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947B1 -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947B1
KR101697947B1 KR1020150137329A KR20150137329A KR101697947B1 KR 101697947 B1 KR101697947 B1 KR 101697947B1 KR 1020150137329 A KR1020150137329 A KR 1020150137329A KR 20150137329 A KR20150137329 A KR 20150137329A KR 101697947 B1 KR101697947 B1 KR 10169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ed
wall
chan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찬
Original Assignee
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찬 filed Critical 허찬
Priority to KR102015013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를 이루면서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일측에 구성되는 시청각정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수단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청각정보수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간편성으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수단(10)의 전면에 구성되어 피교육자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시청각정보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수단(10)은, 상부찬넬(110); 하부찬넬(120); 상기 상,하부찬넬(110)(120) 사이에 구성되고 벽체를 구성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찬넬(112)(122)(114)(124) 사이에 구성되어 차음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142)와, 상기 단열재(142)를 보호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되는 보호판넬(143) 및 상기 보호판넬(143)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하단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마감찬넬에 지지되며 일측에 시청각정보수단(20)이 고정되는 전면외장패널과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다른 구획공간의 벽체를 형성하는 후면외장패널을 포함하는 외장패널로 구성되는 패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ELECTRONIC CHALKBOARD SYSTEM}
본 발명은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이루면서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일측에 구성되는 시청각정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수단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청각정보수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간편성으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과 같은 교육장소에는 강의 또는 교육자가 판서를 할 수 있도록 한 칠판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칠판은 분필을 이용하여 판서를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과정에서 분필가루와 같은 먼지 등의 분진이 발생함에 따라 필기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어,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화이트보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이트보드 이외에도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교육을 할 수 있게 프로젝션티브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터치패드 또는 초음파 및 레이져송수신기로 구성되는 전자칠판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칠판은 포인팅 디바이스가 패널 또는 스크린 상에 형성한 궤적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궤적에 대응하는 영상을 해당 패널 또는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전자칠판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압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패널 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과,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에 의해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의 좌표를 CCD카메라로 감지하는 방식 등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PDP인 경우, 패널 상에 방전되는 적외선 신호 및 이를 감지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현방식은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전자칠판은 다양한 구조의 포인팅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칠판의 시스템은 중앙에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단 각각에 화이트보드를 구성하여, 상기 화이트보드를 통한 판서기능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한 시청각정보를 통해 학습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한다.
최근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자칠판으로 대체하여, 판서기능뿐만 아니라 시청각정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교육장소에 설치된 전자칠판시스템은 스탠드형이나 벽체걸이형으로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분실 또는 파손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칠판시스템은 기존 건축물의 벽체에 목공작업으로 전자칠판을 내장시켜서 사용하고 있어서 전자칠판의 사용시 하자가 발생할 경우, 목공해체 및 재제작하여야 하는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C 및 전기 콘센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화재의 위험성 및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437848호(2004.06.30.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529795호(2005.11.17.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582844호(2006.05.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를 이루면서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일측에 구성되는 시청각정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수단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청각정보수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간편성으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육기관 또는 교육장소에 설치되어 피교육자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칠판시스템에 있어서, 벽 사이에 구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수단; 및 상기 프레임수단의 전면에 구성되어 피교육자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시청각정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수단은, 천정에 고정되는 제1상부찬넬과, 상기 제1상부찬넬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상부찬넬과, 상기 제1상부찬넬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상부마감찬넬 및 상기 제2상부찬넬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상부마감찬넬을 포함하는 상부찬넬; 상기 제1상부찬넬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슬라브에 고정되는 제1하부찬넬과, 상기 제2상부찬넬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2하부찬넬과, 상기 제1상부마감찬넬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1하부마감찬넬과, 상기 제2상부마감찬넬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2하부마감찬넬 및 상기 제1과 제2하부마감찬넬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단마감찬넬을 포함하는 하부찬넬; 상기 상,하부찬넬 사이에 구성되고 벽체를 구성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찬넬 사이에 구성되어 차음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보호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보호판넬 및 상기 보호판넬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하단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마감찬넬에 지지되며 일측에 시청각정보수단이 고정되는 전면외장패널과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다른 구획공간의 벽체를 형성하는 후면외장패널을 포함하는 외장패널로 구성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프레임은, 천정 또는 상부슬라브와 하부슬라브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 상기 복수의 수직바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바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복수의 수평바; 및 시청각정보수단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널의 외장패널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면과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삽입홈부로 구성되는 벽마감판넬;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벽마감판넬의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돌부 및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로 구성되는 제1결속판넬;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속판넬의 삽입돌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부로 구성되는 제2결속판넬;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마감판넬의 삽입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로 구성되는 제3결속판넬; 및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면으로 구성되는 받침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패널의 전면외장패널은, 벽 양단 각각에 상기 벽마감판넬이 고정되고, 상기 벽마감판넬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속판넬이 조립되며, 상기 제1결속판넬 사이에 시청각정보수단이 위치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수단과 상,하부 슬라브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판넬로 구성되며; 상기 외장패널의 후면외장패널은, 벽 양단 각각에 상기 벽마감판넬이 고정되고, 상기 벽마감판넬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속판넬이 조립되며, 상기 제1결속판넬 사이 각각에 제2결속판넬 및 중앙에 제3결속판넬;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판넬의 절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의 고정바에는 상기 받침판넬의 삽입공이 삽입 및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청각정보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패널의 일측에 위치되고 퍼스널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청각 자료의 출력 및 판서기능을 수행하도록 터치스크린방식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판서기능을 가지는 화이트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열교환시키도록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각관은, 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밀착되어 열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가 천정과 상부슬라브 사이의 공동공간에 위치되어 열교환에 의해 방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를 이루면서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수단과 상기 프레임수단의 일측에 구성되는 시청각정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수단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청각정보수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간편성으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수단에 의해 별도로 건물의 구획벽체를 형성하지 않고도 건물의 구획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변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각정보수단을 통해 판서 기능뿐만 아니라 시청각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찬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각정보수단의 개략적인 결합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관의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자칠판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수단(10) 및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지지되는 시청각정보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수단(10)은 교육장소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수단(10)은 건축물의 구획벽체를 대체할 수 있도록 강도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수단(10)은 건물의 상,하 슬라브 각각에 대응되게 고정되는 상,하부찬넬(110)(120)과, 상기 상,하부찬넬(110)(120)에 고정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을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외부를 마감하고 벽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패널(1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찬넬(110)은 건물의 상부 슬라브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과, 상기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 각각에 고정되는 패널(14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부 슬라브와 패널(140) 사이를 마감 처리하는 제1 및 제2상부마감찬넬(116)(11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은 직결볼트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라브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측에 패널(14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이면서 하단이 개방된 형상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는 'C'형강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제1상부찬넬(112)은 전면에 고정된 시청각정보수단(20)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정보가 타 구역, 예컨대, 제2상부찬넬(114)이 위치되는 부분의 구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2상부찬넬(114)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은 1.5 ~ 2.5 : 1 비율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찬넬(114)은 상기 제1상부찬넬(112)의 후방에 구성되어 시청각정보수단(20)을 통해 발생되는 음성정보가 타 구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음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상부마감찬넬(116)(118)은 상부가 상기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 각각에 위치되는 패널(140)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가 일정폭 돌출되어 내측에 마감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상부마감찬넬(116)(118)의 상부는 직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또는 실리콘 등을 일정폭 도포하는 것과 같은 마감처리수단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하부찬넬(120)은 건물의 하부 슬라브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하부찬넬(122)(124)과, 상기 제1 및 제2하부찬넬(122)(124) 각각에 고정되는 패널(130)의 일단에 고정되어 하부 슬라브와 패널(140) 사이를 마감 처리하는 제1 및 제2하부마감찬넬(126)(12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하부찬넬(122)(124)은 상술한 제1 및 제2상부찬넬(112)(114)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패널(140)의 단열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하부마감찬넬(126)(128)은 상술한 제1 및 제2상부마감찬넬(116)(118)과 동일한 형상으로 패널(140)의 하단 외주연에 고정되어 마감처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하부마감찬넬(126)(128)은 상부가 상기 패널(14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부가 일정폭을 가지도록 하단 슬라브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의 내측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부마감찬넬(126)(128)을 받침하도록 삽입되는 하단마감찬넬(129)이 구성된다.
상기 하단마감찬넬(129)은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단마감찬넬(129)은 하단 슬라브와 패널 사이를 마감처리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상,하부 슬라브 사이에 구성되어 패널(140) 및 시각정보수단(20)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상,하부 슬라브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132)와, 상기 복수의 수직바(132) 사이에 고정되어 받침력이 증강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평바(134) 및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일측에 안착되는 시청각정보수단(2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13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 및 수평바(132)(134)는 상,하부 슬라브에 고정시켜 전자칠판시스템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전자칠판시스템의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트러스트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136)는 시청각정보수단(20)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받침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의 양측면에 수직바(132)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수직바(132) 사이에 상기 지지바(136)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136)에는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를 기준으로 상,하부의 슬라브 사이에 위치되는 패널의 안정적인 고정 및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고정바(138)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138)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바(138)에 고정되는 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기(139)가 구성된다. 상기 돌기(139)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형상을 이루면서 하단부가 상기 고정바(138)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따지면서, 그 따진 부분이 외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됨으로써, 결국 상기 고정바(138)의 외표면에서 일정각도 외측으로 휘어져 패널이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140)은 상기 상,하부찬넬(110)(120) 및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구성되어 차음기능 및 단열기능과 함께 건물의 구획벽체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패널(140)은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찬넬(112)(122)(114)(124) 사이에 고정되는 단열재(142) 및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142)는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찬넬(112)(122)(114)(124) 사이에 고정되어 차음 및 단열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단열재(142)는 글라스울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음 및 단열기능을 만족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외장을 형성하는 패널이다.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단열재(142)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단열재(14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넬(143)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판넬(143)은 상,하부찬넬(110)(120) 사이에 구성된 단열재(142)가 외력 등에 손상되는 등을 방지하도록 보호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보호판넬(143)은 석고보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석고보드 또는 방화석고보드 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열재(142)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 또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호판넬(143)의 외주에는 표면에 노출되는 외장패널이 구성된다.
상기 외장패널은 전자칠판시스템의 외부벽체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외장패널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마감판넬(144)과, 제1 내지 제3결속판넬(145)(146)(147), 및 받침판넬(14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에는 내장재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결속판넬(145)(146)(147) 및 받침판넬(148)의 내측에 내장재가 구성된다.
상기 내장재는 차음 및 단열기능을 가지는 재료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글라스울이다.
상기 벽마감판넬(144)은 전자칠판시스템에 의해 구획벽체가 구성되는 양단 벽 각각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패널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벽마감판넬(144)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에 직결볼트 또는 앵커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지지면(1442) 및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결속판넬(145)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부(1444)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부(1444)는 내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일단이 삽입되어 조립식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결속판넬(145)은 상기 벽 양단 각각에 고정된 벽마감판넬(144)에 일단이 고정되어 벽체를 형성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결속판넬(145)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에 삽입되는 삽입돌부(1452) 및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454)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돌부(1452)는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홈부(1454)는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속판넬(146)은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일측에 조립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결속판넬(146)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 및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홈부(1454)에 삽입되고, 타단에 제3결속판넬(147)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돌부(146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속판넬(146)의 삽입돌부(1462)는 상기 외장면에서 외측으로 일정각도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홈부(1454) 및 제3결속판넬(147)의 일단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결속판넬(146)의 삽입홈부(1454)는 외장면 양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속판넬(146)의 삽입홈부(1454)는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돌부(145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3결속판넬(147)은 상기 제2결속판넬(146)의 일단에 삽입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3결속판넬(147)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 및 상기 외장면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결속판넬(146)의 삽입돌부(1462)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474)로 구성된다.
상기 제3결속판넬(147)의 삽입홈부(1474)는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넬(148)은 시청각정보수단(20)의 상,하부 각각에 구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받침판넬(148)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 및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평면을 형성하는 절곡면(1482) 및 상기 절곡면(14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바(138)에 형성된 돌기(139)에 삽입되는 삽입공(14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곡면(1482)은 상기 받침판넬(148)의 외장면에서 절곡되어 평면을 이루어,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바(138)의 외측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절곡면(1482)은 외장면에서 'ㄷ'형상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공(1484)은 상기 절곡면(1482)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138)의 돌기(139)와 대응되는 개수와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판넬(148)을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바(138)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바(138)의 돌기(139)가 받침판넬(148)의 삽입공(1484)에 삽입되도록 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받침판넬(148)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상기 돌기(139)에 삽입공(1484)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고정바(138)에 받침판넬(148)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장패널은 고정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구획벽체를 구성하고, 이 경우, 시청각정보수단(20)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외장패널을 전면외장패널이라 하고, 이와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외장패널을 후면외장패널이라 지칭한다.
상기 전면외장패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시청각정보수단(20)이 구성되고, 벽의 양단 각각에 벽마감판넬(144)을 고정하며,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속판넬(145)을 조립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벽체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이 위치된 부분에는 상,하부 슬라브와 시청각정보수단(20) 사이의 공간에 받침판넬(148)을 고정시킴으로써, 완전한 전면외장패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받침판넬(148)의 일측 즉, 시청각정보수단(20)의 하단에 위치한 받침판넬(148)의 일측에는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제어부가 수납되는 보관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부의 전면에는 불특정인이 임의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건장치가 구비된 도어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의 하단 받침판넬(148)의 일측에는 전자펜 또는 마카펜이나 지우개 등과 같은 간단한 사물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외장패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양단 각각에 벽마감판넬(144)을 고정하고, 그 사이에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결속판넬(145)(146)(147)을 조립시킴으로써,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조립구조를 통해 후면외장패널을 형성한다.
즉, 일단의 벽마감패널(144)을 기준으로 제1결속판넬(145)과 제2결속판넬(146) 및 제3결속판넬(147)을 조립한 후, 상기 제3결속판넬(147)의 타단에 다시 제2결속판넬(146)과 제1결속판넬(145) 및 벽마감판넬(144)을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후면외장패널이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후면외장패널에는 자석부재 또는 자석패널을 내장시킴으로써, 상기 후면외장패널에 의해 구획된 다른 공간에서 게시판 등으로 활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후면외장패널의 일측에 화이트 보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은 상기 외장패널 즉, 전면외장패널에 구성되어 시청각을 통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은 디스플레이부(2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는 복수의 화이트보드(24)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에 설치되어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관(26), 및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일측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고정프레임(130)의 지지바(136)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교육자료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터치스크린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LED, PDP 등과 같은 모니터의 테두리 즉, 베젤에 좌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위치 각각에 발신 및 수신 기능을 가지는 적외선센서를 구성함으로써, 교육자 또는 피교육자 등이 상기 모니터 표면에 손 또는 전용펜으로 터치하면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좌표점에 맞춰 점이 찍히므로 연속선, 문자 등이 상기 모니터로 표출된다.
즉, 상기 모니터와, 모니터의 베젤에 구성된 적외선센서는 상호 연동작용하여, 상기 적외선센서의 좌표점이 상기 모니터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전면외장패널의 일측에 구성된 보관부에 보관된 퍼스널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퍼스널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 판서가 가능하도록 실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2)의 판서는 전자펜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퍼스널컴퓨터와 모니터가 연동된 상태여서 상기 퍼스널컴퓨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모니터에 출력되고, 모니터에 출력된 화면 중 교육자가 '시작'버튼 위치에 손가락 등을 위치시키면, 적외선센서에서 좌표점이 인식되고 이를 퍼스널컴퓨터로 전송시킴으로써, 상기 퍼스널컴퓨터에서 '시작'버튼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적외선센서를 통해 포인팅을 인식하여 판서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모니터 자체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압력식, 초음파 전자칠판 센서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퍼스널컴퓨터와 연동되어, 인터넷 기능, TV 시청기능, 판서기능 등의 교육에 필요한 시청각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일측에 연결소켓을 구성하여, 퍼스널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휴대폰) 등과 연동되어 다양한 콘텐츠의 추가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으로 다양한 방식의 교육방식을 구현시킴으로써,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영상출력이나 회보, 학교 스케줄, 타구역과의 화상회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는 지지바(136)에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3)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3)은 'ㄴ'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22)와 지지바(136)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브라켓(23)은 디스플레이부(22)와 지지바(136) 사이에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양 측면 각각에 세워지는 수직바(132)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고정날개(2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날개(2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를 고정프레임(130)의 지지바(136)에 삽입시킬 때 수직바(132)의 전면이 삽입되도록 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날개(25)는 디스플레이부(22)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화이트보드(24)는 디스플레이부(22)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판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화이트보드(24)는 고정프레임(130)에 도포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고정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 상에 고정되는 유리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이트보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화이트보드(24)는 종래와 같은 칠판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화이트보드(24)의 유리는 강화유리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관(2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22)를 보호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냉각관(26)은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 일측에 밀착되며 상부가 상부슬라브와 천정 사이의 공동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관(2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냉각관(26)으로 전도되고, 이렇게 전도된 열은 상부를 통해 상기 상부슬라브와 천정 사이의 공동공간으로 방열됨으로써, 열교환에 의한 방열효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 경우, 상부슬라브와 천정사이의 공동공간은 상기 천정에 의해 실내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부슬라브의 특유의 재질적 특성에 의해 상기 공동공간은 실내보다 항상 낮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냉각관(26)을 통한 방열효과를 증대된다.
이는,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에서 발생한 열이 냉각관(26)으로 전도되면서 상기 냉각관(26)의 내측의 공간에 열에 의해 공기팽창이 이루어지고, 공동공간에 위치한 냉각관(26)의 끝단부는 상기 냉각관(26)의 내측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태임으로써,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방열효과가 증진된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은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은 길이를 달리하도록 구성되어, 용이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 또는 제조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와의 용이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일부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와의 열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26)은 주름이 형성되어, 외부공기와의 표면적을 확대시켜 신속한 열교환에 따른 방열효과가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형상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는 전면외장패널의 양쪽의 상단 각각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피교육자들이 음성을 용이하게 들을 수 있는 구성 또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내측에 내장시켜 전면외장패널의 미려함이 증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30)과 패널(140) 사이에는 결합력 및 차음 또는 단열기능을 증진시키도록 석고보드와 MDF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레임수단(10)에 의해 별도로 건물의 구획벽체를 형성하지 않고도 건물의 구획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변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을 통해 판서 기능뿐만 아니라 시청각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수단 110: 상부찬넬
112: 제1상부찬넬 114: 제2상부찬넬
116: 제1상부마감찬넬 118: 제2상부마감찬넬
120: 하부찬넬 122: 제1하부찬넬
124: 제2하부찬넬 126: 제1하부마감찬넬
128: 제2하부마감찬넬 129: 하단마감찬넬
130: 고정프레임 132: 수직바
134: 수평바 136: 지지바
138: 고정바 139: 돌기
140: 패널 142: 단열재
143: 보호패널 144: 벽마감판넬
1442: 지지면 1444, 1454, 1474: 삽입홈부
145: 제1결속판넬 1452, 1462: 삽입돌부
148: 받침판넬 1482: 절곡면
1484: 삽입공 20: 시청각정보수단
22: 디스플레이부 23: 고정브라켓
24: 화이트보드 25: 고정날개
26: 냉각관

Claims (7)

  1. 교육기관 또는 교육장소에 설치되어 피교육자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칠판시스템에 있어서,
    벽 사이에 구성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프레임수단(10); 및
    상기 프레임수단(10)의 전면에 구성되어 피교육자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시청각정보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수단(10)은, 천정에 고정되는 제1상부찬넬(112)과, 상기 제1상부찬넬(112)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상부찬넬(114)과, 상기 제1상부찬넬(112)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상부마감찬넬(116) 및 상기 제2상부찬넬(114)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상부마감찬넬(118)을 포함하는 상부찬넬(110);
    상기 제1상부찬넬(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슬라브에 고정되는 제1하부찬넬(122)과, 상기 제2상부찬넬(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2하부찬넬(124)과, 상기 제1상부마감찬넬(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1하부마감찬넬(126)과, 상기 제2상부마감찬넬(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제2하부마감찬넬(128) 및 상기 제1과 제2하부마감찬넬(126)(128)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단마감찬넬(129)을 포함하는 하부찬넬(120);
    상기 상,하부찬넬(110)(120) 사이에 구성되고 벽체를 구성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찬넬(112)(122)(114)(124) 사이에 구성되어 차음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142)와, 상기 단열재(142)를 보호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되는 보호판넬(143) 및 상기 보호판넬(143)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하단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상,하부마감찬넬(116)(126)(118)(128)에 지지되며 일측에 시청각정보수단(20)이 고정되는 전면외장패널과 상기 전면외장패널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다른 구획공간의 벽체를 형성하는 후면외장패널을 포함하는 외장패널로 구성되는 패널(14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140)의 외장패널은 상호 끼워맞춤으로 조립되어 시공의 간편성을 가지도록 조립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장패널은,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벽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면(1442)과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삽입홈부(1444)로 구성되는 벽마감판넬(144)과;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에 삽입되는 삽입돌부(1452) 및 상기 외장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44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1454)로 구성되는 제1결속판넬(145)과;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속판넬(145)의 삽입돌부(145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부(1462)로 구성되는 제2결속판넬(146);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마감판넬(144)의 삽입홈부(144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1474)로 구성되는 제3결속판넬(147); 및
    일정폭을 가지는 외장면과 상기 외장면의 양단 각각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고정프레임(130)의 일측에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면(1482)으로 구성되는 받침판넬(148)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패널의 전면외장패널은, 벽 양단 각각에 상기 벽마감판넬(144)이 고정되고, 상기 벽마감판넬(144)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속판넬(145)이 조립되며, 상기 제1결속판넬(145) 사이에 시청각정보수단(20)이 위치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과 상,하부 슬라브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판넬(148)로 구성되며;
    상기 외장패널의 후면외장패널은, 벽 양단 각각에 상기 벽마감판넬(144)이 고정되고, 상기 벽마감판넬(144) 사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속판넬(145)이 조립되며, 상기 제1결속판넬(145) 사이 각각에 제2결속판넬(146) 및 중앙에 제3결속판넬(147)로 구성되고;
    상기 시청각정보수단(20)은,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패널(140)의 일측에 위치되며 퍼스널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청각 자료의 출력 및 판서기능을 수행하도록 터치스크린방식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3)과;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고정되어 판서기능을 가지는 화이트보드(2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2)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서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열교환시키도록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관(26)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관(26)은, 상부가 천정과 상부슬라브 사이의 공동공간에 위치되어 열교환에 의해 방열기능을 수행하고, 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후방에 밀착되어 표면적을 향상시켜 열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주름;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천정 또는 상부슬라브와 하부슬라브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132);
    상기 복수의 수직바(132)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바(132)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복수의 수평바(134); 및
    시청각정보수단(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바(1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넬(148)의 절곡면(148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공(1484)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30)의 고정바(138)에는 상기 받침판넬(148)의 삽입공(1484)이 삽입 및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공(148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3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37329A 2015-09-30 2015-09-30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KR10169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29A KR101697947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29A KR101697947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947B1 true KR101697947B1 (ko) 2017-01-20

Family

ID=5798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329A KR101697947B1 (ko) 2015-09-30 2015-09-30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9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48B1 (ko) 2001-09-24 2004-06-30 (주)모든넷 전자칠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300835A (ja) * 2003-03-31 2004-10-28 Itoki Crebio Corp 表示機能付き間仕切装置
KR100529795B1 (ko) 2005-04-01 2005-11-17 (주)컴버스테크 전자칠판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데이터 트랙 레일장치를탑재한 전자칠판시스템
KR100582844B1 (ko) 2005-11-24 2006-05-23 암전정밀광학 주식회사 유지보수구조를 갖는 전자칠판장치
KR101465932B1 (ko) * 2014-03-11 2014-11-28 (주)비앤씨판넬 조립식 철재 칸막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48B1 (ko) 2001-09-24 2004-06-30 (주)모든넷 전자칠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300835A (ja) * 2003-03-31 2004-10-28 Itoki Crebio Corp 表示機能付き間仕切装置
KR100529795B1 (ko) 2005-04-01 2005-11-17 (주)컴버스테크 전자칠판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데이터 트랙 레일장치를탑재한 전자칠판시스템
KR100582844B1 (ko) 2005-11-24 2006-05-23 암전정밀광학 주식회사 유지보수구조를 갖는 전자칠판장치
KR101465932B1 (ko) * 2014-03-11 2014-11-28 (주)비앤씨판넬 조립식 철재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4948A (ja) タッチ黒板、タッチ黒板フレーム枠、オールインワンタッチマシン及び組合式黒板
JP5996602B2 (ja) 投影システム及びその投影方法
TW201037135A (en) Movable office screen system
KR101697947B1 (ko) 전자칠판 판서기능 및 벽체기능을 겸비한 융 복합적인 전자칠판시스템
US6188517B1 (en) Three-dimensional hybrid screen having multiple viewing sections
CN203910055U (zh) 一种具有触控显示屏的便携式多媒体一体机
KR101433751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
CN110792288A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ES1259607U (es) Pizarra interactiva con equipo audiovisual
CN205943149U (zh) 一种无线多媒体教学设备
RU188295U1 (ru) Мемориальное интера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6700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монстрационное
KR101332481B1 (ko) 터치스크린 고정구조
JP2011115968A (ja) エデュケーショナル・ウォールユニットシステム
CN106991848A (zh) 一种全能型智慧教室
CN206921066U (zh) 博物馆环屏触控互动系统
KR101725199B1 (ko) 투명패널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205193414U (zh) 一种地台和弧幕互动展示系统
JP3108098U (ja) 個別指導用ブース
KR101933889B1 (ko) 디스플레이 장착용 칠판
KR101945838B1 (ko) 미술품 디스플레이 장치
CN211533609U (zh) 一种新型透明展柜
KR20130130432A (ko)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211524212U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Ross et al. I “art” libraries: Exhibiting 10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