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44B1 -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44B1
KR101701844B1 KR1020100100285A KR20100100285A KR101701844B1 KR 101701844 B1 KR101701844 B1 KR 101701844B1 KR 1020100100285 A KR1020100100285 A KR 1020100100285A KR 20100100285 A KR20100100285 A KR 20100100285A KR 101701844 B1 KR101701844 B1 KR 10170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ccurren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mag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694A (ko
Inventor
강행준
강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2Graphic User Interface [GUI] presenting system data to the user, e.g. information on a screen helping a user interacting with an alarm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원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증거 자료의 확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은 도난 또는 강도 사건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증거 자료를 용이하게 확보함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가 위치하는 소정 공간 내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Image Displaying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and strengthening method of security us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원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에서 자동 기록을 수행하여 소정 공간 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는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에서 전송받은 소정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주된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 기능, 게임기 기능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가전제품까지 통째로 도난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 자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소정 영상 표시 기기가 위치하는 공간(예를 들어, 일 가정 내) 내에서 발생하는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증거 자료의 확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확보된 증거 자료를 보안 업체 서버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소정 명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으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자동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연결된 보안 업체 서버로 수신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보안 키가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위급 상황의 발생이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연결된 보안 업체 서버로 통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소정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로 수신되면,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전송되면,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 팝업(pop-up) 창,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시청각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알림 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소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 및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와 상기 전력 공급원이 분리되면, 상기 카메라 부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와 상기 전력 공급원이 분리되면,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상기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리 허용 모드가 아니면 상기 카메라 부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받은 소정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써 충전하고 있는 대기 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와 상기 전력 공급원이 분리되면, 상기 대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 부가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외부 영상의 촬영을 시작하며, 사람의 움직임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이 주 객체가 되도록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외부 영상의 촬영을 시작하며, 사람의 움직임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의 얼굴이 주 객체가 되도록 상기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받은 소정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써 충전하고 있는 대기 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가 턴 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대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자동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유지 방법은 영상 표시 기기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받은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보안 업체 서버로 수신받은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은 도난 또는 강도 사건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증거 자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은 확보된 증거 자료를 실시간으로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하여 영상 표시 기기 및 해당 영상 표시 기기가 위치하는 소정 공간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소정 영상 표시 기기가 위치한 소정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220 단계에서 기록 저장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240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530 단계에서 출력되는 알림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910 단계에서 입력되는 보안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의 1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1130에서 기록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1130에서 기록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 제어부(130),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145),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 카메라 부(155), 저장부(160), 출력부(170), 및 전원부(1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90)는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191), 제어부(193), 및 키 입력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이하에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30)를 제1 제어부(130)라 하고, 원격 제어 장치(19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93)를 제2 제어부(193)라 한다.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는, 출력부(170)로 영상, 음성, 및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및 신호처리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부(110)는, 예컨대 튜너 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A/V 입력부(112)는 A/V(Audio and Video)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예를 들어, DVD(Digital Video Disc) 장치 등)로부터 AV 신호를 입력받는다.
USB 입력부(313)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격에 따라 소정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한 소정 공간(예를 들어, 일 주택)에 설치된 보안 장치와 보안 관련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장치는 외부 침입자가 소정 공간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공간의 주위에 설치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열 감지 센서, 또는 전자 울타리(electric fence)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안 관련 신호는 전술한 CCTV, 열 감지 센서 또는 전자 울타리 장치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예를 들어, CCTV 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가 될 수 있다. 보안 관련 신호로는 이하에서 설명할 외부 침입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CCTV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인 '위급 상황 발생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 자체가 도난당할 위기에 처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의 외측에 구비되는 카메라 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가 '위급 상황 상황 발생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전술한 보안 장치에서 수신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된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안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수신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30)는 저장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급 상황 발생 정보의 저장 동작과 보안 업체 서버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업체 서버는 홈 시큐리티(home security)를 관리해주는 보안 관련 서비스 업체의 서버가 될 수 있으며, 경찰서와 같은 보안 전담 기관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업체 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신호 입력부(1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방송국 등에서 송신할 당시의 신호로 회복시켜 출력한다. 즉, 복조부(120)는 입력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ng)하여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40)는 복조부(120)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에러 보정, 신호 품질 개선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한다.
제1 제어부(13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부(1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해 전송받은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해 전송받은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안 업체 서버로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키 신호인 보안 키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190)로부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이 보안 업체 서버로 통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안 키 신호는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소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면, 카메라 부(155)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부(155)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이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의 구체적인 동작 및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표시기기(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OSD 생성부(145)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동작, 조작, 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게 알릴 각종 데이터 등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생성한다. OSD 생성부(145)에서 출력되는 OSD 데이터는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9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9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90)로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키인 보안 키가 입력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190)는 입력받은 보안 키에 대응되는 보안 키 신호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는 수신받은 보안 키 신호를 제1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보안 키 신호는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90)와 소정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통신 규격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90)와 소정 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IR(infra-red) 통신 규격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90)와 소정 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 부(155)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측에 부착되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주변 영상(예를 들어, 움직임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 부(155)는 촬영된 움직임 영상에서의 촬영 대상 물체(예를 들어, 사람 또는 사람의 얼굴)를 인식하여, 촬영 대상 물체를 주 객체로 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부(155)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부(155)는 영상 인식을 통하여, 촬영 대상이 되는 이미지에서 사람의 형태 또는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을 이미지의 주 객체로 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부(155)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얼굴을 주 객체로 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영상 및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 부(171) 및 음성 출력부(173)를 포함하며, 시청각 알림부(17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부(171)는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 또는 OSD 생성부(145)에서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이라 한다.
음성 출력부(173)는 영상 및 음성 처리부(101)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전송받고,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즉,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전송받은 음성 신호를 물리적인 진동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한다.
시청각 알림부(175)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171) 또는 음성 출력부(173)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 이외에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시청각 알림부(175)는 디스플레이 부(170)가 형성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LED 램프(도 1에 미도시 됨, 도 6의 6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시청각 알림부(175)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buzz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신호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면 자동으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각 알림부(175)가 LED 램프로 이뤄지는 경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수신되면, LED 램프로 알림 신호가 출력되어, LED 램프가 깜빡이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시청각 알림부(175)가 부저로 이뤄지는 경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수신되면, 부저로 알림 신호가 출력되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 등은 위급 상황의 발생을 빠르게 알 수 있다.
전원부(185)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영상 표시 기기(100)의 각 구성들로 전력을 전달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가 소정 동작(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85)는 대기 전원부(180) 및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전원부(180)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받은 소정 전력을 이용하여 대기전력 충전하고 있는다. 대기 전원부(18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턴 오프(turn off)되어 대기 모드(standby mode)에 진입한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314),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 및 제어부(130)로 전력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314)는 대기 모드에서도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는 대기 모드에서도 보안 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보안 키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응답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 사실이 보안 업체 서버로 통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과 접속하기 위한 연결 단자로, 콘센틱 플러그(concentic plug)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원부(180)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분리되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완전히 파워 오프(power off)되면, 카메라 부(155), 제1 제어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 또는 저장부(16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서, 전력 공급 연결 소자와 전력 공급원의 연결이 분리되면, 카메라 부(155)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제어부(130)는 이를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 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90)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상 표시 기기(100)로 무선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100)를 원거리에서 제어한다. 원격 제어 장치(190)는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191), 제2 제어부(193), 및 키 입력부(195)를 포함한다.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191)는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90)는 RF 통신 규격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90)는, IR(infra-red) 통신 규격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193)는 원격 제어 장치(19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193)는 키 입력부(19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키 또는 키 입력부(195)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를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 (191)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키 입력부(19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입력 버튼이나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하드 키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195)에 구비되는 키들을 조작하여, 원격 제어 장치(190)로 영상 표시 기기(100)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키 입력부(195)의 내에 구비되는 하드 키 또는 소프트 키를 통틀어 '제어 키'라 한다. 제어 키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필요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로는, 전원 on/off 키, 볼륨 조절 키, 채널 이동 키, 화면 크기 조절 키, 소리 제거 키, 빨리 감기 키, 역 감기 키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키 신호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구현할 수 있는 기능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키 입력부(195)가 보안 키(security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키 및 그에 대응되어 발생하는 보안 키 신호는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키 입력부195)에 구비되는 제어 키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키 신호라 한다.
원격 제어 장치(190)는 키 입력부(195)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 또는 소정 동작 명령인 제어 키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제어 키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생성하며, 키 신호를 영상 표시 기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상세 동작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소정 영상 표시 기기가 위치한 소정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입력받는다(210 단계).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는다(210 단계). 여기서, 210 단계에서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전술한 보안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 장치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한 소정 공간(예를 들어, 일 주택) 내에 형성된 CCTV(310, 320, 330), 열 감지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울타리 장치(350), 그 밖의 홈 시큐리티 관련 보안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안 장치로, 열 감지 센서가 부착된 CCTV(310, 320, 3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한 소정 공간이 일 주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열 감지 센서가 부착된 CCTV(310, 320, 330)는 외부 침입자가 해당 주택에 접근하면, 열 감지를 통하여 외부 침입자가 발생한 것을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녹화되는 영상을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전송한다. 즉,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외부 침입자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녹화 영상 등)을 포함하는 신호가 된다. 또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도난 또는 강도 사고의 발생시 증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된다.
도 3에서는 3대의 CCTV인 제1 CCTV(310), 제2 CCTV(320), 및 제3 CCTV(330)가 일 주택 내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보안 장치가 전자 울타리 장치(350)인 경우, 외부 침입자가 주택 내로 침입을 시도하여 전자 울타리 장치(350)가 이를 감지한 경우, 전자 울타리 장치(350)는 외부 침입자의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정보 및 외부 침입자의 침입이 감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보안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그에 응답하여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자동적으로 기록 및 저장부(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220 단계). 그에 따라서, 저장부(160)는 전송받은 위급 상황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도 2의 220 단계에서 기록 저장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4는 보안 장치인 제1 내지 제3 CCTV(310, 320, 330)에서 출력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도시한다. 도 4에서는, 제1 CCTV(31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410), 제2 CCTV(32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420), 및 제3 CCTV(33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430)를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내지 제3 CCTV(310, 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부 침입자(450)가 발생한 영상이 쵤영 된 경우, 외부 침입자(450)가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410, 420, 430)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314)로 수신된다. 즉, 외부 침입자(450)를 포함하지 않은 영상(410, 430)을 촬영한 CCTV인 제1 및 제3 CCTV(310, 330)에서 촬영한 영상까지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침입자(450)를 촬영한 CCTV인 제2 CCTV 에서 촬영된 영상(420)만을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수신되면, 그에 응답하여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보안 업체 서버로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230 단계). 그에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수신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해 전송받은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해 전송받은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안 업체 서버로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60)에 기록 및 저장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 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230 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초기 1회에 영상 표시 기기(100)와 소정 보안 업체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소정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가 턴 온(turn on)되어 영상 표시기기(100)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동작은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하는 소정 공간(예를 들어, 일 주택)의 위치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보안 업체 서버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받고, 위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 관계자를 파견하는 등의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업체는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급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종래의 CCTV는 단순히 지정된 공간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녹화할 뿐이어서, 도난 또는 강도 사건과 같이 외부 침입자가 일 주택 내로 침입하는 등의 범죄 사고가 발생하면 후속 시점에 증거 자료를 수집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뿐, 도난 또는 강도 사건이 발생할 당시에는 CCTV를 이용하여 어떠한 조치를 취할 수는 없었다. 또한, 보안 업체가 사설 경호 업체인 경우, 일반적으로 위급 상황의 발생 사실만을 전달받을 뿐, 본원에서와 같이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지는 못하여, 위급 상황을 객관적으로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는 없었다.
본원에서는, 보안 장치에서 전송받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녹화 저장하고, 나아가 이를 보안 업체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난 또는 강도 사건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유효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하는 소정 공간(예를 들어, 일 주택) 내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114)로 수신되면,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부(171)를 포함하는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240 단계).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부(171)로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은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171)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 소정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240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240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510, 520, 및 5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510 단계).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의 수신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부(17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부(171), 음성 출력부(175), 및 시청각 알림부(175)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510 단계).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부(171)를 통하여,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 팝업(pop-up) 창, 또는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OSD(On Screen Display), 팝업(pop-up) 창, 또는 경고 메시지는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음성 출력부(173)를 통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이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30)는 시청각 알림부(175)를 통하여,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LED 램프 또는 부저를 구동시켜 위급 상황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510 단계에서 출력되는 알림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부(171)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610)의 소정 영역에 위급 상황(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가 발생)의 발생을 알리는 OSD(620)를 출력한다. OSD(620)는 위급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확인 키(6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확인 키(625)는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된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90)를 조작하여 확인 키(625)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191)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서, 제1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수신받는다(520 단계).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부(171)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530 단계).
도 6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부(171)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630)의 소정 영역에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팝업 창 또는 경고 메시지(64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 키(645)는 확인 키(625)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부(디스플레이 부(650)가 배치되는 면)에 시청각 알림부(175)로 LED 램프(660)가 구비될 수 있다. LED 램프(660)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램프 신호(예를 들어, 램프의 깜빡임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 신호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바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위급 상황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함으로써, 전술한 530 단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700)의 일부 소정 영역(720)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530 단계). 도 7 및 도 8에서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CCTV(310, 320, 330)에서 촬영된 영상들(도 4에 도시된 영상들(410, 420, 43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700)의 나머지 영역(710)에는 시청중이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중이던 프로그램의 시청 방해 없이도, 위급 상황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800)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530 단계).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고,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영상 인식을 통하여 외부 침입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외부 침입자만을 확대시킨 이미지(840)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의 810, 820, 및 830 이미지는 도 7의 720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외부 침입자만을 확대시킨 이미지(840)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에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서 영상 인식을 통하여 외부 침입자를 확대시킨 이미지(840)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외부 침입자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9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는 보안 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910 단계). 여기서, 보안 키 신호는 도난 또는 강도 사건 등과 같은 범죄 사건에서 외부 침입자 발생과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키 신호이다. 보안 키 신호는 키 입력부(195)에 포함되는 보안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보안 키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90)의 리모컨 인터페이스 부(191)에서 출력된다.
여기서, 보안 키가 실수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제어부(193)는 보안 키가 수초이상 눌러진 경우, 또는 보안 키가 수회 이상 눌러진 경우 등에 보안 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이 키 입력부(195)를 조작하여 보안 키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서 키 입력부(195)가 보안 키를 입력받으면 제2 제어부(193)는 보안 키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동작으로는 하드 키인 경우 해당 버튼을 누르는 동작, 또는 소프트 키인 경우 해당 키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터치하는 동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910 단계에서 입력되는 보안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90)의 키 입력부(195)는 보안 키(0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190)는 보안 키 신호에 대응되는 보안 키(1020)를 포함한다.
또한, 키 입력부(195)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키들(10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어 키 들로, 볼률 조절 키(VOL), 채널 조절 키(CH), 화면 크기 조절 키(화면크기), 자막 방송 제공을 요청하는 키(자막방송) 등이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계속하여, 제1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150)를 통해 입력받은 보안 키 신호에 대응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보안 업체 서버로 통지한다(920 단계). 보안 업체 서버는 보안 키 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의 수신 단의 위치 또는 주소 등을 파악하여, 위급 상황에 대응되는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위급 상황의 통지와 함께, 위급 상황 발생 시간 및 위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위치한 소정 공간인 해당 주택의 주소)를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보안 업체 서버는 위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30)는 보안 키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보안 장치에서 생성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도 9의 220 단계). 또한, 보안 키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카메라 부(155)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9의 220 단계에서 저장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는 보안 장치에서 생성되는 위급 상황과 관련된 정보 및 카메라 부(1550)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부(155)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써 저장하는 동작은 이하에서 도 11의 1130 단계에서 상세히 설명할 위급 상황 발생 정보의 저장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220, 230 및 240 단계는 도 2의 220, 230, 및 24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술한 910 및 920 단계에 이어서, 220, 230, 및 24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위급 상황의 발생 사실을 보안 업체 서버에 더욱 빠르게 통지할 수 있고, 후속하여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자동 전송함으로써 보안 업체가 위급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대응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1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면, 카메라 부(155)가 영상 표시 기기(100) 외부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30)는 전력 공급원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연결이 물리적으로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1110 단계).
도 12는 도 11의 1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력 공급원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12에서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콘센틱 플러그(concentic plug)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 소켓(1250)으로 전력 공급원을 표현하였다.
111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 제어부(130)는 카메라 부(155)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30)는 카메라 부(155)가 촬영한 외부 영상이 위급 상황 발생 정보로써 저장부(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1130 단계).
또한, 111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 제어부(130), 카메라 부(155), 및 저장부(160)는 대기 전원부(18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후속하는 동작(예를 들어, 1130, 230, 또는 240)을 수행한다.
도난 또는 강도 사고가 발생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 자체를 도난당하는 경우,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는 전력 공급원(1250)과 분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를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전원 공급 소켓(1250))에서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이사와 같은 경우 이외에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력 공급원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분리된 경우, 도난 또는 강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가전제품까지 통째로 도난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1120 및 1130 단계의 수행을 통하여 이러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도난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1130 단계 및 230 단계를 통하여 보안 업체 서버로 전송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 침입자를 검거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 제어부(130)는 도난 또는 강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1130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분리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분리 허용 모드가 아닌 경우에 11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허용 모드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가 전력 공급원(12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모드로,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90)는 분리 허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핫 키(hot ke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사를 하는 경우, 또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 등에, 분리 허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핫 키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제어부(130는 분리 허용 모드를 설정하여, 전력 공급원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183)의 연결이 분리되더라도 전술한 1130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13은 도 11의 1130에서 기록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1130 단계에서 제1 제어부(13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측(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카메라 부(155)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되는 영상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메라 부(155)에 의하여 촬영된 외부 영상인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되는 영상(13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포함되는 영상(1300)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 영상(예를 들어, 영상 표시기기(100)의 전면부 영상)이 되므로, 외부 침입자(1310)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촬영된 외부 영상에서 사람의 움직임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이 주 객체가 되도록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130)는 외부 침입자의 움직임을 따라서 외부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 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1130에서 기록되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촬영된 외부 영상에서 사람의 움직임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의 얼굴이 주 객체가 되도록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 부(155)에서 촬영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1400)는 외부 침입자(1310)의 얼굴을 확대 촬영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도난 또는 강도 사건의 발생시, 후속 처리(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의 검거 등)를 위한 외부 침입자(1310)에 대한 증거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기기(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를 통하여 보안 장치 등으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받는다.
수신받은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보안 업체 서버로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자동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은 도 1 내지 도 14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와 기술적 사상 및 동작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영상 표시 기기
101: 영상 및 음성 처리부
130: 제어부
145: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15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
155: 카메라 부
160: 저장부
170: 출력부
185: 전원부

Claims (19)

  1.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외부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받은 소정의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충전하고 있는 대기 전원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부;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영상 표시 기기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 허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분리 허용 모드가 아니면 상기 대기 전원부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고, 상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부가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촬영된 외부 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는,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수신된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소정 명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보안 키가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위급 상황의 발생이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서버로 통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소정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로 수신되면,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소정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전송되면,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 팝업(pop-up) 창,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시청각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알림 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100285A 2010-10-14 2010-10-14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KR10170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85A KR101701844B1 (ko) 2010-10-14 2010-10-14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85A KR101701844B1 (ko) 2010-10-14 2010-10-14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94A KR20120038694A (ko) 2012-04-24
KR101701844B1 true KR101701844B1 (ko) 2017-02-13

Family

ID=4613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285A KR101701844B1 (ko) 2010-10-14 2010-10-14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522B1 (ko) 1998-03-02 2001-02-15 박형식 경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77B1 (ko) * 2005-10-10 2008-03-07 남기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20100051148A (ko) * 2008-11-07 2010-05-17 (주)에이알텍 감시지역 침입 및 돌발상황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522B1 (ko) 1998-03-02 2001-02-15 박형식 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94A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7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urveillance devices and surveillance footage
US7885681B2 (en) Method of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for monitoring purposes and a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US20070103543A1 (en) Network panoramic camera system
US20110121940A1 (en) Smart Door
US20160247027A1 (en) Electronic door peephole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US11115227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live sharing and smart monitoring
WO2015155936A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US200401559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camera signals received over a powerline network
JP577938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WO2001050731A2 (en) A remote viewer of tv's, video cameras and monitors
KR101701844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유지 방법
US20070070187A1 (en) Television with built-in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0547163B1 (ko) 원격감시시스템
JP4885644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374217B1 (ko) 비디오 월 기반 화상 회의 시스템
JPH06351020A (ja) 監視装置
KR20140131694A (ko) 방범용 버티컬 프로젝션 시스템
JP2006295744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ターフォン装置
KR20140080039A (ko) 엘리베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176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140133A (ko) 경고음 재생 시스템과 경고음 재생 방법
KR101583405B1 (ko) 경비기능을 갖춘 이종기기 통합장치
TW201616869A (zh) 智慧電視裝置、攝影機及監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