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491B1 -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491B1
KR101699491B1 KR1020160037872A KR20160037872A KR101699491B1 KR 101699491 B1 KR101699491 B1 KR 101699491B1 KR 1020160037872 A KR1020160037872 A KR 1020160037872A KR 20160037872 A KR20160037872 A KR 20160037872A KR 101699491 B1 KR101699491 B1 KR 10169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edetermined function
function
stat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6003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06F9/44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function instru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공학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다양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 및 소프트웨어들이 생산되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 및 소프트웨어들은 산업용이나 여가용으로 많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 및 소프트웨어들은 그 기능이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사용법을 인지하기 힘든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전자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출력 등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433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제공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후부터는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기능의 사용법이 사용자에게 기 제공된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가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해당 사용자에게 재차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표시부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확인부에 의해,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플래그 변경부에 의해,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표시부;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플래그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제공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후부터는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의 사용법이 사용자에게 기 제공된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가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해당 사용자에게 재차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능 사용법 제공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사용법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기능 사용법 제공 시스템(10)에는 복수의 단말기(100)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복수의 단말기(100)들에 기능 사용법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복수의 단말기(100)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들이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복수의 단말기(100)들 각각에 기능 사용법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사용법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상세히,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데스크탑,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기능은, 단말기(100)를 통하여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능은 단말기(100)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능이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특정 내용을 출력하거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일 수 있다.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법을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와 별개로 존재하는 전자 장치일 수도 있고, 단말기(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플래그 변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210)는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조건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의 돌입하였는지 여부일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지 확인부(210)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조건은 단말기(100) 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다.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소정의 기능에 대한 사용법을 제공하려고 할 때,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해당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부(210)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조건은 단말기(100)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후,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해당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부(210)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확인부(210)는 소정의 조건이 처음으로 만족되는 경우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즉, 확인부(21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처음 돌입하였는지 여부,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처음으로 단말기(100)에서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후 처음으로 단말기(100)에서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확인부(21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완료 플래그는 1 및 0 중 어느 하나의 상태, 또는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는 플래그일 수 있다. 표시 완료 플래그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동작에서 논리적 true/false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원소일 수 있다.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는 표시 완료 플래그가 나타내는 소정의 내용이 표시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는 표시 완료 플래그가 나타내는 소정의 내용이 표시 미완료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 완료 플래그는 소정의 기능에 대한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확인부(210)는 이러한 표시 완료 플래그가 현재 on 상태인지 또는 off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완료 플래그는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상태만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완료 플래그는 transient 상태 등을 더 포함하여 세 개 이상의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확인부(210) 및 플래그 변경부(2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에 포함되는 확인부(210)가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또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확인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확인부(210)를 통한 확인 결과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동시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의 표시부(도 5의 130)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의 표시부(도 5의 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 상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적이 없으면서 현재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지만 이미 과거에 단말기(100) 상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적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를 제어하지 않고,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플래그 변경부(230)는 표시 완료 플래그를 포함하는 다양한 플래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플래그 변경부(23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플래그 변경부(230)는 플래그 변경부(230) 내부에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일정 조건이 달성되면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플래그 변경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의 플래그 변경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플래그 변경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플래그 변경부(230)는 단말기(100)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플래그 변경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 신호가 생성된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플래그 변경부(23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 신호가 단말기(100)로 송신된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플래그 변경부(230)가 서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플래그 변경부(230) 중 적어도 둘은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 구현될 수 있고, 그 기능에 따라서 논리적으로만 구분되는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확인부(210), 제어부(220), 및 플래그 변경부(230)에 더하여, 시간 측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시간 측정부(24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오후 2시15분40초에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한 경우, 시간 측정부(240)는 오후 2시15분40초에서부터 경과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시간 측정부(240)는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카운트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시간 측정부(240)는 특정 시점에서부터 경과한 시간을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확인부(21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 및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확인부(21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능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소정의 메뉴를 터치하는 동작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인부(210)는 단말기(100)에서 해당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소정의 메뉴가 터치 가능하도록 단말기(100) 상에 표시된 순간이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한 순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돌입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신호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거나 생성되는 전자 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부(21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기능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소정의 메뉴를 터치하는 동작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인부(210)는 해당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해당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소정의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00) 상에 해당 소정의 메뉴가 터치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면, 확인부(210)는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신호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거나 생성되는 전자 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부(210)는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기능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소정의 메뉴를 터치하는 동작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인부(210)는 단말기(100) 상에 해당 소정의 메뉴를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어 해당 소정의 메뉴 터치 시 발생하는 기능이 실행된 경우,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사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00) 에 해당 소정의 메뉴를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해당 소정의 메뉴 터치 시 발생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확인부(210)는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신호를 기초로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확인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거나 생성되는 전자 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시간 측정부(240)를 통하여 측정된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확인부(210)를 통한 확인 결과들이 특정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해당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시간 측정부(240)를 통하여 측정된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22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와 무관하게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이미 단말기(100)를 통하여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소정의 기능이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해당 소정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아직 숙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에 해당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다시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시간 측정부(240)를 통하여 측정된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1 표시 시간 동안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2 표시 시간 동안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표시 시간은 제2 표시 시간보다 긴 길이의 시간일 수 있다. 즉, 이미 단말기(100)를 통하여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적이 있다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사용 방법을 읽기는 했으나 아직 해당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완전하게 숙지하지는 못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에 해당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다시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아직 단말기(100) 상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된 적이 없다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사용 방법을 전혀 숙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에 해당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비교적 긴 기간 동안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여서 제1 표시 시간 동안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 상에 표시된 경우, 플래그 변경부(23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시간 측정부(24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이후, 단말기(100) 상에서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시간 측정부(24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동시에,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도과한 경우, 제어부(22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비록 제1 기준 시간이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단말기(100) 상에 소정의 기능 외 다른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고 있다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의 사용법을 모르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소정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220)는 단말기(100)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가 서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 중 적어도 둘은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 구현될 수 있고, 그 기능에 따라서 논리적으로만 구분되는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통합 제어부(250), 통신부(260), 입출력부(270), 메모리(280), 및 프로그램 저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25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250)는, 통신부(260)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제어부(2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의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 중 적어도 일부는 통합 제어부(250) 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250)는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통합 제어부(250) 내부에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확인부(210), 제어부(220), 플래그 변경부(230), 및 시간 측정부(240) 중 일부 만이 통합 제어부(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부(26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100)와 전자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26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명령 또는 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및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는 시각적인 신호 또는 청각적인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80)는 통합 제어부(2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8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29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려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와 별도로 존재하는 하드웨어적 장치일 수도 있으나, 단말기(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단말기(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또는 포털(portal) 서비스 제공 서버 등으로부터 기능 사용법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수신 받고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 내부에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소프트웨어 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100) 자체가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가 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단말기(100) 내부에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라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 외에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및 프로그램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20)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4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0)는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 장치(3D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단말기(100)는 표시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는 입력부(13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와 입력부(130)가 하나의 물리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60)는 단말기(100)가 제공하려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현재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1 조건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의 돌입하였는지 여부일 수 있다. 또는, 제1 조건은 단말기(100) 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다. 또는, 제1 조건은 단말기(100)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다.
이 후,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S601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60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일정 시간을 대기하였다가, 다시 S6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실시를 종료할 수도 있다.
만약 제1 조건이 충족된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60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S603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60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즉,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가 아닌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실시를 종료할 수 있다.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여서 이미 과거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공되었던 경우에는 다시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S6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여서 과거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 적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60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공되었으므로,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701 단계), S701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702 단계),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703 단계), S703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704 단계),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S705 단계),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606 단계)를 수행한 이후, 세 가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70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때의 세 가지 상태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 및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일 수 있다.
이 때,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한 후 경과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70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한 후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이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서, 동시에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709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제1 기준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소정의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나, 제1 기준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실시를 종료할 수 있다.
만약 S709 단계에서 확인한 세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S7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제1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 없이,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 및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 만을 포함하여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하였는지 여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 및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801 단계),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한 후 경과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802 단계),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입한 후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이 도과할 때까지, 단말기(100)가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서, 동시에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803 단계), 및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S80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S8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표시 완료 플래그를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806 단계)를 수행한 후,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수행을 종료할 수 있다. 만약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는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의 수행을 바로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도 6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한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는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50)일 수도 있고,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200)에 포함되는 메모리(280)일 수도 있다. 또는, 기능 사용법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의 메모리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제공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후부터는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특정 기능의 사용법이 사용자에게 기 제공된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가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해당 특정 기능의 사용법을 해당 사용자에게 재차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기능 사용법 제공 시스템
100: 단말기
140: 출력부
200: 기능 사용법 제공 장치
210: 확인부
220: 제어부
230: 플래그 변경부
240: 시간 측정부

Claims (19)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한 후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하였는지 여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 및 상기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이후,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측정한 상기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2 기준 시간을 도과한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제1 표시 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제2 표시 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시간은 상기 제2 표시 시간보다 긴 길이의 시간인,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돌입,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인,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표시부에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확인부에 의해,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플래그 변경부에 의해,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on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한 후, 상기 확인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하였는지 여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 및 상기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시간 측정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이후,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측정한 상기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2 기준 시간을 도과한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시간은 상기 제2 표시 시간보다 긴 길이의 시간인,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돌입,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인, 기능 사용법 표시 방법.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7 항 내지 제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소정의 조건의 충족 여부 및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이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소정의 기능의 사용 방법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 방법이 표시된 경우, 표시 완료 플래그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는 플래그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도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을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하였는지 여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 및 상기 소정의 기능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한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을 도과할 때까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의 미사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돌입한 이후,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상기 동작 명령이 최종적으로 입력된 순간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제2 기준 시간을 도과한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제1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이 제2 표시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표시 시간은 상기 제2 표시 시간보다 긴 길이의 시간인,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완료 플래그의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소정의 기능의 상기 사용 방법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 방법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돌입,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소정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된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인,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KR1020160037872A 2016-03-29 2016-03-29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72A KR101699491B1 (ko) 2016-03-29 2016-03-29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72A KR101699491B1 (ko) 2016-03-29 2016-03-29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491B1 true KR101699491B1 (ko) 2017-01-24

Family

ID=5799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72A KR101699491B1 (ko) 2016-03-29 2016-03-29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KR102645143B1 (ko) 2023-09-05 2024-03-07 이가람 사용자 상호작용 기반 반응형 사용자 메뉴얼 콘텐츠의 생성 및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19A (ja) * 2000-06-22 2002-01-11 Hitachi Ltd ヘルプガイダンス自動表示・消去方式
KR20030044337A (ko)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도움말 버튼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206751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Mita Corp 機能設定可能な電子機器
KR20120079925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4143A (ko) * 2011-02-07 2014-02-05 에이알엠 리미티드 동일한 데이터 조건에 의존하는 인접 명령의 실행 제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19A (ja) * 2000-06-22 2002-01-11 Hitachi Ltd ヘルプガイダンス自動表示・消去方式
KR20030044337A (ko)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도움말 버튼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206751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Mita Corp 機能設定可能な電子機器
KR20120079925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4143A (ko) * 2011-02-07 2014-02-05 에이알엠 리미티드 동일한 데이터 조건에 의존하는 인접 명령의 실행 제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KR102645143B1 (ko) 2023-09-05 2024-03-07 이가람 사용자 상호작용 기반 반응형 사용자 메뉴얼 콘텐츠의 생성 및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284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by electronic device
US102820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input
US1059930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notification bar thereof
US20150067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US20170024121A1 (en) Operating method for contents search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96408A (ko)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355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 communication
KR2016004383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대화 방법
KR20180013561A (ko) 전자 장치
JP2016126789A (ja) 位置共有サービス提供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45291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rol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75117B1 (ko)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068306A1 (en)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17009684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공유 제어 방법
JP2014229302A (ja) 電子装置の機能の実行方法及びその電子装置
KR20180020787A (ko)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0959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수분 감지 방법
KR20150046765A (ko)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단말기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049991A (ko) 압력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10034140B2 (en)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KR101699491B1 (ko) 기능 사용법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4716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71897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07278289B (zh) 基于系统能力的用户体验的动态调节
KR20180052951A (ko) 객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