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62B1 -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762B1
KR101696762B1 KR1020160087662A KR20160087662A KR101696762B1 KR 101696762 B1 KR101696762 B1 KR 101696762B1 KR 1020160087662 A KR1020160087662 A KR 1020160087662A KR 20160087662 A KR20160087662 A KR 20160087662A KR 101696762 B1 KR101696762 B1 KR 10169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bracket
glass substrate
sti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동
임호영
우지석
Original Assignee
(주)디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티 filed Critical (주)디엠티
Priority to KR102016008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G02F2001/1333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가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어, 그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글라스기판 푸셔장치(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와; 상기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와; 상기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와;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Apparatus for pushing glass substrate of Flat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스크라이빙을 기준으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셀 푸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액정표시소자(Flat display)는, 스마트폰, 스마트탭등의 해당제품에 장착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조작을 위한 터치스크린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의 모재가 되는 글라스셀(Glass cell)은, 예를 들면 1100 ㅧ 1300mm 크기의 글라스기판을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 절단하고, 이후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완성될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시 소정의 크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에 적용될 크기로 절단됨으로서 구현된다. 이후 글라스셀은 얼라인공정 및 검사공정등을 거친후 다음 제조공정으로 이송되어 평판표시소자를 제조하는 모재가 된다.
이때 완성된 글라스셀은 공정간에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 파손(깨짐, 스크래치 등)의 우려가 있고, 또한 오염원(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으로부터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에 차례로 적층되거나, 세정설비를 통하여 평판표시소자 제조공정으로 평판표시소자 제조공정으로 운반된다.
한편 수많은 수요가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과 같은 제품은 기술발전에 의하여 기능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1~2년 주기로 해당 제품을 교체하고 있다. 즉 따라서 짧은 라이프타임동안 대량의 수요 및 공급이 요구되므로, 평판표시소자의 모재가 되는 글라스셀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0730459호에 액정표시장치의 글라스셀 자동 로딩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정확하고 빠르게 분단할 수 있도록, 스크라이빙 라인을 기준으로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는,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가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어, 그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 상기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 상기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 및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상기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상기 푸셔바아(254)의 하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 상기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서 그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253)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스프링(256)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255)가 상기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단취출장치가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분단하는 동안, 푸셔바아에 결합된 진공패드가 스크라이빙 라인(L)에 근접된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분단과정에서 글라스기판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장브라켓과 푸셔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영점접점을 채용함으로써 진공패드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수직이송구동부는 연장브라켓의 하강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연장브라켓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스프링과 스토퍼볼트는 상호 유기적인 연결관계에 의하여, 진공패드가 글라스기판을 가압할 때 푸셔바아의 틀어짐 정도를 보상함과 동시에, 푸셔바아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단과정에서 스틱형 글라스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푸셔장치가 설치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의 일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틸팅분단헤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틸팅분단헤드의 분단바아에 밀착면 및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틸팅분단헤드의 틸팅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 및 도 2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푸셔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푸셔유니트에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푸셔브라켓과 푸셔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스토퍼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푸셔유니트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푸셔장치가 설치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의 일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틸팅분단헤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틸팅분단헤드의 분단바아에 밀착면 및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틸팅분단헤드의 틸팅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200)는,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컨베이어(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 및 취출하기 위한 분단취출장치(300)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어, 그 분단취출장치(300)가 글라스셀(C)을 정밀하게 분단할 수 있도록 그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글라스기판을 스틱형태로 절단함으로써 구현되고, 이후 컨베이어(100)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분단취출장치(300)에 의하여 분단되여 대각선이 4인치에서 7인치 내외 크기인 글라스셀(C)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글라스셀(C)은 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등에 채용되는 액정표시장치 모재가 된다.
분단취출장치(300)는 본 발명의 푸셔장치(200)에 의하여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가압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 및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분단취출장치(300)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로부터 글라스셀(C)을 흡착 및 틸팅하여 분단하는 한쌍의 틸팅분단헤드(310)와, 틸팅분단헤드(310))를 베이스프레임(F)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로봇(320)을 포함한다.
이송로봇(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단된 글라스셀(C)을 흡착하는 틸팅분단헤드(310)를 베이스프레임(F) 상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얼라인부(미도시)나 검사장치(미도시)로 이송하여 얼라인 및 검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축관절을 가지는 스카라로봇으로 예시하고 있다.
틸팅분단헤드(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로봇(320)의 팔(321)에 장착되는 헤드본체(311)와; 헤드본체(311)의 하단에 제1힌지(h1)를 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글라스셀(C)을 분단하기 위한 분단바아(312)와; 헤드본체(311)의 하부측에 제1힌지(h1) 방향으로 왕복이송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13)과; 이송블럭(313)의 제2힌지(h2)와 분단바아(312)의 제3힌지(h3)를 연결하는 레버부재(314)와; 제1힌지(h1)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재(314)의 반대측에서 분단바아(312)와 헤드본체(311)를 연결하는 스프링(315)과; 헤드본체(311)에 설치되어 상기 분단바아(312)가 상기 제1힌지(h)를 축으로 틸팅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분단바아(3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단대상인 글라스셀(C)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312a)과; 밀착면(312a)으로 개구되어 글라스셀(C)과 밀착면(312a) 사이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다수의 흡착홀(312b);로 구성된다.
틸팅구동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본체(3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풀리(316a)를 가지는 모터(316)와; 이송블럭(313)과 스큐류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풀리(317a)를 가지는 샤프트(317)와; 제1,2풀리(316a)(317a)를 연결하는 벨트(318);로 구성된다. 이러한 틸팅구동부에 의하여 모터(316)에 의하여 제1풀리(316a)가 회전되면, 벨트(318)에 의하여 제2풀리(317a)가 회전되고, 제2풀리(317a)와 축결합된 샤프트(317)가 회전되면서 스크류결합된 이송블럭(313)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이에 따라 분단바아(312)는 제1힌지(312)를 축으로 틸팅된다. 이에 따라 분단바아(312)는 글라스셀(C)을 흡착한 상태이므로, 대상 글라스셀(C)은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틸팅 분단되고, 이후 분단바아(312)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푸셔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푸셔유니트에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푸셔브라켓과 푸셔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스토퍼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7의 푸셔유니트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글라스기판 푸셔장치(200)는,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와;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과;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와;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와;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한다.
포스트(210)는 가이드레일(220)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도록 지지한다.
수평이송구동부(230)는 이송모터(231)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송되고, 수직이송구동부(240)는 푸셔유니트(250)를 지지하는 승강브라켓(241)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푸셔유니트(25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푸셔유니트(2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푸셔바아(2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와;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를 포함한다. 또한 푸셔유니트(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259)로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변위 센서를 사용한다.
연장브라켓(251)은 승강브라켓(241)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단턱(251b)이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브라켓가이드레일(251c)이 설치된다.
푸셔브라켓(252)은 브라켓가이드레일(25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연장브라켓(25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1스프링(253)은 연장브라켓(251)의 단턱(251b)과 푸셔브라켓(25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서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253)은,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이 하강함에 따라 후술할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에 접촉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푸셔바아(254)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는 진공패드(255)가 장착된다.
진공패드(255)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압을 형성하며, 이를 위하여 진공패드(255)의 밀착면에는 다수의 진공압형성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압형성홀은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는 진공형성장치(미도시)와 진공형성튜브(미도시)로 연결된다.
제2스프링(256)은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그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4개가 설치된다. 즉 제2스프링(256)은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됨으로써,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할 때 진공패드(255)의 바닥면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표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푸셔바아(254)의 틀어짐(기울기) 정도를 보상하고, 이에 따라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접촉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비대칭적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제1스프링(253)의 탄성계수는 제2스프링(256)의 탄성계수보다 크다. 따라서 제2스프링(256)이 푸셔바아(254)를 기준으로 진공패드(255)의 틀어짐을 보정하는 동안에 제1스프링(253)이 압착되지 않게 된다.
스토퍼볼트(257)는 푸셔바아(254)가 푸셔브라켓(252)으로 이동하기 위한 변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스토퍼볼트(25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브라켓(252)을 관통하여 푸셔바아(254)의 상부면에서 이격거리(D), 본 실시예에서 0.5mm 의 이격거리(D)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스토퍼볼트(257)는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총 4개가 설치된다.
상기한 제2스프링(256)과 스토퍼볼트(257)는 상호 유기적인 연결관계에 의하여,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을 가압할 때 푸셔바아(254)의 틀어짐 정도를 보상함과 동시에, 푸셔바아(254)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영점접점(258)은,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에 설치된 제1영점볼트(258a)와,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에 설치되어 제1영점볼트(258a)와 접촉되는 제2영점볼트(258b)를 포함하며,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인한다.
제1영점볼트(258a)와 제2영점볼트(258b)는 평소 접촉되어 있으며, 푸셔브라켓(252)이 연장브라켓(251)과 함께 하강하다가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에 접촉될 때 푸셔브라켓(252)의 하강은 멈추게 되고, 이때 제1,2영점볼트(258a)(258b)는 상호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2영점볼트(258a)(258b)가 분리될 때,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이송구동부(240)는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제어한다. 즉, 제1,2영점볼트(258a)(258b)를 채용함으로써,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연장브라켓(251)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영점볼트(258a)(258b)의 접점부분은 하나는 원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편편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감지센서(259)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여 글라스기판(G)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259)를 채용함으로써, 수평이송구동부(230)에 의하여 이송되는 푸셔유니트(250)의 이송 거리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길이만큼 제한된다.
다음, 본 발명의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컨베이어(100)에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기 위하여, 푸셔유니트(250)는 수평이송구동부(230) 및 수직이송구동부(240)에 의하여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상부측까지 이송된다.
이후, 승강브라켓(241)에 의하여 연장브라켓(251)이 하강하여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게 하고, 이때 진공패드(255)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글라스셀(C)이 진공패드(255)에 견고하게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에 따라 분단취출장치(300)가 글라스셀(C)을 분단하는 동안에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정확한 분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단취출장치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하는 동안, 푸셔바아(254)에 결합된 진공패드(255)가 스크라이빙 라인(L)에 근접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분단과정에서 글라스기판(G)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된 영점접점(258)을 채용함으로써,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수직이송구동부(240)는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연장브라켓(251)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스프링(256)과 스토퍼볼트(257)는 상호 유기적인 연결관계에 의하여,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을 가압할 때 푸셔바아(254)의 틀어짐 정도를 보상함과 동시에, 푸셔바아(254)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단과정에서 스틱형 글라스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컨베이어 300 ... 분단취출장치
310 ... 틸팅분단헤드 311 ... 헤드본체
312 ... 분단바아 312a ... 밀착면
312b ... 흡착홀 313 ... 이송블럭
314 ... 레버부재 315 ... 스프링
316 ... 모터 316a ... 제1풀리
317 ... 샤프트 317a ... 제2풀리
318 ... 벨트 320 ... 이송로봇
200 ... 푸셔장치 210 ... 포스트
220 ... 가이드레일 230 ... 수평이송구동부
240 ... 수직이송구동부 241 ... 승강브라켓
250 ... 푸셔유니트 251 ... 연장브라켓
251a ... 제1서브브라켓 251b ... 단턱
251c ... 브라켓가이드레일 252 ... 푸셔브라켓
253 ... 제1스프링 254 ... 푸셔바아
255 ... 진공패드 256 ... 제2스프링
257 ... 스토퍼볼트 258 ... 영점접점
258a, 258b ... 제1,2열점볼트 259 ... 위치감지센서

Claims (6)

  1.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가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어, 그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
    상기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
    상기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 및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상기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상기 푸셔바아(254)의 하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 상기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서 그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253)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스프링(256)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패드(255)가 상기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6. 삭제
KR1020160087662A 2016-07-11 2016-07-11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KR10169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62A KR101696762B1 (ko) 2016-07-11 2016-07-11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62A KR101696762B1 (ko) 2016-07-11 2016-07-11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762B1 true KR101696762B1 (ko) 2017-01-17

Family

ID=5799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62A KR101696762B1 (ko) 2016-07-11 2016-07-11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815A (ko) * 2002-07-02 2005-03-03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접합기판의 기판절단 시스템 및 기판절단방법
KR20060069881A (ko) * 2003-09-24 2006-06-2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절단 시스템, 기판 제조장치 및 기판 절단방법
KR20070010855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절단 시스템
KR20120085083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브레이킹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815A (ko) * 2002-07-02 2005-03-03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접합기판의 기판절단 시스템 및 기판절단방법
KR20060069881A (ko) * 2003-09-24 2006-06-2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절단 시스템, 기판 제조장치 및 기판 절단방법
KR20070010855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절단 시스템
KR20120085083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브레이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5839B (zh) 划片设备
US7163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cking polarizer to substrate
KR101991267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696765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
KR102067983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80069676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696762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용 글라스기판 푸셔장치
KR101696763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
CN109824261B (zh) 基板切割装置及基板切割方法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80069677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059567B1 (ko) 기판 반송 장치
KR20200065211A (ko) 스크라이빙 장치
CN107265838B (zh) 划片设备
JP2006327819A (ja) ガラス板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KR10211402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067986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176870B1 (ko) 스크라이빙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65538A (ko) 프리얼라이너 장치
KR10235320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20120079982A (ko) 기판 수직 이송장치
CN105293039B (zh) 基板移送装置
KR101742497B1 (ko) 글래스 더미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2267730B1 (ko) 스크라이브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018079A (ko) 스크라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