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59B1 -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 Google Patents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59B1
KR101698459B1 KR1020160036909A KR20160036909A KR101698459B1 KR 101698459 B1 KR101698459 B1 KR 101698459B1 KR 1020160036909 A KR1020160036909 A KR 1020160036909A KR 20160036909 A KR20160036909 A KR 20160036909A KR 101698459 B1 KR101698459 B1 KR 10169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window
plate
in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달성
Original Assignee
(주)도래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래샘 filed Critical (주)도래샘
Priority to KR102016003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apparatus dedicated to a window, installed in an opening part of a window of a building which is built on a low ground area, a semi-underground house, or an inclined road and thus has possibility of flooding through the window, so as to stably perform waterproofing while ensuring l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U-shape frame member including a bottom frame horizontally installed along a lower part of an opening part of a building wall having a window,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vertically installed in a side part of the opening part of the building wall in a shape erected in both end parts of the bottom frame,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vertically formed on surfaces facing with each other; and a waterproofing plate installed in a shap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frame to block water flowing in the opening part, and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realize lighting.

Description

창문 전용 차수장치{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되어 창문을 통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건물 창문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채광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system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indow, which is constructed in a low-lying area, a subway underground or a ramp, .

일반적으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또는 차수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침수되기 쉬운 상습 침수지역에 있는 건물 출입구에 주로 설치된다.Generally, a water damper device or a water supply device for a doorway is installed at a doorway of a building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building. It is installed mainly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in a submerged area where flooding is difficult due to insufficient drainage do.

대표적인 상습 침수지역인 저지대의 경우 밀집된 주택가 또는 지하주택 및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매년 장마철이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불안한 생활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lowland, which is a typical submerged submerged area, there is a concern about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s in a dense residential area, underground house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factories.

또한, 지선도로(支線道路: access road)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여름철 홍수기인 7, 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access road is a road close to the daily life of a local resident, and is also called a block road in the city. Since these roads are usually narrow and close to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flood damage caused by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main roads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July and August, Causing many property damage and human casualties.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저지대의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지선도로와 인접되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침수피해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건물 출입구에 차수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in Korea, heavy rainfall is poured on the flood season in the summer and many flood damage has been caused. In recent years, concentration of water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due to increase in urbanization developed without detailed urban planning As a precaution against this, residents in the areas near the residential areas or adjacent to the main roads in the low areas are required to install water heaters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s as a way to prevent flood damage early. .

그러나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된 건물의 경우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을 통해서도 빈번하게 침수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창문에 설치하기 적합한 차수장치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buildings constructed in low-lying areas, underground areas, or ramps frequently flood through windows as well as doors. However, the development of water-intake systems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windows has not been developed.

창문 전용 차수장치의 경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63025호(2006.06.12.)를 포함하여 극히 소수의 출원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이들의 경우 출입문에 설치되는 차수장치와 거의 차이가 없다할 수 있으며 창문이 갖는 채광 등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관계로 실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window-only window system, a very small number of applications have been filed including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63025 (Jun. 2006), but in thes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use it because of the loss of functions such as mining.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63025호(2006.06.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3025 (2006.06.1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되어 창문을 통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건물 창문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채광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indow where low-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ly obtain the safety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는,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하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상기 건물 벽체의 개구부 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으로 이루어진 U자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1삽입홈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유입되려는 물을 차단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채광이 가능하도록 한 차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xclusive use for a window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all provided with a window, And a pair of support posts formed vertically on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and horizontally installed along the bottom, A U-shaped frame member made of a frame; And a water receiving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strut frame and blocks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 and is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is capable of lighting.

여기서, 상기 차수판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1삽입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차수판과 지주프레임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수판의 측단부에 접합되는 판상의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스페이드 형태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압착부로 이루어진 측부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both side ends of the aqueduct plate, a plate-like joint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strut frame and is joined to the side end portion of the aqueduct plate so as to block water to be penetrated between the aqueduct plate and the column frame, And a side packing formed of a compressed part extending in the form of a hollow spade and having a sharp tip protruding therefrom.

또한,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수판과 바닥프레임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를 따라 접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하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 외컵부와, 상기 외컵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 중앙에서 하단부가 상기 외컵부의 하단부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 내컵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내컵부 외표면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내컵부를 지지하는 탄성연결막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결막은 상기 본체부와의 인접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부와, 상기 박막부로부터 상기 내컵부 외표면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컵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의 접촉으로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면 상기 박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내컵부의 상승을 허용하였다가 상기 내컵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컵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plate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to be penetrated between the water level plate and the floor frame, and the packing member has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An outer cup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larger width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cup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 inner cup part having a lower en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up part and having a lower height and having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opened at the lower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d an elastic connecting film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and supporting the inner cup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elastic connecting membrane comprises a thin film portion formed of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thin film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from the thin film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portion When the inner cup part receives a force acting in an upward direction by the contact with the bottom frame, the inner cup part is pivoted about the thin film part to be bent, and the connecting part bends in an upward convex circular arc shape to allow the inner cup part to ris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inner cup portion disappears, the inner cup portion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상기 제1삽입홈과 나란한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는 물에 포함된 고형물을 사전에 차단하여 상기 차수판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가드부재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가드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강도보강을 위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반관형의 부재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채광을 위하여 형성된 타공된 다수의 채광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guard member for blocking the solids contained in the water in advance to protect the aeration plate from the outside And the guard memb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semi-tubular member convexly protruded forward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lightening .

또한,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방우부재는 상기 건물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말려진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가 우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인출되어 하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까지 이르러 체결되도록 한 커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ainfall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where the window is installed, and the rainfall-preven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a curtain which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block the storm, and the lower end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late to be fastened.

본 발명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는,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되어 창문을 통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건물 창문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채광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다. The window-dedicated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indow, which is constructed in a low-lying area, a lower-floor generation or a ramp, and is vulnerable to flooding damage through a window, thereby securing mining and securing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승강하는 내컵부에 의해 외컵부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재와 압박부재에 의해 들뜨기 쉬운 차수판의 하측을 통해 침투하려는 물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block the water to be infiltrated through the packing member which forms the outer cup portion and the double wall structure and the lower 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which is easy to be caught by the pressing member, by the inner cup portion that ascends and descen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서 패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서 이물질에 반응하는 패킹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전용 차수장치에 방우부재가 더 포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window-dedicated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window-dedicated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acking member in a window-dedicated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a series of referenc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a packing member responsive to a foreign substance in a window-dedicated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us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rain shower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a window-dedicated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window-dedicated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structure.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서 패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window a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a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acking member in a window a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100)는 저지대 지역, 반지하 세대 또는 경사로 등에 건축되어 창문을 통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건물 창문(W)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채광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indow-specific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indow W, which is constructed in a low-lying area, a subway underground or a ramp, So that it can be stably receiv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100)는 프레임부재(110)와, 차수판(120)과, 가드부재(130)와, 압박부재(140)와, 패킹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분 전용 차수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or this, a window-only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ember 110, a water-receiving plate 120, a guard member 130, a pressing member 140, a packing member 150, .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pparatus for exclusive use of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창문(W)이 설치된 건물 벽체(F)의 개구부에 차수판(120)과 가드부재(130)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바닥프레임(112)과 한 쌍의 지주프레임(1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바닥프레임(112)은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하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프레임(112)의 양단부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상기 건물 벽체의 개구부 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삽입홈(111a) 및 제2삽입홈(111b)이 형성된다. 이같이 바닥프레임(112)과 한 쌍의 지주프레임(111)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10)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홈(111a)에는 차수판(120)이 끼워지고, 제2삽입홈(111b)에는 상기 차수판(120)을 물에 포함된 고형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드부재(130)가 끼워져 장착된다.The frame member 110 is provided to detachably mount the water level plate 120 and the guard member 130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F provided with the window W. The frame member 110 includes a bottom frame 112, And a pair of holding frames 111. The floor frame 112 of the frame member 110 i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where the windows are installed. The support frame 111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in a form of being rais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frame 112 and has first insertion grooves 111a and second An insertion groove 111b is formed. Thus, the frame member 110 including the bottom frame 112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111 has a U-shape as a whole. A guard plate 130 is fit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a and a guard member 130 is provid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1b to protect the water plate 120 from solid matter contained in water Respectively.

상기 차수판(120)은 상기 지주프레임(111)의 제1삽입홈(111a)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건물 벽체(F)의 개구부로 유입되려는 물을 차단하며, 채광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차수판(120)의 본체(121) 소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이나 충분한 두께의 유리판이면 적당하다. 여기서 유리판인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그 둘레에 틀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level plate 120 is fit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a of the strut frame 111 to block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F and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21 of the water-saving plate 120 for this purpose may be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acrylic or a glass sheet of sufficient thickness. In the case of a glass plat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rame around the glass plate as shown in the drawing.

여기서 상기 차수판(12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지주프레임(111)의 제1삽입홈(111a)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차수판(120)과 지주프레임(111)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차단하는 측부 패킹(123)이 구비된다. 상기 측부 패킹(123)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차수판(120)의 측단부에 접합되는 판상의 접합부(123a)와, 상기 접합부(123a)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스페이드 형태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는 뾰족하게 돌출된 압착부(123b)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형상을 갖는 측부 패킹(123)은 상기 차수판(120)의 양측단부에서 지주프레임(111)의 제1삽입홈(111a)에 억지끼움되면서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차수판(120)과 지주프레임(111)의 틈새로 침투하는 물을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게 된다. At both ends of the aqueduct 120, a side packing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a of the support frame 111 so as to block the water to be penetrated between the aqueduct 120 and the support frame 111 (123). The side packing 123 includes a plate-like joint portion 123a that is joined to the side end portion of the water plate 120 as shown in enlarged view in FIG. 3 and a plate portion 123b that extends from the joint portion 123a and extends in the form of a hollow spade, And a pressing part 123b protruding with a sharp point. The side packings 123 having such a shape are tightly adher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111a of the support frame 111 at both side ends of the aqueduct 120 so as to be strongly adhered to the support plate 120, 111) can be stably received.

상기 가드부재(130)는 상기 지주프레임(111)의 제2삽입홈(111b)에 끼워져 물에 포함된 고형물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상기 차수판(120)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드부재(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반관형의 부재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채광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타공된 다수의 채광공을 구비한다. 이같은 가드부재(130)가 구비되면 반투명 또는 투명의 재질로 구비된 차수판(120)의 채광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차수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The guard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1b of the strut frame 111 and protects the water receiving plate 120 from the outside by previously blocking the solid contained in the water. For this purpose, the guard member 1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bulb holes formed in a continuous tubular member convexed forward to reinforce the strength, so as not to damage the mining. If the guard member 13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tect the water-saving plate 120 without damaging the mining function of the water-saving plate 120 made of translucent or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패킹부재(150)는 상기 차수판(1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120)과 바닥프레임(112)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안정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패킹부재(15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51)와, 외컵부(152)와, 내컵부(153)와, 탄성연결막(154)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그러니까 상기 본체부(151)와, 외컵부(152)와, 내컵부(153)와, 탄성연결막(154)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킹부재(150)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패킹부재(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외컵부(152)와 내컵부(153)가 별개의 것으로 구비되지 않아 간단하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내컵부(153)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해 이물질이 개입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이중벽 구조를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된다. 이같이 패킹부재(150)가 갖는 독특한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acking member 15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ing plate 120 to stably block water penetrating between the water leveling plate 120 and the floor frame 112. For this purpose, Includes a main body 151, an outer cup 152, a inner cup 153, and an elastic connecting film 15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ain body 151, the outer cup 152, the inner cup 153, and the elastic connection 154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packing 150. The outer cup part 152 and the inner cup part 153 are not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cup part 153 can be raised and lowered despite being simple and inexpensive to manufacture. The unique configuration naturally forms the double wall structure in various situations where foreign matter intervenes. The unique structure of the packing memb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패킹부재(150)에서 상기 본체부(151)는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차수판(120)의 하단부를 따라 접합된다. 상기 외컵부(152)는 상기 본체부(151)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컵부(152)는 본체부(151)의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부(152a)와 상기 수평부(152a)의 바깥 둘레부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부(152b)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부(152b)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112)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내컵부(153)는 상기 외컵부(152)로 둘러싸인 내부공간 중앙에서 하단부가 상기 외컵부(152)의 하단부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프레임(112)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컵부(153)는 상기 탄성연결막(154)과 함께 상기 본체부(151)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질러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상면부(153a)와 상기 상면부(153a)의 둘레를 따라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벽체부(15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부(153b)의 하단부에는 외컵부(152)와 내컵부(153) 간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공기 출입공(153b-1)이 형성된다. In the packing member 150, the main body 151 is join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aqueduct 120 with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The outer cup part 152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having a wide opening alo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51 and extending outwardly therefrom. The outer cup portion 152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52a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51 and a vertical portion 152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52a.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52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12. [ The inner cup portion 153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wer en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cup portion 152 and a lower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outer cup portion 152,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2. For this purpose, the inner cup portion 153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153a which can be cut across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51 together with the elastic connection film 154, And a wall portion 153b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 air inlet / outlet hole 153b-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153b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between the outer cup portion 152 and the inner cup portion 153. [

이같은 내컵부(153)에서 주목할 점은 그 하단부가 외컵부(152)의 하단부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바닥프레임(112)에 초기 접촉시 상기 외컵부(152)와 동시에 또는 먼저 접촉되도록 하면서 상기 탄성연결막(154)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내컵부(153)의 하단부가 초기에는 외컵부(152)의 하단부와 적어도 동일 높이 또는 그 아래 위치하다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이물질(OB)에 반응하여 국소적으로 자연스럽게 상승하면서 외컵부(152)가 지속적으로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호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바닥프레임(112)의 상면에 압착되지 않고 외컵부(152)와 내컵부(153)가 동시에 압착되어 이중으로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차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part 153 is formed to have the same or lower height than the lower end part of the outer cup part 152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up part 152 at the same time or at first And is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by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connecting membrane 154. As shown in FIGS. 5A to 5C, the lower end of the cup portion 153 is positioned at least at the same height as or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outer cup portion 152, and locally rises locally in response to the foreign object OB, And protects the cup portion 152 so that it can continuously perform the order function. Also, in most cases, the outer cup portion 152 and the inner cup portion 153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without being squeez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12, thereby performing a double-order function.

이처럼 상기 패킹부재(150)의 경우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면서 외컵부(152)나 내컵부(153) 중 하나가 바닥프레임(112)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해 들리더라도 나머지 하나에 의해 바닥프레임(112)에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안정된 차수가 가능해진다. In the case of the packing member 150, when one of the outer cup portion 152 and the inner cup portion 153 is heard due to a foreign substance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12 while forming the double wall structure, So that a stable order can be achieved as a whole.

또한, 상기 패킹부재(150)에서 탄성연결막(154)은 상기 본체부(151)의 하단부와 내컵부(153)의 외표면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151)에 대하여 내컵부(153)가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박막부(154a)와 연결부(15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부(154a)는 본체부(151)와 연결된 부위로서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같은 박막부(154a)가 형성되면 상기 내컵부(153)가 바닥프레임(112)과의 접촉에 의해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을 때 상기 박막부(154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면서 상기 내컵부(153)의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부(154b)는 상기 박막부(154a)로부터 내컵부(153) 외표면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박막부(154a)와는 달리 상기 내컵부(153)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박막부(154a)를 중심으로 꺾이는 회동이 일어나면서 상기 내컵부(153)가 상승할수록 상기 연결부(154b)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내컵부(15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려는 더욱 강한 경향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승하는 정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박막부(154a)와 연결부(154b)가 늘어나면서 내컵부(153)의 상승을 허용하기는 하지만 이 경우 내컵부(15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려는 경향은 더욱 강해진다. 한편, 바닥프레임(112)과의 접촉에 의해 작용하는 힘으로 상기 내컵부(153)가 상승한 이후에, 그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154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컵부(153)가 초기 위치로 신속히 복귀하게 된다. The elastic coupling membrane 154 of the packing member 150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5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153 to prevent the inner cup 153 from contacting the main body 151 And has a thin film portion 154a and a connection portion 154b. The thin film portion 154a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51 and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other portions. When the thin film portion 154a is formed, when the inner cup portion 153 receives a force acting upward due to contact with the bottom frame 112, the thin film portion 154a is rotated around the thin film portion 154a, The rising of the cup portion 153 is smoothly performed. The connection part 154b is gradually thickened from the thin film part 154a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part 153 and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cup part 153 unlike the thin film part 154a .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5A to 5C, when the inner cup portion 153 rises while the thin film portion 154a is pivoted about the center of the thin plate portion 154a, the connecting portion 154b bends in an upward convex circular arc shape It is more likely to return the inner cup portion 153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degree of elevation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thin film portion 154a and the connection portion 154b are extended to allow the rise of the inner cup portion 153, but in this case, the tendency to return the inner cup portion 153 to the initial position is more It becomes strong. If the force acting on the inner cup part 153 rises after the inner cup part 153 rises due to the contact with the bottom frame 112, the inner cup part 153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art 154b And returns quickly to the position.

상기 압박부재(140)는 상기 지주프레임(111)의 상단부에 체결부재(144a, 144b)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차수판(120)을 하방향으로 눌러주어 패킹부재(150)의 압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박부재(14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역 V자 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111a)을 중심으로 그 양편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11)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탄성클립(143)과, 상기 탄성클립(143)의 중앙부를 관통한 형태로 설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차수판(120)의 상단부를 접촉하여 누를 수 있도록 한 압박봉(14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박봉(141)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클립(143)의 체결시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한 넓고 평편한 형태의 캡(142)이 설치된다. 이같은 압박부재(140)에 의해 상기 차수판(120)을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차수판(120)의 하단부에 설치된 패킹부재(150)가 압착되면서 차수판(120)과 바닥프레임(112) 사이가 들뜨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차수된다. The pressing member 14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t frame 111 by the fastening members 144a and 144b and presses the water receiving plate 120 downward to help compress the packing member 150 do. For this, the pressing member 140 is formed in an inverted V-shape as shown in enlarged view in FIG. 3, and the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4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a, An elastic clip 143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clip 143 and a push rod 141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elastic clip 14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clip 143 can press the upper end of the water- . Here, a wide and flat cap 14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rod 141 so as to easily press the elastic clip 143 when the elastic clip 143 is fastened. When the pressure plate 120 is pushed downward by the pressing member 140 as described above, the packing member 1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plate 120 is compressed and press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120 and the bottom frame 112 Is stable and does not hur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전용 차수장치에 방우부재가 더 포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6 and 7 are us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rain shower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a window-dedicated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전용 차수장치에는 우수의 유입을 적극 차단할 수 있도록 보관통(161)과 커튼(162)으로 이루어진 방우부재(16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the rainwater sho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infall-proof member 160 formed of a storage box 161 and a curtain 162 to positively block inflow of rainwater.

여기서 상기 보관통(161)은 상기 커튼(162)을 롤 형태로 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의 부재로서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튼(162)은 롤 타입의 블라인드처럼 보관통(161)에 말려진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보관통(161)으로부터 인출되어 하단부가 상기 차수판(120)의 상단부까지 이르러 체결되도록 한다.Here, the storage box 161 is a cylindrical member which can be curled in the form of a roll, and is installed above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The curtain 162 is received in the form of a rolled blind in the storage box 161 and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box 161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water leveling plate 120 and is fastened.

이같은 방우부재(160)가 설치되면, 하부에서는 상기 차수판(120)이 유입되려는 물을 차단하고, 상부에서는 상기 방우부재(160)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rainproofing member 160 is installed, the water shielding plate 120 blocks the water to which the water receiving plate 120 is to be introduced, and effectively prevents rainwater falling off the rainwater from the sk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프레임부재 120 : 차수판
130 : 가드부재 140 : 압박부재
150 : 패킹부재 160 : 방우부재
110: frame member 120: order plate
130: Guard member 140:
150: packing member 160: rainproof member

Claims (6)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전용 차수장치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하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상기 건물 벽체의 개구부 측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으로 이루어진 U자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1삽입홈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유입되려는 물을 차단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채광이 가능하도록 한 차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제1삽입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차수판과 지주프레임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수판의 측단부에 접합되는 판상의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스페이드 형태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압착부로 이루어진 측부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수판과 바닥프레임 사이로 침투하려는 물을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를 따라 접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하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 외컵부와, 상기 외컵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 중앙에서 하단부가 상기 외컵부의 하단부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 내컵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내컵부 외표면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내컵부를 지지하는 탄성연결막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결막은 상기 본체부와의 인접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부와, 상기 박막부로부터 상기 내컵부 외표면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컵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의 접촉으로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면 상기 박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휘면서 상기 내컵부의 상승을 허용하였다가 상기 내컵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컵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차수판을 하방향으로 눌러주는 압박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압박부재는 역 V자 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을 중심으로 그 양편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탄성클립과, 상기 탄성클립의 중앙부를 관통한 형태로 설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를 접촉하여 누를 수 있도록 한 압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상기 제1삽입홈과 나란한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는 물에 포함된 고형물을 사전에 차단하여 상기 차수판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가드부재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가드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강도보강을 위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반관형의 부재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채광을 위하여 형성된 타공된 다수의 채광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전용 차수장치.
A window-only heat exchanger apparatu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building wall provided with a window,
A floor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a lower portion of an opening of a building wall provided with a window; and a second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in a form erected at both ends of the floor frame, A U-shaped frame member made of a pair of supporting frames formed with grooves; And a water receiving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strut frame and shields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 and is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is capable of lighting,
A plate-shaped joint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strut frame and is joined to the side end portion of the water-receiving plate so as to block water to be penetrated between the water-separating plate and the columnar frame, A side packing formed of a compressed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hollow spade and having a tip end protruding sharply,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plate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to be penetrated between the water level plate and the floor frame. The packing member has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is join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plate An outer cup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o have a wider width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and having its lower e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 inner cup portion having a lower en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lower or equal height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cup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container shape with its lower portion opened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d an elastic connecting membrane for connecting the outer surfaces thereof to support the inner cup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The elastic connecting membrane has a thin film portion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ed of a thin film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thereof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gradually thicker from the thin film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portion When the inner cup part receives a force ac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frame, the outer cup part is rotated around the thin film part to be folded, and the connecting part is bent in an upward convex circular arc shape to allow the inner cup part to ris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cup part disappears, the inner cup par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strut frame and presses the aberration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 an inverted V-shape and both ends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push rod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elastic clip and has a lower end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late so as to be pressed,
The girder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second insertion groove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and a guard member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s to previously block the solids contained in the water to protect the awnings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guard memb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semi-tubular members which are convex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for the purpose of min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된 건물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방우부재는 상기 건물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말려진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가 우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인출되어 하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까지 이르러 체결되도록 한 커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분 전용 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ainfall member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where the window is installed, and the rainfall-prevent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storage passag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a curtain which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cut off the storm, and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reaches and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late.
KR1020160036909A 2016-03-28 2016-03-28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KR101698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909A KR101698459B1 (en) 2016-03-28 2016-03-28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909A KR101698459B1 (en) 2016-03-28 2016-03-28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459B1 true KR101698459B1 (en) 2017-01-25

Family

ID=5799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909A KR101698459B1 (en) 2016-03-28 2016-03-28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9638A (en) * 2018-08-01 2018-11-06 浙江华建能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charging pile waterproof outer cover
CN115324451A (en) * 2022-08-23 2022-11-11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Water bar lifting assembly, water blocking assembly and shower roo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025A (en) 2004-12-07 2006-06-12 홍 대 박 Hand-operated up-down watertight board at window
US20070271852A1 (en) * 2006-05-25 2007-11-29 Vaughn Andre B Entranceway Barrier Apparatus
KR20120131919A (en) * 2011-05-27 2012-12-05 오주석 prevention of under w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025A (en) 2004-12-07 2006-06-12 홍 대 박 Hand-operated up-down watertight board at window
US20070271852A1 (en) * 2006-05-25 2007-11-29 Vaughn Andre B Entranceway Barrier Apparatus
KR20120131919A (en) * 2011-05-27 2012-12-05 오주석 prevention of under w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9638A (en) * 2018-08-01 2018-11-06 浙江华建能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charging pile waterproof outer cover
CN115324451A (en) * 2022-08-23 2022-11-11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Water bar lifting assembly, water blocking assembly and shower room
CN115324451B (en) * 2022-08-23 2024-01-05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Water bar lifting assembly, water bar assembly and shower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90193A1 (en) Automatic flood gate
KR1016627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loodgate
KR101266392B1 (en) Multi-loading type entrance water proof apparatus
KR101698459B1 (en)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KR100983466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EP2362057A2 (en) Drainage system for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JP2017031627A (en) Water cutoff structure
CN106978855A (en) A kind of floatage-type water-retaining structure
KR101173259B1 (en)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JP6501961B1 (en) Flood resistant building with flood protection and renovation method
CN202165988U (en) Mirror surface light well
EP3356615A1 (en) Skylight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KR100892090B1 (en) A ligting panel system
KR100541974B1 (en) Soundproof wall having rainwater tank for road
CN108708504B (en) Roof smoke-discharging skylight and buried structure thereof
US11840882B2 (en) Water-blocking device
KR101787567B1 (en) Building rooftop Panel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211851388U (en) Automatic window closing device
JP6578560B2 (en) Water stop device
JP2006336384A (en) Tide preventive structure used as drain ditch cover
KR100589659B1 (en) The structure for the overflow prevention of the sewer
JP6239676B2 (en) Independent structure for building attach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6385921B1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JP4021297B2 (en) Water stop structure
KR20140023100A (en) A blind board apparatus for sewag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