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33B1 -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33B1
KR101699833B1 KR1020150019279A KR20150019279A KR101699833B1 KR 101699833 B1 KR101699833 B1 KR 101699833B1 KR 1020150019279 A KR1020150019279 A KR 1020150019279A KR 20150019279 A KR20150019279 A KR 20150019279A KR 101699833 B1 KR101699833 B1 KR 10169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state
line
voltage
lin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558A (ko
Inventor
이종현
유형섭
구관모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to KR102015001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0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 특징은 원래 표시 출력 전압, 원래 제어 전압 및 원래 표시 입력 전압을 기계실 데이터로서 인가받아 수집 주기마다 상기 기계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입력 장치, 선로 전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는 감지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현장 데이터로 인가받아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판정한 현장 판결 결과와 상기 현장 데이터를 상기 수집 주기마다 출력하는 제2 입력 장치, 기계실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를 상태 데이터로서 인가받아, 인가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각 선로 전환기별로 취합하여 각 선로 전환기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합부, 그리고 각 선로 전환기별로 상기 수집 주기마다 수집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현재 상태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구동된 선로 전환기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INT SWITCHING OPERATION}
본 발명은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 전환기는 선로가 분기되거나 교차하는 곳에 설치되어 열차의 궤도를 변경하여 운행 진로를 결정짓는 장치이다.
원하는 방향으로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기 위해, 사령실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은 중앙 교통 제어 시스템(CTC, centralized traffic control system)을 통해 각 역의 연동 장치로 전달되고, 전달된 제어 명령은 선로 전환기로 전송되어 열차의 선로가 변경되도록 한다.
선로 전환기를 구비하고 있는 분기기는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선로 전환기를 구동시켜 선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한 후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선로 전환기의 상태와 선로 전환기의 전환 동작에 따른 선로의 전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종래에는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선로 전환기나 전환 상태를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였다. 이로 인해, 선로 전환기 및 선로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아 현재 선로 상태에 맞게 선로 전환기의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의 발생 위험이 컸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로 전환기의 상태와 선로 전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을 경우, 점검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래 표시 출력 전압, 원래 제어 전압 및 원래 표시 입력 전압을 기계실 데이터로서 인가 받아 수집 주기마다 상기 기계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입력 장치, 선로 전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는 감지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현장 데이터로서 인가받고, 인가된 상기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판정한 현장 판결 결과와 상기 현장 데이터를 상기 수집 주기마다 출력하는 제2 입력 장치, 상기 제1 입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기계실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를 상태 데이터로서 인가받아, 인가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각 선로 전환기별로 취합하여 각 선로 전환기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합부, 그리고 상기 데이터 취합부에서 출력되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선로 전환기별로 상기 수집 주기마다 수집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구동된 선로 전환기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 장치는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각각을 각 설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여 상기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밀착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 감지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해당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여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입력 장치는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이나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을 산출하여 제1 설정 시간 내에 선로 전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로 판정하여 상기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은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발생하지 않거나 현장 제어 전압이 출력된 시점에서부터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출력되거나 현장 제어 전압의 출력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태 데이터에서 선로 전환 상태가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의 실측값을 각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실측값이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 중 해당 전압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고,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전환 시간이 상기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를 설비 기준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가 상기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표시 출력 전압과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표시 입력 전압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제어 전압과 현장 제어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원래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원래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원래 및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정해진 시기에 판독된 현장 데이터 중에서 현장 제어 전압이나 현장 표시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됐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장 데이터 중에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각각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현장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상기 설정 전압 범위을 벗어난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된 시점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출력된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상기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선로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수집된 상태 데이터에서 선로 전환 상태가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의 실측값을 각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실측값이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당 전압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전환 시간이 상기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상기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를 설비 기준값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가 상기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은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원래 표시 출력 전압과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원래 표시 입력 전압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제어 전압과 현장 제어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래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과 상기 원래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원래 및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현장에서 측정된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과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판정하므로, 좀더 정확하게 선로 전환 상태가 판정된다.
또한, 현장 데이터의 상태를 이용하여 선로 전환 동작이 행해지는 부분 중에서 비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되므로, 고장 부위나 점검 부위의 검색 시간이 줄어든다.
현장에서 측정된 현장 데이터의 각 실측값의 실측 위치에 고려하여, 실제 측정된 현장 데이터의 상태를 판정하므로, 정확한 선로 전환 상태와 선로 점검 시기의 판정이 가능하므로,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선로 전환기와 감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기에 의한 텅레일의 전환 상태에 따라 선로의 궤도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본선 방향으로 전환된 도면이고, (b)는 선로 전환기의 동작에 의해 선로의 궤도가 변경되어 측선 방향으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현장 데이터 입력 장치의 제1 상태 판정부에 의해 행해지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선로의 전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현장에 입력되거나 현장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이하, '현장 데이터 또는 제1 데이터'라 함)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감지 유닛(11), 감지 유닛(11)과 연결되어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와 기계실에서 측정된 데이터(이하, '기계실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라 함)를 입력 받는 입력 유닛(10), 입력 유닛(10)과 연결된 데이터 취합 유닛(20) 및 데이터 취합 유닛(20)과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30)를 구비한다.
감지 유닛(11)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에 의해 선로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현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로 전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해당 크기의 현장 데이터를 출력하여 입력 유닛(10)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감지 유닛(11)에서 출력되는 현장 데이터는 제1 내지 제3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DO3), 현장 제어 전압(AS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및 교류 전원(AC)이다.
이러한 감지 유닛(11)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입력 유닛(10)은 감지 유닛(11)과 연결되어 있고, 감지 유닛(11)에서 출력되는 현장 데이터와 기계실에서 출력되는 기계실 데이터를 입력 받고,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전달되는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동작에 의한 선로 전환 동작과 각 현장 데이터의 상태를 판정하여 정상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인가된 현장 데이터 및 기계실 데이터와 함께 상태 데이터로서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전달한다.
이때, 기계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 및 원래 제어 전압(AS0)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0)은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계 장치들이 존재하는 기계실에서 출력되고 기계실로 입력되는 기계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계실 입력 장치(예, 제1 입력 장치)(101)와 선로 전환기(110)가 설치된 현장으로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장 입력 장치(예, 제2 입력 장치)(10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계실 입력 장치(101)와 현장 입력 장치(102)는, 현장 입력 장치(102)가 상태 판정부(이하, '제1 상태 판정부'라 함)(1022)와 이 제1 상태 판정부(1022)와 연결된 데이터 출력부(이하, '제1 데이터 출력부'라 함)(10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감지 신호 입력부(1011, 1021), 감지 신호 입력부(1011, 1021)와 각각 연결된 저장부(1013, 1023) 및 통신부(1015, 1025)를 구비한다.
이때, 기계실 입력 장치(101)의 감지신호 입력부(1011)는 저장부(1013)와 통신부(1015)에 직접 연결되어, 기계실에서 인가된 기계실 데이터를 저장부(1013)에 저장하고 또한 통신부(1015)를 거쳐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출력한다.
반면, 현장 입력 장치(102)의 감지신호 입력부(1021)는 제1 상태 판정부(1022)와 연결되어 있고, 이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저장부(1013) 및 통신부(101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감지 유닛(11)에서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선로 전환 상태 및 현장 데이터의 상태를 판정하여 1차적으로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즉, 현장 판정 결과)를 저장부(1023)에 저장하고 통신부(1025)를 거쳐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전달하며 또한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로 출력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장치,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로 현장 판정 결과가 출력되므로 해당 관리자가 현장의 선로 전환 상태와 고장 위치 또는 점검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 역시 저장부(1023)에 저장하며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전달한다.
다음 도 2을 참고로 하여, 선로 전환기(110)와 그 주변 장치와의 연결 관계, 그리고 이들 장치로 입력되고 이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관계를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분선반(500)에는 복수의 선로 전환기(110)가 연결되어 있고, 분선반(500)은 선로 전환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신호인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 선로 전환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명령에 해당하는 원래 제어 전압(AS0) 및 현장으로부터 피드백되어 인가되는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을 입력 받는다.
이때,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과 원래 제어 전압(AS0)은 외부로부터 기계실의 분선반(500)으로 입력된 후 해당 선로 전환기(110)가 위치한 현장으로 전송되어 해당 감지 유닛(11)으로 인가된다.
또한,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현장으로 인가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에 기초하여 현장에서 출력되어 감지 유닛(11)을 거친 후 다시 기계실의 분전반(500)으로 피드백되어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이다.
따라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은 선로 전환기(110)에 의한 선로 전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감지 유닛(11)으로 인가되는 전압이고,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은 각각 선로의 밀착 상태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로 전환 완료 확인 전압이다.
원래 제어 전압(AS)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선로 전환기(110)의 구동 명령에 해당하는 전압으로서, 이 제어 전압(AS)이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공급될 때 해당 선로 전환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이 교류 전원(AC)(즉, 해당 크기의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이 해당 선로 전환기(110)로 인가된다.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에 의해 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철도 구간에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기본 레일(R1)과 텅레일(C1)이 존재하며,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에 의해 텅레일(C1)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본 레일(R1)과 텅레일(C1)의 연결 상태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텅레일(C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정위 방향(A1→B1)(본선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열차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반위 방향(A1→B2)(측선 또는 좌측 방향)으로 열차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서, (a)는 텅레일(C1)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선 방향(A1→B1) 으로 열차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고, (b)는 텅레일(C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측선 방향(A1→B2) 으로 열차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복수의 선로 전환기(110)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고, 도 2에 참고로 하여 선로 전환기(110)의 한 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선로 전환기(110)는 전원부(6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AC)에 의해 동작하여 텅레일(C1)을 원하는 방향(즉,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방향으로의 선로 전환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M1)를 구비하고, 분선반(500)에서 출력되어 현장으로 인가되는 제어 전압, 즉 현장 제어 전압(AS1)에 따라 동작하여 교류 전원(AC)을 구동부(M1)로 전달하는 제3 및 제4 릴레이부(RY13, RY14)를 구비한다.
이때, 제3 릴레이부(RY13)는 현장 제어 전압(AS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G2)에 연결된 코일(L13)과 교류 전원(AC)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고 구동부(110)의 공통 단자(C)에 연결된 스위치(S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4 릴레이부(RY14)는 현장 제어 전압(AS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G2)에 연결된 코일(L14), 구동부(110)의 역회전 단자(RR)에 고정 단자(F1)가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단자(T11, T12)를 구비한 스위치(S14_3) 그리고 구동부(110)의 정회전 단자(NR)에 고정 단자(F1)가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단자(T11, T12)를 구비한 스위치(S14_4)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부(110)의 한 예는 모터(motor)이고, 도 2의 경우 단상 모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장 제어 전압(AS1)의 인가 여부에 따라 제3 및 제4 릴레이부(RY13, RY14)의 코일(L13, L14)의 동작 상태가 결정되고, 코일(L13, L14)의 동작 상태에 따라 스위치(S13)의 턴온 상태와 스위치(S14_3,S14_4)의 절환 상태가 정해져 구동부(M1)로 구동 전원인 교류 전원(AC)이 인가된다.
이때, 교류 전원(AC)의 극성 상태에 따라 모터(M1)의 동작 상태가 변하여 텅레일(C1)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도 2에서 모터(M1)는 단상 모터를 하므로, 모터(M1)의 정회전을 위한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정회전 단자(NR), 모터(M1)의 역회전을 위한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역회전 단자(RR) 및 공통 단자(C)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에 따라 텅레일(C1)의 동작이 행해질 경우, 이미 설명한 것처럼, 텅레일(C1)의 동작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의 선로 전환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감지 유닛(11)의 구조의 한 예는 도 2와 같다.
감지 유닛(11)은 분선반(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이 현장으로 인가된 전압인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을 일측 단자로 인가받는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이 인가되고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RY11, RY12), 제1 릴레이부(RY11)와 연결되어 있고 분선반(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원래 제어 전압(AS0)이 현장으로 인가된 전압인 현장 제어 전압(AS1)이 인가되는 제3 및 제4 릴레이부(RY13, RY14), 그리고 제4 릴레이부(RY14)에 연결되어 있는 전환 방향 판정부(111)를 구비한다.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하나(예, SW11)는 텅레일(C1)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본 레일(R1)과 텅레일(C1)간의 밀착 정도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지며, 다른 하나(예, SW12)는 텅레일(C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본 레일(R1)과 텅레일(C1)간의 밀착 정도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들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는 텅레일(C1)의 이동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정해진 양 이상 텅레일(C1)이 이동함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여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을 제1 및 제2 릴레이부(RY11, RY12)로 전달한다.
이러한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는 금속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근접 센서나 정해진 양만큼 텅레일(C1)이 이동하면 자동으로 온되는 기계식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릴레이부(RY11)는 밀착 감지 스위치(SW11)의 타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G1)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L11)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4 릴레이부(RY14)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1_1)와 접지 단자(G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환 방향 판정부(111)에 타측 단자가 연결된 스위치(S11_2)로 이루어진 스위치부(S11)를 구비한다.
제2 릴레이부(RY12)는 밀착 감지 스위치(SW12)의 타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G1)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L12)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4 릴레이부(RY14)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2_1) 그리고 접지 단자(G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환 방향 판정부(111)에 타측 단자가 연결된 스위치(S12_2)를 구비한 스위치부(S12)를 구비한다.
이때, 각 릴레이부(RY11, RY12)에 위치한 두 스위치[(S11_1 및 S11_2)와 (S12_1 및 S12_2)]는 서로 연동하고,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두 스위치[(S11_1 및 S11_2)와 (S12_1 및 S12_2)]는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모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현장으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이 인가된 후 밀착 감지 스위치(SW11 또는 SW12)가 온되면, 제1 또는 제2 릴레이부(RY11 또는 R12)의 코일(L11 또는 L12)이 동작하여 해당 스위치부(S11 또는 S12)는 온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온된 제1 또는 제2 릴레이부(RY11 또는 R12)의 스위치부(S11 또는 S12)를 통해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은 제4 릴레이부(RY14)로 인가된다.
제4 릴레이부(RY14)는 이미 설명한 코일(L14) 및 스위치(S14_3, S14_4) 이외에도 제1 릴레이부(RY11)의 스위치(S11_1)의 타측 단자에 고정 단자(F1)가 연결되어 있고 두 단자(T11, T12)를 구비한 스위치(S14_1)와 제2 릴레이부(RY12)의 스위치(S12_1)의 타측 단자에 고정 단자(F1)가 연결되어 있고 두 단자(T11, T12)를 구비한 스위치(S14_2)를 더 구비한다.
선로 전환 동작을 위해, 현장으로 현장 제어 전압(AS1)이 인가되면 제3 및 제4 릴레이부(RY13, RY14)가 동작하여 현장 제어 전압(AS1)의 극성에 따라 모터(M1)의 동작 상태가 정해져 해당 방향으로 텅레일(C1)이 이동하여 정위 방향이나 반위 방향으로 열차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장 제어 전압(AS1)에 의해 제3 릴레이부(RY13)의 코일(L13)이 자화되어 릴레이부(RY13)가 동작해 스위치(S13)가 턴온되어 모터(M1)의 공통 단자(C)로 해당 크기의 전압(AC)이 인가된다.
반위 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해 -24V의 현장 제어 전압(AS1)이 인가되면, 제4 릴레이부(RY14)의 동작에 의해 스위치(S14_3)는 제2 단자(T12)와 연결되고 스위치(S14_4) 역시 제2 단자(T12)과 연결된다.
따라서, 공통 단자(C)-역회전 단자(RR)-스위치(S14_3)-턴온 상태의 스위치(S111_31)를 통해 접지 단자(G3)로 전류가 흐르므로 모터(M1)는 역회전하여 텅레일(C1)의 방향 전환이 반위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반위 방향으로의 텅레일(C1)의 이동이 완료되면 전환 방향 판정부(111)의 스위치부(S111_1, S111_2, S111_3)의 접접 상태는 반전된다.
다시, 정위 방향으로의 진행을 위해 +24V의 현장 제어 전압(AS1)이 인가되면, 제4 릴레이부(RY1)의 동작에 의해 스위치(S14_3)는 제1 단자(T11)와 연결되고 스위치(S14_4) 또한 제1 단자(T11)과 연결된다.
따라서, 공통 단자(C)-정회전 단자(NR)-스위치(S14_4)-턴온 상태의 스위치(S111_32)를 통해 접지 단자(G3)로 전류가 흐르므로 모터(M1)는 정회전하여 텅레일(C1)의 방향 전환이 정위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정위 방향으로의 텅레일(C1)의 이동이 완료되면 전환 방향 판정부(111)의 스위치부(S111_1, S111_2, S111_3)의 접점 상태는 다시 반전된다.
또한, 제4 릴레이부(RY14)의 코일(L14)의 동작에 의해 스위치(S14_1, S14_2)의 절환 상태가 달라져 제1 및 제2 릴레이부(RY11, RY12)에서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은 전환 방향 판정부(111)를 거쳐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으로서 출력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는 전환 방향 판정부(111)의 스위치부(S111_1)의 스위치(S111_11)에서 출력되는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과 전환 방향 판정부(111)의 스위치부(S111_1)의 스위치(S111_12)에서 출력되는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와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24V나 0V 중 하나이고,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와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로 인해, 한 예로서, 텅레일(C1)의 전환 방향이 정위 방향일 때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의 출력 전압이 24V이고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이 0V이며, 반대로 텅레일(C1)의 전환 방향이 반위 방향일 때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의 출력 전압이 0V이고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이 24V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릴레이부(RY13)와 제4 릴레이부(RY14)의 스위치(S14_3, S14_4)는 모터(M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4 릴레이부(R14)의 스위치(S14_1, S14_2)는 텅레일(C1)의 전환 방향에 따라 해당 크기의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즉, DI11, DI12)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접지 단자(G1, G2, G3)는 0V나 -3.3V 등과 같이 회로의 접지 기능을 위한 설정 전압이 인가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은 기계실, 즉 분선반(500)에서부터 현장 쪽으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이 정상적으로 해당 현장에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전압으로서 감지 유닛(11)의 입력단에서 출력된다.
현장 제어 전압(AS1) 역시 분선반(500)에서부터 현장 쪽으로 원래 제어 전압(AS1)이 정상적으로 해당 현장에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전압으로서 감지 유닛(11)의 입력단에서 출력된다.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2)은 각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의 출력단인 타측 단자에서 출력된다.
제3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3)은해당 릴레이부(RY11 및 RY12)의 정상 동작 여부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릴레이부(RY11, RY12)의 스위치(S11_1, S12_1)의 타측 단자에서 출력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1 및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 DI12)로 이루어진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은 해당 선로의 선로 전환 동작이 해당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실로 피드백 되기 전 해당 현장에 위치한 전환 방향 판정부(1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이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은 현장으로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에 기초한 전압이다.
또한, 전원실(600)에서 현장에 설치된 선로 전환기(110)로 교류 전원(AC)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교류 전압(AC)이 현장에서 출력되어 입력 유닛(102)으로 인가된다. 이때, 교류 전압(AC)에 대한 전압과 전류 즉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가 출력되어 입력 유닛(102)으로 인가된다.
본 예에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은 +24V의 전압값을 갖고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DO3)의 전압 크기는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에 기초해 정해지고 분선반(500)으로부터 측정 위치까지의 회선 저항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원래 제어 전압(AS0)은 +24V 또는 -24V의 전압값을 갖고 있고 선로 전환 방향에 따라 해당 극성(+, -)이 달라진다. 한 예로, 선로 전환 방향이 본선 방향일 때 원래 제어 전압(AS0)은 +24V를 갖고, 선로 전환 방향이 측선 방향일 때 원래 제어 전압(AS0)은 -24V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압의 크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제어 전압(AS1)의 전압 크기 역시 원래 제어 전압(AS0)의 크기와 분선반(500)으로부터의 측정 위치에 따른 회선 저항 크기 등에 따라 정해진다.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은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에 기초한 전압이므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의 전압 크기와 분선반(500)으로부터의 측정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회전 저항에 따라 정해진다.
전환 방향 판정부(111)는 예를 들어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성되는 접점을 복수의 스위치부(S111_1,S111_2, S111_3)로 이루어지고, 원래 제어 전압(AS0)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진 제4 릴레이부(RY14)를 거쳐 인가되는 제3 표시 출력 전압(DO3)의 인가 위치에 따라 해당 전압의 값을 갖는 제1 및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 DI12))이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으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전환 방향 판정부(111)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4 릴레이(RY14)의 스위치(S14_1)의 제1 단자(T1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을 출력하는 스위치(S111_11)와 제1 릴레이(RY11)의 스위치(S11_2)의 타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을 출력하는 스위치(S111_12)를 구비한 제1 스위치군(S111_1), 제4 릴레이(RY14)의 스위치(S14_2)의 제2 단자(T12)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과 연결된 스위치(S111_21)와 제2 릴레이(RY12)의 스위치(S12_2)의 타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과 연결된 스위치(S111_22)를 구비한 제2 스위치군(S111_2), 그리고 제4 릴레이(RY14)의 스위치(S14_3)의 제2 단자(T12)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1전원실(600)의 접지 단자(G3)에 타측 단자가 연결된 스위치(S111_31)와 제4 릴레이(RY14)의 스위치(S14_4)의 제1 단자(T11)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실(600)의 접지 단자(G3)에 타측 단자가 연결된 스위치(S111_32)를 구비한 제3 스위치군(S111_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스위치군(S111_1, S111_2)은 선로 전환 방향에 따른 해당 크기의 제1 및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 DI12)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스위치군(S1111, S1112)에서 서로 쌍을 이루는 스위치(S111_11 및 S111_12, S111_21 및 S111_22)는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턴온되거나 동시에 턴오프된다.
도 2에서, 스위치(S111_11, S111_22)는 제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1)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스위치(S111_12, S111_21)는 제2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2)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3 스위치군(S111_3)은 제3 및 제4 릴레이(RY13, RY14)와 함께 구동부(110)의 모터(M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된 해당 스위치(S111_31 또는 S111_32)와 제4 릴레이(RY14)의 해당 스위치(S14_3 또는 S14_4)를 통해 정회전 단자(NR)나 역회전 단자(RR)로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져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터(M1)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3 스위치군(S111_3)의 두 스위치(S111_31, S111_32)는 서로 상반되게 동작하여, 하나가 온일 경우 다른 하나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교류 전원(AC)은 단상 교류 전원으로서 110V나 220V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상 교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감지 유닛(11)에서, 텅레일(C1)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밀착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텅레일(C1)과 기본 레일(R1)이 만나는 지점에 각각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밀착 감지 스위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사이에 직렬로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텅레일(C1)의 우측 방향으로의 밀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착 감지 스위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텅레일(C1)의 좌측 방향으로의 밀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착 감지 스위치 역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밀착 감지 스위치(SW11, SW12)처럼,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착 감지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군(좌측용 스위치군)과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착 감지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군(우측용 스위치군)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이처럼, 복수 개의 밀착 감지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각 밀착 감지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하여 각 밀착 감지 스위치는 출력단을 통해 해당 크기의 복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2)을 출력하여 현장 입력 장치(102)로 인가하게 된다.
이 경우, 좌측용 스위치군과 우측용 스위치군의 각 접점 상태는 방향 전환 상태에 따라 정해지므로, 원래 제어 전압(AS0)과 현장 제어 전압(AS1)은 생략되고, 좌측용 스위치군과 우측용 스위치군에서 각각 출력되는 현장 표시 출력 전압으로서 분선반에서 피드백 받아, 선로 전환 방향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의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밀착 감지를 위해 하나의 밀착 감지 스위치(SW11 또는 SW12)가 존재함에 따라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2)이 출력되지만, 해당 방향으로의 밀착 감지를 위해 복수 개의 밀착 감지 스위치가 존재할 경우 복수 개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각 밀착 감지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기계실 입력 장치(101)와 현장 입력 장치(102)의 각 감지 신호 입력부(1011, 1021)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기계실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를 판독하여 각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기계실 데이터(DO0, DI0, AS0)와 현장 데이터(AC, DI1, DO1, DO2, DO3, AS1) 및 현장 판정 결과를 획득한 후 상태 데이터로서 데이터 취합 유닛(20)로 출력한다.
기계실 감지 장치(101)와 현장 감지 장치(102) 각각의 저장부(1013, 1023)는 해당 감지 신호 입력부(1011, 1021)에 의해 판독된 해당 데이터(DO0, DI0, DI1, AS0, AC, DO1, DO2, DO3, AS1) 및 현장 판정 결과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신부(1015, 1025)는 각각 랜(LAN,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감지 신호 입력부(1011, 1021)의 제어에 의해 판독된 기계실 데이터,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로 이루어진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취합 유닛(20)로 출력한다.
데이터 취합 유닛(20)은 입력 유닛(10)의 입력 장치(101, 102)로부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선로 전환기별 및 시간대 별로 취합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데이터 취합 유닛(20)은 입력 유닛(10)의 통신부(1015, 1025)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1), 통신부(21)에 연결된 제1 데이터 취합부(22), 통신부(21)에 연결된 제2 데이터 취합부(23), 제1 및 제2 데이터 취합부(21, 22)와 연결된 데이터 표시부(24), 그리고 통신부(25)를 구비한다.
통신부(21)는 랜(LAN,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입력 유닛(10)의 통신부(1015, 1025)를 통해 각각 전달되는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 취합부(22, 23)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 유닛(10)의 통신부(1015, 1025)와 데이터 취합 유닛(20)의 통신부(21) 간의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취합부(22, 23) 각각은 통신부(21)와 연결된 취합 제어부(221, 231) 그리고 취합 제어부(221, 231)와 연결된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를 구비한다.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 각각은 통신부(21)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 및현장 판정 결과를 수집 시점별로 취합하여 각각 연결된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로 저장한다.
즉,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는 각각 기계실 입력 장치(101)의 감지 신호 입력부(1011)와 현장 입력 장치(102)의 감지 신호 입력부(1021)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실 및 현장 데이터와 현장 판정 결과를 선로 전환기(110)별로 취합한다. 각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에 의해 각 선로 전환기(110)별로 취합된 기계실 및 현장 상태 데이터와 현장 판정 결과는 데이터 표시부(24)로 출력되며 또한 각 연결된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에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표시부(24)는 인가되는 선로 전환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현재 시각에 감지된 각 선로 선환기(110)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 표시부(24)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장치,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는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에 의해 취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에서 각각 인가되는 데이터를 각 선로 전환기(110) 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에 저장되어 있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해당하는 상태 데이터는 입력 유닛(10)으로부터 해당 상태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시간 별로 갱신된다.
이처럼,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에 의해 인가되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저장한 후,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해당 상태 데이터를 통신부(25)로 출력하여 모니터링 장치(3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25)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는 통신부(25)의 상태를 감시하여 통신부(25)가 정상 상태로 되면 저장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를 읽어와 통신부(25)로 출력하여, 정상적으로 모니터링 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예에서,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의 동작에 의해, 취합 데이터 저장부(222, 232)에 각각 저장되는 각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 데이터는 서로 동일하다.
통신부(25)는 완(WAN, wide area network) 등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 데이터 취합부(22, 23) 중 하나에서 출력되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 받아 모니터링 장치(30)로 출력한다.
데이터 취합 유닛(20)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1 데이터 취합부(22)와 제2 데이터 취합부(23)를 갖는 이중계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데이터 취합부(22)와 제2 데이터 취합부(23)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시점에 각 데이터 취합부(22, 23)에서 취합되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 역시 동일하다.
즉, 제1 데이터 취합부(22)와 제2 데이터 취합부(23) 중 하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30)로 출력하다가 제1 데이터 취합부(22)와 제2 데이터 취합부(23) 중 하나의 동작이 비정상 태일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데이터 취합부(21 또는 22)에서 출력되는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취합부(22)와 제2 데이터 취합부(23) 중 하나는 다른 데이터 취합부(22)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대비한 비상용 데이터 취합부이다.
본 예에서, 비상 상태가 아닌 일반 상태일 때 사용되는 데이터 취합부[예, 제1 데이터 취합부(22)]는 동작계라 하고, 비상 상태일 때 사용되는 데이터 취합부[예, 제2 데이터 취합부(23)]는 항시 대기계라 하며, 이로 인해, 데이터 취합 유닛(20)는 동작계와 항시 대기계로 이루어진 이중계를 구성한다.
제1 및 제2 데이터 취합부(22, 23)는 각각 취합한 상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정확하게 데이터 취합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작계와 항시 대기계의 고장 상태를 검증하기 위하여 데이터 취합 제어부(221, 231) 간의 통신 및 펄스 송수신을 이용해 고장여부를 판단하며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제1 또는 제2 데이터 취합부(22, 23)로의 동작 절환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두 개의 데이터 취합부(22, 23)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30)는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상태 데이터에 함유된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기계실 및 현장 데이터와 현장 입력 장치(102)로부터 전달된 현장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각 선로 전환기(110)의 점검 필요 여부 및 장애 발생 여부 예측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30)는 데이터 취합 유닛(20)의 통신부(25)와 연결된 통신부(31), 통신부(31)와 연결된 제어부(32), 제어부(32)와 연결된 데이터 출력부(이하, '제2 데이터 출력부'라 함)(33)를 구비한다.
통신부(31)는 데이터 취합 유닛(20)의 통신부(25)를 통해 전달되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2)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완(WAN)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취합 유닛(20)의 통신부(25)와 모니터링 장치(30)의 통신부(31) 간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제어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데이터를 각 선로 전환기(110) 별로 데이터 수집 시간 순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21), 데이터베이스(321)에 연결되어 있고 각 선로 전환기(110)의 점검 여부와 장애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상태 판정부(이하, '제2 상태 판정부'라 함)(322)를 구비한다.
제어부(32)의 동작에 의해 통신부(31)를 통해 데이터 취합 유닛(20)로부터 전달되는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321)에는 입력 유닛(10)과 데이터 취합 유닛(20)의 동작에 의해 각 선로 전환기(110)별로 상태 데이터 수집 주기마다 수집된 기계실 및 현장 데이터(DO0, DI0, AS0, AC, DO1, DO2, DO3, DI1, AS1)와 현장 판정 결과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321)는 선로 전환기(110)의 장애 및 점검 판단을 위한 기준값인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설정값은 각 선로 전환기(110)의 특성에 따라 변경된다.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입력 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고장 여부나 점검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 출력부(33)를 통해 판정 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데이터 출력부(33)는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상태 표시부로서, 선로 전환기(110)의 점검 시기 및 장애 발생 여부를 표시한다.
다음,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선로 전환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하여, 현장 입력 장치(102)로부터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선로 전환 동작의 상태를 판정하여 제1 상태 판정부(102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이 시작되면(ST10),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정해진 시기에 감지 신호 입력부(1021)로부터 입력되는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를 판독하여 저장부(1023)로 저장한다(ST11).
다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판정된 현장 제어 전압(AS1)이나 현장 표시입력 전압(DI1)을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되는지를 판단한다(ST12).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정해진 크기의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또는 정해진 크기의 현장 제어 전압(AS1)이 발생했는지를 이용하여 선로 전환의 시작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선로 전환 시작이 시작된 선로 전환 시작 시점[즉,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이 발생하지 않거나 현장 제어 전압(AS1)이 출력된 시점]부터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출력되어 인가되는 현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여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ST13).
다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에 의한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14). 본 예에서,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감지 유닛(11)을 통해 정해진 크기의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이 출력되어 인가되거나 발생하였던 현장 제어 전압(AS1)의 출력이 종료되면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정한다.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정되면(ST14),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선로 전환 시작 시점에서부터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이 출력되거나 현장 제어 전압(AS1)의 출력이 종료된 시점인 선로 전환 동작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시간을 판정한다(ST15).
하지만,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된 상태가 아닐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단계(ST13)로 넘어가 감지 유닛(11)에서 출력되는 현장 데이터를 판독하여 저장한다.
선로 전환 시간이 판정되면,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판정된 선로 전환 시간을 설정 시간(예, 제1 설정 시간)(예, 10초)과 비교하여 제1 설정 시간 내에서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16).
이때, 제1 설정 시간은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철도 규정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선로 전환 시간이 제1 설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대해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상태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1 설정 시간 내에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한다.
이때, 전환 불일치 장애는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동작을 위한 구동 신호, 즉, 현장 제어 전압(AS1)이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인가됨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판정된 선로 전환 시간이 제1 설정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현장 판정 결과를 전환 불일치 장애(즉, 선로 전환 실패)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고 현장 판정 결과를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 이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전환 불일치 장애 판정 시간도 함께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제1 상태 판정부(102)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가 설치된 현장에 위치한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를 통해 전환 불일치 장애인 현장 판정 결과와 전활 불일치 장애 판정 시간을 출력하여 해당 관리자가 선로 전환의 실패 상태와 실패 발생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T18).
그러나, 선로 전환 시간이 제1 설정 시간 미만으로서 제1 설정 시간 내에 선로 전환 동작이 완료된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현장 판정 결과를 선로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선로 전환 성공 상태로 판정하여 현장 판정 결과와 판정 시간을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ST19).
저장부(1023)에 저장된 현장 판정 결과와 판정 시간은 정해진 시기에 통신부(1025)를 통해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현장 판정 결과를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로 출력하여, 현재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졌음을 인지하도록 한다(ST110).
다시 단계(ST12)로 넘어가, 현재 해당 선로의 상태가 선로 전환을 시작한 상태가 아닌 경우, 즉, 해당 방향으로 선로 전환이 이미 이루어져 있는 상태인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인가되어 저장된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를 읽어와 저장부(1023)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각 설정 범위와 비교한다(ST111). 이때, 각 설정 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와 해당 설정 범위와의 비교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즉, 각 현장 데이터(AC, DO1, DO2, DI1, AS1)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감지 유닛(11)에서 출력되는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의 상태를 모두 정상으로 판정하여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ST113). 따라서, 판정 결과를 현장 판정 결과로서 저장하여(ST114) 정해진 시기에 데이터 취합 유닛(2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의 상태가 모두 정상이라는 현장 판정 결과와 판정 시간을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로 출력한다(ST114).
하지만, 비교된 각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의 상태(즉, 값)가 해당 설정 범위를 벗어나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복수의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 중에서 정해진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현장 데이터를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로 판정하고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며, 이러한 현장 판정 결과와 판정 시간을 저장부(1023)에 저장한다(ST115).
다음, 제1 상태 판정부(1022)는 현장 판정 결과와 판정 시간을 제1 데이터 출력부(1024)로 출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1 데이터 출력부(1024)의 출력 결과를 확인하여 비정상상태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하게 된다. 또한 비정상 상태의 상태 데이터가 발생한 부위를 중심으로 점검이 행해지므로, 이상 발생 지점의 확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현장 입력 장치(102)의 동작에 의해, 현장에서 획득되는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를 이용하여 선로 전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가 판정되므로, 기계실에서 출력되고 기계실로 인가되는 기계실 데이터를 이용할 때 보다 좀더 정확하게 선로 전환 동작의 상태 판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가 현장에서 바로 측정된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되므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의 판정 동작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실제 현장에 설치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동작 상태를 좀더 정확하게 반영한 데이터가 되므로, 판정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비정상 상태를 갖는 현장 데이터가 존재한 경우, 관리자는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측정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선로 전환기(110)와 감지 유닛(11)의 상태 그리고 선로 상태를 점검하게 되므로, 점검 위치를 좀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장 입력 장치(102)의 동작에 의해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선로 전환 동작 상태와 전환 상태가 판정되어 현장 판정 결과와 기계실 데이터(DO0, DI0, AS0) 및 현장 데이터(AC, DO1, DO2, DO3, DI1, AS1)가 주기적으로 데이터 취합 유닛(20)을 거쳐 모니터링 장치(30)로 인가되면, 모니터링 장치(30)의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인가되는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선로 전환기와 점검이 필요한 선로 전환기를 판정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이러한 제2 상태 판정부(322)의 동작은 도 5a와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 상태 판정부(322)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2 상태 판정부(322)는 통신부(31)를 통해 데이터 취합 장치(20)로부터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기계실 및 현장 데이터와 현장 판정 결과를 구비한 상태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정한다.
데이터 취합 장치(20)로부터 해당 데이터와 현장 판정 결과가 입력되면, 제2상태 판정부(322)는 이를 판독하여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해당 데이터와 현장 판정 결과를 갱신하여 현재 시점(즉, 현재 상태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즉, 현재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추가한다.
그런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를 동작시켜 현재 시점에서 선로 전환 동작이 발생한 해당 선로 전환기(110), 즉 원래 제어 전압(AS0)이 인가된 상태일 때 출력되는 교류 전원(AC)의 교류(즉, 교류 전류)를 생성한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장애 발생 판정 동작과 점검 필요 여부 판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제2 상태 판정부(322)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 상태 판정부(322)의 동작이 시작되면(ST20),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베이스(321)에서 현재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판독하여(ST21), 선로 전환 동작이 실패한 상태이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T22).
현장에서 판정한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선로 전환 동작이 실패한 상태이거나 현장 데이터 중에서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한 상태일 경우,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이러한 현장 판정 결과를 데이터 출력부(33)로 출력한다(ST23).
따라서,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점검과 해당 감지 유닛(11)에 대한 점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현장에서 판정된 선로 전환 동작도 정상 상태이고 해당 감지 유닛(11)에서 측정된 현장 데이터의 상태 역시 1차적으로 정상 상태로 판정되면, 제2 상태 판정부(322)는 감지 유닛(11)과 선로 전환기(110)가 위치한 현장에서 측정한 현장 데이터 즉,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현장 제어 전압(AS1) 및 교류 전원(AC)의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의 실측값을 판정하여 각 정해진 기준 범위와 비교한다(ST24).
이때, 각 기준 범위는 해당 현장 데이터(DO1, DI1, AS1, AC)가 실제로 측정되는 측정 위치에 따른 배선 저항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값이다.
즉, 정상 상태의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과 원래 제어 전압(AS0)이 분선반(500)에서 출력된 후 해당 측정 위치에 도달하여 측정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과 현장 제어 전압(AS1)은 배선 저항 등과 같은 주변 환경으로 인해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과 원래 제어 전압(AS0) 각각보다 작은 크기의 값을 갖게 된다.
또한, 정상 상태의 교류 전압 및 교류 전류가 전원실(600)에서 출력되어 현장에 위치한 선로 전환기(110)로 인가된 후 측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현장에서 측정된 교류 전압 및 교류 전류의 크기 역시 전원실(600)에서 출력됐을 때보다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각 기준 범위는 측정 위치에 따른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해당 위치에서 측정된 현장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정상 상태로 판정하기 위한 기준값을 중심으로 정해지므로, 해당 현장 데이터(DO1, DI1, AS1, AC)에 각각 대응하는 기준 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실측된 해당 현장 데이터(DO1, DI1, AS1, AC) 중에서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난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T25).
현장에서 실측된 해당 현장 데이터(DO1, DI1, AS1, AC) 중에서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T25),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분선반(500)과 전원실(600)에서 출력되어 현장으로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 원래 제어 전압(AS0) 및 교류 전원(AC)이 정상적으로 인가된 상태이고 또한 감지 유닛(11)에서 출력된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역시 정상 상태를 갖는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단계(ST28)로 넘어가 다른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선로 전환 상태를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실제 측정된 해당 현장 데이터(DO1, DI1, AS1, AC) 중에서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난 현장 데이터가 존재한 경우(ST25), 제2 상태 판정부(322)는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을 갖는 해당 현장 데이터를 판정하여 판정된 현장 데이터의 상태를 점검 필요 상태로 판정하고 또한 관련된 선로 전환기와 주변 장치 등의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한다(ST26).
그런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점검 필요 상태로 판정된 현장 데이터의 실측값 및 점검 필요 상태의 현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정보를 데이터 출력부(33)로 출력한다(ST27).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33)의 출력 결과를 이용하여 비록 현장에서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의한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상태이지만, 해당 선로 전환기(110)와 연결된 선로 상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 해당 감지 유닛(11)의 상태 등의 상태로 인해, 각 해당 위치에서의 측정되는 현장 데이터의 상태가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해당 현장 데이터와 관련된 부위나 주변 환경 등을 점검하여, 사고 발생 위험을 예방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현장 데이터의 종류를 이용하여 점검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정하게 된다.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단계(ST28)로 넘어가 현재 수집된 상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상태 데이터 중에서 원래 제어 전압(AS0) 또는 교류 전원(AC)(예, 교류 전류)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 동작이 행해진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하는지 판정한다(ST29, ST210).
그런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현재 상태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원래 제어 전압(AS0)이나 교류 전류가 발생하여 선로 전환 동작이 발생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할 경우,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어떤 선로 전환기(110)에 선로 전환 동작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ST211).
그런, 선로 전환 동작이 발생한 선로 전환기(이하, '동작된 선로 전환기'라 함)(110) 각각에 대해,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시간을 산출하고(ST212), 또한,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전환 횟수를 '1'증가시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전환 횟수를 갱신한다(ST213). 이처럼,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횟수는 원래 제어 전압(AS0)이나 교류 전류의 발생 횟수를 기초해 계수된다.
이처럼, 각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선로 전환 시간이 산출되면,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산출된 각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시간과 제2 설정 시간을 비교하여(ST214), 제2 설정 시간 내에 선로 전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T215).
제2 설정 시간은 제1 설정 시간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한 예로 10초일 수 있다.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에서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한 경우, 제2 상태 판정부(322)는 해당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동작이 제2 설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는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 출력부(35)로 해당 선로 전환기(110)에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했음을 표시한다(ST216).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35)를 통해 출력되는 장애 현시(顯示) 상태를 이용하여 어떤 선로 전환기(110)에서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게 되고, 따라서 해당 선로 전환기(110)와 이 해당 전환기(110)에 관련된 감지 유닛(11)의 상태를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게 된다.
하지만,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단계(ST216)에서 데이터 출력부(35)로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했음을 표시한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각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시간을 다시 제3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ST217), 각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점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예에서, 제3 설정 시간은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동작은 이루어졌지만 선로 전환기(110)과 해당 감지 유닛(11)의 점검이 필요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는 점검이 필요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제3 설정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수집시점에서 선로 전환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되는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시간이 정상적인 선로 전환 시간보다 늦은 상태인지를 판정한다(ST218).
이러한 제3 설정 시간은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시간이 정상 범위에 속할 때의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선로 전환기(110)의 전환 불일치 장애 발생 판정을 위한 제2 설정 시간보다 짧다.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에서 선로 전환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할 경우(S218),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 출력부(35)를 통해 해당 선로 전환기(110) 및 관련 감지 유닛(11)의 상태가 점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을 표시한다(ST219).
따라서,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35)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110)와 주변 감지 유닛(11)에 대한 점검 동작을 실시하게 되며, 선로 전환기(110)와 감지 유닛(11)의 점검 시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인식하게 된다.
다음,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 전환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ST218) 또는 단계(ST219)에서 데이터 출력부(35)로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표시한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설비 기준값 범위와 각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교류 전류와 비교하여(ST220),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에서 교류 전류의 값이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T221).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에서 교류 전류가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할 경우, 제2 상태 판정부(322)는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를 점검 상태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해당 선로 전환기(110)가 이물질이나 정비 불량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지 않아 부하가 증가하고, 이러한 부하 증가로 해당 선로 전환기(110)는 정상 시의 전환력보다 높은 전환력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선로 전환기(110)의 소비 전력이 증가해 측정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교류 전류의 크기는 설비 기준값 범위를 초과하거나 선로 전환기(110)의 이상 상태 발생으로 소비 전력이 감소하여 교류 전류의 크기가 설비 기준값 범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 등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 출력부(35)를 통해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가 점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을 표시하여(ST222), 관리자가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비정상 상태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다.
다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 중에서, 동작된 선로 전환기에 각각 해당하는 원래 표시 출력 전압(DO0),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DO1), 원래 표시 입력 전압(DI0), 현장 표시 입력 전압(DI1), 원래 제어 전압(AS0) 및 현장 제어 전압(AS1) 각각을 판독하여 각 정해져 있는 설정 전압범위와 비교한다(ST223).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 중에서 이들 전압(DO0, DO1, DI0, DI1, AS0, AS1)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난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가 존재할 경우,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데이터 출력부(35)를 통해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가 점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을 표시한다(ST225).
이처럼, 기계실에서 측정된 전압(DO0, DI0, AS0)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측정된 전압(DO1, DI1, AS1)을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상태를 판정하므로, 선로 전환기(110)의 판정 동작에 대한 신뢰성은 더욱 향상된다.
이때, 단계(ST216, ST219, ST222, ST225)에서, 해당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의 비정상 상태를 데이터 출력부(33)로 출력할 때, 제2 상태 판정부(322)는 또한 별도의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해당 선로 전환기(110)의 비정상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판정부(322)의 동작에 의해, 데이터 취합 장치(20)로부터 각 선로 전환기(110)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동작된 선로 전환기(110)와 그에 관련된 감지 유닛(11)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정하므로, 사고 발생 위험이 크게 줄어들고 관리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장 입력 장치(102)에 존재하는 제1 상태 판정부(1022)에서 현장 데이터를 이용한 선로 전환기(110)의 선로 전환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의 판정 동작이 행해진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상태 판정부(1022)의 동작은 제어부(32)에 존재하는 제2 상태 판정부(322)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감지 유닛(11)으로부터 전달되는 현장 데이터는 데이터 취합 유닛(20)을 통해 제어부(32)로 전달되고, 현장 입력 장치(102)의 구조는 기계실 입력 장치(10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1 상태 판정부(1022)와 데이터 출력부(1024)는 생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감지 유닛 10: 입력 유닛
101: 제1 입력 장치 102: 제2 입력 장치
20: 데이터 취합부 30: 모니터링 장치
32: 제어부 SW11, SW12: 밀착 감지 스위치
C1: 텅레일 1022, 322: 상태 판정부
110: 선로 전환기 500: 분선반

Claims (16)

  1. 원래 표시 출력 전압, 원래 제어 전압 및 원래 표시 입력 전압을 기계실 데이터로서 인가받아 수집 주기마다 상기 기계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입력 장치,
    선로 전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는 감지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현장 데이터로서 인가받고, 인가된 현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 상태와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판정한 현장 판결 결과와 상기 현장 데이터를 상기 수집 주기마다 출력하는 제2 입력 장치,
    상기 제1 입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기계실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현장 데이터 및 현장 판정 결과를 상태 데이터로서 인가받아, 인가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각 선로 전환기별로 취합하여 각 선로 전환기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취합부, 그리고
    상기 데이터 취합부에서 출력되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선로 전환기별로 상기 수집 주기마다 수집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구동된 선로 전환기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장치는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각각을 각 설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여 상기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감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밀착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 감지 스위치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해당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여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 입력 장치는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이나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을 산출하여 제1 설정 시간 내에 선로 전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로 판정하여 상기 현장 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은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발생하지 않거나 현장 제어 전압이 출력된 시점에서부터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출력되거나 현장 제어 전압의 출력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인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태 데이터에서 선로 전환 상태가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의 실측값을 각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실측값이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 중 해당 전압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고,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전환 시간이 상기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를 설비 기준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가 상기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면,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표시 출력 전압과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표시 입력 전압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제어 전압과 현장 제어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원래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원래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원래 및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
  10. 정해진 시기에 판독된 현장 데이터 중에서 현장 제어 전압이나 현장 표시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됐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장 데이터 중에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각각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제어 전압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상기 현장 제어 전압 및 상기 현장 표시 입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현장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이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유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선로 전환 동작이 시작된 시점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이 출력된 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상기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선로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수집된 상태 데이터에서 선로 전환 상태가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환 불일치 장애가 아니거나 비정상 상태의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의 실측값을 각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실측값이 해당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당 전압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서,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전환 불일치 장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전환 시간이 상기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 전환 시간이 상기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5. 제13항에서,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를 설비 기준값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교류 전류가 상기 설비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16. 제13항에서,
    원래 제어 전압이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된 선로 전환기가 존재할 경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원래 표시 출력 전압과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원래 표시 입력 전압과 현장 표시 입력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기 원래 제어 전압과 현장 제어 전압을 각각 설정 전압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래 및 제1 현장 표시 출력 전압과 상기 원래 및 현장 표시 입력 전압 및 상기 원래 및 현장 제어 전압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전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동작된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점검이 필요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150019279A 2015-02-09 2015-02-09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9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79A KR101699833B1 (ko) 2015-02-09 2015-02-09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79A KR101699833B1 (ko) 2015-02-09 2015-02-09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58A KR20160098558A (ko) 2016-08-19
KR101699833B1 true KR101699833B1 (ko) 2017-01-26

Family

ID=5687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79A KR101699833B1 (ko) 2015-02-09 2015-02-09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5210B (zh) * 2018-12-29 2022-04-29 河北省科学院应用数学研究所 轨道电压异常数据监测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0696880A (zh) * 2019-11-22 2020-01-17 佳讯飞鸿(北京)智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铁路信号设备的状态监测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63B1 (ko) 2002-11-07 2005-07-18 경봉기술(주)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01B1 (ko) * 2012-07-18 2014-10-22 주식회사 세화 선로 전환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9971A (ko) * 2012-08-31 2014-03-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분기기 및 선로전환기 실시간 감시 및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63B1 (ko) 2002-11-07 2005-07-18 경봉기술(주)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58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301B1 (ko) 선로 전환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3764480A (zh) 具有冗余控制器的铁路信号发送系统
KR100885425B1 (ko) 선로전환기의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080070397A (ko)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 생성방법
AU2016201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sulated joints in track systems
KR101699833B1 (ko) 선로 전환 동작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11075B1 (ko) 시스템의 평상 상태와 고장 상태를 감시 및 검출하는 상태 감시 검출 회로 및 케이블 위치 감시 회로
EP3176025B1 (en)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674129B (zh) 乘客输送机的异常诊断装置
KR20140029971A (ko) 분기기 및 선로전환기 실시간 감시 및 진단 시스템
KR101334751B1 (ko) 전동차용 출입문 현장시험 시스템
KR20200062680A (ko) 이동 센싱을 통한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US82787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t power to a device
JP2017226265A (ja) ロック偏移モニタ装置及びロック偏移モニタシステム
JP5455745B2 (ja) 異常レール特定装置
KR101709948B1 (ko) 선로 전환기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US10928454B2 (en) Device for diagnosing a mechanical system which is driven by means of an electric drive motor
Efanov New architecture of monitoring systems of train traffic control devices at wayside stations
KR200480991Y1 (ko) 열차운행제어설비용 다수의 정류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38931A (ko) 에이티피 레벨 3 기반하에서 레일 선로의 절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punei et al. Automatic block signaling installation failure diagnosis with LCOBla
JP7406925B2 (ja) 設備のモニタリング装置
TW202107858A (zh) 編碼器系統、馬達系統以及機器人
KR100462412B1 (ko) 선로 분기기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8711A (ko) 선로 전환 밀착 검지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