는 리프팅 현상은 노즈부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큰 소음을 야기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차의 탈선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08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노즈부가 좌우로 회전하며 윙레일에 접하여 교차되는 선로를 안내하는 크로싱 장치에 있어서, 열차의 하중이나 사행운동으로 인해 노즈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들뜨거나 측방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로싱 장치의 내구 수명을 연장한 가동노즈 크로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는 열차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두 개의 경로를 지닌 윙레일, 각각의 윙레일과 동일한 경로상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유도레일이 구비되고 윙레일 및 유도레일을 연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크래들,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윙레일 및 유도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가동노즈블럭 및 가동노즈블럭을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하는 부상방지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노즈블럭은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윙레일과 선택적으로 접하고, 하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하는 노즈첨단 및 타단은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도레일과 접하는 반원형상의 측면을 지니는 중심부를 포함한다.
또는, 부상방지유닛은 노즈첨단이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는 제1부상방지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부상방지구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일측이 전방돌출부의 상면과 접한다.
또는, 부상방지유닛은 가동노즈블럭이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고, 가동노즈블럭의 측방에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상방지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노즈블럭은 측면의 양측 하부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돌출부를 포함하고, 가동노즈블럭의 측면 및 측면돌출부의 상면이 제2부상방지구와 접하여 구속된다.
또는, 제2부상방지구는 윙레일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 및 체결수단과 결합되며 가동노즈블럭의 측면 및 측면돌출부의 상면과 접하는 멈춤쇠를 포함한다.
그리고, 부상방지유닛은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는 제3부상방지구를 포함한다.
또는, 중심부는 노즈첨단과 반대 방향의 반원형상의 측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돌기는 제3부상방지구로 상방을 향한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일측에 돌기가 수용되고 타측은 돌출형성되어 제3부상방지구와 상면이 접하는 후방돌출부가 구비되며 중심부 및 제3부상방지구의 사이에 결합되는 아크간격심을 포함한다.
또는, 부상방지유닛은 크래들과 결합되며 크래들과의 사이에 간격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는 좌우로 회동하여 윙레일과 선택적으로 접함으로 선로를 안내하는 가동노즈블럭의 전면, 측면, 후면을 구속하여 상향력을 제어하므로 가동노즈블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부로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열차로부터 전해지는 하중과 진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행운동 또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가동노즈블럭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어 내구 수명을 높일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제2부상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를 살펴보면, 열차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두 개의 경로를 지닌 윙레일(110), 각각의 윙레일(110)과 동일한 경로상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유도레일(120)이 구비되고,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을 연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크래들(100), 베이스플레이트(130)에 구비되어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가동노즈블럭(200) 및 가동노즈블럭(200)을 베이스플레이트(130)에 밀착지지하는 부상방지유닛(500)이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크래들(100)은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30)에 의하여 하단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윙레일(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교차하는 레일 경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두 레일의 간격이 한 점을 향하여 점점 좁아지다가 다시 동일한 각도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윙레일(110)은 열차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두 개의 레일로,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두 개의 레일 간격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는 형태로 중심부분이 접하지 않는 'X'자 형태로 형성된다.
유도레일(120)은 윙레일(1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두 개의 레일로서 윙레일(110)의 간격이 가장 좁은 점, 'X'자 형상의 중심부분에 두 개의 레일의 가상 연장선이 만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레일(110)을 형성하는 두 개의 레일 사이에 유도레일(120)의 끝단이 위치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은 각각의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30)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이 상술하였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윙레일(110), 유도레일(110) 및 베이스플레이트(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30)는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윙레일(110)에서 유도레일(110)로 이어지는 경로가 형성하는 사잇각이 선로의 크로싱각이 되는 것으로서, 윙레일(110)은 열차에 구비되는 양측 차륜 중 한 쪽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통행하게 되며, 양측 두 개로 형성되는 윙레일(110)중 하나의 경로로 차륜이 안내되어 유도레일(110)중 하나의 레일로 경로를 이어 통과하게 된다.
가동노즈블럭(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노즈첨단(210)과 타단에 반원형상의 단부를 지닌 중심부(220)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노즈블럭(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에서 가장 빈번하게 하중이 가해지고 외력에 의해 마모 또는 파손의 발생빈도가 높으므로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노즈블럭(200)은 중심부(220)의 직경이 유도레일(120)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가동노즈블럭(200)의 양측 측면이 형성하는 직선과 유도레일(120)의 외측을 잇는 가상의 선이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가동노즈블럭(200) 중심부(220)의 하부에는 회전축(300)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가동노즈블럭(200)의 노즈첨단(210)이 평면상에서 좌, 우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중심부(220)가 반원형상의 단부를 지니므로, 이 반원의 중심점에 상술하였던 회전축(300)의 중심점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가동노즈블럭(200)이 회전하는 중심이 된다.
가동노즈블럭(200)의 중심부(220)를 기준으로 하여 노즈첨단(210)이 평면상에서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노즈첨단(210)은 윙레일(110)의 사이에서 회동하여 선택적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가동노즈블럭(200)에서 중심부(220)의 측면, 노즈첨단(210)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222)는 중심부(22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다. 돌기(222)는 후술될 아크간격심(400)에 일부가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일단에는 노즈첨단(210), 타단에는 중심부(220)가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동노즈블럭(200)은 노즈첨단(210)을 전방, 중심부(220)방향을 후방이라 하였을 때, 노즈첨단(2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단턱인 전방돌출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즈첨단(210)과 중심부(220)를 연결하는 측면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측면돌출부(232)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제2부상방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회전축(3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측둘레에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환턱인 결합턱(31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베이스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결합턱(310)이 베이스플레이트(130)와 용접등의 결합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되며, 베이스플레이트(130)의 상부로 상단부가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상술하였던 가동노즈블럭(200)이 평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노즈블럭(200)의 중심부(220)의 반원형상의 측면에는 아크간격심(400)이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아크간격심(400)은 가동노즈블럭(200)과 유도레일(120)이 접하는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220)의 하면이 회전축(300)과 결합되므로, 회전축(300) 및 중심부(220)의 결합부위에 주변으로부터 흙이나,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후술될 제3부상방지구(530)와 중심부(220)의 사이에서 간격을 조절하는 효과 또한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아크간격심(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220)의 반원형 측면과 접하게 되며, 상술하였던 돌기(222)가 수용될 수 있는 후방돌출부(410)가 형성된다.
돌기(222)는 아크간격심(400)에 구비되는 후방돌출부(41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후방돌출부(410)의 내부에서 가동노즈블럭(20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후방돌출부(410)는 아크간격심(400)이 중심부(220)와 접하는 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아크간격심(400)이 중심부(220)와 접하는 면의 반대편으로 후방돌출부(410)의 공간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돌출형성된 단턱은 후술될 제3부상방지구(530)에 의해 상면이 접하여 상향이동이 구속되고 베이스플레이트(130)와 가동노즈블럭(200)의 중심부(220)가 밀착지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0)과 가동노즈블럭(200)의 결합관계는 평면상에서 회전축(300)이 가동노즈블럭(200)의 평면이동을 구속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가동노즈블럭(20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술한 돌기(222) 및 아크간격심(400)의 후방돌출부(410)가 형성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아크간격심(400)이 생략되어 돌기(222)에 제3부상방지구(530)가 접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부상방지유닛은 가동노즈블럭(200)의 노즈첨단(210)을 베이스플레이트(130)에 밀착지지하는 제1부상방지구(510), 가동노즈블럭(200)의 중단에서 측면을 구속하여 사행운동에 대한 방지 및 베이스플레이트(130)와 밀착지지되도록 하는 제2부상방지구(520), 가동노즈블럭(200)의 중심부(220)가 베이스플레이트(130)에 밀착지지되도록하는 제3부상방지구(530)를 포함한다.
제1부상방지구(510)는 가동노즈블럭(200)의 전방돌출부(21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구속하는 부재로, 전방돌출부(212)의 상면과 접하며 그 높이가 가동노즈블럭(200)보다 낮게 형성된다.
가동노즈블럭(200)과 비교하여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은 노즈첨단(210)의 상면으로 열차의 차륜이 접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부상방지구(510)가 열차의 차륜과 닿아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30)에 일측이 고정되어 전방돌출부(212)가 평면운동에는 저항이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가동노즈블럭(200)의 노즈첨단(210)이 상방으로 들뜨지 않도록 상부로의 움직임만을 구속하게 된다.
제2부상방지구(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레일(110)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면돌출부(232)와 대응되는 갯수 및 위치로 구비된다.
윙레일(11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522)과 체결수단(522)에 결합되고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 일부 및 측면돌출부(232)의 상면과 접하는 멈춤쇠(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윙레일(110)을 관통한 체결수단(522)과 결합되는 멈춤쇠(524)가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과 접하여 사행운동으로 인하여 가동노즈블럭(200)에 측방으로 가해질 수 있는 진동으로 윙레일(110) 및 가동노즈블럭(200)이 충돌하거나 무리한 피로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면돌출부(232)의 상면과도 접하여 상향력을 억제함으로, 가동노즈블럭(200)이 베이스플레이트(130)로부터 이격되어 들뜨게 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부상방지구(520)는 윙레일(110)을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므로, 그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차이가 있으나, 체결수단(222)과 멈춤쇠(524)의 사이에 심부재(540)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심부재(540)의 두께 또는 갯수를 조절하여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과 정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멈춤쇠(524)와 윙레일(11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3부상방지구(530)는 아크간격심(400)의 후방돌출부(41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상면과 접하여 상향력을 억제하고 일측이 베이스플레이트(130)에 고정된다.
상술하였던, 제1부상방지구(510) 및 제3부상방지구(530)에도 제2부상방지구(520)에 구비되는 심부재(540)를 포함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0)에 고정함으로 전방돌출부(212), 후방돌출부(410)의 상면과 접할 시에 가동노즈블럭(200)의 평면회동에는 관여하지 않도록 하고 단지 상향력만을 억제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상방지구(510) 및/또는 제3부상방지구(530)와 베이스플레이트(130)의 사이에 각기 다른 두께를 지닌 심부재(540)가 다수겹 구비될 수 있고, 심부재(540)의 갯수 또는 두께를 조절함으로 제1부상방지구(510) 및/또는 제3부상방지구(530)와 베이스플레이트(130)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는 교차되는 선로에서 좌우로 회동되어 경로를 결정하게 되는 가동노즈블럭(200)이 상방으로 들뜨거나, 측방으로 흔들리는 사행운동에 의해 윙레일(110)과 충격되거나 피로하중이 과도하게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경로를 지니는 윙레일(110)과 유도레일(120)의 사이에 가동노즈블럭(200)이 구비되고, 가동노즈블럭(200)이 중심부(220)를 기준으로 하여 노즈첨단(210)이 좌우 회동하며 윙레일(110)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노즈블럭(2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되어 윙레일(110)의 한 쪽에 접하여 경로를 안내하게 되면, 열차의 차륜은 윙레일(110), 가동노즈블럭(200), 유도레일(120)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시에는 윙레일(110), 가동노즈블럭(200), 유도레일(120)에 순차적으로 하중 및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윙레일(110) 및 유도레일(120)은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하중 및 진동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지 않으나, 가동노즈블럭(200)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30) 상에서 좌, 우 회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거운 하중과 진동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노즈블럭(200)에 구비되는 전방돌출부(212) 및 후방돌출부(230)가 베이스플레이트(130)에 일측이 고정된 제1부상방지구(510) 및 제3부상방지구(530)로 상면이 구속되어 상향력이 억제됨으로 가동노즈블럭(200)이 베이스플레이트(130)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륜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 및 진동을 베이스플레이트(130)를 통하여 지면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돌출부(232)가 형성되고, 측면돌출부(232)는 윙레일(11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2부상방지구(520)에 의하여 상면이 고정된다.
제2부상방지구(520)는 측면돌출부(232)의 상향력을 억제함과 함께 가동노즈블럭(200)의 측면과 접하여 일 측방으로의 진동,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륜을 통하여 전해지는 하중, 진동, 그로인한 사행운동으로부터 가동노즈블럭(200)이 베이스플레이트(130)로부터 이격되어 충격이 증폭된다거나 윙레일(110)과 충격되어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크래들 110: 윙레일
120: 유도레일 130: 베이스플레이트
200: 가동노즈블럭 210: 노즈첨단
212: 전방돌출부 220: 중심부
222: 돌기 232: 측면돌출부
300: 회전축 310: 결합턱
320: 부싱
400: 아크간격심 410: 후방돌출부
510: 제1부상방지구 520: 제2부상방지구
522: 체결수단 524 : 멈춤쇠
530: 제3부상방지구 540: 심부재
550: 와셔

Claims (11)

  1. 열차의 차륜이 상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두 개의 경로를 지닌 윙레일, 상기 각각의 윙레일과 동일한 경로상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유도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윙레일 및 상기 유도레일을 연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크래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윙레일 및 상기 유도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가동노즈블럭; 및
    상기 가동노즈블럭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하는 부상방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노즈블럭은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윙레일과 선택적으로 접하고, 하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하는 노즈첨단, 타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도레일과 접하는 반원형상의 측면을 지니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방지유닛은 상기 노즈첨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는 제1부상방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상방지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전방돌출부의 상면과 접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유닛은,
    상기 가동노즈블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고, 상기 가동노즈블럭의 측방에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상방지구;
    를 포함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노즈블럭은,
    측면의 양측 하부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노즈블럭의 측면 및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면이 상기 제2부상방지구와 접하여 구속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상방지구는,
    상기 윙레일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가동노즈블럭의 측면 및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면과 접하는 멈춤쇠;
    를 포함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유닛은,
    상기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지지 되도록 구속하는 제3부상방지구;
    를 포함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상기 노즈첨단과 반대 방향의 반원형상의 측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3부상방지구로 상방을 향한 이동이 구속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고 타측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3부상방지구와 상면이 접하는 후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제3부상방지구의 사이에 결합되는 아크간격심;
    을 포함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유닛은,
    상기 크래들과 결합되며 상기 크래들과의 사이에 간격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부재;
    를 포함하는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KR1020160015227A 2016-02-05 2016-02-05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KR10170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227A KR101701913B1 (ko) 2016-02-05 2016-02-05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227A KR101701913B1 (ko) 2016-02-05 2016-02-05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13B1 true KR101701913B1 (ko) 2017-02-02

Family

ID=5815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227A KR101701913B1 (ko) 2016-02-05 2016-02-05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4300A (zh) * 2018-06-26 2020-01-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平交内导向式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242A (ja) * 2005-12-09 2007-06-28 Mine Seisakusho:Kk 短ノーズ可動クロッシング構造
KR20110080826A (ko) 2010-01-07 2011-07-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레일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업리프팅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242A (ja) * 2005-12-09 2007-06-28 Mine Seisakusho:Kk 短ノーズ可動クロッシング構造
KR20110080826A (ko) 2010-01-07 2011-07-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레일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업리프팅 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4300A (zh) * 2018-06-26 2020-01-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平交内导向式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CN110644300B (zh) * 2018-06-26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平交内导向式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086B1 (ko) 궤도계 교통 장치
US6345578B1 (en) Double-acting trolley to support one-cable installations and in particular chair lifts and cabin lifts
US11603289B2 (en) Supporting device for a rotary platform in an elevator system
KR101701913B1 (ko) 힌지결합형 가동노즈 크로싱의 부상방지장치
KR20200116924A (ko) 크롤링 차량을 위한 스프링기반 자기 부착 방법
KR20190041416A (ko) 물품 반송 설비
US8201504B2 (en) Railcar constant contact side bearing assembly
JP6452857B2 (ja) かご移動規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MX2013006529A (es) Ensamble de cojinete lateral de contacto constante con ferrocarril.
US9957134B2 (en) Roller guide for elevators
US20150280407A1 (en) Cable carrier guide
EP3725637A1 (en) Bogie and self-adaptive rotary arm positioning device thereof
KR101073583B1 (ko) 철도차량용 대차와 차체의 연결구조체
WO2016012929A1 (en) Roller unit for cable transport system
WO2016124029A1 (zh) 一种轨道车辆及其脱轨安全防护装置
KR101743952B1 (ko) 파티클 및 소음 저감형 병렬 링크 로봇의 관절구조체
EP1484227A1 (en) Side bearer
JP2005036440A (ja) 軌道分岐装置の接続装置
JP5971164B2 (ja) 転倒防止装置
KR101790661B1 (ko) 고속용 케이블 캐리어
EP0767748B1 (en) Transport trolley
US6513646B1 (en) Conveyor systems, stabiliz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conveyor carriers
JP5960738B2 (ja) クローラシャーシのためのトラック支持ローラアセンブリ
CN209052952U (zh) 一种单轨道岔活动指形板
KR102230384B1 (ko) 추락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