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434B1 -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434B1
KR101696434B1 KR1020150137646A KR20150137646A KR101696434B1 KR 101696434 B1 KR101696434 B1 KR 101696434B1 KR 1020150137646 A KR1020150137646 A KR 1020150137646A KR 20150137646 A KR20150137646 A KR 20150137646A KR 101696434 B1 KR101696434 B1 KR 10169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ource device
sink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RELAY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리 또는 영상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 사이에 공유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상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넘치게 되었고, 특히 통신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대용량의 컨텐츠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인터넷의 발전뿐만 아니라 USB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외장 하드 등 저장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은 대용량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컨텐츠 공유시에는 메일, SNS (Social Network Service), USB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이 다소 복잡한 과정과 도구를 사용해야 하고, 대용량 자료의 경우에는 공유하는데 여전히 적지 않은 시간이 소비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사이에 컨텐츠를 직접 공유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이 갖는 전송속도의 한계 및 디바이스 동기화 과정으로 인한 불편함 때문에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제한이 더 클 수 있다.
그렇기에, 사용자들간의 정보 공유를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컨텐츠를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데스크탑 중심의 작업 환경에서 모바일 장치로, 더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방향으로 디바이스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 환경에 적응하여, 컨텐츠의 포맷에 상관없이 맞춤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920호(발명의 명칭: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공개일자: 2012. 03. 06)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간의 컨텐츠 공유시에 소스 디바이스가 전달해야 하는 정보량을 대폭 줄이면서도 컨텐츠 공유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디바이스 상호간 디스플레이 방식, 디스플레이 사이즈, 제조사, 플랫폼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서비스 환경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공유를 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가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중계하는 방법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 블루투스 및 Zigbee, 그 외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근접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정보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의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은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재생 시간 정보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의 중계를 통해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싱크 디바이스의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재생 정보에 더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하루 중 재생 가능한 시간 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재생할 수 있거나 재생할 수 없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는 신체, 의복 및 장갑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장치, 정보 디바이스, 정보 스틱, 정보 칩, 정보 밴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임베디드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신체 또는 물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수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 내 또는 어떤 장치에서도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점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 블루투스 및 Zigbee, 그 외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근접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정보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설정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설정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 정보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달받은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을 가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스트리밍 또는 파일 전송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중계 장치를 통해 컨텐츠 식별자만을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이므로, 소스 디바이스가 전달해야 하는 정보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및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컨텐츠 중계 장치가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컨텐츠 중계 장치가,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11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10)와 컨텐츠를 제공받는 싱크 디바이스(20) 사이에서 컨텐츠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메신저(messenger)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신체, 의복 및 장갑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장치일 수도 있고, 정보 디바이스, 정보 스틱, 정보 칩, 정보 밴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임베디드 디바이스, 사람의 신체(손가락, 손바닥, 손등 등) 또는 물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반지, 손목 밴드 또는 장갑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디바이스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stand-alone 디바이스, 벽걸이형 디바이스 (hang-on device), 벽부착형 디바이스(wall-mount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폰(휴대폰 포함), 태블릿, 벽걸이형 또는 벽부착형 정보기기, 게임기, 가전장치, 자동차 전장장치 등 센싱 기능, 생성 기능, 처리 기능, 저장 기능, 표시 기능,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스틱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펜 타입 또는 포켓용 디바이스로서, 스틱 PC와 포켓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칩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칩 타입, 바코드 타입 또는 부착형 칩 타입 디바이스로서,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칩,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 바이오 칩, 바코드, 부착형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밴드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밴드 타입 디바이스로서, 손목 밴드, 손가락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착형 또는 착용형 디바이스로서 신체 부착형 또는 신체 착용형, 장갑 등 의복 부착형, 의복 휴대형, 이동체 부착형, 이동체 착용형, 사물 부착형, 동물체 착용형, 동물체 부착형, 식물체 부착형, 식물체 착용형을 포함한다.
또한, 임베디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내장형 디바이스로서, 시스템 내장형, 기기 내장형, 장치 내장형, 구조물 내장형, 지형지물 내장형, 사물 내장형, 환경 내장형, 분산 내장형을 포함한다.
또한,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삽입형 디바이스로서, 인체 삽입형, 동물체 삽입형, 식물체 삽입형, 사물체 삽입형을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TV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이 음성/영상 컨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컨텐츠를 생성, 처리, 재생(표시 포함) 또는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뿐만 아니라 단순히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만 할 수 있는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10)와 싱크 디바이스(20)는 동일한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상호간 통신이 불가능한 서로 이격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동작과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는 동작 사이에는 시간적 간격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중계 장치(100)의 사용자가 학교의 컴퓨터(소스 디바이스)에서 들은 음악을 집의 컴퓨터(싱크 디바이스)에서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서로 이격되어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구조에서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활용될 수 있는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 또는 컨텐츠 각각을 표시하고 각각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식별자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로서,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폰(휴대폰 포함), 태블릿, 벽걸이형 또는 벽부착형 정보기기, 게임기, 가전장치, 자동차 전장장치 등 정보 생성 기능, 정보 처리 기능,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정보 디바이스, 임베디드 디바이스, 임플란트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게임, 기능 실행자, 장치 실행자, 장치 구동자, 프로그램, 문서, 정보 객체, 미디어 콘텐츠, Web 콘텐츠, 의료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 사물 콘텐츠, 지리 정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음악, 정보 데이터, 정보 아이템, 정보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솔루션, 데이터베이스, 포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식별자는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로서 컨텐츠를 구분 또는 식별하거나, 접속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름, 식별자, 주소, 접속 방법, 접속 프로토콜 등을 포함한다.
특히, 컨텐츠 접속 주소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방식 및 URN(Uniform Resource Name) 방식을 포함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방식을 사용하거나, IRI(Internationalized Resource Identifier) 방식의 프로토콜, CRID(Content Reference Identifier)등 다양한 컨텐츠 식별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컨텐츠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스 디바이스(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사용자 터치 입력,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컨텐츠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입력 디바이스는 컨텐츠 선택 입력을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고, 상기 정보 디바이스, 정보 스틱, 정보 칩, 정보 밴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임베디드 디바이스 및 임플란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 입력은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신체의 일부를 사용한 터치, 신체의 일부를 사용한 플로팅 터치, 및 신체의 일부를 사용한 3차원(3D) 터치(홀로그램 등 3차원 컨텐츠에 대한 직접 터치),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터치,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플로팅 터치, 및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3차원(3D) 터치(홀로그램 등 3차원 컨텐츠에 대한 직접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 터치 입력은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사용자 터치 도구’를 이용한 터치 입력도 가능한데, 여기서 ‘사용자 터치 도구’는 사용자의 신체를 대신해서 터치할 수 있는 도구를 의미한다. ‘사용자 터치 도구’는 터치 펜, 햅틱스와 같이 터치로 인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도구는 어떠한 것이든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은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 자체가 터치(플로팅 터치, 3차원 터치 포함)로 인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터치 도구인 경우에 가능하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 블루투스 및 Zigbee, 그 외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근접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정보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은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소스 디바이스(10)의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이 가져가거나,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소스 디바이스(10)에 터치함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은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상에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가 표시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조작을 통하여 그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상에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터치하거나,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하나에 터치함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입력 장치를 사용한 조작을 통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지시하는 지시자로서,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는 아이콘, 버턴, 바, 위젯, 배너, 콘텐츠 개체, 폴더 (단계적 배열, 트리 구조 포함), 윈도우(window), 홀로그램, 이외 콘텐츠 또는 콘텐츠 식별자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마크 중 한 가지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전송 요청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0)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식별자의 리스트를 수신한다.
두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획득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한다.
그리고,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가 출력되면 그 출력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선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때,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가 출력되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하거나,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화면상의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중 하나에 터치함으로써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12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를 직접 획득하지 않고,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 식별자를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직접 획득하거나, 외부 서버 등 제3 디바이스(30)를 통하여 획득하거나, 제3 디바이스(30)와 연결된 제4 디바이스(4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컨텐츠 식별자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컨텐츠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획득하거나,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30)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서버 대신 클라우드 또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중계를 통해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제3 디바이스(30)는 외부 서버, 클라우드 및 게이트웨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는데, 물리적인 수단 (자기, 광학, 광자기, 반도체, 홀로그램, 탐침, 근접장 등), 생물학적 수단 (뇌, DNA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할 때,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물리적 이동 또는 회전을 할 수가 있는데,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함에 있어서,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거나, 외부적인 동력에 의하여 이동 또는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되어 있는 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두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한다.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13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한다.
싱크 디바이스(20)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받고, 컨텐츠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컨텐츠를 재생(표시), 저장, 처리,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폰(휴대폰 포함), 태블릿, 벽걸이형 또는 벽부착형 정보기기, 게임기, 가전장치, 자동차 전장장치 등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처리 기능, 정보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정보 디바이스, 임베디드 디바이스, 임플란트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받은 싱크 디바이스(20)는 그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 등에 접속함으로써,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표시), 저장, 처리,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클라우드 또는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은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재생 시간 정보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더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이유는, 소스 디바이스(10)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20)에서 이어서 재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에 컨텐츠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음악 컨텐츠를 선물하고자 하는 경우, ‘A’는 소스 디바이스(10)에서 해당 음악 컨텐츠를 유료 결제한 후, ‘A’가 보유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접근을 위한 인증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A’는 자신의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 저장된 해당 음악에 대한 컨텐츠 식별자 및 인증 정보를‘B’의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함으로써, ‘A’는 ‘B’에게 음악 선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 싱크 디바이스(20)의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재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20)에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 시에, 재생 정보에 더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정보는 싱크 디바이스의 하루 중 재생 가능한 시간 대에 관한 정보 및 싱크 디바이스가 재생할 수 있거나 재생할 수 없는 컨텐츠 식별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가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특정 시간대에는 컨텐츠의 재생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컴퓨터의 식별 정보 및 재생 제한 시간에 대한 재생 정보를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 제한 시간 동안은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통해 자녀의 컴퓨터에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소스 디바이스(10)와 싱크 디바이스(20) 각각이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이 상이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20)에서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에 따른 컨텐츠가 그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싱크 디바이스(20)에게 대응되는 컨텐츠 포맷을 가진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 예는,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20)가 그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 식별자와 함께 자신이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그 컨텐츠 서버로부터 자신이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을 가진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다. 이때, 싱크 디바이스(20)는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 식별자와 자신이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 컨텐츠 식별자와 싱크 디바이스(20)의 유형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컨텐츠 서버가 그 유형이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 포맷을 가진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 예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포맷 별로 복수개의 컨텐츠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가, 싱크 디바이스(2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20)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컨텐츠 포맷에 대응되는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때,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20)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싱크 디바이스(20)의 유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10)의 네트워크 주소(IP address), 맥 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가 해당될 수 있고, 이메일 주소, 아이디 등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10)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10)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소스 디바이스(10)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물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위치, 변위 또는 치수를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변형이나 신축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압력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토크를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중량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회전 수 또는 속도를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진동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물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자기장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빛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전자파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 광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의 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정보 획득 방법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는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의 방법은 전자파 통신, 광통신, 초음파 통신, 오감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통신, 뇌파 통신, 자기장 통신, 분자 통신, 양자 통신, 생체 통신 방식 및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바코드 기술, 바이오 센싱 기술, floating touch screen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소스 디바이스(10)에게 전송한다.
두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22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10)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은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동작, 디바이스 인증을 설정하는 동작 및 보안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은 무선통신을 예정하고 있지만, 유선통신도 가능하다.
단계 23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도 3은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31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싱크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싱크 디바이스(20)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싱크 디바이스(20)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는 싱크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주소(IP address), 맥 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가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아이디 등과 같은 싱크 디바이스(20)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해당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송한다.
두 번째 단계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싱크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32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2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싱크 디바이스(20)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은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동작, 디바이스 인증을 설정하는 동작 및 보안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에게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게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의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42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를 획득한다.
단계 43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 대신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로부터 그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소스 디바이스(1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소스 디바이스(10)를 터치한다.
예컨대,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반지일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반지를 낀 채로 소스 디바이스(10)와 소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거나, 그 반지를 소스 디바이스(10)에 터치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소스 디바이스(10)에게 전송한다.
즉,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소스 디바이스(10)를 터치하게 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라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소스 디바이스(10)에게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 53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정보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소스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다.
단계 54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즉,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소스 정보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받을 소스 디바이스(10)가 특정되면, 그 특정된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그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게 된다.
예컨대,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반지일 경우에 사용자가 그 반지를 낀 채로 드라마가 재생되고 있는 소스 디바이스(10)와 소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거나, 그 반지를 소스 디바이스(10)에 터치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고 있는 드라마에 대한 컨텐츠 식별자가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의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싱크 디바이스를 터치한다.
단계 56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송한다.
즉,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싱크 디바이스(20)를 터치하게 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라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 57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정보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싱크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싱크 디바이스(20)로부터 획득한다.
단계 580에서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한다.
도 5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소스 디바이스(10)에 근접시키거나 터치시킨 후에, 다음으로 컨텐츠 중계 장치(100)를 싱크 디바이스(20)에 근접시키거나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소스 디바이스(10)의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중계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선택부(110), 획득부(120) 및 전달부(130)를 포함한다.
선택부(110)는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부(110)는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 되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택부(110)는 소스 디바이스(10)에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고, 전달받은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획득부(120)는 소스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식별자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3 디바이스(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전달부(13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 또는 싱크 디바이스(2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획득부(120)는 소스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에, 통신 설정부가 소스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면, 획득부(120)는 그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부(120)가 싱크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통신 설정부가 싱크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2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전달부(130)는 그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는 소스 디바이스(10), 싱크 디바이스(20) 및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서 구성되는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10)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반하여 싱크 디바이스(20)는 n개의 복수의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하여,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적어도 하나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싱크 디바이스(20)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거나, 동일한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20)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 받아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저장, 재생, 처리,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b는 소스 디바이스(10)와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동일한 장치인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의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없어도 소스 디바이스(10)의 조작만으로도 컨텐츠 식별자를 다른 싱크 디바이스(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재생하던 동영상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한다면, 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장착된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거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식별자를 타인의 스마트폰과 공유하고, 재생하던 동영상을 타인의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c는 싱크 디바이스(20)중 하나와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동일한 장치인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c의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없이 싱크 디바이스(20)의 조작만으로도 컨텐츠 식별자를 다른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서 마음에 드는 음악을 듣고 이 음악을 구매하여 자신의 싱크 디바이스(20)인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조작한 후, TV에 근접시키거나 접촉시켜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 받은 다음, 음악 사이트에 접속하여 음악 파일을 구매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7d는 소스 디바이스(10), 싱크 디바이스(20), 컨텐츠 중계 장치(100)외에 제3 디바이스(30)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3 디바이스(30)는 외부 서버, 클라우드 및 게이트웨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7e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d를 참조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가 소스 디바이스(10)에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 요청을 전송하면, 소스 디바이스(10)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게 직접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하거나, 소스 디바이스(10)와는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3 디바이스(30)에게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여, 제3 디바이스(30)가 컨텐츠 중계 장치(100)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일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식별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전송될 수 있다.
도 7e는 소스 디바이스(10), 싱크 디바이스(20), 컨텐츠 중계 장치(100)외에 제3 디바이스(30)와 연결되는 또 다른 제4 디바이스(40)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 식별자를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하거나, 제3 디바이스(30)로부터 획득하거나, 제3 디바이스(30)와는 또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4 디바이스(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디바이스가 컨텐츠 식별자를 갖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에는, 컨텐츠 중계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 제3 디바이스(30) 및 제4 디바이스(40) 모두에게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 요청을 전송하여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컨텐츠 중계 장치가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수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의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식별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자 전송 요청은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재생 시간 정보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더 전송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접촉식 방법 또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촉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비접촉식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의 중계를 통해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는
    신체, 의복 및 장갑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장치, 정보 디바이스, 정보 스틱, 정보 칩, 정보 밴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임베디드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신체 또는 물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디바이스인 컨텐츠 중계 방법.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16. 소스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거나,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간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 터치 도구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상기 컨텐츠 중계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중계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설정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상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설정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스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 응답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싱크 정보 전송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정보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식별자를 전달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 정보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달받은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컨텐츠 포맷을 가진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중계 장치.
KR1020150137646A 2015-09-30 2015-09-30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169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46A KR101696434B1 (ko) 2015-09-30 2015-09-30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46A KR101696434B1 (ko) 2015-09-30 2015-09-30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434B1 true KR101696434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46A KR101696434B1 (ko) 2015-09-30 2015-09-30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4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11B1 (ko) * 2012-03-14 2014-08-13 (주)정직한기술 가상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중계장치
KR101527512B1 (ko) * 2007-10-29 2015-06-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종의 매체 간 컨텐츠 연동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12B1 (ko) * 2007-10-29 2015-06-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종의 매체 간 컨텐츠 연동 재생 방법
KR101418811B1 (ko) * 2012-03-14 2014-08-13 (주)정직한기술 가상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중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987B1 (ko) 조작 권한 부여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9611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CN105100188B (zh) 网络系统、服务器以及信息处理方法
US90106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using image code
KR20150138735A (ko) 전자 장치의 비콘 부가 서비스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0964325B1 (ko) 온톨로지를 이용한 공간의 상황정보 공유시스템
CN105550933A (zh) 操作内容接收者推荐服务的电子设备及方法
KR101816930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EP32379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ead wearable devices
CN109156041A (zh) 分享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CN106211159A (zh) 基于蓝牙的身份识别方法及装置
JP583746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提供方法、設定情報取得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202624A (zh) 传输图片的方法及装置
CN104508699A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1242811A (zh) 提供活动通知的方法及其设备
CN104166814A (zh) Wifi网络密码的提示方法、装置及设备
JP2019020849A (ja) サーバ装置、電子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5109390B2 (ja) 使用権限生成装置、コンテンツ使用制限システム、コンテンツ使用権限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53326A (zh) 云名片分享方法及装置
KR20180005625A (ko) 가상 피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96434B1 (ko)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장치
KR20120090233A (ko)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
CN114422265B (zh) 数据访问方法及服务器
JP2014157576A (ja) 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CN105577521A (zh) 好友分组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