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693B1 -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693B1
KR101700693B1 KR1020150144164A KR20150144164A KR101700693B1 KR 101700693 B1 KR101700693 B1 KR 101700693B1 KR 1020150144164 A KR1020150144164 A KR 1020150144164A KR 20150144164 A KR20150144164 A KR 20150144164A KR 101700693 B1 KR101700693 B1 KR 10170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phone terminal
button
smart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령
임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기술
Priority to KR102015014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버튼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는 신호송출 버튼장치와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 신호송출 버튼장치를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어폰 젠더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 그라운드, 우측 사운드, 및 좌측 사운드 접지를 포함한 도전성 전극부를 구비하고,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는 플러그부의 마이크 접지와 연결되고, 상부는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하부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측은 링형상이고, 상측은 판형상의 복수의 도전부가 상호 마주보며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플러그부의 그리운드 접지와 연결된 그라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 내측에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우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된 우측 사운드 접점부; 우측 사운드 접점부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좌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되는 좌측 사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접촉면을 지지하는 보강판; 보강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탄성이 구비된 압력판;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커버의 마개 역할을 수행하는 버튼커버; 및 압력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버튼커버의 관통 구멍에 사이에 삽입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omitted}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버튼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는 신호송출 버튼장치와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 신호송출 버튼장치를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어폰 젠더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와 같은 음악파일 재생, 동영상 재생 등의 다양한 멀티미이어 기능을 수반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 사용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재생시 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기기들에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또는 줄여서 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거나 스마트 기기 자체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확장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확장 디바이스들은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유에스비(USB) 및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외부의 주변기기들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액세서리 장치로서 이어폰이 제공된다. 사용자들은 이어폰의 잭부분을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을 통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 또한 확장 디바이스를 통한 신호입출력 포트로 기능 할 수 있어, 이 이어폰 단자를 통한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별도의 확장 디바이스로 작동하는 버튼장치(상품명: Pressy, Mikey 등)를 삽입하여 스마트 기기에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튼 장치들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 스마트 기기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고, 이어폰을 사용해야 할 경우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 상태로 있는 버튼장치를 스마트 기기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이어폰 잭을 이어폰 단자에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렇게 분리된 버튼장치는 그 크기가 소형이어서 분실의 위험이 있고, 버튼장치를 이어폰 단자에 삽입/분리 시 스마트 기기에서 버튼장치인지, 이어폰인지 여부를 묻는 메세지가 뜨지 않아 장치 인식에 있어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486194호(2015.2.1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버튼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는 신호송출 버튼장치와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 신호송출 버튼장치를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신호송출 버튼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어폰 젠더를 제공하여 버튼장치가 항상 스마트폰에 결합될 수 있게 하여 버튼장치의 분실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버튼장치에 이어폰 결합시 버튼으로 사용할지 이어폰으로 사용할지 여부를 물어 두 가지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버튼장치의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은 마이크, 그라운드, 우측 사운드, 및 좌측 사운드 접지를 포함한 도전성 전극부를 구비하고,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는 플러그부의 마이크 접지와 연결되고, 상부는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하부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측은 링형상이고, 상측은 판형상의 복수의 도전부가 상호 마주보며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플러그부의 그리운드 접지와 연결된 그라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 내측에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우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된 우측 사운드 접점부; 우측 사운드 접점부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좌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되는 좌측 사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접촉면을 지지하는 보강판; 보강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탄성이 구비된 압력판;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커버의 마개 역할을 수행하는 버튼커버; 및 압력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버튼커버의 관통 구멍에 사이에 삽입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는 상면과 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면 일측에서 돌출되고 절개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걸림부가 상호 대각방향의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한 쌍의 내부커버; 한 쌍의 내부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 관통하며, 상부는 내부커버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 측면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통해 하나 씩 삽입되는 복수의 도전성 전극선;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된 각 도전성 전극선의 하단과 상호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각각 연결되고, 하부는 굽은 "ㄴ" 자 형상의 복수의 접점판; 양단에 원형의 고리부가 형성된 비틀림 코일스프링;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양측면이 한 쌍의 내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각 걸림부에 삽입되는 회전판; 일측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부를 관통하여 내부커버와 결합하는 복수의 스프링 커버; 및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내부커버 외주면을 감싸며 수직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이어폰 젠더부를 포함하며, 이어폰 젠더부는 집게형태로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상부를 감싸며 탈부착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플러그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단자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에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또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가 이어폰 단자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을 자동 감지하여 설정창을 제공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일련번호를 붙여 저장하며, 이어폰 단자 접속부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 동작 횟수에 따라 해당 누름 횟수와 동일한 일련번호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장치를 분리할 필요없이 집게방식의 이어폰 젠더를 사용하여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을 때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장치에 용이하게 이어폰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장치가 항상 스마트폰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버튼장치의 분실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버튼장치에 이어폰 결합시 버튼으로 사용할지 이어폰으로 사용할지 여부를 물어 두 가지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버튼장치의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분해도,
도 5는 이어폰 젠더부의 분해도,
도 6은 이어폰 단자 접속부와 이어폰 젠더부의 결합 및 분리 방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분해도, 도 5는 이어폰 젠더부의 분해도, 도 6은 이어폰 단자 접속부와 이어폰 젠더부의 결합 및 분리 방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부(10), 하부커버(20), 그라운드 접점부(30), 우측 사운드 접점부(40), 좌측 사이드 접점부(50), 보강판(60), 압력판(70), 버튼커버(80) 및 버튼부(90)를 포함하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 한 쌍의 내부커버(110), 도전성 전극선(120), 접점판(130), 비틀림 코일스프링(140), 회전판(150), 스프링 커버(160), 한 쌍의 외부커버(170)를 포함하는 이어폰 젠더부(200), 및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는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 출력,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포함하여 이어폰 등의 외부 입출력 장치와 결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일련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한 후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에 구비된 버튼부(80)의 누름 동작에 의해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일련번호가 붙여져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는 마이크가 구비된 이어폰의 접속 잭 기능과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버튼부(90)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 가기 버튼과 같은 물리적 버튼장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하,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부(1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접지되는 부분으로써, 스마트 기기에 음성신호를 입력하거나 스마트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마이크(MIC), 그라운드(GND), 우측 사운드(R), 및 좌측 사운드(L) 접지 등의 도전성 전극부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하부커버(2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는 플러그부(10)의 마이크 접지(MIC)와 연결되고, 상부는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하부커버(20)는 아래에 서술될 버튼커버(80)와 결합하여 내부에 플러그부(10)의 도전성 전극부와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각 접점부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요소가 삽입된다.
그라운드 접점부(3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커버(20)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측은 링형상이고, 상측은 하측에서 돌출되어 두 갈래로 된 판형상의 도전부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며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그라운드 접점부(30)는 플러그부(10)의 그라운드 접지(GND)와 연결되어 그라운드 접지가 상방으로 연장되게 한다.
우측 사운드 접점부(40)는 그라운드 접점부(30)의 내측에 위치하고, 플러그부(10)의 우측 사운드 접지(R)와 연결된다.
좌측 사운드 접점부(50)는 우측 사운드 접점부(4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플러그부(10)의 좌측 사운드 접지(L)와 연결된다.
상술한 각 접점부는 아래에 서술된 이어폰 젠더부(200)에 구비되어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의 하부커버 및 각 접점부와 상호 간 동일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복수의 접점판이 외부에서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동시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끊어질 수 있다.
보강판(60)은 그라운드 접점부(30)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 접점부 상면과의 접촉면을 확장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압력판(70)은 보강판(60)의 상측에 위치하며, 탄성이 구비된다.
압력판(70)은 버튼부(90)의 누름 하중을 보강판(60) 이하로 전달하고, 눌러진 버튼부(9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버튼커버(80)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커버(20)의 마개 역할을 수행한다.
버튼부(90)는 압력판(70)의 상측에 위치하며, 버튼커버(80)의 관통 구멍에 사이에 삽입된다.
버튼부(9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술한 각 접점부 중 어느 한 접점부를 통해 이어폰 단자에 삽입된 플러그부(10)로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고, 이 신호는 아래에 서술될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에 일련번호와 함께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게 된다.
이어폰 젠더부(2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집게 형태로 이이폰 단자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동작하는 이어폰의 말단으로써,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의 하부커버(20)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하부커버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각 접점부와 이어폰 젠더부에 구비된 복수의 접점판(130)이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하부커버 및 각 접점부와 상호 간에 동일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응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를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이어폰 젠더부(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 쌍의 내부커버(110)는 도 5를 참조하면,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의 상부를 감싸고,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수직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한다.
한 쌍의 내부커버(110)의 상부는 상면과 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면 일측에서 돌출되고 절개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걸림부(112)가 상호 대각방향의 위치에 형성된다.
한 쌍의 내부커버(110)의 하부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전성 전극선(120)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가 구비되며, 아래에 서술될 복수의 접점판(130)과 각각 연결되어 플러그부(10)의 각 도전성 전극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송한다.
도전성 전극선(120)은 한 쌍의 내부커버(1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 관통하며, 상부는 내부커버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이어폰 선과 연결되며, 하부는 한 쌍의 내부커버(110) 하부 측면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서 한 쌍의 내부커버 내부로 하나씩 삽입된다.
복수의 접점판(130)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내부커버(110) 하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된 각 도전성 전극선의 하단과 상호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되고, 하부는 굽은 "ㄴ" 자 형상으로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하부커버 및 각 접점부와 상호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접지되거나 접지가 끊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접점판(130)의 상부는 각 도전성 전극선의 하부와 납땜 등의 연결방식을 통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14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양단에 원형의 고리부(142)가 형성되고, 이어폰 젠더부(200)의 한 쌍의 내부커버(110) 및 한 쌍의 외부커버(170)가 상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집게형태로 힌지회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회전판(150)은 도 5를 참조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140)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양 측면이 한 쌍의 내부커버(110)의 상부에 형성된 각 걸림부(1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회전판(150)은 이어폰 젠더부(2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집게형태로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멘트의 중심 고정부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스프링 커버(160)는 도 5를 참조하면, 일 측면에 돌기부(162)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162)가 비틀림 코일스프링(140)의 양단에 형성된 각 고리부(142)를 관통하여 한 쌍의 내부커버와 결합한다.
한 쌍의 외부커버(17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내부커버(110) 외주면을 감싸며 수직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되며, 내부커버와 함께 회전판을 중심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집게형태로 힌지회동 한다.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은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가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을 자동 감지하여 설정창을 제공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일련번호를 붙여 저장하며,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에 구비된 버튼부(9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일련번호와 함께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에 구비된 버튼부(90)를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붙여진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누르게 되면 그 횟수와 동일한 일련번호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여 바로가기 단축버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100)의 플러그부(10) 또는 다른 이어폰의 잭이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된 경우 버튼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로 사용할 것인지, 이어폰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설정창이 띄워지도록 하여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인식오류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한편,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300)에 일련번호와 함께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손전등, 웹페이지열기, 키즈락, QR코드, 카메라, 긴급위치문자, 빠른 전화걸기, 하드웨어 가속, 음성녹음, 블루투스, 와이파이, 테더링/핫스팟, 화면 온-오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손전등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온-오프 작동이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플러그부 20 - 하부커버
30 - 그라운드 접점부 40 - 우측 사운드 접점부
50 - 좌측 사이드 접점부 60 - 보강판
70 - 압력판 80 - 버튼커버
90 - 버튼부 100 - 이어폰 단자 접속부
110 - 한 쌍의 내부커버 120 - 도전성 전극선
130 - 접점판 140 - 비틀림 코일스프링
150 - 회전판 160 - 스프링 커버
170 - 한 쌍의 외부커버 200 - 이어폰 젠더부
300 -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

Claims (3)

  1. 마이크, 그라운드, 우측 사운드, 및 좌측 사운드 접지를 포함한 도전성 전극부를 구비하고,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는 플러그부의 마이크 접지와 연결되고, 상부는 양 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하부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측은 링형상이고, 상측은 판형상의 복수의 도전부가 상호 마주보며 하부커버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플러그부의 그리운드 접지와 연결된 그라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 내측에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우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된 우측 사운드 접점부;
    우측 사운드 접점부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플러그부의 좌측 사운드 접지와 연결되는 좌측 사운드 접점부;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그라운드 접점부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접촉면을 지지하는 보강판;
    보강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탄성이 구비된 압력판;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커버의 마개 역할을 수행하는 버튼커버; 및
    압력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버튼커버의 관통 구멍에 사이에 삽입되는 버튼부
    를 포함하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는 상면과 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면 일측에서 돌출되고 절개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걸림부가 상호 대각방향의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한 쌍의 내부커버;
    한 쌍의 내부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 관통하며, 상부는 내부커버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 측면에 형성된 각 관통공을 통해 하나 씩 삽입되는 복수의 도전성 전극선;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한 쌍의 내부커버 하부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된 각 도전성 전극선의 하단과 상호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각각 연결되고, 하부는 굽은 "ㄴ" 자 형상의 복수의 접점판;
    양단에 원형의 고리부가 형성된 비틀림 코일스프링;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양측면이 한 쌍의 내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각 걸림부에 삽입되는 회전판;
    일측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부를 관통하여 내부커버와 결합하는 복수의 스프링 커버; 및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내부커버 외주면을 감싸며 수직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
    를 포함하는 이어폰 젠더부를 포함하며,
    이어폰 젠더부는 집게형태로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상부를 감싸며 탈부착 가능한 것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어폰 단자 접속부의 플러그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단자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에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또는 이어폰 단자 접속부가 이어폰 단자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을 자동 감지하여 설정창을 제공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일련번호를 붙여 저장하며, 이어폰 단자 접속부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 동작 횟수에 따라 해당 누름 횟수와 동일한 일련번호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버튼 연동 어플리케이션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KR1020150144164A 2015-10-15 2015-10-15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KR10170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64A KR101700693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64A KR101700693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693B1 true KR101700693B1 (ko) 2017-01-31

Family

ID=5799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164A KR101700693B1 (ko) 2015-10-15 2015-10-15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6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8169A1 (en) * 2010-11-18 2012-05-24 Tung Chiu-Yun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KR101486194B1 (ko) * 2014-06-09 2015-02-11 박미경 이어폰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8169A1 (en) * 2010-11-18 2012-05-24 Tung Chiu-Yun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KR101486194B1 (ko) * 2014-06-09 2015-02-11 박미경 이어폰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7512B (zh) 用于语音通信的头戴式耳机
JP5740145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イヤホン装着を認識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9210555B2 (en) Pulsed input push-to-talk wireless adapter systems and methods
JP3225366U (ja) イヤホン収納ケース装置
CA25773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JP2011114677A (ja) 携帯電話音声再生システム
CN113923612A (zh) 一种通话方法、装置和系统
US8665106B2 (en) Personal audio cable alarm device
US20080031484A1 (en) Ear Headphone Unit And A Computer System
KR100779145B1 (ko) 다기능 손목 시계
KR101700693B1 (ko)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신호송출 버튼장치
CN105991832B (zh) 一种通信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2016076043A (ja) 認証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32954B1 (ko) 귀 장착형 음향 출력수단의 연결장치
KR1006171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101937302B1 (ko) 넥밴드형 블루투스 이어폰
CN101783984A (zh) 可缩进式传声器耳机单元及具有该耳机单元的手表式电话
CN209949355U (zh) 一种多功能无线耳机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18634Y1 (ko) 휴대용 무전기용 이어 마이크
JP2017046361A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217583A1 (en) Communication device outside-connected incoming call indicator and earphone device having such an incoming call indicator
KR101419455B1 (ko)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