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42B1 -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42B1
KR102213142B1 KR1020200065084A KR20200065084A KR102213142B1 KR 102213142 B1 KR102213142 B1 KR 102213142B1 KR 1020200065084 A KR1020200065084 A KR 1020200065084A KR 20200065084 A KR20200065084 A KR 20200065084A KR 102213142 B1 KR102213142 B1 KR 10221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urtain wall
vertical
protrus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6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에 일방이 결합되며 타방에 수평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수직부의 측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기부와, 수직부의 측면에 연결부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의 내진 연결작업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진성능 및 복원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FOR EARTHQUAKE RESISTANT}
본 발명은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은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 상에 외부로부터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튼월 시스템은 고층 건물의 외벽체에 유리와 같은 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평부와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직부를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에 장착되는 어댑터 부재를 매개로 다층 유리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를 매개로 다층 유리가 설치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에는 각각 커튼월 시스템 전체 구조의 보강을 위하여 트랜섬 및 멀리언이 결합 체결되어 있다.
또한, 커튼월 시스템에서 보강 골격체로서 직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시공 현장에서 용접 등의 방법이나 절곡형 브라켓을 사용한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커튼월은 건물의 내외를 가로막는 칸막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 창호를 이용할 경우 추가적인 효과, 즉 장식 내지 인테리어적인 용도로 현대 건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외장용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높이가 100m 이상의 건물이면 외부에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커튼월에 사용되어지는 패널은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건물의 외관도 공업적인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거용 및 상업용 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알루미늄 커튼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알루미늄의 소재가 금속이므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가 서로 만나는 연결부위에는 수축팽창이 심하고 수밀성 및 기밀성이 좋지 않아 빗물이 유입되는 누수문제로 인한 프레임 조립체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 조립체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금속간의 부딪힘으로 인한 프레임 조립체의 손상과 소음이 발생되고,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별도의 실리콘 작업을 하더라도 실리콘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과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리콘 작업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완벽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틈이 발생하여 누수를 원인이 되기도 하고, 지저분한 실리콘 작업으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커튼월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주로 고층건물에서 사용하다 보니 작업이 까다롭고, 조립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장착된 다층유리의 기밀성이 좋지 않아 단열이나 누수방지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튼월의 멀리온과 트랜섬의 결합 및 내진을 위한 완충 구성이 각각 이루어져 있으나, 구성이 많아지고 복잡하여 시공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지진 등으로 인해 유리구조물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기 유리구조물이 파손되는 등 내진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692호 (2014년03월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8029호 (2017년11월1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502호 (2020년01월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커튼월의 내진 연결작업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진성능 및 복원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에 연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직부와 돌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돌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완충부에 대해 연결부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완충부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일방이 결합되며 타방에 상기 수평부가 결합되는 연결부(10); 상기 연결부(10)의 일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기부(20); 상기 연결부(10)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상기 연결부(10)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30); 및 상기 수직부와 상기 연결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시키는 완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부에 설치되되 상기 완충부(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40)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10)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완충부(4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0)는, 일방면에 수직부가 연결되고 타방면에 수평부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의 양단에 외향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판;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되 돌출 형성된 받침돌기;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에 형성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연결편의 타방면에 형성된 제2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받침판의 두께는, 상기 완충부(4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연결부(10)의 일방면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편; 상기 돌기편의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취 형성된 분할홈; 및 상기 돌기편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돌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편은, 선단의 사이즈가 후단 보다 확장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연결부(10)의 중앙부위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편; 및 상기 돌기부(20)의 돌기홀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의 내진 연결작업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진성능 및 복원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로서 절곡 형성된 연결편과 받침판과 받침돌기와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에 연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돌기부로서 돌기편과 분할홈과 돌기홀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직부와 돌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로서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돌기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돌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와 완충부 사이에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완충부에 대해 연결부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완충부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수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일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타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내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내진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지지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지지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수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수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일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타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내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내진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돌기부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지지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의 지지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는, 연결부(10), 돌기부(20), 고정부(30) 및 완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멀리온(mullion)과 같은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직부(100)와, 이러한 수직부(10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랜섬(transom)과 같은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평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캡파 및 히든바와 같은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이다.
연결부(10)는, 커튼월을 구성하는 멀리온과 같은 수직부(100)의 측면에 일방이 결합되며 타방에 트랜섬과 같은 수평부(200)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11), 제1 연결홀(12), 제2 연결홀(13), 걸림턱(14), 받침판(15) 및 받침돌기(16)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편(11)은, 일방면(11a)에 멀리온과 같은 수직부(100)가 연결되고 타방면(11b)에 멀리온과 같은 수평부(200)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로서, 일방면(11a)의 양단에 타방면(11b)이 절곡 형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홀(12)은, 연결편(11)의 일방면(11a)에 형성된 연결홀로서, 일방면(11a)에 멀리온과 같은 수직부(100)가 연결되도록 수직부(100)에 결합되는 연결편(11)의 일방면(11a)에 1개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홀(13)은, 연결편(11)의 타방면(11b)에 형성된 연결홀로서, 타방면(11b)에 멀리온과 같은 수평부(200)가 연결되도록 도 7의 수평부(200)의 피스홀(202)에 결합되는 연결편(11)의 타방면(11b)에 1개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4)은, 연결편(11)의 타방면(11b)의 외향부위에 돌출 형성된 턱부재로서, 멀리온과 같은 수평부(200)의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01)의 측면이 접촉되어 지지지되도록 수평부(200)에 결합되는 연결편(11)의 양쪽의 타방면(11b)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15)은, 연결편(11)의 일방면(11a)의 양단에 외향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부재로서, 연결부(10)와 수평부(200)의 결합시 수평부(200)의 피스홀(202)과 제2 연결홀(13)에 피스의 결합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면서 수평부(200)의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01)의 선단과 받침판(15)이 서로 접촉하여 받침판(15)에 수평부(200)를 밀착해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판(15)의 두께(t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부(40)의 두께(t2) 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부(10)와 수평부(200)의 결합시 수평부(200)가 완충부(40)에 접촉되어 내진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받침돌기(16)는, 연결편(11)의 일방면(11a)과 수직부(100)의 접촉 결합부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되 수평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연결편(11)의 일방면(11a)과 수직부(1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접촉부위를 이격시키게 된다.
돌기부(20)는, 연결부(10)의 일방면(11a)에 돌출 형성되어 도 8의 수직부(100)의 측면에 타공 형성된 타공홀(101)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기부재로서, 연결편(11)의 일방면(11a)과 수직부(100)의 결합시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돌기부(20)는, 수직부(100)의 타공홀(101)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지지력을 향상시도록 17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편(21), 분할홈(22) 및 돌기홀(23)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돌기편(21)은, 연결부(10)의 일방면(11a)의 양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이러한 돌기편(21)의 볼록한 선단의 사이즈가 후단의 사이즈 보다 확장되도록 소정각도(θ)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홈(22)은, 돌기편(21)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취 형성된 1개 이상의 홈부재로서, 후단의 보다 확장된 돌기편(21)의 선단이 수직부(100)의 타공홀(101)에 끼워맞춤 결합시 신축에 의해 결합을 용이하도록 신축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돌기홀(23)은, 돌기편(2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부재로서, 여기에 고정부(30)가 체결고정되어 돌기편(21)을 확장시켜 수직부(100)의 타공홀(101)에 돌기부(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고정부(30)는, 연결부(10)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수직부(100)의 측면에 연결부(10)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연결부(10)의 중앙부위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부(30)로는, 돌기편(21)의 선단을 외곽으로 확장시켜 수직부(100)의 타공홀(101)에 돌기부(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돌기홀(23)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완충부(40)는, 수직부(100)와 연결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부(100)와 수평부(200)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로서,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발생시 충격을 완충하는 동시에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연결부(10)의 외곽둘레를 커버링하도록 띠 형상의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완충부(40)로는 수직부(100)와 연결부(10) 사이의 연결부위에 누수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수, 방풍 및 방진하도록 고무, 실리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은 기밀부재로 이루어져, 수밀성, 방풍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부(100)에 설치되되 완충부(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완충부(40)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연결부(10)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부(50)는, 완충부(40)의 내부에 연결부(10)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수직부(100)와 수평부(200)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완충부(40)의 사이즈도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에 이러한 지지부(50)를 개재해서 연결부(10)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의 내진 연결작업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진성능 및 복원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로서 절곡 형성된 연결편과 받침판과 받침돌기와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에 연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돌기부로서 돌기편과 분할홈과 돌기홀을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와 연결부 사이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직부와 돌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로서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돌기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돌기부와 수직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와 완충부 사이에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완충부에 대해 연결부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완충부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연결부 20: 돌기부
30: 고정부 40: 완충부
50: 지지부

Claims (8)

  1. 상하방향으로 입설되며 인접하게 설치된 수직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를 연결하는 커튼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일방이 결합되며 타방에 상기 수평부가 결합되는 연결부(10);
    상기 연결부(10)의 일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기부(20);
    상기 연결부(10)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상기 연결부(10)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30); 및
    상기 수직부와 상기 연결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완충시키는 완충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연결부(10)의 일방면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며, 선단의 사이즈가 후단 보다 확장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편;
    상기 돌기편의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취 형성된 분할홈; 및
    상기 돌기편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돌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돌기편의 선단을 외곽으로 확장시켜 상기 수직부의 타공홀에 상기 돌기부(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돌기홀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 설치되되 상기 완충부(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40)의 결합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10)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완충부(4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0)의 결합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는,
    일방면에 수직부가 연결되고 타방면에 수평부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의 양단에 외향으로 연장 형성된 받침판;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되 돌출 형성된 받침돌기;
    상기 연결편의 일방면에 형성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연결편의 타방면에 형성된 제2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두께는, 상기 완충부(4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연결부(10)의 중앙부위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0200065084A 2020-05-29 2020-05-29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21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84A KR102213142B1 (ko) 2020-05-29 2020-05-29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84A KR102213142B1 (ko) 2020-05-29 2020-05-29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42B1 true KR102213142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084A KR102213142B1 (ko) 2020-05-29 2020-05-29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79B1 (ko) * 2021-02-16 2021-09-14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692B1 (ko) 2013-03-14 2014-03-0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1733987B1 (ko) * 2016-02-18 2017-05-29 주식회사 이에스텍 시공성이 향상된 커튼월
KR101798029B1 (ko) 2017-05-24 2017-11-17 (주)영남유리산업 내진 창호 새시의 코너피스
KR101874580B1 (ko) * 2017-04-10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963333B1 (ko) * 2018-04-25 2019-03-28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 월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069502B1 (ko) 2019-02-26 2020-01-23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692B1 (ko) 2013-03-14 2014-03-0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1733987B1 (ko) * 2016-02-18 2017-05-29 주식회사 이에스텍 시공성이 향상된 커튼월
KR101874580B1 (ko) * 2017-04-10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798029B1 (ko) 2017-05-24 2017-11-17 (주)영남유리산업 내진 창호 새시의 코너피스
KR101963333B1 (ko) * 2018-04-25 2019-03-28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커튼 월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069502B1 (ko) 2019-02-26 2020-01-23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79B1 (ko) * 2021-02-16 2021-09-14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115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874580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1105797B1 (ko)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368692B1 (ko)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20180113036A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20120028478A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172391B1 (ko)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KR20190016060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102213142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20190099604A (ko) 기존 커튼월의 단열 성능 향상용 덧댐 창호가 구비되는 커튼월 시스템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1235760B1 (ko) 스틸 커튼월 장착구조
KR102255116B1 (ko) 커튼월의 내진 결합구조
KR102252166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230183B1 (ko) 내진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255117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101697743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20170113479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20220084768A (ko) 단열 커튼월
KR20110093467A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KR102255118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102269407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102220370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