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051B1 -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051B1
KR101701051B1 KR1020150119232A KR20150119232A KR101701051B1 KR 101701051 B1 KR101701051 B1 KR 101701051B1 KR 1020150119232 A KR1020150119232 A KR 1020150119232A KR 20150119232 A KR20150119232 A KR 20150119232A KR 101701051 B1 KR101701051 B1 KR 10170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arphone
wire
delete dele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임
Original Assignee
서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임 filed Critical 서경임
Priority to KR102015011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나 이어폰을 별도 구비할 필요없이 휴대폰 케이스가 충전기와 이어폰을 내장하도록 하고,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만을 휴대함으로써, 휴대폰의 부대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기와 이어폰을 사용구조 및 보관구조로 형태를 변형하고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여, 주변기기를 내장하고도 작은 부피를 유지할 수 있고, 내장되는 이어폰의 이구 삽입이나 착용이 편리하고 신체운동시 잘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내장되는 이어폰은 간편한 방향조절로 이어폰의 이구 삽입부 위치를 조절하여 개인차에 따른 맞춤형 이어폰을 제공하고, 내장되는 충전기의 플러그의 크기가 확장 및 축소되면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MULTIPLE FUNCTION 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케이스에 충전기와 집게 구조로 착용이 편리한 이어폰 및 부피가 확장 및 축소되는 충전기 플러그를 내장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제작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기능만을 하거나, 그와 함께 지갑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보호하는 하나의 기능만으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휴대폰 사용시 필수적인 충전기나 이어폰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휴대폰 케이스에 장식 기능을 가미하여 케이스가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별도의 주변기기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에 필수적인 이어폰 사용시, 이구에 쉽게 삽입되지 않거나 신체동작시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체특징에 따라 이어폰 삽입이 곤란한 문제도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에 필수적 주변기기인 충전기는 플러그의 구조상 모바일기기나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될 수 없고, 별도 구비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2-0033220호 (2003년01월30일)
삭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충전기나 이어폰을 별도 구비할 필요없이 휴대폰 케이스가 충전기와 이어폰을 내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만을 휴대함으로써, 휴대폰의 부대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기와 이어폰을 사용구조 및 보관구조로 형태를 변형하고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여, 주변기기를 내장하고도 작은 부피를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내장되는 이어폰의 이구 삽입이나 착용이 편리하고 신체운동시 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이어폰은 간편한 방향조절로 이어폰의 이구 삽입부 위치를 조절하여 개인차에 따른 맞춤형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내장되는 충전기의 플러그의 크기가 확장 및 축소되면서 견고성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삽입할 수 있는 케이스프레임과,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일측 끝단 쪽에 공간을 마련하여 이어폰, 충전부품 및 플러그를 각각 저장하는 주변기기저장부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상기 휴대폰이 삽입될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어폰잭, 이언폰잭홀더 및 이어폰전선을 구비하는 이어폰연결부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중앙 바닥부에 상기 이어폰 및 플러그의 전선을 각각 전선자동감기장치로 저장하는 전선집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및 플러그의 전선 각각은 필요시 인출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및 충전부품은 상기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폰충전기로서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며, 상기 플러그는 충전하거나 보관할 때 선택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고, 상기 휴대폰을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삽입할 때 상기 이어폰잭을 휴대폰에 삽입하며,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장착된 충전잭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의 구조는, 좌.우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는 제1 및 제2플러그코와,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끝단을 각각 매입하고, 일부분을 원통형으로 하여 내측에 전선부재가 통과될 원통형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코 각각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과,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외주를 감싸며 일측이 길게 돌출되는 손잡이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외주 일부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상호 결합할 수 있는 홈과 돌기를 구비하여, 180도 회전되어 고정되는 플러그손잡이와, 상기 플러그로 전선이 인입되는 위치에 전선꺽임을 방지하는 전선보호부재 및 상기 전선보호부재가 포함될 함몰부와,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스프링 구조 또는 다단의 안테나 구조의 유동적 구조로 마련되는 전선부재와,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끝단 쪽 내주와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 끝단 쪽 외주에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돌기 및 홈과,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끝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끝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을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회전하여 고정한 후, 상기 플러그손잡이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하여 사용상태로 변환하고,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을 제1플러그프레임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플러그손잡이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보관상태로 변환하며,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연장시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끝단에 마련된 상기 끝단돌기에 마찰되어 양 플러그프레임이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내측의 결합구조 제외부가 보다 넓은 공간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을 내측에 삽입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주변기기저장부는, 상기 이어폰이 저장되는 이어폰저장부, 상기 충전부품이 저장되는 충전부품저장부 및 상기 플러그가 저장되는 플러그저장부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전선감기자동장치는, 상기 이어폰의 전선을 자동감기하는 이어폰전선감기장치 및 상기 플러그의 전선을 자동감기하는 플러그전선감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전선집중부는, 바닥에 상기 이어폰전선감기장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된 전선을 상기 이어폰잭까지 연결하는 전선을 매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어폰전선홈과, 바닥에 상기 플러그전선감기장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된 전선을 상기 충전부품까지 연결하는 전선을 매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플러그전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기기저장부에 포함된 각각의 저장부에 전선인출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 상기 충전잭을 상기 휴대폰으로 삽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개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의 상면에 상기 충전잭 이동을 안내하는 개구부와, 상기 이어폰저장부 및 플러그저장부에 상기 이어폰과 플러그의 안정적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함몰부와, 상기 이어폰저장부 및 플러그저장부에 각각의 주변기기가 출입되는 문으로 개폐 가능한 개구부로 마련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코드릴구조로 된 상기 전선감기장치에 부속되는 전선감기버튼이 노출될 개구부와, 상기 이어폰연결부에 상기 이어폰잭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집중부를 커버하여 상기 전선집중부 상부로 휴대폰을 삽입하고, 상기 주변기기를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끝단 쪽으로 구비하여 필요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집중부는, 상기 이어폰전선감기장치로서 상기 이어폰의 전선을 저장하기 위해 코드릴 구조로 마련되는 이어폰전선저장부와, 상기 이어폰전선저장부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어 이어폰전선저장부의 하부를 지나 이어폰잭까지 연결되는 이어폰전선과, 상기 플러그전선감기장치로서 상기 플러그전선 저장을 위해 코드릴 구조로 마련되는 플러그전선저장부와, 상기 플러그전선저장부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어 플러그전선저장부의 하부를 지나 상기 충전부품까지 연결된 플러그전선과,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에서 각각의 전선 인출시 가장 낮은 마찰이 예상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선 인출을 유도하는 개구부와,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에 부속되는 부품 및 전선감기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의 코드릴 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각각의 전선을 인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집중부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전선을 저장하면서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각각의 인출을 유도하는 개구부 주위나 상기 전선집중부의 전선이 지나가는 위치에 상기 개구부와의 마찰을 감소하고 전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 개의 베어링이 하나의 상판을 구비하여 두 베어링 사이로 상기 전선이 유통되며, 상기 베어링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판의 형태를 변형한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은, 소리를 생성하는 부품이 형태를 변형하여 마련되는 소리생성부와, 생성된 소리를 중심으로 모아 전달하기 위해 나팔형태로 마련된 소리집결부재와, 생성된 소리를 헤드부로 전달하기 위해 소리를 전달하는 통로로서, 유동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는 프레임소리관과, 사각기둥 또는 모서리 둥근 사각 기둥 등의 형태로 마련되며, 소리생성부의 반대편 끝단쪽에 구 형태의 헤드축을 포함하도록 형태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축의 일부가 노출되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한 제1이어폰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소리관을 통해 전달받은 소리를 이구로 배출하는 좁은 관으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 내에서 상기 프레임소리관과 접하여 마련되며, 구 형태의 상기 헤드축을 관통하고,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소리 배출의 종착점까지 연장되는 헤드소리관과, 상기 헤드소리관의 방향이 바뀌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소리관의 끝단까지 커버하며, 절두된 원추 형태로 마련되어 좁은 면이 상기 헤드소리관의 끝단을 감싸며, 넓은 면에 헤드조절돌기를 구비한 헤드덮개를 포함하는 이어폰헤드와,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과 동일한 형태의 얇은 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을 향하여 유사 톱니 형태의 돌기가 일측에 구비되고 반원형태의 보다 큰 돌기축이 구비되는 제2이어폰프레임과,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주 일부분에도 유사톱니형태의 돌기와 반원 형태의 보다 큰 돌기축을 더 구비하고, 두 이어폰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두 이어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집게기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부재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헤드의 방향을 조절하여 이구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분리부의 두 전선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전선 형태를 마련하고, 지프를 구비하여 분리된 두 전선을 상기 지프를 이용해 결합하여 저장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지프를 이동해 분리하여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전선 및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보호부재의 구조는, 원통형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과 접하는 끝단은 전선을 견고히 감싸며,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원추 형태의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여 전선휘어짐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저장부의 구조는 상기 플러그의 상·하면을 개방하도록 형태를 마련하고, 상기 플러그저장부에 상기 플러그와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돌기나 홈을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품은,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부품의 집합체인 PCB판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서 상기 휴대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충전 상태가 되고, 미충전시에도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충전잭과, 상기 충전잭과 결합되고, 충전잭이동안내로를 통해 상부가 노출되면서, 상부에 이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잭이동안내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잭의 휴대폰 삽입을 리더하는 충전잭홀더와, 상기 충전잭과 PCB판넬부를 연결하면서 유동성 있는 구조의 전선 또는 부품형태로 마련되는 충전잭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 내장된 충전잭이 슬라이딩되어 충전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별도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에서 인출한 플러그를 전기콘센트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휴대폰 케이스에서 이어폰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주변기기 휴대의 번거로움이 감소되며, 휴대폰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충전기와 이어폰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할 수 있다.
삭제
또한,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이어폰은 집게구조로 착용이 간편하며, 신체동작시 잘 이탈되는 않아 이어폰 사용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이어폰과 충전기의 플러그는 전선 노출이 적고 전선 엉킴 우려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고, 주변정리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자체의 변형 없이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만으로 주변기기를 휴대폰에 장착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낸 상측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주변기기들을 인출하고, 전선집중부 커버를 분리하여 전선집중부의 내부 및 부품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이어폰전선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도 및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품저장부 및 충전부품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 및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품저장부 및 충전부품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이어폰부품을 분리하여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및 분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보관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부품을 분리하여 구조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부품을 분리하여 구조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프레임의 플러그저장부를 나타낸 상측 부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사용상태 및 보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는 케이스프레임(110), 전선집중부(130), 전선집중부덮개(140), 주변기기 저장부(150), 이어폰(160), 충전부품(190), 플러그(200), 이어폰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이어폰 및 충전기를 내장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집계구조로 귀에 쉽게 착용 가능하고, 신체 운동시 잘 이탈되지 않는 부피가 작은 이어폰 및 충전부품, 충전기플러그가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며, 플러그 구조를 변형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효과적으로 내장할 수 있는 충전기가 내장된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는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구조는 중앙부에 휴대폰 삽입이 가능하며, 중앙하부에 전선자동감기장치가 내장되는 공간인 전선집중부(130), 케이스프레임(110)의 한쪽 끝단에 주변기기를 저장하는 공간인 주변기기저장부(150), 반대쪽 끝단에 이어폰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간인 이어폰연결부(220)가 구비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닥부에 이어폰전선저장부(131)의 중심부 쪽에서 이어폰잭(211)까지 연장되는 이어폰 전선을 매입하는 이어폰전선홈(111), 플러그전선저장부(132)의 중심부쪽에서 충전부품(190)까지 연장되는 전선을 매입하는 플러그전선홈(112)이 마련되며, 주변기기저장부(150)와 휴대폰삽입부(230)를 구분하는 판 형태의 제1프레임구분판(113), 주변기기저장부(150) 내에서 이어폰저장부(151), 충전부품저장부(152), 플러그저장부(153)를 구분하기 위해 판 형태로 마련되는 제2 및 제3프레임구분판(114)(115)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상기 제1프레임구분판(113)에 의해 주변기기저장부(150)가 마련되며, 제2 및 제3프레임구분판(114)(115)에 의해 이어폰저장부(151), 충전부품저장부(152), 플러그저장부(153)가 구분되어 마련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케이스프레임(110)의 중앙 하부는 전선집중부(130)가 되며 전선집중부(130)를 전선집중부덮개(140)가 커버한다. 이때, 전선집중부덮개(140) 상부로 휴대폰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스프레임(110)의 상세구조 및 용도를 설명하면, 상기 제1프레임구분판(113)의 이어폰저장부(151)위치에 제1전선인출구(116), 플러그 저장부(153) 위치에 제2전선인출구(117)가 구비되어 전선집중부(130)에 저장된 이어폰전선과 플러그전선이 각각의 전선인출구(116)(117)를 통해 인출 및 인입되며, 각각의 전선인출구(116)(117) 주변에는 전선집중부(130)에 마련된 코드릴구조에 의해 전선이 자동인입될 때, 주변기기가 안정적으로 저장부에 착지될 수 있도록 적합한 형태를 구비한 함몰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1플레임구분판(113)의 충전부품저장부(152) 위치에 충전잭 이동을 위한 개구부로 충전잭이동구(118)를 포함하며, 충전부품저장부(152)의 상면에 충전잭(193)과 고착된 충전잭홀더(194)를 슬라이딩 하기 위해 충전잭이동안내로(119)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충전잭이동안내로(119)를 통해 충전잭홀더(194)를 슬라이딩하면 충전잭홀더(194)와 일체화된 충전잭(193)이 개구부를 통해 휴대폰의 충전잭삽입구로 삽입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어폰과(160), 플러그(200)가 출입될 개구부인 이어폰덮개(120), 플러그덮개(121)가 케이스프레임의 적합한 위치에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전선집중부(130) 양 측면에는 이어폰전선저장부(131) 및 플러그전선저장부(132)와 연결된 전선감기버튼(137)이 돌출될 위치에 버튼노출을 위한 개구부인 제1 및 제2버튼개구부(123)(124)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바닥 중앙부에 마련되는 전선집중부(130)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중앙부 바닥 상부에는 이어폰전선을 코드릴 구조에 의해 충분한 길이로 저장한 이어폰전선저장부(131), 이어폰전선저장부(131)의 중심부 전선에서 연장되어, 이어폰전선저장부(131)의 하부에 마련된 이어폰전선홈(111)을 지나 이어폰잭(221)까지 연결된 이어폰전선(134), 동일한 방식으로 플러그 전선을 저장한 플러그전선저장부(132), 플러그전선저장부(132)의 중심부 전선에서 연장되어, 플러그전선저장부의 하부에 마련된 플러그전선홈(112)을 지나 충전부품(190)까지 연결된 플러그전선(135), 코드릴구조 전선감기장치의 필수부재로서 전선 자동감기를 지시하는 전선감기버튼(137)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어폰 및 플러그전선의 사용구조는 자동선선감기장치에 연결된 전선감기버튼(137)을 조작하여 전선을 자동 인입하며 주변기기인 이어폰이나 플러그를 당기면 전선이 길게 인출된다. 전선저장부와 전선감기버튼의 상세구조와 원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어폰전선저장부(131)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는 전선은 케이스프레임(110)의 바닥에 마련된 이어폰전선홈(111)에 매입되어 바닥부를 지나 이어폰연결부(220)에 내장된 이어폰잭(221)까지 연결되며, 이어폰전선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인출되는 전선은 전선집중부(130)의 공간을 지나 제1전선인출구(116)를 통해 이어폰저장부(151)에 저장된 이어폰(160)까지 연결되어 이어폰을 당기면 인출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플러그전선저장부(132)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는 전선은 케이스프레임(110)의 바닥에 마련된 플러그전선홈(112)에 매입되어 바닥부를 지나 충전부품저장부(152)에 내장된 충전부품(190)까지 연결되며, 플러그전선저장부(132)에 저장되어 인출되는 전선은 전선집중부(130) 공간을 지나 제2전선인출구(117)를 통해 플러그저장부(153)에 저장된 플러그(200)까지 연결되어 플러그를 당기면 인출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이어폰전선저장부(131)와 플러그전선저장부(132)는 전선 인출시 최대한 낮은 마찰을 일으키는 위치에 전선배출을 안내하는 개구부인 전선배출구(136)를 구비하며 ,상기 전선배출구(136)의 끝단 주위로 전선이탈을 방지하도록 형태를 마련한 베어링(133)이 장착되어 전선인출시 마찰을 감소시키고 전선인출을 촉진한다. 또한 전선집중부(130)내의 전선이 지나갈 임의의 위치에도 베어링(133)이 구비되어, 베어링(133)은 전선 이동안내로 및 전선인출 촉진의 기능을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베어링의 구조는 두 개의 베어링에 하나의 상판이 덮인 형태로 전선이 두 베어링 사이로 유통되며, 베어링의 상판은 베어링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형태를 변형하여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의 주변기기저장부(150) 반대쪽 끝단은 이어폰잭(211)과 이어폰잭홀더(222), 이어폰전선(223)을 포함한 이어폰연결부(210)가 마련된다. 이어폰잭(211)의 끝단은 휴대폰삽입부(230) 방향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반대쪽 끝단은‘ㄱ’자로 형성된 이어폰잭홀더(222)에 매입된 상태로 이어폰전선홈(111)을 통해 유입된 어어폰전선과 연결되며, 이어폰연결부(210)에 고정된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설명과 같이 이어폰이나 플러그에 필요한 전선을 케이스의 바닥에 저장함으로써 코드릴구조의 전선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는 이어폰(160)이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이어폰(160)은 제1이어폰프레임(161), 이어폰헤드(169), 제2이어폰프레임(174)을 포함하여 마련되며 전체 구조가 집게 형식을 취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신체동작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의 외형은 전체 이어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긴육면체나, 모서리 둥근 긴 육면체 등이 변형된 형태로 마련되며 약간 휘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이어폰프레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 한쪽 끝단에, 종래의 이어폰에 내장되어 소리를 생성하는 부품이 소리생성부(166) 내에 마련되며, 소리생성부에 내장되는 소리생성부품(167)은 제1이어폰프레임 외형에 맞추어 형태를 변형하여 내장된다. 소리생성부품(167)에 포함되는 부품의 종류나 기능 등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이어폰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소리생성부(166)의 끝단에는 생성된 소리를 중심으로 모아 프레임소리관(165)을 통해 이어폰헤드(169)로 전달할 수 있도록 나팔형태의 소리집결부재(168)가 마련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의, 소리생성부(165) 반대쪽 끝단 내측으로, 구 형태의 헤드축(170)이 삽입될 공간이 마련되며, 끝단에 원형 개구부인 헤드축노출구(16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에 삽입된 헤드축은 헤드축노출구(162)를 통해 노출되어 헤드축(170)의 중심부를 관통한 헤드소리관(17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1이어폰프레임(161) 외부로 연장된 헤드소리관(171)을 조절하면, 헤드소리관(171)이 헤드축노출구(162)의 테두리에 접촉되는 범위 내에서, 헤드소리관과 연결된 이어폰헤드축이 회전되어 이어폰헤드의 방향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는 소리집결부재(168)의 소리배출구 끝단과 헤드소리관(171)의 끝단을 연결하는 좁은관인 프레임소리관(165)이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소리관(165)은 유연성 있는 소재로 느슨하게 마련되어, 헤드축(170)이 회전될 때 연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소리생성부(166)에서 생성된 소리가 프레임소리관(165)을 지나 헤드소리관(171)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1이어폰프레임(161)의 하부측 외주의 테두리에는 일정 부분에 유사 톱니 모양의 돌기인 제1집게돌기(163)가 구비되며, 제1집게돌기(163)가 있는 테두리의 일정위치에 반원형태의 보다 큰 돌기인 제1집게축(164)이 구비되어 이어폰 전체가 집게 구조를 형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어폰(160)에 포함되는 이어폰헤드(169)는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 구 형태의 헤드축(170)이 마련되고 헤드축을 관통하는 좁은 관 형태의 헤드소리관이(171)이 마련된다.
삭제
삭제
이때 헤드소리관(171)은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부에서 시작되어 구 형태인 헤드축(170)을 관통하여 제1이어폰프레임(161) 외부로 연장되고 제1이어폰프레임(161) 외부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끝단이 이구쪽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삭제
삭제
상기의 헤드소리관(171)의 방향 전환 부분에서 헤드소리관(171)의 끝단까지 헤드소리관(171)을 감싸는 헤드덮개(172)가 마련된다. 상기 헤드덮개(172)는 절두된 원추형태로 마련되어 좁은 부분이 소리배출구보다 돌출되어 딱딱한 헤드소리관(171)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때 절두된 원추형태의 헤드덮개(172)는 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이구 크기에 부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헤드덮개(172)의 소재는 유연성 있거나 압력을 가했을 때 형태가 변할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이구와의 밀착 강도를 높이고 착용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마련되며, 헤드덮개(172)의 상부에는, 이어폰헤드 조절시 손잡이 역할을 하기 위해, 돌출된 헤드조절돌기(173)가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의 끝단에 마련된 헤드축노출구(162)를 통해 헤드축(170)의 일부가 노출되며 헤드조절돌기(173)를 조절하여 헤드축(170)을 회전할 수 있으며 헤드축(170)의 회전에 의해, 헤드축(170)을 관통한 헤드소리관(171)이 헤드축노출구(162)의 테두리에 마찰되는 범위 내에서 이어폰헤드(169)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이어폰(160)에는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마주보도록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동일 형태의 얇은 판인 제2이어폰프레임(174)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이어폰프레임(174)에는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마찬가지로 유사 톱니형태의 제2집게돌기(175)와 제2집게축(176)이 구비되어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제2이어폰프레임(174)이 마주 접하며, 포개어진 제1 및 제2집게축(164)(176)에 두 프레임을 결합하는 프레임결합부재(177) 및 부재고정구(178)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이어폰프레임(161)(174) 사이에 탄성부재(179)가 구비하여 이어폰에 집게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의 구조를 일례로 설명하면 작은 집게 형식의 머리핀 구조를 이어폰에 응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60)의 전선은 좌·우 이어폰전선이 분리되는 지점까지 지프를 이용해 두 전선을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형태는 파우치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응용한 것으로 한쪽 전선이 상대 전선에 마련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태를 구비한다. 즉, 이어폰 전선의 일정한 위치에 지프(181)를 구비하여 전선 저장시는 지프(182)를 이어폰(160)까지 이동하여 두 전선을 결합하고, 이어폰 사용시는 지프를 이동하여 두 전선을 분리하여 사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어폰(160)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이어폰은 종래의 이어폰의 형상을 벗어나 약간 휘어진 긴 직사각기둥이나 모서리 둥근 직사각기둥 등이 변형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어폰의 전선은 코드릴 구조의 전선저장장치인 이어폰전선저장부(131)에 저장되고, 이어폰은 휴대폰 케이스의 이어폰저장부(151)에 저장되었다가 필요시 저장된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며 좌·우이어폰과 연결된 두 전선은 지프를 이용해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지프를 이용해 결합된 전선은 이어폰전선저장부(131)로 인입되며, 이어폰 사용시 다시 분리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어폰(160)의 구조는 제1 및 제2이어폰프레임(161)(174)과 이어폰헤드(169)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각기둥 등의 형태인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 이어폰 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제1이어폰프레임(161)의 외형에 부합되도록 형태를 변형하여 소리생성부(166)에 내장되며, 생성된 소리는 소리집결부재(168)에 의해 중심으로 모여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 있는 프레임소리관(165)을 지나 헤드소리관(171)으로 전달된다.
헤드소리관(171)은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서 시작되어 구 형태인 헤드축(17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방향이 전환되어 이구를 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이어폰프레임(161) 내에 헤드소리관(165)을 감싸며 구 형태로 마련된 헤드축(170)은 헤드축노출구(162)에 의해 일부가 노출되고 헤드축노출구(162) 범위내에서 헤드조절돌기(173)를 이용해 이어폰헤드(169)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헤드소리관(171)의 방향이 전환된 부분에서 헤드소리관(171)의 끝단까지 절두된 원추형태의 헤드덮개(172)가 헤드소리관(171)을 감싸며 마련된다.
이때 헤드덮개(172)의 좁은 면이 헤드소리관(171)의 끝단을 감싸며 헤드소리관(171) 보다 돌출되게 마련되며, 헤드덮개(172)의 상면에 돌출된 헤드조절돌기(173)를 구비한다. 또한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같은 형태의 얇은 판인 제2이어폰프레임(174)이 마련되어 제1이어폰프레임(161)과 마주 접하여 집게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161)의 하면 외주와 제2이어폰프레임(174)에 제1 및 제2집게돌기(163)(175)와, 제1 및 제2집게축(164)(176)을 구비하고 두 프레임 사이에 프레임결합부재(177) 및 탄성부재(179)를 구비하여 이어폰에 집게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이어폰은 착용이 편리하고 신체동작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충전기는 충전을 위한 부품과 플러그를 제2 및 제3프레임구분판(114)(115)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저장하고 플러그(200)는 형태를 변형하여 크기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충전부품이 충전부품저장부(152)에 내장되어 충전잭(193)이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충전기는 충전기 부품이 플러그와 분리된 공간에 즉, 충전부품저장부(152)에 저장된다. 상기 충전부품저장부(152)는 충전을 위한 부품집합체인 PCB판넬부(191), 충전잭(193), 충전잭홀더(194), 충전잭연결부재(192)를 포함한다. 상기의 충전부품저장부(152)에 저장된 충전잭(193)은 슬라이딩하여 휴대폰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충전잭연결부재(192)는 충전을 위한 핵심 부품부인 PCB판넬부(191)와 충전잭(193)을 연결하는 부재로 수축·이완 가능한 전선부재로 마련되거나 다른 부품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잭홀더(194)는 충전잭(193) 끝단을 매입하거나 상부에서 고정하여, 충전잭(193) 및 충전잭연결부재(192)를 커버하고, 충전잭홀더(194)의 상면이 충전잭이동안내로(120)를 통해 노출되어, 충전잭(193) 이동시 충전잭홀더(194) 상면에 돌출된 홀더돌기(195)를 슬라이딩하여 충전잭(193)을 휴대폰에 삽입하거나 삽입해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충전잭(193)은 휴대폰을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에서 충전잭(193)을 휴대폰 방향으로 밀어,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10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충전시에는 전류공급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플러그(200)의 사용상태 및 보관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플러그(200)의 부품을 분리하여 구조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삭제
삭제
먼저 도 8를 참조하여 플러그(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플러그(200)는 전체가 좌·우 분리되어 구비된다. 우선 종래의 플러그에서 콘센트 삽입부분에 해당되는 플러그코(201)(202)가 좌.우 각각 마련되고 각 플러그코의 한쪽 끝단에 사각기둥 형태의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203)(204)이 각각의 플러그코(201)(202)와 반대방향으로 마련되어 플러그코를 매입하여 고정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203)(204) 각각의 플러그코 매입부를 제외한 일부분은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제2플러그프레임(204)이 제1플러그프레임(203)에 삽입되고 제1플러그프레임(203) 외주를 플러그손잡이(212)가 감싸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203)(204)의 내부는 중심부에 원통형의 공간인 제1및 제2프레임개구부(207)(208)를 마련하여 전선부재(215)가 통과되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207)(208) 각각의 원통부(205)(206)는 두께를 달리하여 제2플러그프레임(204)이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끝단 쪽 내주와 제2플러그프레임(204) 끝단 쪽 외주에 나선 모양 등과 같은 두 플러그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210)와 결합홈(209)이 구비된다. 즉 제1플러그프레임(203)은 암나사에 해당되고 제2플러그프레임(204)은 수나사에 해당되도록 결합홈과 돌기가 구비된다. 이때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측의 결합돌기가 없는 안쪽 부분은 결합돌기부보다 더 넓게 마련되어 제2프러그프레임(204)이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끝단은 내측으로 끝단돌기(211)를 형성하여 삽입된 제2플러그프레임(204)이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플러그(200)를 확장 및 축소하는 원리는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끝단 쪽으로 이동한 후 회전하여 두 플러그프레임을 고정하면, 너비가 가장 큰 형태인 사용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슬라이딩하여 확장할 때 제1플러그프레임(203) 끝단에 마련된 끝단돌기(211)에 걸려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다. 반대로 플러그프레임을 축소하여 보관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확장된 두 플러그프레임의 결합을 해제한 후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보다 넓게 마련된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측으로 밀어 보관형태로 변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된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외주에 플러그손잡이(212)가 결합된다. 플러그손잡이(212)는 제1플러그프레임(203)을 원통형으로 감싸고 외주 일부에 손잡이가 길게 연장되며, 손잡이의 원통형 내주에 손잡이결합돌기(213)가 마련되고, 제1플러그프레임(203) 외주에 손잡이결합홈(214)을 구비하여, 플러그손잡이(212)가 제1플러그프레임의 외주를 감싸고 회전하는 형태가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된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외주에 마련된 손잡이결합홈(214)은 일부분에 막힘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된 손잡이를 180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형태가 마련된다. 또한 플러그손잡이(212)를 180도 회전하면 손잡이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의 크기에 변화를 부여하여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구조로, 플러그를 사용할 때는 상기 플러그손잡이(202)를 플러그코(20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하고, 플러그코(201) 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러그 전체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상태가 된다. 각각의 플러그프레임(203)(204) 내부에 플러그코와 연결된 전선부재(215)가 마련되며, 전선부재(215)는 플러그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때 각각의 플러그프레임(203)(204)에 연동되어 이완 및 축소되도록 스프링구조로 마련되거나 다단으로 연결된 안테나 구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축· 이완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로(200)로 전선이 인입되는 위치에 전선보호부재(216)를 포함할 함몰부(21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전선은 제1플러그프레임(203)의 끝단 쪽으로 치우쳐 인입되며, 전선 꺽임을 방지하기 위해 함몰부(217) 내에 전선보호부재(216)를 포함한다. 이때 전선보호부재(216)의 내측은 플러그프레임(203)과 접한 끝단은 전선을 견고히 고정하고 반대편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공간을 구비하여, 전선보호부재(216) 내에서 전선이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플러그를 종합설명하면, 좌·우 분리되어 마련된 각 플러그코(201)(202)의 끝단이 반대방향으로 좌·우 분리되어 마련된 각각의 플러그프레임(203)(204)에 매입되며 플러그프레임의 일부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너비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플러그프레임을 변형하는 구조는 플러그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원통형 개구부(207)(208) 및 끝단 쪽으로 결합돌기(210)와 결합홈(209)을 마련하여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측에 삽입된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슬라이딩한 후 고정하여 사용상태가 되고, 고정을 해제한 후 제2플러그프레임(204)을 제1플러그프레임(203) 내측으로 삽입하여 보관상태가 된다. 또한, 플러그프레임 각각의 개구부(207)(208) 내측으로 스프링 형태 등의 전선부재(205)가 마련되어 플러그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수축·이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203) 외주를 감싸고 일부가 길게 연장되는 플러그손잡이(212)가 마련되고 플러그손잡이(212)의 내주에 손잡이결합돌기(213), 제1플러그프레임(203) 외주에 손잡이결합홈(214)을 구비하여 손잡이를 180도 회전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러그손잡이(212)는 플러그코(20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보관상태가 되며 플러그코(201)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상태가 된다.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203)에는 전선이 인입되는 위치에 함몰부(217)가 마련되어 전선꺽임을 방지하는 전선보호부재(216)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기재한다. 본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실시예와 기본 구조와 원리는 같으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어폰과 플러그 및 플러그저장부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플러그2(2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이어폰은 통용되고 있는 작은 이어폰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플러그2의 부품들을 각각 나타낸 분리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플러그2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러그2는 플러그코(241), 플러그프레임(242), 플러그케이스(244), 플러그코돌출구(251), 이동돌기(243), 이동돌기안내로(245), 안내로함몰부(246), 안내로덮개(247), 덮개삽입부(248), 덮개이동로(249), 걸림돌기(250), 전선부재(252), 전선보호부재(253) 등 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플러그케이스(244)는 납작한 육면체 형태로 내부에 플러그코(241)와 플러그코(241) 끝단을 매입한 플러그프레임(242)을 내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중앙부의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개구부인 이동돌기안내로(245)가 구비된다. 이동돌기안내로(245)를 중심으로 좌.우방 일부는 플러그케이스(244)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안내로함몰부(246)를 구비한다. 즉, 이동돌기안내로(245)는 상기 안내로함몰부(246)의 중앙에 길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플러그케이스(244)의 상·하면에, 사각판 형태의 안내로덮개(247)를 삽입하기 위해, 안내로덮개(247) 형상으로 함몰된 덮개삽입부(249)가 마련된다. 이때, 덮개삽입부(24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돌기안내로(245)의 끝단을 배제하고 마련된다. 상기 덮개삽입부(249)에는 안내로덮개(247) 중심부에 마련된 덮개이동로(249) 내측으로 통과되어 돌출되는 걸림돌기(250)가 상·하면에 구비된다. 이때 걸림돌기(250)에 안내로덮개(247)가 걸려있는 구조, 즉, 안내로덮개(247)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개구부인 덮개이동로(249)에 걸림돌기(250)가 삽입된 구조로 마련되며, 걸림돌기(250)의 상부는 덮개이동로(258)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어 안내로덮개(247)가 플러그케이스(244)에서 이탈되지 못하며, 걸림돌기(250)에 걸린 안내로덮개(247)는 덮개이동로(249)를 따라 양쪽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10, 11 및 13을 참조하여 상기 플러그케이스(244)의 구조를 설명하면, 플러그케이스(244)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돌기안내로(245)가 마련되고, 이동돌기안내로(245)의 좌·우방 일부분은 안내로함몰부(246)가 마련되며, 이동돌기안내로(245)를 통해 플러그케이스(244)의 내부에서 돌출된 이동돌기(243)는 안내로함몰부(246) 내에서 이동돌기안내로(245)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안내로함몰부(246) 위로 덮개삽입부(249)가 접하여 마련되며, 덮개삽입부(249)에 안내로덮개(247)가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로덮개(247)는 전체 플러그케이스(254) 높이 보다 낮게 마련되며, 플러그케이스(254)의 덮개삽입부(249)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50)는 덮개이동로(249)를 통과하여 안내로덮개(247)보다 돌출되어 마련된다. 즉, 걸림돌기(250)의 상면과 플러그케이스(244)의 상면은 평평하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이동돌기(243)의 상부는 돌기 보다 넓게 마련되어 안내로함몰부(246) 내에서 손잡이 역할을 하며, 걸림돌기(250)의 상부도 보다 넓고 납작하게 마련되어 안내로덮개(247)가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플러그케이스(244)에서 플러그코(241)가 돌출될 일측면에 개구부인 플러그코돌출구(251)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2는 플러그케이스(244) 내측에 마련되어 슬라이딩되는 플러그프레임(242)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프레임(242)의 형태는 플러그프레임(242)이 플러그케이스(244)의 내부와 밀착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플러그케이스(244) 내부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태와 크기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프레임(242)은 플러그프레임(242)의 일측에 플러그코(241)를 매입하고, 상면에 돌출된 이동돌기(243)를 구비하여, 플러그케이스(244)에 마련된 이동돌기안내로(245)를 따라 이동돌기(243)를 슬라이딩하여 플러그코(241)가 돌출된 사용상태 또는 돌출 해제한 보관상태로 변형되게 한다. 또한 플러그프레임(242) 내측에 플러그코와 연결된 전선이 구비되며, 플러그의 전선인입부에서 플러그프레임(242) 인입부까지 연장된 전선은 수축·이완 가능한 스프링 구조 등의 전선부재(252)로 마련되며, 이러한 구조는 플러그프레임(242)을 슬라이딩할 때 연동되어 수축·이완됨으로써 전류 단절없이 플러그프레임(242)을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플러그2의 플러그케이스(244) 상·하면으로 납작한 사각판 형태의 안내로덮개(247)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로덮개(247)는 상판과 하판이 동일하게 형성된 사각판이 마련되고, 상기 사각판의 끝단 사이에 다른 사각판이 반대방향으로 마련되어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안내로덮개(247)의 상·하면에 안내로덮개(247)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개구부인 덮개이동로(249)가 구비된다. 덮개이동로(249)는 덮개삽입부(248)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50)를 이동축으로하여 안내로덮개(247)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며, 상기 덮개이동로(249)와 걸림돌기(250)의 상호작용에 의해 안내로덮개(247)가 덮개삽입부(248)로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제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안내로덮개(247)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된 걸림돌기(250) 끝단에 의해 안내로덮개(247)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플러그2의 전선인입부에는 내부에 공간을 포함한 원통형의 전선보호부재(253)가 마련되며, 전선보호부재(253)의 플러그와 접하는 끝단은 전선을 견고히 감싸며 ,반대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공간을 마련하여 전선보호부재(253) 내에서 전선이 낮은 각도로 휘어지도록 공간을 마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플러그케이스(244)의 전선인입부가 있는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정돌기(254)를 구비하여 플러그2를 플러그저장부에 견고히 고정되게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2의 외부 양 측면에도 결합구조가 더 마련되어 플러그2가 플러그저장부에 안정감 있게 삽입되도록 형태를 마련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케이스프레임(110)에 마련된 플러그저장부(153)에 내장되거나 플러그 일부가 노출되어 플러그저장부에 삽입·보관될 수 있다. 즉, 케이스프레임(110)의 플러그저장부 형태를 플러그의 양 측면만을 커버하는 개방형으로 형성하고,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저장부와 플러그가 서로 접하는 면에 고정홈(255)을 구비하여 플러그를 삽입·보관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플러그2의 변형구조를 종합설명하면, 플러그코(241)의 끝단을 매입한 상기 플러그프레임(242)은 플러그케이스(244)에 내장되고, 플러그프레임(242)에서 돌출된 이동돌기(243)가 플러그케이스(244)에 마련된 이동돌기안내로(24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플러그코가 돌출되어 사용구조가 되거나 삽입되어 보관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케이스(244)의 상·하·측면 일부를 감싸는 안내로덮개(247)는 플러그케이스(244)에 마련된 이동돌기안내로(245)를 커버하며, 플러그를 사용구조나 보관구조로 변환하기위해 이동돌기(243)를 이동돌기안내로(245)의 끝단까지 이동한 후 안내로덮개(247)를 삽입하여 이동돌기(243)의 이동로를 차단하면 이동돌기(243)와 일체로 마련된 플러그프레임(242)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플러그2의 형태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안내로덮개(247)를 플러그케이스(244) 외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이동돌기(243)의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플러그코(241)가 이동되며, 안내로덮개(247)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보관구조나 사용구조의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안내로덮개(247)는 안내로덮개(247)의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개구부인 덮개이동로(248)를 구비하여, 덮개삽입부(248)의 일정한 위치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50)를 축으로 이동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즉, 안내로덮개(247)는‘못’형상의 걸림돌기(250)와 덮개이동로(249)의 작용에의해 슬라이딩되며 플러그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휴대폰 케이스 110 : 케이스프레임
111 : 이어폰전선홈 112 : 플러그전선홈
113 : 제1프레임구분판 114 : 제2프레임구분판
115 : 제3프레임구분판 116 : 제1전선인출구
117 : 제2전선인출구 118 : 충전잭이동구
119 : 충전잭이동안내로 120 : 이어폰덮개
121 : 플러그덮개 122 : 이어폰잭돌출구
123 : 제1버튼개구부 124 : 제2버튼개구부
125 : 제1함몰부 126 : 제2함몰부
130 : 전선집중부 131 : 이어폰전선저장부
132 : 플러그전선저장부 133 : 베어링
134 : 이어폰전선 135 : 플러그전선
136 : 전선배출구 137 : 전선감기버튼
140 : 전선집중부덮개 150 : 주변기기저장부
151 : 이어폰저장부 152 : 충전부품저장부
153 : 플러그저장부 160 : 이어폰
161 : 제1이어폰프레임 162 : 헤드축노출구
163 : 제1집게돌기 164 : 제1집게축
165 : 프레임소리관 166 : 소리생성부
167 : 소리생성부품 168 : 소리집결부재
169 : 이어폰헤드 170 : 헤드축
171 : 헤드소리관 172 : 헤드덮개
173 : 헤드조절돌기 174 : 제2이어폰프레임
175 : 제2집게돌기 176 : 제2집게축
177 : 프레임결합부재 178 : 부재고정구
179 : 탄성부재 180 : 전선분리부
181 : 지프 190 : 충전부품
191 : pcb판넬부 192 : 충전잭연결부재
193 : 충전잭 194 : 충전잭홀더
195 : 홀더돌기 200 : 플러그
201 : 제1플러그코 202 : 제2플러그코
203 : 제1플러그프레임 204 : 제2플러그프레임
205 : 제1프레임원통부 206 : 제2프레임원통부
207 : 제1프레임개구부 208 : 제2프레임개구부
209 : 결합홈 210 : 결합돌기
211 : 끝단돌기 212 : 플러그손잡이
213 : 손잡이결합돌기 214 : 손잡이결합홈
215 : 전선부재 216 : 전선보호부재
217 : 함몰부 220 :이어폰연결부
221 : 이어폰잭 222 : 이어폰잭홀더
223 : 이어폰전선 230 : 휴대폰삽입부
240 : 플러그2 241 : 플러그코
242 : 플러그프레임 243 : 이동돌기
244 : 플러그케이스 245 : 이동돌기안내로
246 : 안내로함몰부 247 : 안내로덮개
248 : 덮개삽입부 249 : 덮개이동로
250 : 걸림돌기 251 : 플러그코돌출구
252 : 전선부재 253 : 전선보호부재
254 : 고정돌기 255 : 고정홈

Claims (13)

  1. 휴대폰을 삽입할 수 있는 케이스프레임과,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일측 끝단 쪽에 공간을 마련하여 이어폰, 충전부품 및 플러그를 각각 저장하는 주변기기저장부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상기 휴대폰이 삽입될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어폰잭, 이언폰잭홀더 및 이어폰전선을 구비하는 이어폰연결부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중앙 바닥부에 상기 이어폰 및 플러그의 전선을 각각 전선자동감기장치로 저장하는 전선집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및 플러그의 전선 각각은 필요시 인출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및 충전부품은 상기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폰충전기로서 각각 분리되어 저장되며, 상기 플러그는 충전하거나 보관할 때 선택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고, 상기 휴대폰을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삽입할 때 상기 이어폰잭을 휴대폰에 삽입하며,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장착된 충전잭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의 구조는,
    좌.우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는 제1 및 제2플러그코와,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끝단을 각각 매입하고, 일부분을 원통형으로 하여 내측에 전선부재가 통과될 원통형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코 각각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과,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외주를 감싸며 일측이 길게 돌출되는 손잡이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외주 일부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상호 결합할 수 있는 홈과 돌기를 구비하여, 180도 회전되어 고정되는 플러그손잡이와,
    상기 플러그로 전선이 인입되는 위치에 전선꺽임을 방지하는 전선보호부재 및 상기 전선보호부재가 포함될 함몰부와,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스프링 구조 또는 다단의 안테나 구조의 유동적 구조로 마련되는 전선부재와,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끝단 쪽 내주와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 끝단 쪽 외주에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돌기 및 홈과,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의 끝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끝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을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회전하여 고정한 후, 상기 플러그손잡이를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하여 사용상태로 변환하고,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을 제1플러그프레임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플러그손잡이를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코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보관상태로 변환하며,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연장시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끝단에 마련된 상기 끝단돌기에 마찰되어 양 플러그프레임이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제1플러그프레임 내측의 결합구조 제외부가 보다 넓은 공간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플러그프레임을 내측에 삽입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주변기기저장부는,
    상기 이어폰이 저장되는 이어폰저장부, 상기 충전부품이 저장되는 충전부품저장부 및 상기 플러그가 저장되는 플러그저장부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전선감기자동장치는,
    상기 이어폰의 전선을 자동감기하는 이어폰전선감기장치 및 상기 플러그의 전선을 자동감기하는 플러그전선감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전선집중부는,
    바닥에 상기 이어폰전선감기장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된 전선을 상기 이어폰잭까지 연결하는 전선을 매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어폰전선홈과, 바닥에 상기 플러그전선감기장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된 전선을 상기 충전부품까지 연결하는 전선을 매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플러그전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기기저장부에 포함된 각각의 저장부에 전선인출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 상기 충전잭을 상기 휴대폰으로 삽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개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의 상면에 상기 충전잭 이동을 안내하는 개구부와, 상기 이어폰저장부 및 플러그저장부에 상기 이어폰과 플러그의 안정적 착지를 위해 마련되는 함몰부와, 상기 이어폰저장부 및 플러그저장부에 각각의 주변기기가 출입되는 문으로 개폐 가능한 개구부로 마련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코드릴구조로 된 상기 전선감기장치에 부속되는 전선감기버튼이 노출될 개구부와, 상기 이어폰연결부에 상기 이어폰잭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집중부를 커버하여 상기 전선집중부 상부로 휴대폰을 삽입하고, 상기 주변기기를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끝단 쪽으로 구비하여 필요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집중부는,
    상기 이어폰전선감기장치로서 상기 이어폰의 전선을 저장하기 위해 코드릴 구조로 마련되는 이어폰전선저장부와,
    상기 이어폰전선저장부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어 이어폰전선저장부의 하부를 지나 이어폰잭까지 연결되는 이어폰전선과,
    상기 플러그전선감기장치로서 상기 플러그전선 저장을 위해 코드릴 구조로 마련되는 플러그전선저장부와,
    상기 플러그전선저장부의 중심부 쪽에서 연장되어 플러그전선저장부의 하부를 지나 상기 충전부품까지 연결된 플러그전선과,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에서 각각의 전선 인출시 가장 낮은 마찰이 예상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선 인출을 유도하는 개구부와,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에 부속되는 부품 및 전선감기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저장부 각각의 코드릴 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각각의 전선을 인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집중부가 상기 케이스프레임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전선을 저장하면서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각각의 인출을 유도하는 개구부 주위나 상기 전선집중부의 전선이 지나가는 위치에 상기 개구부와의 마찰을 감소하고 전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베어링이 하나의 상판을 구비하여 두 베어링 사이로 상기 전선이 유통되며, 상기 베어링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판의 형태를 변형한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소리를 생성하는 부품이 형태를 변형하여 마련되는 소리생성부와,
    생성된 소리를 중심으로 모아 전달하기 위해 나팔형태로 마련된 소리집결부재와,
    생성된 소리를 헤드부로 전달하기 위해 소리를 전달하는 통로로서, 유동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는 프레임소리관과,
    사각기둥 또는 모서리 둥근 사각 기둥 등의 형태로 마련되며, 소리생성부의 반대편 끝단쪽에 소리 전달을 위한 좁은 통로를 구비한 구 형태의 헤드축을 포함하도록 형태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축의 일부가 노출되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한 제1이어폰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소리관을 통해 전달받은 소리를 이구로 배출하는 좁은 관으로,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 내에서 상기 프레임소리관과 접하여 마련되며, 구 형태의 상기 헤드축을 관통하고,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소리 배출의 종착점까지 연장되는 헤드소리관과,
    상기 헤드소리관의 방향이 바뀌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소리관의 끝단까지 커버하며, 절두된 원추 형태로 마련되어 좁은 면이 상기 헤드소리관의 끝단을 감싸며, 넓은 면에 헤드조절돌기를 구비한 헤드덮개를 포함하는 이어폰헤드와,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과 동일한 형태의 얇은 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을 향하여 유사 톱니 형태의 돌기가 일측에 구비되고 반원형태의 보다 큰 돌기축이 구비되는 제2이어폰프레임과,
    상기 제1이어폰프레임의 외주 일부분에도 유사톱니형태의 돌기와 반원 형태의 보다 큰 돌기축을 더 구비하고, 두 이어폰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두 이어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집게기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부재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헤드의 방향을 조절하여 이구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어폰에 연결된 전선분리부의 두 전선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전선 형태를 마련하고, 지프를 구비하여 분리된 두 전선을 상기 지프를 이용해 결합하여 저장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지프를 이동해 분리하여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전선 및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부재의 구조는,
    원통형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프레임 각각과 접하는 끝단은 전선을 견고히 감싸며,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원추 형태의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여 전선휘어짐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저장부의 구조는 상기 플러그의 상·하면을 개방하도록 형태를 마련하고, 상기 플러그저장부에 상기 플러그와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돌기나 홈을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품은,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부품의 집합체인 PCB판넬부와,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서 상기 휴대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충전 상태가 되고, 미충전시에도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스프레임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충전잭과,
    상기 충전잭과 결합되고, 충전잭이동안내로를 통해 상부가 노출되면서, 상부에 이동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잭이동안내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충전잭의 휴대폰 삽입을 리더하는 충전잭홀더와,
    상기 충전잭과 PCB판넬부를 연결하면서 유동성 있는 구조의 전선 또는 부품형태로 마련되는 충전잭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품저장부에 내장된 충전잭이 슬라이딩되어 충전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20150119232A 2015-08-25 2015-08-25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70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32A KR101701051B1 (ko) 2015-08-25 2015-08-25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32A KR101701051B1 (ko) 2015-08-25 2015-08-25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051B1 true KR101701051B1 (ko) 2017-01-31

Family

ID=5799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32A KR101701051B1 (ko) 2015-08-25 2015-08-25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011A (zh) * 2017-12-07 2018-04-06 成都海之译翻译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降噪耳机的保护套
KR102139206B1 (ko) 2019-01-23 2020-08-11 스마트가디언즈(주)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976A (ko) * 2010-12-29 2012-07-09 이희재 전기 기기 케이스
KR200465348Y1 (ko) * 2012-11-30 2013-02-14 이성철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478467B1 (ko) * 2013-11-08 2015-01-02 최상효 Usb 단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976A (ko) * 2010-12-29 2012-07-09 이희재 전기 기기 케이스
KR200465348Y1 (ko) * 2012-11-30 2013-02-14 이성철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478467B1 (ko) * 2013-11-08 2015-01-02 최상효 Usb 단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011A (zh) * 2017-12-07 2018-04-06 成都海之译翻译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降噪耳机的保护套
KR102139206B1 (ko) 2019-01-23 2020-08-11 스마트가디언즈(주)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40B2 (en)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and protective casing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CN106331930B (zh) 一种无线耳机的充电盒和适配该充电盒的无线耳机
US20140035511A1 (en)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20140175135A1 (en) Phone retractor carrying case
EP2430840A2 (en)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KR101701051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WO2021096575A1 (en) Headphone charging case
US9908741B2 (en) Cord storage device
CN104577456A (zh) 带收纳插线头功能便携式usb充电器
KR200443306Y1 (ko) 이어폰 케이스
WO2023155738A1 (zh) 充电盒和耳机设备
CN208015428U (zh) 无线耳机充电设备
KR20150003818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CN207612094U (zh) 具有无线充电功能的便携电源适配器
JP317586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CN112911463B (zh) 可拆分组合式智能音箱
CN209345367U (zh) 一种便于收纳的无线耳机及充电盒
KR101247573B1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CN210838336U (zh) 一种自动收拉线结构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CN207677468U (zh) 充电器
CN210112231U (zh) 一种防脱落的便携式蓝牙耳机
CN208874329U (zh) 便携电子设备的壳体及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