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882B1 - 헤드셋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헤드셋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882B1
KR101434882B1 KR1020130075303A KR20130075303A KR101434882B1 KR 101434882 B1 KR101434882 B1 KR 101434882B1 KR 1020130075303 A KR1020130075303 A KR 1020130075303A KR 20130075303 A KR20130075303 A KR 20130075303A KR 101434882 B1 KR101434882 B1 KR 10143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eaker
hole
fema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미
Original Assignee
장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미 filed Critical 장현미
Priority to KR102013007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에 장착된 스피커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헤드셋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와, 착용부재(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가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피커케이스(20)와, 스피커케이스(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노출되고 스피커(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형커넥터(30)와, 암형커넥터(3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도통되는 수형커넥터(40) 및 수형커넥터(40)를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셋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HEADSE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에 장착된 스피커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헤드셋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은 컴퓨터나 음향기기 등을 통해 혼자만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헤드셋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구와, 착용구의 양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서 음향기기에 연결되는 연결잭으로 구성된다. 즉, 연결잭을 음향기기에 연결하면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는 컴퓨터나 어학기기를 연결한 상태로 어학내용을 청취하면서 일측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자신의 육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육성을 확인하면서 어학공부를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하는 경우 자신만 음향을 청취하게 되므로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헤드셋을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서 음향을 듣는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움직이게 되고 이때 순간적으로 케이블이 팽팽하게 되면서 헤드셋의 착용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케이블이 반복적으로 꺾이면서 케이블 내부 여러 가닥의 구리선중 일부 선이 단선되어 해드폰이 한쪽만 들리거나 마이크와 연결이 단선되어 마이크를 통해 녹음할 경우 녹음이 안되는 등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셋과 연결잭을 분리해서 각각 보관하거나 필요시에 서로 결합하고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결여되어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번호 20-01891360000호(2000.05.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에 장착된 스피커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헤드셋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연결구조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와, 착용부재(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가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피커케이스(20)와, 스피커케이스(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노출되고 스피커(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형커넥터(30)와, 암형커넥터(3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도통되고, 후단이 음향기기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커넥터(40) 및 수형커넥터(40)를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피커케이스(20)는 착용부재(10)의 단부에 연장되면서 스피커(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21)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되며, 수용공간(21)에서 외측 하부로 연장되어 암형커넥터(30)와 수형커넥터(40)의 접속을 안내하는 커넥터관(23)이 형성되고, 스피커케이스(20)는 개방구(22)를 폐쇄하여 마감하는 마감부재(25)를 포함하며, 마감부재(25)는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통과되는 음향홀(26)이 형성되는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태의 쿠션(2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피커케이스(20)는 커넥터관(23)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수용공간(21)에 복수의 기판고정부(24)가 형성되고, 암형커넥터(30)는 수형커넥터(40)에 접속되는 암형바디(31)와, 암형바디(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양측에 기판홀(33)이 형성되는 회로기판(32) 및 회로기판(32)을 수용공간(21)에 고정시키도록 기판고정부(24)에 결합되는 픽싱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커넥터관(23)은 수용공간(2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되어 암형커넥터(30)가 수용공간(21)을 통해 일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수형커넥터(40)가 타단으로 삽입되는 커넥터홀(23a)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0)가 관통되도록 외측에서 커넥터홀(23a)의 상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3b)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가 나사결합 되도록 관통홀(23b)의 직하부에 위치되면서 커넥터홀(23a)의 하부에 너트부재(23c)가 형성되고, 수형커넥터(40)는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커넥터관(23)의 관통홀(23b)과 너트부재(23c)에 연통되는 연통홈(43)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는 관통홀(23b)과 연통홈(43)을 관통하면서 너트부재(23c)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고, 커넥터관(23)은 커넥터홀(23a)의 단부에 수형커넥터(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턱(23d)이 형성되고, 수형커넥터(40)는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안내되도록 하부면에 안내홈(42)이 형성되며, 안내홈(42)의 내측에는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의 연결구조는,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에 장착된 스피커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착용부재와 연결잭을 분리해서 각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헤드폰 내부를 분해하지 않고 고장이 발생된 착용부재나 연결잭만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볼트를 이용하여 착용부재와 연결잭의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을 확대해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연결구조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와, 착용부재(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가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피커케이스(20)와, 스피커케이스(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노출되고 스피커(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형커넥터(30)와, 암형커넥터(3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도통되고, 후단이 음향기기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커넥터(40) 및 수형커넥터(40)를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착용부재(10)는 전체적으로 측면이'C'형태인 탄성판 및 탄성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한다. 이러한, 착용부재(10)는 탄성판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면서, 외피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스피커케이스(20)는 착용부재(10)의 단부에 연장되면서 스피커(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21)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되며, 외측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암형커넥터(30)가 수용공간(21)을 통해 일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수형커넥터(40)가 타단으로 삽입되는 커넥터관(23)이 형성되고, 커넥터관(23)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암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기판고정부(24)가 수용공간(21)에 형성된다.
여기서, 커넥터관(23)은 수용공간(21)과 연통되면서 암형커넥터(30)가 일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수형커넥터(40)가 타단으로 삽입되는 커넥터홀(23a)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0)가 관통되도록 외측에서 커넥터홀(23a)의 상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3b)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가 나사결합 되도록 관통홀(23b)의 직하부에 위치되면서 커넥터홀(23a)의 하부에 너트부재(23c)가 형성되고, 커넥터홀(23a)의 단부에 수형커넥터(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턱(23d)이 형성된다.
또한, 스피커케이스(20)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1)를 통해 음향을 청취하면서 마이크(2)를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피커케이스(20)는 개방구(22)를 폐쇄하여 마감하는 마감부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감부재(25)는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통과되는 음향홀(26)이 형성되는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태의 쿠션(27)이 설치된다. 따라서, 착용부재(10)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 쿠션(27)이 사용자의 귀에 부드럽게 접촉되어서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암형커넥터(30)는 수형커넥터(40)의 수형핀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암형홈이 전단에 형성된 암형바디(31)와, 암형바디(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양측에 기판홀(33)이 형성되는 회로기판(32) 및 회로기판(32)을 수용공간(21)에 고정시키는 픽싱부재(34)를 포함한다.
암형바디(31)와 회로기판(32)은 도전체(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32)은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스피커(1)에 전기신호로 제공하거나, 마이크(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스피커(1)나 음향기기에 전기신호로 제공하도록 전자부품들이 탑재된 PCB로 구성될 수 있다.
픽싱부재(34)는 볼트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32)의 기판홀(33)은 수용공간(21)에 형성된 기판고정부(24)에 대응되어서 픽싱부재(34)인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암형바디(31)가 스피커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서 커넥터관(23)의 커넥터홀(23a)에 삽입된다. 이때, 회로기판(32)의 기판홀(33)들이 수용공간(21)의 기판고정부(24)에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픽싱부재(34)인 볼트를 기판홀(33)에 관통시킨 상태로 기판고정부(24)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와 같이, 암형커넥터(30)는 픽싱부재(34)를 통해 커넥터관(23)에 고정되므로 암형바디(31)나 회로기판(32)의 고장발생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수형커넥터(40)는 전단으로 암형바디(31)의 암형홈에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수형핀이 노출되고,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안내되도록 하부면에 안내홈(42)이 형성되며, 안내홈(42)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커넥터관(23)의 관통홀(23b)과 너트부재(23c)에 연통되는 연통홈(43)이 형성되고, 안내홈(42)의 내측에는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5)가 형성된다. 즉, 연통홈(43)은 수형커넥터(40)의 상하부를 관통한다.
또한, 수형커넥터(40)는 후단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음향기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피커잭(46)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피커잭(46)은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음향기기의 음향을 스피커(1)에 제공한다. 더욱이, 수형커넥터(40)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음향기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마이크잭(47)이 형성된다. 이러한, 마이크잭(47)은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마이크(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향기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안내홈(42)이 일치되게 한 상태로 수형바디(41)를 커넥터관(23)의 커넥터홀(23a)에 삽입시키면 안내홈(42)이 끼움턱(23d)에 안내되어 수형바디(41)가 커넥터관(2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끼움턱(23d)에 삽입돌기(45)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커넥터관(23)의 관통홀(23b)에 연통홈(43)의 상부가 연통되고, 커넥터관(23)의 너트부재(23c)에 연통홈(43)의 하부가 연통된다. 이때, 끼움턱(23d)에 삽입돌기(45)가 삽입되면 수형바디(41)가 커넥터관(23)에서 외압이 가해지기 전까지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50)인 볼트를 관통홀(23b)과 연통홈(43)에 관통시키면서 너트부재(23c)에 나사결합 시킨다.
이와 같이, 수형바디(41)를 커넥터관(23)에 삽입시켜서 고정부재(50)로 고정하므로 수형바디(41)에 외압이 가해지더라고 수형바디(41)가 커넥터관(23)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50)를 커넥터관(23)에서 수형바디(41)를 분리하여 수형커넥터(40)를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50)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50)인 볼트는 너트부재(23c)에 나사결합 되므로, 수형바디(41)를 커넥터관(23)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관(23)에 암형바디(31)를 삽입시킨 상태로 회로기판(32)을 스피커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형커넥터(40)를 커넥터관(23)에 삽입시켜서 암형커넥터(30)에 접속시켜서 전기적으로 도통킨다. 이때, 끼움턱(23d)에 삽입돌기(45)가 삽입되어서 수형커넥터(40)가 암형커넥터(30)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계속해서, 수형커넥터(40)가 암형커넥터(30)에 고정됨에 따라 관통홀(23b)과 연통홈(43) 및 너트부재(23c)가 연통되게 되므로, 고정부재(50)인 볼트를 관통홀(23b)과 연통홈(43)에 삽입시키면서 너트부재(23c)에 나사결합 시킨다. 즉, 암형커넥터(30)에 수형커넥터(40)의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셋을 머리에 착용하여 음악이나 어학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다른 작업을 위해 움직여서 케이블이 팽팽하게 되는 경우, 암형커넥터(30)에서 수형커넥터(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위가 꺾이게 되어 케이블 내부 단선으로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케이블이 연결된 수형커넥터(40)만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형커넥터(40)가 외압에 의해 당겨지게 되더라도 암형커넥터(30)에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헐거워지거나 단선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기기를 통해 음악이나 어학을 들을 수 있는 헤드셋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피커 2 : 마이크
10 : 착용부재 20 : 스피커케이스
21 : 수용공간 22 : 개방구
23 : 커넥터관 23a : 커넥터홀
23b : 관통홀 23c : 너트부재
23d : 끼움턱 24 : 기판고정부
25 : 마감부재 26 : 음향홀
27 : 쿠션 30 : 암형커넥터
31 : 암형바디 32 : 회로기판
33 : 기판홀 34 : 픽싱부재
35 : 도전체 40 : 수형커넥터
41 : 수형바디 42 : 안내홈
43 : 연통홈 45 : 삽입돌기
46 : 스피커잭 47 : 마이크잭
50 : 고정부재

Claims (4)

  1.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와, 착용부재(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가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피커케이스(20)와, 스피커케이스(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노출되고 스피커(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형커넥터(30)와, 암형커넥터(3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도통되고, 후단이 음향기기에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커넥터(40) 및 수형커넥터(40)를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고,
    스피커케이스(20)는 착용부재(10)의 단부에 연장되면서 스피커(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21)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되며, 수용공간(21)에서 외측 하부로 연장되어 암형커넥터(30)와 수형커넥터(40)의 접속을 안내하는 커넥터관(23)이 형성되고,
    스피커케이스(20)는 개방구(22)를 폐쇄하여 마감하는 마감부재(25)를 포함하며, 마감부재(25)는 수용공간(21)에 수용된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통과되는 음향홀(26)이 형성되는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태의 쿠션(27)이 설치되며,
    커넥터관(23)은 수용공간(2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되어 암형커넥터(30)가 수용공간(21)을 통해 일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암형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수형커넥터(40)가 타단으로 삽입되는 커넥터홀(23a)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0)가 관통되도록 외측에서 커넥터홀(23a)의 상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3b)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가 나사결합 되도록 관통홀(23b)의 직하부에 위치되면서 커넥터홀(23a)의 하부에 너트부재(23c)가 형성되고,
    수형커넥터(40)는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커넥터관(23)의 관통홀(23b)과 너트부재(23c)에 연통되는 연통홈(43)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는 관통홀(23b)과 연통홈(43)을 관통하면서 너트부재(23c)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고,
    커넥터관(23)은 커넥터홀(23a)의 단부에 수형커넥터(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턱(23d)이 형성되고,
    수형커넥터(40)는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안내되도록 하부면에 안내홈(42)이 형성되며,
    안내홈(42)의 내측에는 커넥터관(23)의 끼움턱(23d)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연결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피커케이스(20)는 커넥터관(23)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수용공간(21)에 복수의 기판고정부(24)가 형성되고,
    암형커넥터(30)는
    수형커넥터(40)에 접속되는 암형바디(31)와,
    암형바디(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양측에 기판홀(33)이 형성되는 회로기판(32) 및
    회로기판(32)을 수용공간(21)에 고정시키도록 기판고정부(24)에 결합되는 픽싱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의 연결구조.
  4. 삭제
KR1020130075303A 2013-06-28 2013-06-28 헤드셋의 연결구조 KR10143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303A KR101434882B1 (ko) 2013-06-28 2013-06-28 헤드셋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303A KR101434882B1 (ko) 2013-06-28 2013-06-28 헤드셋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882B1 true KR101434882B1 (ko) 2014-09-02

Family

ID=5175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303A KR101434882B1 (ko) 2013-06-28 2013-06-28 헤드셋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061A (ja) * 2004-10-28 2006-05-18 Akihiko Ohashi 録音再生機能付きヘッドフォン
JP3877598B2 (ja) 2002-01-22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ン型オーディオプレーヤ
JP2010157974A (ja) 2009-01-05 2010-07-15 Audio Technica Corp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KR20110115720A (ko) * 2010-04-16 2011-10-24 이능규 골전도를 이용한 방수 헤드셋 플레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598B2 (ja) 2002-01-22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ン型オーディオプレーヤ
JP2006129061A (ja) * 2004-10-28 2006-05-18 Akihiko Ohashi 録音再生機能付きヘッドフォン
JP2010157974A (ja) 2009-01-05 2010-07-15 Audio Technica Corp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KR20110115720A (ko) * 2010-04-16 2011-10-24 이능규 골전도를 이용한 방수 헤드셋 플레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577B2 (en) Speaker device
US9635448B2 (en) T-shaped joint in a headphone cord
EP3125573A1 (en) Bone conduction headphone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US20140126755A1 (en) Multimodal headset
US11190885B2 (en) Modular hearing aid
JP6668766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US20150350763A1 (en) Earbud headphone set with behind-the-neck magnetic speaker wire clamps
US20160205457A1 (en) Earbud accessory
US11438684B2 (en) Earphone device, headphone device and audio playing device
KR20130092772A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434882B1 (ko) 헤드셋의 연결구조
CN106257932A (zh) 兼容双声道录音和非头戴耳麦消噪的无源音频头戴耳麦
CN103607675A (zh) 具备外放功能的头戴式耳机
JPWO2014041604A1 (ja) イヤホン装置
EP3509319A1 (en) Sound output device
TWM465647U (zh) 電吉他之音色處理轉接座
KR20100040211A (ko) 이어폰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KR101386124B1 (ko) 헤드폰 장치
US20160308305A1 (en) Connector for microphone and microphone
KR20120011695A (ko) 측면 음향 출력기능을 갖는 이어폰
KR20120087489A (ko) 이어폰 고정장치
US20160073190A1 (en) Headphones with junction receptacle
US20160227309A1 (en) Tangle-free ear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