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945B1 -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945B1
KR101699945B1 KR1020140131229A KR20140131229A KR101699945B1 KR 101699945 B1 KR101699945 B1 KR 101699945B1 KR 1020140131229 A KR1020140131229 A KR 1020140131229A KR 20140131229 A KR20140131229 A KR 20140131229A KR 101699945 B1 KR101699945 B1 KR 10169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nection
tube
venti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360A (ko
Inventor
송준호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102014013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9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6Multi-lume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4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selective or partial lung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상기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각각 상기 환기 장치에 연결되도록 분기된 튜브 접속부,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기되는 각각의 상기 이공튜브로 제공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량를 조절하도록 설치되고, 유량이 조절되기 위한 밸브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된 접속 밸브부, 및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각각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환기 장치의 압력을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에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환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CONNECTOR OF DOBLE LUMEN TUBE FOR DIFFERENTIAL LUNG VENTILATION}
본 발명은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분리된 각각의 폐를 환기시킴에 있어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압력 전달 및 차단하면서 유량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동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폐환기(differential lung ventilation; 分離肺換氣)는 우폐와 좌폐를 별도로 환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기관내 튜브로서 각각의 폐로 삽관되는 두개의 튜브가 합쳐진 이공튜브(더블 루멘튜브; double lumen tube)가 사용된다. 분리폐환기는 폐수술이나 한측폐의 감염, 출혈등으로 인해 다른 측폐와 분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좌우의 폐의 병태가 다른 경우, 각각의 지적조건에서 환기하는 경우에도 적합하게 고려된다.
또한, 한쪽 폐를 수술할 때 또는 심장 등 폐 근처 중요부위 수술 시 시야 확보가 필요하다. 폐는 호흡할 때 움직이는 수동적 기관으로 폐로 들어가는 공기를 차단하면 활동을 인위적으로 멈출 수 있다. 이때, 이공튜브가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공튜브는 한쌍의 튜브를 묶음 형태로 구비하고 시술자가 환자에게 삽관 시에 입을 통과한 후 기도를 통해서 양쪽 폐를 각각 연결하고 있는 기관지로 각각 분기되어 양쪽의 폐를 각각 독립적으로 환기시키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이공튜브를 이용하여 분리폐환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공튜브를 환자에 삽관한 상태에서 흡입 또는 배출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와 한쌍의 이공튜브에 각각 다른 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접속장치로 상호 연결하여 환자의 양쪽 폐 상태와 시술되는 방법에 따라서 양쪽의 폐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환기를 실시한다.
상술된 환기 장치는 통상적으로 폐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가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산소, 마취가스 등 환자 치료를 위해 유체 또는 기체를 폐에 주입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환기 장치와 이공튜브의 접속에 있어 분기된 관로에 각각 삽입 접속되어 직접적으로 환기 장치의 압력을 전달하거나, 산소, 마취 가스 등의 유체 또는 기체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종래 기술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한쌍의 연결관 방향으로 직접 연결하여 환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압력을 전달하거나, 산소, 마취 가스 등의 유체 또는 기체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환기 장치에서 발생된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수술이나 시술 중에 긴급하게 압력을 차단하거나, 산소, 마취 가스 등의 유체 또는 기체의 차단 시에 조작이 불편하고 차단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데 시간이 지연된다.
또한, 환기 장치에서 지속적으로 압력을 공급하고 있다가 정지하게 되면 내부에 남아 있는 여압이 존재함에 따라 차단 조작한 후에도 일정 정도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음으로써, 폐에 압력이 공급되어 시술과 수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환기 장치에서 유체 또는 기체의 공급하고 있다가 정지하게 되면 공급 관로의 내부에 유체 또는 기체가 차단 조작 후에도 잔존하고 있어, 잔존된 유체 또는 기체가 폐에 공급될 수 있음에 따라 시술과 수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분리폐환기는 양쪽의 폐에 각각 다른 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폐에 질병이 있거나, 폐상태가 나쁜 경우에 수술 또는 시술할 때 사용하는 방법임에 따라 의료진의 즉각적인 조치들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으면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판단으로 분리폐환기 시 폐에 작용하는 압력을 차단을 실시하게 되면 환기 장치를 차단 조작함에 있어 즉각적인 압력의 차단이 어렵고, 남아있는 여압에 의해 계속 폐에 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수술이나 시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위험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폐에 들어가는 유체 또는 기체를 즉각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접속 장치에 날이 없는 가위(켈리)로 찝어서 막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날이 없는 가위(켈리)로 관을 찝는 방법은 유체 또는 기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방법인데 이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한쪽 폐만 기능하게 되어 저산소증을 유발하여 환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쪽의 폐에 각각 압력을 작용하도록 삽관하는 이공튜브와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를 연결하는 접속장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즉각적으로 압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면서 유량 조절시킬 수 있게 구비하여 분리폐환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한쌍의 튜브 형태로 기도를 통해서 양측에 기관지에 각각 삽관되는 이공튜브를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와 접속시켜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각각 상기 환기 장치에 연결되도록 분기된 튜브 접속부,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기되는 각각의 상기 이공튜브로 제공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량를 조절하도록 설치되고, 유량이 조절되기 위한 밸브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된 접속 밸브부, 및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각각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환기 장치의 압력을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에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환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되고, 일측으로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하여 분기되는 튜브 접속 공간을 가지는 튜브 접속 몸체, 상기 튜브 접속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에 하나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분기관, 및 상기 튜브 접속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에 나머지 이공튜브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밸브부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이공 튜브 중에 한쪽이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1 밸브공간을 가지고, 다른쪽이 연결되는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2 밸브공간을 가지는 접속 밸브 몸체,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서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밸브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상기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1 유통공간을 가지고, 일측 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1 밸브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밸브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유통공간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한쪽의 상기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회전밸브, 및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서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밸브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상기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2 유통공간을 가지고, 일측 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2 밸브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밸브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유통공간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다른쪽의 상기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는 제 2 회전밸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상기 제 2 회전밸브 사이에 눈금 형태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상기 제 2 회전밸브의 조절되는 기준 위치로 설정되도록 구비된 기준 위치 표시체, 상기 제 1 회전밸브의 다른쪽 방향인 상기 제 2 회전밸브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유통공간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제 1 위치표시체, 및 상기 제 2 회전밸브의 한쪽 방향인 상기 제 1 회전밸브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유통공간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제 2 위치표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환기 접속부는,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제 1 환기 접속 몸체,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와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 1 연결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제 2 환기 접속 몸체, 및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와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 2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1 드레인체, 및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2 드레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따르면, 양쪽의 폐에 각각 압력을 작용하도록 삽관하는 이공튜브와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를 연결하는 접속장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즉각적으로 압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킬 수 있고,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분리폐환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한쌍의 튜브 형태인 이공튜브의 각각의 튜브와 접속되어 각각의 압력 전달 또는 차단을 실시하고, 유량의 조절을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시킬 수 있음에 따라 폐의 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시술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는 복수의 폐에 각각 연결된 튜브에 압력 전달 또는 차단을 실시하면서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에는 외부에서 작동 상태와 유량 조절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지시에 따라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 또는 기체의 공급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함에 따라 시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열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2 밸브체가 열리고, 제 2 드레인체가 개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7은 도 6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열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8은 도 6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2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1은 도 9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접속 밸브부가 모두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 제 1 회전밸브의 작동으로 일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 제 1 회전밸브의 작동으로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열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2 밸브체가 열리고, 제 2 드레인체가 개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는 한쌍의 튜브 형태로 기도를 통해서 기관지에 각각 삽관되는 이공튜브(미도시됨)를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미도시됨)와 접속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이공튜브는 양쪽에 폐를 각각 분리하여 환기를 실시하기 위해서 한쌍의 튜브 형태로 구비되어 양쪽에 폐에 각각 분리된 오른쪽 폐와 왼쪽 폐에 각각 하나씩의 튜브를 기도를 통해서 삽입하여 환기 장치로부터의 흡입 또는 배출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접속 장치로 연결한다.
상술된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는 오른쪽 폐와 왼쪽 폐에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이공튜브를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각각에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에 접속하도록 구비된다.
하기에는 오른쪽 폐와 왼쪽 폐에 각각 삽관된 한쌍의 튜브 형태로 구비된 이공튜브와 접속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서 양쪽 중에 선택적인 한쪽을 제 1로 기재하고, 선택되지 않은 다른쪽을 제 2로 기재하여 서수로 구분하기로 한다.
또한, 폐와 연결된 기관지에서 기도 방향을 일측으로, 기도에서 기관지 방향을 타측으로 설명하고, 일측과 타측에서 직각 위치를 측면으로 설명하여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정의함으로써, 각 구성의 정확한 위치와 작동 방향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는 이공튜브가 접속되는 튜브 접속부(110), 밸브부(120), 및 환기 접속부(130)를 포함한다.
튜브 접속부(110)는 한쌍의 이공튜브의 일측이 삽입에 의해 각각 접속되는 튜브 접속 몸체(111), 제 1 분기관(113), 및 제 2 분기관(114)을 포함한다. 튜브 접속 몸체(111)는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이공튜브의 접속 시에 내부에 삽입 접속되는 튜브 접속 공간(112)을 가진다. 튜브 접속 공간(112)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내부에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제 1 분기관(113)과 제 2 분기관(114)이 연통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튜브 접속 몸체(111)는 이공튜브와 접속 시에 한쌍의 튜브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함께 삽입 접속되어 각각의 튜브가 제 1 분기관(113)과 제 2 분기관(114)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 1 분기관(113)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한쪽에 이공튜브와 연결되도록 분기된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분기관(113)은 오른쪽 또는 왼쪽 폐에 설치된 이공튜브의 한쪽과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한쪽 위치로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의 튜브 접속 공간(112)과 연통되도록 분기되어 이공튜브 접속 시에 환기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제 2 분기관(114)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한쪽과 대칭되는 위치인 다른쪽에 이공튜브와 연결되도록 분기된 위치에 설치된다. 제 2 분기관(114)은 제 1 분기관(113)과 대응되는 다른쪽인 제 1 분기관(113)이 오른쪽이면 왼쪽으로, 왼쪽이면 오른쪽에 위치하여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의 튜브 접속 공간(112)에 연통되도록 분기되어 이공튜브 접속 시에 환기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밸브부(120)는 제 1 분기관(113)에 구비되는 제 1 밸브체(121), 제 1 차단체(123)와 제 2 분기관(114)에 구비되는 제 2 밸브체(124), 및 제 2 차단체(126)를 포함한다. 제 1 밸브체(121)는 제 1 분기관(11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서 한쪽과 연결된 제 1 분기관(113)에 연결 설치되어 이공튜브 접속 시에 제 1 분기관(113)을 통해서 제 1 분기관(113)과 연결된 위치에 이공튜브로 공급되는 환기 장치의 압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비된다.
제 1 밸브체(121)의 안쪽에는 환기 장치에 압력이 유통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제 1 유통공간(122)가 형성된다. 제 1 유통공간(122)는 환기 접속부(130)로 접속된 환기 장치의 압력을 연결된 제 1 분기관(113)으로 공급하도록 제 1 밸브체(121)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 형성된다.
제 1 차단체(123)는 제 1 밸브체(121)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측면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유통공간(122)를 개방하는 홈형태의 제 1 전달홈(123a)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제 1 유통공간(122)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제 1 차단체(123)는 제1 밸브체(12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한쪽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1 유통공간(122)를 차단하도록 구비되고, 다른쪽 측면은 공기가 유통되는 홈 형태의 제 1 전달홈(123a)을 형성하여 다른쪽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1 유통공간(122)가 개방되어 압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제 1 차단체(123)의 측면 방향에 한쪽 끝에는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유통공간(122)의 차단 작동을 위해서 이동 시에 제 1 밸브체(121)에 걸림 지지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제 1 걸림체(123b)를 더 구비한다.
즉, 제 1 밸브체(121)로 제 1 유통공간(122) 차단 시에는 사용자가 제 1 차단체(123)를 다른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유통공간(122)를 차단시키면서 제 1 걸림체(123b)가 걸림 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면서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밸브체(121)로 제 1 유통공간(122)를 개방할 때에는 사용자가 제 1 차단체(123)를 한쪽 측면 방향을 이동시켜 제 1 전달홈(123a)이 제 1 유통공간(122)에 위치하여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제 2 밸브체(124)는 제 2 분기관(1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서 다른쪽과 연결된 제 2 분기관(114)에 연결 설치되어 이공튜브 접속 시에 제 2 분기관(114)을 통해서 제 2 분기관(114)과 연결된 위치에 이공튜브로 공급되는 환기 장치의 압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비된다.
제 2 밸브체(124)의 안쪽에는 환기 장치에 압력이 유통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제 2 유통공간(125)가 형성된다. 제 2 유통공간(125)는 환기 접속부로 접속된 환기 장치의 압력을 연결된 제 2 분기관(114)으로 공급하도록 제 2 밸브체(124)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 질로 관통 형성된다.
제 2 차단체(126)는 제 2 밸브체(124)의 중앙에 이동 가능하게 측면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유통공간(125)를 개방하는 홈형태의 제 2 전달홈(126a)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유통공간(125)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제 2 차단체(126)는 제 2 밸브체(124)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한쪽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2 유통공간(125)를 차단하도록 구비되고, 다른쪽 측면은 공기가 유통되는 홈 형태의 제 2 전달홈(126a)을 형성하여 다른쪽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2 유통공간(125)가 개방되어 압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제 2 차단체(126)의 측면 방향에 한쪽 끝에는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 유통공간(125)의 차단 작동을 위해서 이동 시에 제 2 밸브체(124)에 걸림 지지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제 2 걸림체(126b)를 더 구비한다.
즉, 제 2 밸브체(124)로 제 2 유통공간(125) 차단 시에는 사용자가 제 2 차단체(126)를 다른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2 유통공간(125)를 차단시키면서 제 2 걸림체(126b)가 걸림 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면서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제 2 밸브체(124)로 제 2 유통공간(125)를 개방할 때에는 사용자가 제 2 차단체(126)를 한쪽 측면 방향을 이동시켜 제 2 전달홈(126a)이 제 2 유통공간(125)에 위치하여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환기 접속부(130)는 제 1 밸브체(121)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 제 1 연결체(132), 제 1 드레인체(133)와 제 2 밸브체(124)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 제 2 연결체(135), 및 제 2 드레인체(136)를 포함한다.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제 1 밸브체(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는 제 1 밸브체(121)와 이공튜브가 연결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환기 장치와 용이하게 접속하도록 구비된다.
제 1 연결체(132)는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와 한쌍의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제 1 밸브체(121)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제 1 연결체(132)는 환기 장치와 접속된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와 이공튜브와 접속된 제 1 밸브체(121)를 상호 연결하여 이공튜브로 환기 장치의 압력을 제 1 밸브체(121)에서 제어하면서 전달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제 1 드레인체(133)는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제 1 드레인체(133)는 환기 장치의 압력이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를 거쳐서 제 1 밸브체(121)에서 제어하면서 제 1 분기관(113)에 연결된 이공튜브의 일측으로 전달 시에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제 1 밸브체(121)의 차단 시나 환기 장치에서 과도한 압력이 전달될 때에는 개방하여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내부 압력을 드레인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제 1 드레인체(133)는 제 1 밸브체(121)로 차단 시나 환기 장치의 압력을 과도하게 공급 시에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내부 압력을 드레인 시키는 것으로, 특히, 환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균일하게 생성되지 않는 맥동 현상이 발생되게 되면 갑자기 폐로 의도하지 않은 압력이 제공될 수 있음에 따라 과도한 압력의 전달에 따른 폐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즉각적으로 드레인을 실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드레인체(133)는 사용자가 탈착에 의해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드레인체(133)는 제 1 환기 접속 몸체(131)의 다른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제 2 밸브체(12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는 제 2 밸브체(124)와 이공튜브가 연결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환기 장치와 용이하게 접속하도록 구비된다.
제 2 연결체(135)는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와 한쌍의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제 2 밸브체(124)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제 2 연결체(135)는 환기 장치와 접속된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와 이공튜브와 접속된 제 2 밸브체(124)를 상호 연결하여 이공튜브로 환기 장치의 압력을 제 2 밸브체(124)에서 제어하면서 전달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제 2 드레인체(136)는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제 2 드레인체(136)는 환기 장치의 압력이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를 거쳐서 제 2 밸브체(124)에서 제어하면서 제 2 분기관(114)에 연결된 이공튜브의 일측으로 전달 시에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밸브체(124)의 차단 시나 환기 장치에서 과도한 압력이 전달될 때에는 개방하여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의 내부 압력을 드레인시키도록 구비된다.
특히, 환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균일하게 생성되지 않는 맥동 현상이 발생되게 되면 갑자기 폐로 의도하지 않은 압력이 제공될 수 있음에 따라 과도한 압력의 전달에 따른 폐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즉각적으로 드레인을 실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드레인체(136)는 사용자가 탈착에 의해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2 드레인체(136)는 제 2 환기 접속 몸체(134)의 다른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1 밸브체가 열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제 2 밸브체가 닫힌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는 튜브 접속부(110), 밸브부(120), 및 환기 접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튜브 접속부(110), 환기 접속부(130), 및 밸브부(120)의 일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밸브부(120)의 일부 구성을 설명한다.
밸브부(120)는 제 1 밸브체(121), 제 2 밸브체(124), 제 1 회전 차단체(127), 및 제 2 회전 차단체(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밸브체(121)와 제 2 밸브체(124)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밸브부(120)와 동일함에 따라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회전 차단체(127)는 제 1 밸브체(12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측면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유통공간(122)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제 1 회전 차단체(127)에는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유통공간(122)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제 1 유통공간(122) 위치에 관통된 제 1 회전 유통공간(127a)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제 1 회전 차단체(127)를 회전하여 제 1 유통공간(122)와 제 1 회전 유통공간(127a)가 상호 연통되면 제 1 유통공간(122)가 개방되고, 제 1 회전 차단체(127)의 회전에 의해 연통되는 위치를 벗어나면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회전 차단체(127)의 한쪽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형태로 구비된 제 1 회전 손잡이(127b)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제 1 회전 차단체(127)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2 회전 차단체(128)는 제 2 밸브체(124)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측면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 유통공간(125)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제 2 회전 차단체(128)에는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 유통공간(125)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제 2 유통공간(125) 위치에 관통된 제 2 회전 유통공간(128a)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제 2 회전 차단체(128)를 회전하여 제 2 유통공간(125)와 제 2 회전 유통공간(128a)가 상호 연통되면 제 2 유통공간(125)가 개방되고, 제 2 회전 차단체(128)의 회전에 의해 연통되는 위치를 벗어나면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회전 차단체(128)의 한쪽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형태로 구비된 제 2 회전 손잡이(128b)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제 2 회전 차단체(128)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회전 차단체(127)와 제 2 회전 차단체(128)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 1 밸브체(121)와 제 2 밸브체(124)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환기 장치에서 이공튜브로 공급되는 환기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접속 밸브부가 모두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 제 1 회전밸브의 작동으로 일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에서 제 1 회전밸브의 작동으로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는 튜브 접속부(110), 접속 밸브부(140), 및 환기 접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기 접속부(130)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접속 밸브부(140)의 구성을 설명한다.
튜브 접속부(110)는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되는 튜브 접속 몸체(111), 제 1 분기관(113), 및 제 2 분기관(114)을 포함한다. 튜브 접속 몸체(111)는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 한쌍의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되고, 일측으로 접속 밸브부(140)를 통하여 분기되는 튜브 접속 공간(112)이 형성된다. 튜브 접속 공간(112)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내부에 타측이 한쌍의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되도록 구비되고, 일측으로 한상의 이공튜브가 각각 환기 접속부(130)에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된다. 이런, 튜브 접속 공간(112)의 양측으로 분기되는 위치에 기체 또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압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실시하는 접속 밸브부(140)가 설치되어 유량과 압력의 조절을 이공튜브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위치에서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조절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분기관(113)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하나와 연결되도록 접속 밸브부(140)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분기관(113)은 튜브 접속 공간(112)의 분기된 한쪽에 설치되어 환기 접속부(1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 1 분기관(113)은 튜브 접속 공간(112)의 타측에 삽입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하나의 이공 튜브가 접속 밸브부(140)로 유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환기 접속부(1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제 2 분기관(114)은 튜브 접속 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나머지와 연결되도록 접속 밸브부(140)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2 분기관(114)은 튜브 접속 공간(112)의 분기된 다른쪽에 설치되어 환기 접속부(1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 2 분기관(114)은 튜브 접속 공간(112)의 타측에 삽입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나머지의 이공 튜브가 접속 밸브부(140)로 유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환기 접속부(1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접속 밸브부(140)는 튜브 접속 몸체(111)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 밸브 몸체(141), 기준 위치 표시체(142), 제 1 회전밸브(143), 및 제 2 회전밸브(144)를 포함한다.
접속 밸브 몸체(141)는 튜브 접속 몸체(111)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튜브 접속 공간(112)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한 쌍의 이공 튜브 중에 한쪽이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1 밸브공간(141a)을 가지고, 다른쪽이 연결되는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2 밸브공간(141b)을 가진다. 제 1 밸브공간(141a)은 접속 밸브 몸체(141)의 내부에서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하나의 이공튜브와 제 1 분기관(113)이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 튜브 접속 공간(112)의 분기된 한쪽에 형성된다. 제 2 밸브공간(141b)은 접속 밸브 몸체(141)의 내부에서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나머지의 이공튜브와 제 2 분기관(114)이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 튜브 접속 공간(112)의 분기된 다른쪽에 형성된다.
즉, 접속 밸브 몸체(141)는 접속 밸브 몸체(141)의 분기되는 내부에 설치되어 제 1 분기관(113)과 연결되는 분기 위치에 제 1 밸브공간(141a)을 형성하고, 제 2 분기관(114)과 연결되는 분기 위치에 제 2 밸브공간(141b)을 형성한다.
기준 위치 표시체(142)는 접속 밸브 몸체(141)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밸브공간(141a)과 제 2 밸브공간(141b) 사이에 눈금 형태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기준 위치 표시체(142)는 제 1 밸브공간(141a)과 제 2 밸브공간(141b)에서 유량 조절 시 기준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외부 지시에 따라 정확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외부로 압력의 전달 및 차단과 유량의 조절되는 량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어 유량 조절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회전밸브(143)는 접속 밸브 몸체(141)의 중앙에서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밸브공간(14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의 의해 환기 접속부(130)에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이공튜브의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제 1 회전밸브(143)에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1 유통공간(143a)가 형성된다. 제 1 유통공간(143a)는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이 조절되어 한쪽의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회전밸브(143)의 일측 방향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1 밸브손잡이(143b)가 구비된다. 제 1 밸브손잡이(143b)는 제 1 유통공간(143a)의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작동을 실시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제 1 회전밸브(143)의 다른쪽 방향에는 기준 위치 표시체(142)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기준 위치 표시체를 기준으로 제 1 유통공간(143a)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 1 위치표시체(143c)가 구비된다.
즉,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 1 회전밸브(143)를 작동하게 되면, 유량의 제어량에 따라 제 1 밸브손잡이(143b)를 파지한 상태에서 기준 위치 표시체(142)를 기준으로 제 1 위치표시체(143c)를 관찰하면서 정확한 위치로 회전하면 제 1 유통공간(143a)의 면적이 유량의 제어량에 적합하도록 조절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량의 제어량을 표시하면서 정확한 유량이 제어되어 안정성이 향상되고, 정확한 유량의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2 회전밸브(144)는 접속 밸브 몸체(141)의 중앙에서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밸브공간(14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의 의해 환기 접속부(130)에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이공튜브의 다른쪽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제 2 회전밸브(144)에는 한쌍의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2 유통공간(144a)가 형성된다. 제 2 유통공간(144a)는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이 조절되어 다른쪽의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회전밸브(144)의 일측 방향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2 밸브손잡이(144b)가 구비된다. 제 2 밸브손잡이(144b)는 제 2 유통공간(144a)의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작동을 실시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제 2 회전밸브(144)의 다른쪽 방향에는 기준 위치 표시체(142)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기준 위치 표시체(142)를 기준으로 제 2 유통공간(144a)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 2 위치표시체(144c)가 구비된다.
즉, 한쌍의 이공튜브 중에 다른쪽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 2 회전밸브(144)를 작동하게 되면, 유량의 제어량에 따라 제 2 밸브손잡이(144b)를 파지한 상태에서 기준 위치 표시체(142)를 기준으로 제 2 위치표시체(144c)를 관찰하면서 정확한 위치로 회전하면 제 2 유통공간(144a)의 면적이 유량의 제어량에 적합하도록 조절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량의 제어량을 표시하면서 정확한 유량이 제어되어 안정성이 향상되고, 정확한 유량의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회전밸브(143)와 제 2 회전밸브(144)는 튜브 접속 몸체(111)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접속 밸브 몸체(141)의 한쌍의 이공튜브가 접속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는데 있어 외부에서 조절되는 제어량을 표시함에 따라 유량의 조절에 따른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공튜브 접속장치 110 : 튜브 접속부
111 : 튜브 접속 몸체 112 : 튜브 접속 공간
113 : 제 1 분기관 114 : 제 2 분기관
120 : 밸브부 121 : 제 1 밸브체
122 : 제 1 유통공간 123 : 제 1 차단체
123a : 제 1 전달홈 123b : 제 1 걸림체
124 : 제 2 밸브체 125 : 제 2 유통공간
126 : 제 2 차단체 126a : 제 2 전달홈
126b : 제 2 걸림체 127 : 제 1 회전 차단체
127a : 제1 회전 유통공간 127b : 제 1 회전 손잡이
128 : 제 2 회전 차단체 128a : 제 2 회전 유통공간
128b : 제 2 회전 손잡이 130 : 환기 접속부
131 : 제 1 환기 접속 몸체 132 : 제 1 연결체
133 : 제 1 드레인체 134 : 제 2 환기 접속 몸체
135 : 제 2 연결체 136 : 제 2 드레인체
140 : 접속 밸브부 141 : 접속 밸브 몸체
141a : 제 1 밸브공간 141b : 제 2 밸브공간

Claims (6)

  1. 한쌍의 튜브 형태로 기도를 통해서 양측에 기관지에 각각 삽관되는 이공튜브와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 장치를 접속시키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각각 상기 환기 장치에 연결되도록 분기된 튜브 접속부(110),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기되는 각각의 상기 이공튜브로 제공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량를 조절하도록 설치되고, 유량이 조절되기 위한 밸브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된 접속 밸브부(140), 및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각각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환기 장치의 압력을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에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환기 접속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접속부는,
    상기 이공튜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가 삽입 접속되고, 일측으로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하여 분기되는 튜브 접속 공간을 가지는 튜브 접속 몸체(111),
    상기 튜브 접속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에 하나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분기관(113), 및
    상기 튜브 접속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공튜브 접속 시에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에 나머지 이공튜브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 밸브부를 통해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분기관(114)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밸브부는,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 접속부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이공 튜브 중에 한쪽이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1 밸브공간을 가지고, 다른쪽이 연결되는 분기되는 위치로 연통되는 공간인 제 2 밸브공간을 가지는 접속 밸브 몸체,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서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밸브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상기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1 유통공간을 가지고, 일측 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1 밸브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밸브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유통공간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한쪽의 상기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회전밸브, 및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서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밸브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되는 위치로 상기 환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유통되는 제 2 유통공간을 가지고, 일측 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제 2 밸브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밸브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유통공간이 개방 및 폐쇄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다른쪽의 상기 이공튜브에 유량을 조절하는 제 2 회전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상기 제 2 회전밸브 사이에 눈금 형태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상기 제 2 회전밸브의 조절되는 기준 위치로 설정되도록 구비된 기준 위치 표시체,
    상기 제 1 회전밸브의 다른쪽 방향인 상기 제 2 회전밸브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유통공간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제 1 위치표시체, 및
    상기 제 2 회전밸브의 한쪽 방향인 상기 제 1 회전밸브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향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눈금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 시에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유통공간의 개방 및 폐쇄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제 2 위치표시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 접속부, 튜브 접속 몸체, 제 1 분기관 및 제 2 분기관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제 2 회전밸브는 상기 접속 밸브 몸체의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회전밸브와 제 2 회전밸브는 각각 상기 기준 위치 표시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접속부는,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제 1 환기 접속 몸체,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와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한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 1 연결체,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가로 지른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제 2 환기 접속 몸체, 및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와 한쌍의 상기 이공튜브 중 다른쪽에 연결된 상기 접속 밸브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 제 2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1 드레인체, 및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압력을 드레인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환기 접속 몸체의 다른쪽 측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2 드레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KR1020140131229A 2014-09-30 2014-09-30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KR10169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229A KR101699945B1 (ko) 2014-09-30 2014-09-30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229A KR101699945B1 (ko) 2014-09-30 2014-09-30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60A KR20160038360A (ko) 2016-04-07
KR101699945B1 true KR101699945B1 (ko) 2017-01-25

Family

ID=5578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229A KR101699945B1 (ko) 2014-09-30 2014-09-30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183A (ja) 2007-11-21 2009-06-11 Yokohama City Univ 分離肺換気用ダブルルーメンチューブ
JP2009125184A (ja) 2007-11-21 2009-06-11 Yokohama City Univ 分離肺換気用ダブルルーメンチューブ
CN201437019U (zh) 2009-05-12 2010-04-14 广州市韦士泰医疗器械有限公司 双腔支气管导管y型连接器
CN202844288U (zh) 2012-04-17 2013-04-03 黄章翔 可关闭式双腔气管导管连接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183A (ja) 2007-11-21 2009-06-11 Yokohama City Univ 分離肺換気用ダブルルーメンチューブ
JP2009125184A (ja) 2007-11-21 2009-06-11 Yokohama City Univ 分離肺換気用ダブルルーメンチューブ
CN201437019U (zh) 2009-05-12 2010-04-14 广州市韦士泰医疗器械有限公司 双腔支气管导管y型连接器
CN202844288U (zh) 2012-04-17 2013-04-03 黄章翔 可关闭式双腔气管导管连接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60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488E1 (en) Bronchoscopy oxygenation system
KR101574772B1 (ko)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US9415179B2 (en) Medical device, and the methods of using same
US11679229B2 (en) Cough-assist systems with humidifier bypass
AU2014293390B2 (en) Medical device, and the methods of using same
US7909033B2 (en) Breathing treatment apparatus
US9072432B2 (en) Bronchoscopic manifold
US20050161048A1 (en) Multiple seal port anesthesia adapter
WO2016180243A1 (zh) 一种咳痰管路
JP6371387B2 (ja) バイパスを有するガス流転換要素
CN105530981A (zh) 提供呼吸支持的设备
AU2018290190A1 (en) Connectors for respiratory assistance systems
KR101699945B1 (ko) 분리폐환기를 위한 이공튜브 접속장치
EP2153859B1 (en) Medical ventilation system
CN212817571U (zh) 单肺通气隔离阀
CN209253878U (zh) 可移动双腔气管导管
CN212187392U (zh) 一种用于双腔支气管导管调节的辅助装置
CN213466393U (zh) 通气治疗设备
CN211658988U (zh) 一种可以调节气流量的双腔支气管插管
CN219049958U (zh) 一种麻醉机联合高频喷射通气呼吸机双腔气管导管
CN104667398A (zh) 呼吸机及其气道辅助装置
US20150320961A1 (en) Airway access device
CN111905219A (zh) 一次性使用无菌双管鼻咽通气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