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43B1 - 커튼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커튼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43B1
KR101697743B1 KR1020160033586A KR20160033586A KR101697743B1 KR 101697743 B1 KR101697743 B1 KR 101697743B1 KR 1020160033586 A KR1020160033586 A KR 1020160033586A KR 20160033586 A KR20160033586 A KR 20160033586A KR 101697743 B1 KR101697743 B1 KR 10169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unit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3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로서, 수평부의 전방에 결합 고정되어 수직부의 측벽 전방에 끼워맞춤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에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되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수평부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되 수직부의 측벽 후방에 걸어맞춤되어 수평부를 지지하는 걸림부와, 수평부를 밀착부에 결합 고정시키면서 연결부위와 밀착부 사이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부에 연결부와 밀착부에 의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의해 수평부와 밀착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시 연결부위에서 우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튼월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TURE OF 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은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 상에 외부로부터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튼월 시스템은 고층 건물의 외벽체에 유리와 같은 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의 수평부(200)과 수직프레임의 수직부(100)를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에 장착되는 어댑터 부재를 매개로 복층 유리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커튼월 시스템에서 어댑터 부재를 매개로 복층 유리가 설치되는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는 각각 커튼월 시스템 전체 구조의 보강을 위하여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연결부재(300)를 개재해서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튼월 시스템에서 보강 골격체로서 직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시공 현장에서 용접 등의 방법이나 절곡형 브라켓을 사용한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커튼월은 건물의 내외를 가로막는 칸막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 창호를 이용할 경우 추가적인 효과, 즉 장식 내지 인테리어적인 용도로 현대 건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외장용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높이가 100m 이상의 건물이면 외부에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커튼월에 사용되어지는 패널은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건물의 외관도 공업적인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거용 및 상업용 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알루미늄 커튼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알루미늄의 소재가 금속이므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가 서로 만나는 연결부위에는 수축팽창이 심하고 수밀성 및 기밀성이 좋지 않아 빗물이 유입되는 누수문제로 인한 프레임 조립체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금속간의 부딪힘으로 인한 프레임 조립체의 손상과 소음이 발생되고,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별도의 실리콘 작업을 하더라도 실리콘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과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리콘 작업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완벽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틈이 발생하여 누수를 원인이 되기도 하고, 지저분한 실리콘 작업으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커튼월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주로 고층건물에서 사용하다 보니 작업이 까다롭고, 조립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장착된 복층유리의 기밀성이 좋지 않아 단열이나 누수방지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902호 (2010년 11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648호 (2011년 06월 3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390호 (2013년 11월 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시 연결부위에서 우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 및 수평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밀착부 사이의 결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에 밀착부를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수평부에 밀착부를 밀착시켜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상하방향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서 걸림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전에 이들의 전후진에 의한 걸어맞춤에 의해 사전 준비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의 전방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벽 전방에 끼워맞춤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수평부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벽 후방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수평부를 상기 밀착부에 결합 고정시키면서 상기 연결부위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부의 전방에 체결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상하면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에 밀착되는 밀착편; 상기 밀착편의 일방 상하단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밀착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면 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평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 끼워맞춤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상기 고정구를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부에 연결부와 밀착부에 의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의해 수평부와 밀착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시 연결부위에서 우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로서 연결구와 가이드홈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 및 수평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밀착부 사이의 결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밀착부로서 밀착편과 가이드돌기와 연결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에 밀착부를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수평부에 밀착부를 밀착시켜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상하방향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걸림부로서 고정구와 걸림돌기와 체결편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서 걸림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전에 이들의 전후진에 의한 걸어맞춤에 의해 사전 준비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커튼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2는 종래의 커튼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연결부와 밀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의 결합구조의 연결부와 밀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튼월의 결합구조는, 연결부(10), 밀착부(20), 걸림부(30) 및 결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멀리온(mullion)과 같은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직부(100)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랜섬(transom)과 같은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평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수직부(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전방에 연결부(10)를 끼워맞춤하기 위한 끼움홀(10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후방에 걸림부(20)를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림홀(10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수평부(2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면의 후방 측벽에 걸림부(30)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면의 후방에 후방 돌기편(201)과 후방 고정홀(20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면의 전방 측벽에 연결부(10)와 밀착부(20)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면의 전방에 전방 돌기편(203)과 전방 고정홀(20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0)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20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고정홀(204)과 전방 돌기편(203)에 결합 고정되어 수직부(100)의 측벽 전방에 형성된 끼움홀(101)에 끼워맞춤되는 연결부재로서, 연결구(11), 가이드홈(12), 체결홀(13), 걸림턱(14) 및 체결편(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구(11)는, 수평부(20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돌기편(203)에 끼워맞춤되고 전방 고정홀(204)을 통해 체결편(15)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재로서, 여기에 결합되는 밀착부(2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가이드홈(12)은, 연결구(11)의 상하면 양쪽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이러한 가이드홈(12)을 따라 밀착부(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체결홀(13)은, 연결구(11)의 측면 중앙부위에 관통 형성된 홀부재로서, 여기에 수평부(200)의 전방 돌기편(203)이 끼워맞춤되며 체결편(15)이 체결고정 결합되어 연결구(11)를 수평부(200)의 전방에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걸림턱(14)은, 연결구(11)의 후단에서 상하방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 턱부재로서, 가이드홈(1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밀착부(20)의 후단과 접촉하여 밀착부(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체결편(15)은, 연결구(11)의 측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체결홀(13)에 결합되며 수평부(200)의 전방 고정홀(204)에 체결고정 결합되어 연결구(11)를 수평부(200)의 전방에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밀착부(20)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0)에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되 수직부(100)와 수평부(200)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로서, 가이드돌기(21), 밀착편(22), 연결돌기(23) 및 결합홀(24)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돌기(21)는, 밀착편(22)의 일방 측면의 상하단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연결부(10)의 가이드홈(12)에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끼워맞춤되어 연결부(10)를 기준해서 밀착부(20)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밀착편(22)은, 가이드돌기(21)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장 형성된 평판형상의 밀착부재로서, 연결부(10)의 가이드홈(12)에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어 수평부(200)에 밀착된다.
연결돌기(23)는, 밀착편(2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수직부(100)의 측면 전방에 형성된 끼움홀(101)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돌기부재로서, 연결돌기(23)의 선단에는 끼움홀(101)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24)은, 밀착편(22)의 밀착부위에 천공 형성된 홀부위로서, 가이드돌기(21)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평판 형상의 밀착면에 각각 천공 형성되며, 여기에 결합부(40)가 체결 고정되어 밀착부(20)를 수평부(200)에 밀착시켜, 수직부(100)와 수평부(200) 사이의 연결부위를 밀착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돌기(23)는 밀착편(22)과 수평부(200)가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기 전에 끼움홀(101)의 후방에 접촉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돌기(23)는 밀착편(22)과 수평부(200)가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된 후에 끼움홀(101)의 전방에 접촉하게 되어, 끼움홀(101)의 전방에 밀착 결합하여 고정된다.
걸림부(30)는, 수평부(200)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되 수직부(100)의 측벽 후방에 걸어맞춤 설치되어 수평부(200)를 지지하는 걸림부재로서,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31), 걸림돌기(32) 및 체결편(33)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구(31)는, 수평부(200)의 내부면에 형성된 후방 돌기편(201)에 결합 고정되되 수직부(100)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홀(102)에 끼워맞춤 설치되어 수평부(20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로서, 측면에는 후방 돌기편(201)이 끼워맞춤 결합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2)는, 고정구(3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수직부(100)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홀(102)에 삽입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돌기부재로서, 전방 걸림편(32a), 후방턱(32b) 및 전방턱(32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걸림편(32a)은, 걸림돌기(3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수직부(100)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홀(102)에 걸어맞춤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방턱(32b)은, 걸림돌기(32)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 턱부재로서, 수직부(100)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홀(102)에 끼워맞춤되어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방턱(32c)은, 걸림돌기(32)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턱부재로서, 수직부(100)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홀(102)에 끼워맞춤되어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턱(32c)은, 밀착부(20)와 수평부(200)가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기 전에 걸림홀(102)의 전방에 접촉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턱(32b)은, 밀착부(20)와 수평부(200)가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된 후에 걸림홀(102)의 후방에 접촉되어, 걸림홀(102)의 후방이 밀착하여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구(31)는 수평부(200)의 내부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 돌기편(201)의 중앙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후방 고정홀(202)에 체결편(33)을 개재해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결합부(40)는, 수평부(200)를 밀착부(20)에 결합 고정시키면서 수직부(100) 및 수평부(200)의 연결부위와 밀착부(20) 사이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로서, 밀착부(20)의 밀착편(22)에 형성된 결합홀(24)에 체결 고정되는 피스나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부에 연결부와 밀착부에 의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의해 수평부와 밀착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시 연결부위에서 우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로서 연결구와 가이드홈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 및 수평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밀착부 사이의 결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밀착부로서 밀착편과 가이드돌기와 연결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에 밀착부를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수평부에 밀착부를 밀착시켜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상하방향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걸림부로서 고정구와 걸림돌기와 체결편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서 걸림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전에 이들의 전후진에 의한 걸어맞춤에 의해 사전 준비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연결부 20: 밀착부
30: 걸림부 40: 결합부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의 전방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벽 전방에 끼워맞춤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전후진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수평부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벽 후방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수평부를 상기 밀착부에 결합 고정시키면서 상기 연결부위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부의 전방에 체결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하면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연결구의 측면 중앙부위에 관통 형성된 체결홀;
    상기 연결구의 후단에서 상하방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연결구의 측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의 전방 고정홀에 체결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를 상기 수평부의 전방에 고정결합시키는 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에 전후진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에 밀착되는 밀착편;
    상기 밀착편의 일방 상하단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밀착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면 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평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 끼워맞춤 설치되어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 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상기 고정구를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0160033586A 2016-03-21 2016-03-21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69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86A KR101697743B1 (ko) 2016-03-21 2016-03-21 커튼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86A KR101697743B1 (ko) 2016-03-21 2016-03-21 커튼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743B1 true KR101697743B1 (ko) 2017-01-18

Family

ID=5799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586A KR101697743B1 (ko) 2016-03-21 2016-03-21 커튼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79B1 (ko) * 2017-04-10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CN108797861A (zh) * 2018-07-19 2018-11-13 深圳市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幕墙挂接结构及安装方法
KR102286493B1 (ko) * 2020-02-21 2021-08-05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099A (ko) * 2000-08-03 2002-02-15 고미야 히로요시 반도체 기판 세정ㆍ건조 장치
KR100996902B1 (ko) 2010-04-07 2010-11-2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내부 마감 부재 및 그 어셈블리
KR101045648B1 (ko) 2011-03-08 2011-06-30 (주)엘에이커튼월 스틸커튼월의 결합구조
KR101329390B1 (ko) 2012-02-08 2013-11-14 (주)엘지하우시스 배수가 용이한 창호용 조립부재
KR101359429B1 (ko) * 2012-10-16 2014-02-07 정준원 스틸 커튼월용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스틸 커튼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099A (ko) * 2000-08-03 2002-02-15 고미야 히로요시 반도체 기판 세정ㆍ건조 장치
KR100996902B1 (ko) 2010-04-07 2010-11-2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내부 마감 부재 및 그 어셈블리
KR101045648B1 (ko) 2011-03-08 2011-06-30 (주)엘에이커튼월 스틸커튼월의 결합구조
KR101329390B1 (ko) 2012-02-08 2013-11-14 (주)엘지하우시스 배수가 용이한 창호용 조립부재
KR101359429B1 (ko) * 2012-10-16 2014-02-07 정준원 스틸 커튼월용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스틸 커튼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79B1 (ko) * 2017-04-10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CN108797861A (zh) * 2018-07-19 2018-11-13 深圳市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幕墙挂接结构及安装方法
CN108797861B (zh) * 2018-07-19 2023-12-26 深圳市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幕墙挂接结构及安装方法
KR102286493B1 (ko) * 2020-02-21 2021-08-05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WO2021167281A3 (ko) * 2020-02-21 2021-10-14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US11608626B2 (en) 2020-02-21 2023-03-21 Seung Il Kim Prefabricated pos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41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874580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KR101697743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2255115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JPH08416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パネル材取付構造
KR101121149B1 (ko) 스틸 커튼월의 결합구조
CN104153677A (zh) 一种铝木复合门窗
KR101697742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109707B1 (ko) 스틸커튼월의 결합구조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101874579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255117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CN215254168U (zh) 一种拼接式铝单板结构
KR102213142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071107B1 (ko) 체결 돌기를 활용한 커튼월 시스템의 체결 구조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CN209817237U (zh) 明暗架结合的吊顶结构
KR20220056625A (ko) 건축물 외장용 기능성 복합판넬 결합장치
KR102071740B1 (ko) 창호 고정용 조립브라켓
CN212506942U (zh) 一种玻璃幕墙天棚组合结构
JP6604773B2 (ja) 建物の建具枠取付構造
JP2722042B2 (ja) 建築用分割方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