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55B1 -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55B1
KR101419455B1 KR1020130066897A KR20130066897A KR101419455B1 KR 101419455 B1 KR101419455 B1 KR 101419455B1 KR 1020130066897 A KR1020130066897 A KR 1020130066897A KR 20130066897 A KR20130066897 A KR 20130066897A KR 101419455 B1 KR101419455 B1 KR 10141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eadset
microphone
divid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13006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이어스피커와 마이크의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연결 부분이 해체되지 않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한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벤드의 일 끝 또는 양 끝에 이어스피커가 결합되고, 하나의 이어스피커에 연결되는 엘보관 형태의 커넥터와 마이크가 각각 결합되는 배선관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폰을 이용해 유무선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한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과 연결되는 커넥터의 일측 외면에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분할편중 하나의 외주면에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원통 형태의 결합구를 배선관의 일 끝단에 결합하여 구성하여; 접착방식을 탈피하여 결합 끼움 방식을 이용하여 고온 환경에서 결합부분이 해체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Headset microphone connected structure}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스피커와 마이크의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연결 부분이 해체되지 않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한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핸즈프리형 헤드셋은 사용중인 전화기와 연결하여 카드 상담원과 써비스 센터 및 공공기관의 상황실 등에서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때 수작업이 가능해지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때 수작업으로 실시간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핸즈프리형 헤드셋은 송화기 파이프 상측에 송수화기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 헤드셋 송수화기와, 상기 헤드셋 송수화기에 연결되어 외부 단자와 접속되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선과, 상기 헤드셋 송수화기에 송수화기 하우징 상카바를 통해 결합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쿠션링과, 상기 송수화기 하우징 상카바의 상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벤드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헤드셋 송수화기의 송수화기 하우징은 내측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스피커가 내장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로 음성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헤드셋 송수화기의 송화기 파이프는 사용자의 입측으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음성만 송화기 파이프를 통해 헤드셋 송수화기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한 송화기 파이프는 길이 한정형 및 길이 가변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 한정형은 한개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길이 가변형은 한개의 상단 스틸파이프와 한개의 하단 플라스틱튜브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길이 가변형의 송화기 파이프는 하단 플라스틱튜브가 상단 스틸파이프 외측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상단 스틸파이프에 결합된 하단 플라스틱튜브는 상단 스틸파이프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단 스틸파이프 외측에 결합된 하단 플라스틱튜브는 상단 스틸파이프를 기준으로 전후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되는 것이며, 상기 하단 플라스틱튜브의 선단이 사용자의 입구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적정한 사용자의 음성이 헤드셋 송수화기로 전달됨과 아울러 상기 헤드셋 송수화기로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은 연결선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됨으로써 적정한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송수화기 하우징 상카바의 상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벤드의 타측은 티바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헤드벤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핸즈프리형 헤드셋의 송화기는, 송화기 파이프는 송수화기 하우징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데, 장시간 사용이나 고온에서 사용할 경우 송화기 파이프와 송수화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접착제가 녹아서 접착력이 약해지는 동시에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송화기 파이프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 조정을 위한 작용력이 전달되어 접착제가 쉽게 접착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송화기 파이프와 송수화기 하우징의 연결을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간단한 끼움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이나 고온에서의 사용에도 결합력을 상실하지 않으며 작용력에 영향을 받지않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간편한 헤드셋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20-0200424(컴퓨터용 헤드셋 장치) 2. 등록번호 20-0270161(핸즈프리형 헤드셋의 송화기 구조) 3. 등록번호 10-0668033(헤드셋용 헤드밴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접착방식을 탈피하여 결합 끼움 방식을 이용하여 고온 환경에서 결합부분이 해체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끼움 결합방식을 이용하되 벌어짐을 유도하여 완성도 높은 결합에 의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폰의 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방식은 유지 보수지 해체가 불가능하여 전체 마이크폰의 전체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반면 결합을 위한 걸림력을 제거하여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으므로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를 통한 보수가 가능하여 관리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헤드벤드의 일 끝 또는 양 끝에 이어스피커가 결합되고, 하나의 이어스피커에 연결되는 엘보관 형태의 커넥터와 마이크가 각각 결합되는 배선관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폰을 이용해 유무선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한 헤드셋은, 상기 배선관과 연결되는 커넥터의 일측 외면에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분할편중 하나의 외주면에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원통 형태의 결합구를 배선관의 일 끝단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커넥터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기를 내측으로 돌출형성시켜 결합구의 분할편과 분할편의 분할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방식을 탈피하여 결합 끼움 방식을 이용하여 고온 환경에서 결합부분이 해체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끼움 결합방식을 이용하되 벌어짐을 유도하여 완성도 높은 결합에 의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폰의 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접착방식은 유지 보수지 해체가 불가능하여 전체 마이크폰의 전체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반면 결합을 위한 걸림력을 제거하여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으므로 부분적인 부품의 교체를 통한 보수가 가능하여 관리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마이크 연결구조가 적용된 헤드셋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돌기와 분할공간의 폭 크기를 비교한 비교도,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는 헤드벤드(10)의 일 끝 또는 양 끝에 이어스피커(20)가 결합되고, 하나의 이어스피커(20)에 연결되는 엘보관 형태의 커넥터(30)와 마이크(40)가 각각 결합되는 배선관(50)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폰(60)을 이용해 유무선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하도록 이어스피커(20)와 마이크폰(60)의 연결구조를 개선한 헤드셋(100A)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헤드셋(100A)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머리를 감사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아치 형태의 헤드벤드(10)의 양 끝단에 각각 이어스피커(20)가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셋(100A)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헤드벤드(10)에 이어스피커(20)가 일끝단에 국한되어 결합되고 타 끝단에는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구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헤드벤드(10)의 양 끝단에 이어스피커(20)가 각각 결합 구성된 헤드셋(100A)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상기 헤드셋(100A)의 이어스피커(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이어스피커(20)에는 통신을 위한 통신케이블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이어스피커(20)에는 마이크폰(6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어스피커(20)에 마이크폰(6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선관(50)과 연결되는 커넥터(30)의 일측 외면에 걸림홀(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30)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엘보형태의 관으로써 이어스피커(20)에 결합되는 제1단(33)은 수나선이 형성되어 나선체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단(33)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된 제2단(34)은 마이크폰(60)의 배선관(5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30)의 제2단(34)에는 원주면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걸림홀(31)이 일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30)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분할편(71)중 하나의 외주면에 걸림홀(31)에 걸림되는 걸림턱(72)이 돌출 형성된 원통 형태의 결합구(70)를 배선관(50)의 일 끝단에 결합하고, 상기 배선관(50)의 타 끝단에는 마이크(4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배선관(50)은 내부에 플랙시블관(51)이 위치하고 플랙시블관(51)은 피복(52)으로 감싸져 있으는 것으로, 상기 결합구(70)의 분할편(71)이 형성된 반대 끝단의 내부로 플랙시블관(51)이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걸림홀(31)이 형성된 커넥터(3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기(32)를 내측으로 돌출형성시켜 결합구(70)의 분할편(71)과 분할편(71)의 분할공간(71a)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32)는 결합구(70)가 삽입되는 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구(70)가 커넥터(30)의 제2단(34)으로 삽입될 때 분할공간(71a)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돌기(32)는 결합구(70)의 분할편(71)과 분할편(71)의 분할공간(71a)으로 유입되어 결합구(70)의 회전을 방지하고 분할편(71)과 분할편(71)이 이격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돌기(32)의 부가적인 구성적 특징은 분할편(71)과 분할편(71)이 이루는 분할공간(71a)으로 삽입되어 분할편(71)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분할편(71)에 형성된 걸림턱(72)이 걸림홀(31)에 원할하게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작동을 위해 상기 돌기(32)의 폭(L)이 분할공간(71a)의 공간폭(l)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0)는 외면에 각각 걸림홀(31)을 마주보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70)는 커넥터(30)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한 쌍의 분할편(71)의 걸림홀(31)에 각각 걸림되는 걸림턱(72)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홀(31)과 걸림턱(72)을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은 결합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하며 하나의 걸림홀(31)과 걸림턱(72)만이 결합되더라도 결합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72)은 커넥터(30)의 제2단(34)의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은 낮고 걸림홀(31)에 걸림되는 후방은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헤드셋(100B)은 헤드셋(1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선관(50)과 연결되는 커넥터(30)의 외면에 각각 걸림홀(31)을 마주보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0)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분할편(71)의 걸림홀(31)에 걸림되는 걸림돌기(73)가 돌출 형성된 원통 형태의 결합구(70)를 배선관(50)의 일 끝단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73)는 사각형태로 분할편(7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셋(100A)와 헤드셋(100B)은 배선관(50)의 일 끝단의 피복(52)을 일부분 제거한 후 결합구(70)를 끼움 결합한다.
이후, 상기 결합구(70)의 분할편(71)이 형성된 끝단을 커넥터(30)의 제2단(34) 내부로 삽입하는데 헤드셋(100A)는 걸림턱(72)이 걸림홀(31)에 걸림되고, 헤드셋(100B)은 걸림돌기(73)가 걸림홀(31)에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헤드셋(100A)의 결합구(70)를 커넥터(30)의 제2단(34) 내부로 삽입하면 분할편(71)과 분할편(71)이 이격되는 분할공간(71a)의 내부로 돌기(32)가 삽입되면서 돌기(32)와 분할편(71)이 접촉하면서 양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분할편(71)이 이격되는 것은 돌기(32)의 폭이 분할공간(71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기(32)가 분할공간(71a)으로 끼임되면 분할편(71)이 이격되어 분할편(71)에 형성된 걸림턱(72)이 걸림홀(31)에 삽입과 동시에 밀착되어 걸림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돌기(32)는 분할공간(71a)에 삽입 끼임되어 배선관(50)과 끼움 결합된 결합구(70)의 회전을 방지하여 배선관(50)이 회전하지 못하여 마이크폰(60)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폰(60)의 방향을 조정하더라고 회전되지 않아 마이크(40)의 위치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폰(60)에 결합구(70)를 결합하여 커넥터(30)에 연결이 완료되면 커넥터(30)의 제1단(33)을 이어스피커(20)에 나선 체결하여 헤드셋(100A)과 헤드셋(100B)을 완성한다.
이로써, 상기 마이크폰(60)과 커넥터(30)을 끼움 결합과 걸림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이나 고온에서 사용에도 해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마이크폰(60)이나 이어스피커(20)의 단독 고장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마이크폰(60)의 걸림턱(72)이나 걸림돌기(73)를 걸림홀(31)에서 걸림 지지력을 해제하여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해드벤드 20 : 이어스피커
30 : 커넥터 31 : 걸림홀
32 : 돌기 33 : 제1단
34 : 제2단 40 : 마이크
50 : 배선관 51 : 플랙시블관
52 : 피복 60 : 마이크폰
70 : 결합구 71 : 분할편
71a : 분할공간 72 : 걸림턱
73 : 걸림돌기
100A,100B : 헤드셋

Claims (6)

  1. 삭제
  2. 헤드벤드(10)의 일 끝 또는 양 끝에 이어스피커(20)가 결합되고, 하나의 이어스피커(20)에 연결되는 엘보관 형태의 커넥터(30)와 마이크(40)가 각각 결합되는 배선관(50)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폰(60)을 이용해 유무선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한 헤드셋은
    상기 배선관(50)과 연결되는 커넥터(30)의 일측 외면에 걸림홀(31)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30)로 삽입되는 끝단이 2분할된 분할편(71)중 하나의 외주면에 걸림홀(31)에 걸림되는 걸림턱(72)이 돌출 형성된 원통 형태의 결합구(70)를 배선관(50)의 일 끝단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31)이 형성된 커넥터(3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기(32)를 내측으로 돌출형성시켜 결합구(70)의 분할편(71)과 분할편(71)의 분할공간(71a)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2)는 결합구(70)의 분할편(71)과 분할편(71)의 분할공간(71a)으로 유입되어 결합구(70)의 회전을 방지하고 분할편(71)과 분할편(71)이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2)의 폭(L)이 분할공간(71a)의 공간폭(l)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130066897A 2013-06-12 2013-06-12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KR10141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97A KR101419455B1 (ko) 2013-06-12 2013-06-12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97A KR101419455B1 (ko) 2013-06-12 2013-06-12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455B1 true KR101419455B1 (ko) 2014-07-14

Family

ID=5174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897A KR101419455B1 (ko) 2013-06-12 2013-06-12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31Y1 (ko) * 2001-02-09 2001-09-28 임성묵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255393Y1 (ko) * 2001-08-16 2001-12-13 (주)신와 다기능 헤드셋
KR200307629Y1 (ko) * 2002-12-30 2003-03-17 다산 일렉트론 주식회사 핸즈프리형 헤드셋
KR20090003028A (ko) * 2007-07-05 2009-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031Y1 (ko) * 2001-02-09 2001-09-28 임성묵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255393Y1 (ko) * 2001-08-16 2001-12-13 (주)신와 다기능 헤드셋
KR200307629Y1 (ko) * 2002-12-30 2003-03-17 다산 일렉트론 주식회사 핸즈프리형 헤드셋
KR20090003028A (ko) * 2007-07-05 2009-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022B1 (en) Two-way communication earpiec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JP5252741B2 (ja) 耳かけ型補聴器
US8233652B2 (en) Detachable earpiece auditory device with spring operation
US8265324B2 (en)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KR101762142B1 (ko) 이어윙
US20020173346A1 (en) Neck Phone
AU2003278648A1 (en) Headset
CA25773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KR101542598B1 (ko)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EP3094108B1 (en) A headset
JP2007158924A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18006784A (ja) イヤホン
WO2017147976A1 (zh) 一种耳机转换器及耳机
WO2016023132A1 (en) Headphone with a connector for detaching a headband from a transducer
US20140087666A1 (en) Bluetooth earphone
KR101419455B1 (ko) 헤드셋 마이크 연결구조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KR101867152B1 (ko)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EP2230859B1 (en) Earpiece
KR20080049539A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20030026652A (ko) 휴대용 영상단말기
JP3187014U (ja) 赤外線受信機の首掛けストラップ兼磁気誘導ループ
KR20050111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100704418B1 (ko) 이어폰 결합형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