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973B1 -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973B1
KR101695973B1 KR1020160132908A KR20160132908A KR101695973B1 KR 101695973 B1 KR101695973 B1 KR 101695973B1 KR 1020160132908 A KR1020160132908 A KR 1020160132908A KR 20160132908 A KR20160132908 A KR 20160132908A KR 101695973 B1 KR101695973 B1 KR 10169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pper plate
hole
fixing ho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명수
이문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환경조사평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환경조사평가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환경조사평가원
Priority to KR102016013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시료 채취 시 현장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시료 검사차량에 적재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게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는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하는 자재 및 물건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홈이 형성되며, 토양시료 검사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에 고정 가능한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은, 상부면에 토양시료 채취 관련 장비 및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착홈(110)과 길이측정용 눈금자(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 지지다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회동결합수단(140)에 의해 절첩되게 설치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 하면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부(2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 고정되는 손잡이고정홀(320)로 구성된 손잡이부(300); 상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변에 상단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수직부(410)와, 그 수직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일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지되 그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호 겹치지 않게 설치되는 'ㄴ'자형의 멀티고정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고정홀(320)은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손잡이고정홀(321)과, 상기 손잡이(310)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322a)과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을 축으로 상기 끼움홀(322a)에 끼워진 손잡이(310)의 타단이 일정 각도 회전 후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322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결속홀(322b)로 구성된 제2손잡이고정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에는 그 손잡이(310)의 일측이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에 일정깊이 이상 끼워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편(31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에는 스프링고정구(312)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홀(322a)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속홀(322b)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313)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고정구(321)와 상판부(100) 사이에는 손잡이(31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314)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4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판부(100) 길이방향 일측 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411a)가 형성된 길이조절부재(411)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2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412a)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톱니(411a)가 걸리도록 판스프링(412b)이 설치된 수직부몸체(412)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A table for soil sample logging construction field}
본 발명은 토양시료 채취 시 현장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시료 검사차량에 적재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게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는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하는 자재 및 물건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홈이 형성되며, 토양시료 검사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에 고정 가능한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암석의 풍화물인 작은 입자의 광물질을 주재료로 하여 지각의 지표면에 쌓이고 여기에 동·식물에서 유래된 유기물이 섞여지고, 공기와 수분을 알맞게 함유하여 식물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양분을 저장하거나 공급해주는 자연체인 토양은 식량생산기능, 지하수 함양기능, 홍수 조절기능, 정화기능 및 생태계, 경관유지기능 등을 지니고 있다.
토양은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토양이 오염되면 지하수가 오염되고, 오염된 지하수가 강에 유입될 경우에는 수질오염을 초래하며, 오염물질이 휘발성을 갖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의 문제도 유발할 수 있고, 아울러 이과 같은 오염된 토양은 자연 정화되는데 있어서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토양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정 깊이의 토양의 시료의 채취가 빈번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토양시료 채취 현장에서는 시료 채취 기록부를 작성하고 다양한 장비 및 도구를 놓기 위한 테이블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토양시료 채취를 위한 전용 테이블이 없어, 차량에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캠핑용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캠핑용 테이블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6-0002687호(2016.08.02, 접이식 리프트 미니테이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복수개의 상판(1a)(1b)을 수평면 상으로 배치한 상판부(1)와; 상기 상판부(1) 각각의 상판(1a)(1b)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판 힌지부(2)와; 상기 상판 힌지부(2)와 함께 일측 상판(1a)과 타측 상판(1b) 각각의 측면에 고정돌기(3a)와 고정고리(3b)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3a)에 고리(3b)를 걸어 상판부(1)를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괘해정부(3)와; 상기 상판부(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4a)(4b)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4a)(4b)의 높낮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부(5); 상기 상판부(1)의 상판(1a)(1b)과 다리부(4a)(4b)의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캠핑용 테이블은 상판의 전체면이 평평하여 기록부를 작성하기에는 용이하나, 토양시료 채취 현장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필기도구, 비커(Beaker), 시험관, 시약병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 및 도구를 놓거나, 시료 채취된 라이너(Liner)를 상판에 두고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특히, 시험관과 같은 하부가 평탄하지 않은 도구는 테이블 상에서 넘어져 깨지거나, 부피가 작은 필기도구 등은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는 토양시료 채취 전용차량을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캠핑용 테이블을 그 차량과 근접 위치시키고 사용하게 되는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과 테이블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테이블이 넘어지는 등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실용신한문헌 1)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2016-0002687호(2016.08.02, 접이식 리프트 미니테이블)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상판에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토양시료 채취 전용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에 연결 및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은, 상부면에 토양시료 채취 관련 장비 및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착홈(110)과 길이측정용 눈금자(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 지지다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회동결합수단(140)에 의해 절첩되게 설치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 하면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부(2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 고정되는 손잡이고정홀(320)로 구성된 손잡이부(300); 상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변에 상단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수직부(410)와, 그 수직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일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지되 그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호 겹치지 않게 설치되는 'ㄴ'자형의 멀티고정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고정홀(320)은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손잡이고정홀(321)과, 상기 손잡이(310)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322a)과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을 축으로 상기 끼움홀(322a)에 끼워진 손잡이(310)의 타단이 일정 각도 회전 후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322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결속홀(322b)로 구성된 제2손잡이고정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에는 그 손잡이(310)의 일측이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에 일정깊이 이상 끼워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편(31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에는 스프링고정구(312)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홀(322a)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속홀(322b)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313)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고정구(321)와 상판부(100) 사이에는 손잡이(31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314)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4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판부(100) 길이방향 일측 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411a)가 형성된 길이조절부재(411)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2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412a)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톱니(411a)가 걸리도록 판스프링(412b)이 설치된 수직부몸체(412)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에 따르면, 상판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다양한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눈금자를 사용하여 채취된 라이너(Liner)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에 현장에서 사용되는 봉투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멀티고정부에 의해 절첩된 테이블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게 고정하고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에 테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의 접철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의 평면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가 상판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고정부를 사용하여 접철된 상판부가 고정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이 멀티고정부를 사용하여 차량에 고정된 개략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멀티고정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멀티고정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의 사용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양시료채취현장용 테이블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은 상판부(100), 지지다리부(200), 손잡이부(300), 멀티고정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는 코어샘플러, 카메라, 필기도구, 비커(Beaker), 시험관, 시약병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 및 도구를 사용하며 본 발명의 상판부(100)에는 상기와 같은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를 놓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부(100)는 상부면에 토양시료 채취 관련 장비 및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착홈(110)과 길이측정용 눈금자(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 지지다리부(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회동결합수단(140)에 의해 절첩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수단(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00)가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면이 상호 마주보게 절첩되며 펼쳤을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면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동결합수단(140)과 더불어 상기 회동결합수단(140)의 일측에는 펼친 상태의 상판부(100)가 사용자의 의도가 아닌 다른 힘에 의해 접철되지 않도록 락킹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공간(130)은 상판부(100)의 하부 전체면이 개방되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수용공간(13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부(200)를 수용하고, 아울러 하방으로 돌출되는 안착홈(110)을 수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1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비커(Beaker), 시험관(T), 시약병(R) 등의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도구안착홈(111)과, 시료 채취된 라이너(Lin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라이너안착홈(11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구안착홈(1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상기 라이너안착홈(112)은 상판부(100)의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고 중앙부는 일정면적의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기록지 작성 등과 같은 기록작업을 함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다리부(200)는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 하면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형상과 구성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철되는 방식과 길이조절 방식은 이와 관련한 공지의 기술 중 제작에 용이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는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고, 상판부(100)를 펼친 상태에는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쓰레기봉투와 같은 봉투를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 고정되는 손잡이고정홀(32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고정홀(320)은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이 끼워 결합되게 형성된 제1손잡이고정홀(321)과, 상기 손잡이(310)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322a)과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을 축으로 상기 끼움홀(322a)에 끼워진 손잡이(310)의 타단이 일정 각도 회전 후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322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결속홀(322b)로 구성된 제2손잡이고정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에는 그 손잡이(310)의 일측이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에 일정깊이 이상 끼워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편(31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에는 스프링고정구(312)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홀(322a)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속홀(322b)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313)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고정구(321)와 상판부(100) 사이에는 손잡이(31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314)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는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이 상기 결속홀(322b)에 결속된 상태로 이동을 위한 손잡이의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상판부(100)을 펼친 상태에서 토양시료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봉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에 끼워진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을 축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후, 그 손잡이(310)를 상판부(100)의 외측으로 당겨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을 상기 끼움홀(322a)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봉투(B)를 걸고, 상기 스프링(31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을 상기 끼움홀(322a)로 끼운 다음 상기 손잡이(310)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이 상기 결속홀(322b)에 끼워지게 되면 그 손잡이(310)에 걸린 봉투(B)는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멀티고정부(400)는 상기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접철된 상판부를 고정하며, 상기 상판부(100)를 펼친 상태에는 토양시료 채취에 사용되는 차량(1)의 도어가 개방된 입구의 턱(10)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변에 상단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수직부(410)와, 그 수직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일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지되 그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호 겹치지 않게 설치되는 'ㄴ'자형의 멀티고정부(400);로 이루어져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는 상기 수평부(420)의 내면이 상판부(100)의 상부면에 지지되며 고정하게 되고, 상판부(100)를 펼친 상태에는 멀티고정부(400)를 약 90˚ 회전하여 상기 수평부(420)의 내면이 상기 차량(1)의 턱(10)에 지지되며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과 차량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4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수직부(4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부(4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411a)가 형성된 길이조절부재(411)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2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412a)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톱니(411a)가 걸리도록 판스프링(412b)이 설치된 수직부몸체(412)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411)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키게되면 상기 톱니(411a)와 판스프링(412b)이 물림과 풀림을 반복하며 상황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412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몸체(412)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판스프링(412b)이 설치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그 판스프링(412b)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판스프링(412b)을 설치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양시료 채취 현장용 테이블에 따르면, 상판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다양한 토양시료 채취 현장용 도구를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고, 눈금자를 사용하여 채취된 라이너(L)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에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봉투(B)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멀티고정부에 의해 절첩된 테이블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게 고정하고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측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상판부 110 : 안착홈
120 : 눈금자 130 : 수용공간
140 : 회동결합수단 200 : 지지다리부
300 : 손잡이부 310 : 손잡이
311 : 제1지지편 312 : 스프링고정구
313 : 제2지지편 314 : 스프링
320 : 손잡이고정홀 321 : 제1손잡이고정홀
322 : 제2손잡이고정홀 322a : 끼움홀
322b : 결속 홀 400 : 멀티고정부
410 : 수직부 420 : 수직부

Claims (2)

  1. 상부면에 토양시료 채취 관련 장비 및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착홈(110)과 길이측정용 눈금자(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 지지다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회동결합수단(140)에 의해 절첩되게 설치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 하면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부(200);
    상기 상판부(10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3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 고정되는 손잡이고정홀(320)로 구성된 손잡이부(300);
    상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변에 상단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수직부(410)와, 그 수직부(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일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지되 그 상판부(100)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호 겹치지 않게 설치되는 'ㄴ'자형의 멀티고정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고정홀(320)은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손잡이고정홀(321)과, 상기 손잡이(310)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322a)과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을 축으로 상기 끼움홀(322a)에 끼워진 손잡이(310)의 타단이 일정 각도 회전 후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322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결속홀(322b)로 구성된 제2손잡이고정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에는 그 손잡이(310)의 일측이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에 일정깊이 이상 끼워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고정홀(3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편(31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단에는 스프링고정구(312)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1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홀(322a)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속홀(322b)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지지편(313)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고정구(312)와 상판부(100) 사이에는 손잡이(31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314)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4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판부(100) 길이방향 일측 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측 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411a)가 형성된 길이조절부재(411)와, 상기 길이조절부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2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412a)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톱니(411a)가 걸리도록 판스프링(412b)이 설치된 수직부몸체(4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채취 현장용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0)은 비커(Beaker), 시험관, 시약병과 같은 시험용 용기 및 필기구 등의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도구안착홈(111)과, 시료 채취된 라이너(L)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라이너안착홈(1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시료채취 현장용 테이블.
KR1020160132908A 2016-10-13 2016-10-13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KR10169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08A KR101695973B1 (ko) 2016-10-13 2016-10-13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08A KR101695973B1 (ko) 2016-10-13 2016-10-13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73B1 true KR101695973B1 (ko) 2017-01-23

Family

ID=5798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08A KR101695973B1 (ko) 2016-10-13 2016-10-13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14B1 (ko) * 2017-07-21 2018-02-28 재단법인 한국환경조사평가원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냉장박스
KR20190037415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지오그린21 혼합시료 제작용 정량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759A (ja) * 1999-06-25 2001-01-16 Toyo Plywood Kk 取手の取付装置
KR200398598Y1 (ko) * 2005-07-12 2005-10-13 장창덕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160002687A (ko) 2013-01-31 2016-01-08 바이오신스 에스.알.엘. 다가 당컨쥬게이트 백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759A (ja) * 1999-06-25 2001-01-16 Toyo Plywood Kk 取手の取付装置
KR200398598Y1 (ko) * 2005-07-12 2005-10-13 장창덕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160002687A (ko) 2013-01-31 2016-01-08 바이오신스 에스.알.엘. 다가 당컨쥬게이트 백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14B1 (ko) * 2017-07-21 2018-02-28 재단법인 한국환경조사평가원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냉장박스
KR20190037415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지오그린21 혼합시료 제작용 정량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973B1 (ko)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테이블
CN111396697B (zh) 一种土木工程测量仪器用支架
KR101833514B1 (ko) 토양시료 채취현장용 냉장박스
CN211669835U (zh) 一种教学便携式简易教学教具
KR101795007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CN206241971U (zh) 一种新型地质锤
CN211115764U (zh) 一种用于工程地质勘查钻探设备
CN215037323U (zh) 便携式食品安全检测工具箱
CN217359860U (zh) 一种用于水质监测的重金属检测装置
CN206599080U (zh) 一种便携式水质分析装置
Davis et al. A lightweight, inexpensive benthic core sampler for use in shallow water
CN214200702U (zh) 一种林学用土壤取样器
CN209027835U (zh) 新型岩土工程勘察取样器
CN212642576U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钻机
CN205300960U (zh) 一种新型土壤取样装置
CN211425995U (zh) 一种环境检测大气采样器用支撑装置
CN208297163U (zh) 一种地质勘探便携取样装置
CN207908199U (zh) 一种土壤检测用取样装置
CN111816034A (zh) 一种教学便携式简易教学教具
CN219258115U (zh) 一种检测试剂盒
CN220339692U (zh) 一种便于调节的皮带头部采样机构
CN217238053U (zh) 一种用于城市道路交通规划设计的勘测装置
CN111537263A (zh) 一种螺旋推进土壤的取样装置
CN216386375U (zh) 一种古地磁岩心取样装置
CN211147483U (zh) 一种测绘用卷尺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