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610B1 -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 Google Patents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1610B1 KR101701610B1 KR1020150072847A KR20150072847A KR101701610B1 KR 101701610 B1 KR101701610 B1 KR 101701610B1 KR 1020150072847 A KR1020150072847 A KR 1020150072847A KR 20150072847 A KR20150072847 A KR 20150072847A KR 101701610 B1 KR101701610 B1 KR 101701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piece
- specimen
- impact force
- tested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64—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은: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시편을 채취하는 시편채취단계와, 시편의 일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형성단계와, 돌출부에 노치를 형성하여 시험편을 완성하는 노치형성단계와, 시험편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시험편냉각단계와, 시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충격력작용단계와,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 균열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을 시험하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에 관한 것이다.
해상 운송에 의한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대형 컨테이너선의 건조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형 컨테이너선에는 극후(極厚)판재의 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극후물 강재는 취성균열에 대한 정지 특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헙법으로는 에쏘(ESSO), 더블텐션(double tension) 시험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05261호(2015.03.17. 등록, 발명의 명칭: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소형의 장비로 강재의 취성균열 정지특성을 신뢰성있게 시험할 수 있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은: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시편을 채취하는 시편채취단계; 상기 시편의 일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형성단계; 상기 돌출부에 노치를 형성하여 시험편을 완성하는 노치형성단계; 상기 시험편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시험편냉각단계; 상기 시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충격력작용단계; 및 상기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 균열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편채취단계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에서 상기 시편보다 작은 너비의 돌출편을 채취하는 돌출편채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형성단계는, 상기 시편 중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일측부에 상기 돌출편을 접합하는 돌출편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편채취단계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에서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크기로 상기 시편을 채취하는 포괄채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형성단계는, 상기 시편 중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일측부를 절삭하여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시편절삭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력작용단계는, 상기 돌출부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험편의 양단부를 안착대에 안착시키는 시험편안착단계; 및 설정 중량의 중량체를 설정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키면서 상기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타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균열확인단계는, 상기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상기 시험편냉각단계에서 가변 적용된 냉각 온도와, 상기 충격력작용단계에서 가변 적용된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은,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채취되는 육면체 형상의 시편부; 상기 시편부 중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일측부에 상기 시편부보다 축소된 너비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노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편부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재질, 두께와 무관하게 일정한 길이, 너비, 두께를 가지고, 상기 노치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와 무관하게 상기 노치와 상기 시편부가 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치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에 의하면,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시험편으로 적용함으로써, 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대형의 시험편과 1000톤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대형의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다 소형의 장비로 강재의 취성균열 정지특성을 효율적이고 신뢰성있게 시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의 채취 위치와 방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시험기로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의 채취 위치와 방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시험기로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의 채취 위치와 방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시험기로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용 시험편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은 시편채취단계(S1), 돌출부형성단계(S2), 노치(notch)형성단계(S3), 시험편냉각단계(S4), 충격력작용단계(S5), 균열확인단계(S6)를 순차적으로 거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편채취단계(S1)에서는 판재의 형상을 가지는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에서 시편(10)을 채취한다. 돌출부형성단계(S2)에서는 시편(10) 중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일측부 상에 돌출부(21)를 형성한다. 노치형성단계(S3)에서는 돌출부(21)에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노치(30)를 형성하여 시험편(1)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는,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의 일측면부와 타측면부의 사이의 중간지점을 포함하는 일부를, 즉 도 2 상에서 시험대상강재(2)의 상면부와 저면부의 중간지점을 포함하는 일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시편부(11)의 너비(w)방향은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동일한 방향인데,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가 시편부(11)의 너비(w)와 동일한 경우,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는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편(1)은 시편부(11), 돌출부(21), 노치(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시편(10)과 돌출편(20)은 하나의 독립된 조각인 상태를 의미하고, 시편부(11)와 돌출부(21)는 일체로 연결된 상태, 또는 시험편(1)이 완성된 상태에서 시험편(1)의 각 부분을 의미한다.
시편부(11)는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에서 채취되고,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시편부(11)는 시험대상강재(2)의 재질, 두께와 무관하게 일정한 길이(l), 너비(w), 두께(t)를 가진다. 즉, 시편부(11)를 이루는 시편(10)은 재질과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시험대상강재(2)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채취된다. 이에 따라, 시험대상강재(2)의 재질과 두께에 따라 일정한 기준으로 취성 균열 정지특성을 시험, 평가(확인,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편부(11)는 길이(l) 130~360mm, 너비(w) 50~90mm, 두께(t) 16~25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시편부(11)의 너비(w)방향은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동일한 방향이므로, 이때 시험대상강재(2)는 그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21)는 시편부(11) 중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일측부 상에 시편부(11)보다 축소된 너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1)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시편부(11)의 일측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간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21)의 길이방향 중간부 상에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방향으로노치(30)를 형성하면, 충격력 작용 시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30)를 중심으로 균열이 발생된 후, 시편부(11)의 폭방향으로 전파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돌출부(21)와 노치(30)를 형성하면, 균열이 시편부(11)의 중간부에서 일괄적으로 발생, 개시될 수 있고, 시편(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시편부(11)의 폭방향으로, 즉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으로 대칭되게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어, 임의의 위치에서 균열이 발생되거나, 임의의 형태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21)와 노치(30)를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시편(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시편부(11)의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전파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돌출부(21)와 노치(3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매시험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균열이 발생되거나, 서로 다른 형태로 균열이 전파되는 것을 서로 비교, 평가하는 경우와 비교해,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21)의 너비는 노치(30)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돌출부(21)의 길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1)을 뒤집어 시편부(11)의 양단부를 안착대(31) 상에 걸칠 수 있도록 시편부(11)보다 짧게(예를 들어, 44.5~63.5mm) 형성된다.
노치(30)는 돌출부(21) 상에 상측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치(30)는 돌출부(21) 전체의 돌출 높이(d1)와 무관하게 노치(30)와 시편부(11)가 일정한 거리(d2)를 가지는 깊이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21) 중 노치(30)가 형성된 부분의 돌출 높이(d2)가 일정한 값을 가진다면, 돌출부(21) 전체의 돌출 높이와 노치(30)의 함몰 깊이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의 에쏘(ESSO), 더블텐션(double tension) 시험법 등에 의하면 50mm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강재를 5m이상의 폭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시편(10)의 일단부의 중간부에 노치(30)를 형성하여 시험편(1)을 제작한 후, 시험편(1)의 양측부에 탭플레이트(tab plate)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고, 탭플레이트에 인장력(890~2500ton)을 부여함과 동시에 시험편의 노치(30)에 충격력(≥1660J, at 83t)을 가하는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압연 강재는 그 가장자리부에 비해 내부가, 즉 두께방향(T) 중간부가 압연력의 영향을 적게 받거나, 보다 느리게 냉각되는 등으로 인해 덜 단련되어 인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취성 균열은 인성이 클수록 적게 발생되므로 상기와 같이 인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강재의 두께방향(T) 중간부에서 시편(10)을 채취하여 충격력 등을 가하면 취성 균열이 보다 작은 에너지로 개시될 수 있어, 후(厚)판재 자체를, 즉 후판재의 전 두께에 걸쳐 인장력을 작용시키지 않고도, 보다 소형의 설비로 판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를 시편부(11) 중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일측부 상에 형성함에 따라, 시험편(1)에 충격력을 작용시킬 시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으로 취성 균열이 전파되므로, 즉 종래의 에쏘(ESSO), 더블텐션(double tension) 시험법 등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취성 균열이 전파되므로, 개시된 균열의 전파를 정지시키기 위한 강재의 저항(arrest) 인성에 대한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획득할 수 있다.
돌출부(21)를 시편부(11) 중 시험대상강재(2)의 폭방향(W)과 나란한 타측부 상에 형성하는 경우, 즉 도 2 상에 직립되게 도시된 시험편(1)을 90°회전시켜 납작하게 누은 형태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시험편(1)을 제작하는 경우, 시험 시 취성 균열이 시험대상강재(2)의 폭방향으로 전파된다. 이때, 시험대상강재(2)는 두께방향(T)의 하나의 지점(point)에서만 균열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인성이 동일한 하나의 지점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므로,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으로 균열이 전파되도록 유도하는 본 발명과는 데이터가 상이하게 도출될 수 있고, 두께방향(T)에 대한 채취높이에 따라서 데이터가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1)를 시편부(11)의 일측부 상에 형성하고,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방향으로 취성 균열이 전파되도록 유도하면, 시편부(11)의 다른 방향으로 균열이 전파되는 경우와, 예를 들어, 폭방향(W) 또는 길이방향(L)으로 균열이 전파되도록 유도하는 경우와 비교해, 개시된 균열의 전파를 정지시키기 위한 강재의 저항(arrest) 인성에 대한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획득할 수 있다.
돌출부(21)는 용접이나, 절삭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21)를 용접에 의해 형성함에 있어서는,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에서 시편(10)보다 작은 너비의 돌출편(20)을 채취하는 돌출편채취단계(S1-1)와, 시편(10)의 일측부에 돌출편(20)을 접합하는 돌출편접합단계(S2-1)를 거쳐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21)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함에 있어서는, 시험대상강재(2)에서 돌출부(21)를 포함하는 크기로 시편(10)을 채취하는 포괄채취단계(S1-2)와, 시편(10) 중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과 나란한 일측부를 절삭하여 돌출부(21)를 형성하는 시편절삭단계(S2-2)를 거쳐 형성할 수 있다.
시험편냉각단계(S4)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편채취단계(S1), 돌출부형성단계(S2), 노치형성단계(S3)를 거쳐 제작된 시험편(1)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액체질소에 의해 설정 온도분위기가 형성된 챔버의 내부에 시험편(1)을 인입시키고, 설정 시간동안 유지함으로써, 시험편(1)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충격력작용단계(S5)에서는 설정 온도로 냉각된 시험편(1)에 충격시험기(3)를 이용해 설정 세기의 충격력을 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충격시험기(3)는 안착대(31), 중량체(32), 충격력집중부(33), 가이드바(34)를 포함한다.
안착대(31)는 시험편(1)의 길이방향(l) 양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면을 제공한다. 중량체(32)는 안착대(31)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설정 높이에서 자유낙하되면서 시험편(1)에 충격력을 가한다. 중량체(32)의 낙하 높이나 중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시험편(1)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증감 조절할 수 있다.
충격력집중부(33)는 중량체(32)의 하부 중간부에 반원형 단면형상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중량체(32)가 시험편(1)에 충돌 시 충격력집중부(33)와의 접촉부, 특히 충격력집중부(33)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노치(30)에 충격력을 집중적으로 작용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바(34)는 중량체(32)가 직하방으로 안정되게 낙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력작용단계(S5)는 시험편안착단계(S5-1)와 타격단계(S5-2)를 포함한다.
시험편안착단계(S5-1)에서는 돌출부(21)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시험편(1)의 양단부를 안착대(31)에 안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30)가 하측을 향하도록 시험편(1)을 뒤집어서 안착대(31)에 안착시키되, 노치(30)가 충격력집중부(33)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위치시킨다.
타격단계(S5-2)에서는 설정 중량의 중량체(32)를 설정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키면서 시험편(1)에 충돌시킨다. 중량체(32)에 의해 충격력을 받은 시험편(1)은, 그 재질, 냉각 온도, 충격력의 세기에 따라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취성 균열이 개시, 전파된다. 도 7의 화살표(점선표시)는 충격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다.
균열확인단계(S6)에서는 시험편(1)의 균열 상태를 확인한다. 균열확인단계(S6)에서는 시험편(1)의 균열 상태를 시험편냉각단계(S4)에서 가변 적용된 냉각 온도와, 충격력작용단계(S5)에서 가변 적용된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확인함으로써, 시험대상강재(2)의 온도에 따른 취성 균열 정지특성을 도출,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1)에 의하면, 시험대상강재(2)의 두께방향(T) 중간부에서 시편(10)을 채취하여 시험편(1)으로 적용함으로써, 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대형의 시험편(1)과 1000톤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대형의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지 않고, 충격시험기(3)에 해당되는 보다 소형의 장비로 강재의 취성균열 정지특성을 효율적이고 신뢰성있게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시험편 2 : 시험대상강재
3 : 충격시험기 10 : 시편
11 : 시편부 20 : 돌출편
21 : 돌출부 30 : 노치
31 : 안착대 32 : 중량체
33 : 충격력집중부 34 : 가이드바
3 : 충격시험기 10 : 시편
11 : 시편부 20 : 돌출편
21 : 돌출부 30 : 노치
31 : 안착대 32 : 중량체
33 : 충격력집중부 34 : 가이드바
Claims (8)
-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시편을 채취하는 시편채취단계;
상기 시편의 일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형성단계;
상기 돌출부에 노치를 형성하여 시험편을 완성하는 노치형성단계;
상기 시험편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시험편냉각단계;
상기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충격력작용단계; 및
상기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 균열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채취단계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에서 상기 시편보다 작은 너비의 돌출편을 채취하는 돌출편채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형성단계는,
상기 시편 중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일측부에 상기 돌출편을 접합하는 돌출편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 삭제
-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 중간부에서 시편을 채취하는 시편채취단계;
상기 시편의 일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형성단계;
상기 돌출부에 노치를 형성하여 시험편을 완성하는 노치형성단계;
상기 시험편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시험편냉각단계;
상기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충격력작용단계; 및
상기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확인하는 균열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채취단계는,
상기 시험대상강재에서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크기로 상기 시편을 채취하는 포괄채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형성단계는,
상기 시편 중 상기 시험대상강재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일측부를 절삭하여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시편절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력작용단계는,
상기 돌출부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험편의 양단부를 안착대에 안착시키는 시험편안착단계; 및
설정 중량의 중량체를 설정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키면서 상기 시험편에 충격력을 가하는 타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확인단계는,
상기 시험편의 균열 상태를 상기 시험편냉각단계에서 가변 적용된 냉각 온도와, 상기 충격력작용단계에서 가변 적용된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2847A KR101701610B1 (ko) | 2015-05-26 | 2015-05-26 |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2847A KR101701610B1 (ko) | 2015-05-26 | 2015-05-26 |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8687A KR20160138687A (ko) | 2016-12-06 |
KR101701610B1 true KR101701610B1 (ko) | 2017-02-01 |
Family
ID=5757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2847A KR101701610B1 (ko) | 2015-05-26 | 2015-05-26 |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16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98249B (zh) * | 2020-09-15 | 2021-10-29 | 东北大学 | 一种利用冲击断口显微硬度分布定性评估钢板止裂韧性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5664A (ja) * | 1993-07-19 | 1995-02-07 | Kawasaki Steel Corp | 破壊靱性試験片への疲労亀裂導入方法 |
CN102472699B (zh) * | 2010-03-04 | 2013-07-17 | 新日铁住金株式会社 | 高强度厚钢板的脆性裂纹传播停止性能的判定方法 |
KR101289905B1 (ko) * | 2011-12-15 | 2013-08-07 | 주식회사 포스코 | 파괴인성 시험장치 |
KR101377865B1 (ko) * | 2012-03-29 | 2014-03-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피로예비균열 생성을 위한 시편정렬장치 |
-
2015
- 2015-05-26 KR KR1020150072847A patent/KR101701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8687A (ko) | 2016-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95487B1 (ja) | 高強度厚鋼板の脆性き裂伝播停止性能の判定方法 | |
CN108885160B (zh) | 冲击试验方法以及装置 | |
KR101701610B1 (ko) | 강재의 취성 균열 정지특성 시험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시험편 | |
WO2012169526A1 (ja) | 溶接検査装置 | |
WO2010007454A3 (en) | Method for in-situ determining the compactness of grainy material layer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process | |
JP2010230666A (ja) | 高強度厚鋼板の脆性き裂伝播停止性能の判定方法 | |
CN104713760B (zh) | 焊接横向裂纹敏感性评价用带横向通槽试件及评价方法 | |
KR20110000428A (ko) | 점용접 시편 제작용 거치대 | |
JPWO2018088273A1 (ja) | Ctod試験片の作製方法および塑性歪調整用治具 | |
KR101320662B1 (ko) | 수소유기균열 측정 시편 제작용 지그 장치 | |
KR100722133B1 (ko) | 용접접합도 평가를 위한 용접부 분리장치 | |
JP5290220B2 (ja) | 落重破壊特性の評価方法 | |
JP2020041966A (ja) | 厚鋼板の品質評価方法 | |
CN207650004U (zh) | 一种用于对落锤试样进行划线的装置 | |
Elfallah | Study on the Influence of Groove shape on the Tensile Strength of Commercial Steel | |
JP2013151028A (ja) | 溶接不良の検知方法および溶接不良の検知装置 | |
KR101257193B1 (ko) | 후판재 용접부 내 균열성 평가 방법 | |
JP2009180646A (ja) | 耐疲労鋼における部分溶け込み溶接の評価方法 | |
KR101481618B1 (ko) | 스트립의 용접 품질 판정 장치 및 판정 방법 | |
KR20220093558A (ko) | 강재의 취성 파괴 정지특성 시험 방법 | |
CN205448892U (zh) | 一种料片尺寸快速检验装置 | |
Jordon et al. | Fatigue evaluation of friction stir spot welds in magnesium sheets | |
Bouchard et al. | Development of a residual stress simulation benchmark for a single bead-on-plate weldment | |
Li | Weld integrity of tailor welded blanks | |
Lee et al. | EFFECT OF IMPACT VELOCITY ON THE INDENTATION OF THICK COMPOSITE LAMIN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