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559B1 -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59B1
KR101696559B1 KR1020150178323A KR20150178323A KR101696559B1 KR 101696559 B1 KR101696559 B1 KR 101696559B1 KR 1020150178323 A KR1020150178323 A KR 1020150178323A KR 20150178323 A KR20150178323 A KR 20150178323A KR 101696559 B1 KR101696559 B1 KR 10169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plug
cable
ear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윤대로
강혜정
김진실
최정빈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플러그를 고장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스피커플러그가 탄성구속되어 손상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와 상기 이어플러그부의 플러그케이블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어플러그가 고장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이어플러그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려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스피커케이블이 탄성 구속되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Earphones with a speaker-cable separ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부의 플러그케이블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로 구성하여서, 이어플러그를 고장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스피커플러그가 탄성구속되어 손상이 방지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케이블의 스피커플러그 측에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플러그결속링에 결속되는 플러그결합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는 플러그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분배소켓커넥터부에서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된 스피커케이블에 형성하여서,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에 인장력 작용시 플러그탄성결박밴드가 탄성 흡수하여 스피커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어폰은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와 귀에 꽂아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 이어스피커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어폰플러그부는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되는 이어폰플러그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를 이어스피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러그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어스피커부는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어스피커와 상기 이어스피커를 이어폰플러그부와 연결시키는 스피커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스피커케이블 사이에는 전자기기에서 전달된 신호를 양쪽 이어스피커부로 분배할 수 있게 한 케이블분배부를 매개로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어폰이 스마트폰에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소리를 취득할 수 있게 한 마이크가 일측 이어스피커부에 구비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어폰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소켓커넥터에 이어플러그를 결합하고 이어스피커를 귀에 꽂아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은 그 사용과정에 있어 스마트폰의 낙하 또는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려 손상되고 플러그케이블에서 두 개의 스피커케이블로 분배되는 케이블분배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이어폰은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 그 당김력에 의하여 이어스피커가 귀에서 빠져나오면서 귀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9-008518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이 그 사용과정에 있어 스마트폰의 낙하 또는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려 손상되고 플러그케이블에서 두 개의 스피커케이블로 분배되는 케이블분배부가 손상되는 문제점과,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 그 당김력에 의하여 이어스피커가 귀에서 빠져나오면서 귀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부의 플러그케이블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에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케이블의 스피커플러그 측에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플러그결속링에 결속되는 플러그결합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는 플러그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분배소켓커넥터부에서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된 스피커케이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러그케이블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배소켓커넥터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배소켓커넥터에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어플러그가 고장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이어플러그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스피커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려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스피커케이블이 탄성 구속되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케이블의 스피커플러그 측에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플러그결속링에 결속되는 플러그결합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는 플러그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분배소켓커넥터부에서 플러그탄성결박밴드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 된 스피커케이블에 형성함으로써 이어스피커부의 스피커케이블에 인장력 작용시 플러그탄성결박밴드가 탄성 흡수하여 스피커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어폰의 스피커케이블의 고장 또는 이어스피커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편리하게 교체하고 외력에 의한 스피커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10)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부(10)의 플러그케이블(12)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3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2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이어스피커부(20)의 스피커케이블(22)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플러그부는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되는 이어플러그(11)와 상기 이어플러그(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어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어스피커부(20)는 귀에 꽂아 사용자에게 전기신호를 소리로 전화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이어스피커(21)와 상기 이어스피커(21)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전기적으로 결합된 스피커케이블(22) 및 상기 스피커케이블(22)의 이어스피커(21) 반대 측 단부에 결합된 스피커플러그(23)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는 이어폰플러그부(10)의 플러그케이블(12)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분배기몸체와 상기 분배기몸체의 일 측에 이어스피커부(20)의 스피커플러그(23)를 결합할 수 있게 한 분배소켓커넥터(31)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탄성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결합되는 플러그밴드(41a)와 상기 플러그밴드(41a)의 단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케이블(12)을 구속하는 플러그결속링(41b)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케이블(22)의 스피커플러그(23) 측에 가까운 위치에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플러그결속링(41b)에 걸려지는 플러그결합걸림부(24a)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24a)는 플러그케이블(12)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서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플러그밴드(41a)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된 스피커케이블(22)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어스피커부(20)의 이어스피커(21)에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스피커부(20)에서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의 스피커밴드(42a) 보다 긴 길이로 이격 된 위치의 스피커케이블(22)에서 이어스피커(21) 측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의 스피커결속링(41b)에 걸려지는 스피커결합걸림부(24b)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10)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부의 플러그케이블(12)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3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2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이어스피커부(20)의 스피커케이블(22)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이어플러그(11)가 고장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이어플러그(11)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있어 스피커케이블(22)이 장애물에 걸려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스피커케이블(22)이 탄성 구속되어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스피커케이블(22)의 스피커플러그(23) 측에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플러그결속링(41b)에 결속되는 플러그결합걸림부(24a)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24a)는 플러그케이블(12)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서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스피커블러그(23) 측에 가까운 이격된 위치의 스피커케이블(22)에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 스피커케이블(22)이 장애물에 걸려서 스피커케이블(22)이 당겨져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가 탄성 인장된다.
이때, 플러그결합걸림부(24a)와 스피커플러그(23) 사이에서 구부러져 있던 스피커케이블(22)이 펴지면서 당김 충격을 흡수하여 스피커케이블(22) 및 스피커플러그(23)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이어스피커부(20)의 이어스피커(21)에 스피커탄성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스피커부(20)에서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 보다 긴 길이로 스피커케이블(22)의 이어스프커(21) 측에 가까운 이격된 위치의 스피커케이블(22)에 상기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부의 스피커결속링(41b)에 걸려지는 스피커결합걸림부(24b)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 스피커케이블(22)이 장애물에 걸려서 스피커케이블(22)이 당겨져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가 탄성 인장된다.
이때, 스피커결합걸림부(24b)와 이어스피커(21) 사이에서 구부러져 있던 스피커케이블(22)이 펴지면서 당김 충격을 흡수하여 스피커케이블(22) 및 이어스피커(21)의 손상과 사용자의 귀 부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10 : 이어폰플러그부 11 : 이어플러그 12 : 플러그케이블
20 : 이어스피커부
21 : 이어스피커 22 : 스피커케이블 23 : 스피커플러그
24a: 플러그결합걸림부 24b: 스피커결합걸림부
30 : 분배소켓커넥터부 31 : 분배소켓커넥터
41 : 플러그탄성결박밴드 41a: 플러그밴드 41b: 플러그결속링
42 : 스피커탄성결박밴드 42a: 스피커밴드 41b: 스피커결속링

Claims (3)

  1. 이어폰에 있어서;
    전자기기 소켓커넥터에 결합하는 이어폰플러그부(10)와 상기 이어폰플러그부(10)의 플러그케이블(12) 단부에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시키는 분배소켓커넥터부(3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이어스피커부(20), 상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이어스피커부(20)의 스피커케이블(22)을 구속하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로 구성하고,
    상기 스피커케이블(22)에는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플러그결속링(41b)에 걸려지는 플러그결합걸림부(24a)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결합걸림부(24a)는 플러그케이블(12)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신축력을 갖게 스피커케이블(22)에서 스피커플러그(23) 측에 가까우며 분배소켓커넥터부(30)에 구성된 플러그탄성결박밴드(4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격된 위치의 스피커케이블(22)에 형성하며,
    상기 이어스피커부(20)의 이어스피커(21)에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를 구비하고,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의 단부에는 이어스피커(21) 측 스피커케이블(22)을 단속하는 스피커결속링(41b)을 형성하며, 상기 스피커케이블(22)에서 이어스피커(21) 측에 가까우며 스피커탄성결박밴드(42) 보다 긴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 스피커결속링(41b)이 걸려지는 스피커결합걸림부(24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2. 삭제
  3. 삭제
KR1020150178323A 2015-12-14 2015-12-14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KR10169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23A KR101696559B1 (ko) 2015-12-14 2015-12-14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23A KR101696559B1 (ko) 2015-12-14 2015-12-14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559B1 true KR101696559B1 (ko) 2017-01-13

Family

ID=5783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323A KR101696559B1 (ko) 2015-12-14 2015-12-14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87A (ko) 1998-05-14 1999-12-06 홍영표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이어폰 및 그러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구성된 휴대전화기
KR200262891Y1 (ko) * 2001-11-10 2002-03-18 이상기 분리형 이어폰
JP2015185292A (ja) * 2014-03-24 2015-10-2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コネクタ離脱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87A (ko) 1998-05-14 1999-12-06 홍영표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이어폰 및 그러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구성된 휴대전화기
KR200262891Y1 (ko) * 2001-11-10 2002-03-18 이상기 분리형 이어폰
JP2015185292A (ja) * 2014-03-24 2015-10-2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コネクタ離脱防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US9648408B2 (en) Ear hook with wire hook
US9769551B2 (en)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headphone, and headphone formed using such methods
WO2018081599A8 (en) Headset charger node
KR20130092772A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US20170280220A1 (en) Headworn microphone system with an earpiece
US20140087666A1 (en) Bluetooth earphone
US20150350763A1 (en) Earbud headphone set with behind-the-neck magnetic speaker wire clamps
KR101643097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1696559B1 (ko) 이어스피커 분리구조를 갖는 이어폰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KR101693442B1 (ko)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JP7452948B2 (ja) 音響出力装置
EP3113506B1 (en) Earphone with channel for cord management
KR20080049539A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KR20180000472U (ko) 이어폰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지퍼팩으로 구성 된 이어폰 줄
CN203416385U (zh) 一种耳机
US20160073190A1 (en) Headphones with junction receptacle
KR20120002984U (ko) 이어폰 보호캡
CN206226662U (zh) 充电式数字耳机
CN106331932B (zh) 耳机结构
KR101766072B1 (ko) 이어폰 고정용 이어기구
CN105959853B (zh) 一种耳机
KR20080003166U (ko) 이어폰 연결선의 엉킴 방지 기능을 갖춘 스테레오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