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972B1 -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972B1
KR101695972B1 KR1020160151301A KR20160151301A KR101695972B1 KR 101695972 B1 KR101695972 B1 KR 101695972B1 KR 1020160151301 A KR1020160151301 A KR 1020160151301A KR 20160151301 A KR20160151301 A KR 20160151301A KR 101695972 B1 KR101695972 B1 KR 10169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ension
feeding roller
roll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KR102016015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9Other feature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스티커가 부착된 롤 형상의 이형지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대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하는 이형지를 일측으로 가이드 하면서 이형지로부터 낱개의 스티커를 분리시켜 공급하는 가이드 공급부와, 상기 가이드 공급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공급부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분리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고정축에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하면서 상기 레버 상에 고정된 텐션축을 중심으로 상기 피딩롤러와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텐션롤러와,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에 텐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 공급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한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피딩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 사이에 인입된 이형지가 하측으로 이송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텐션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가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Sticker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의 이형지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복수개의 스티커를 1회 작동마다 1개씩 이형지로부터 분리시켜 공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스티커 중 필요한 스티커를 선택하여 분리, 공급할 있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서 상품이나 제품에 스티커나 라벨을 부착하여 시장에 공급된다.
특히, 음식료품의 경우 제품의 종류, 유통기한, 바코드 등 다양한 종류의 스티커나 라벨을 붙이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스티커는 보통 접착제가 도포된 인쇄물을 비닐이 코팅된 이형지 혹은 이형필름에 부착한 상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사용할 때 이형지로부터 스티커를 분리한 후 필요한 제품이나 물품에 붙이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과거 사람이 직접 이형지로부터 분리한 후 부착했었다.
특히, 대량 생산 공장의 경우 많은 작업자가 대량의 이형지로부터 일일이 스티커를 떼서 생산되는 제품마다 직접 부착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자동으로 스티커나 라벨을 분리, 공급하는 장치가 많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의 경우 대부분 자동으로 스티커를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 고안된 것들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양의 스티커를 처리하는 중대형 기계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당연히 가격이 비싸고, 고장 및 유지보수관리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스티커나 라벨만 분리,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최근, 소량 다품종 물품이나 제품, 상품을 취급하는 김밥, 햄버거, 커피가게와 같은 소규모 사업장들의 경우 고가의 중대형 장치는 불필요하다. 오히려 가격에 부담이 없으면서 다양한 제품이나 상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분리, 공급할 수 있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3-0021504(1993.11.22) "라벨 공급장치" 2)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7126(2006.9.14) "자동 스티커공급 준비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7142(2012.9.24) "라벨 공급장치" 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6148(2008.6.2) "스티커 분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 다품종 제품을 공급하는 소규모 업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1회 작동시 1개의 스티커가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양한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제품별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스티커 중 필요한 스티커만 선택하여 분리, 공급할 수 있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는, 평판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스티커가 부착된 롤 형상의 이형지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대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하는 이형지를 일측으로 가이드 하면서 이형지로부터 낱개의 스티커를 분리시켜 공급하는 가이드 공급부와, 상기 가이드 공급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공급부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분리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고정축에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하면서 상기 레버 상에 고정된 텐션축을 중심으로 상기 피딩롤러와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텐션롤러와,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에 텐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 공급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한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피딩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 사이에 인입된 이형지가 하측으로 이송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텐션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가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는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클러치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의 외주에는 각각 탄성재질의 오링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와 피딩롤러 사이에는, 일측에 텐션절곡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텐션절곡부와 장공 사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텐션롤러가 결합되는 텐션축이 고정된 텐션조절판; 상기 레버의 일측에도 레버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절곡부와 텐션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 단부에 체결되고 하단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판; 상기 조절볼트가 관통하면서 상기 텐션절곡부와 걸림판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 사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는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 회전시 상기 커팅날과 접촉하는 가압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커팅블럭과 가압블럭 사이에 이송되는 이형지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상기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를 단위 유닛으로 하여, 사이드 커버, 프론트 커버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을 수평으로 적층 배치시키되, 상기 고정축이 상기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에 상기 각 레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자가 필요할 때 1회 작동시 1개의 스티커를 손쉽게 분리, 공급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매우 수월하다.
그리고 복수개의 유닛을 적층,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제품을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제품별로 다른 스티커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편의성과 생산성이 향상된다.
특히,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는 김밥이나 커피, 햄버거 가게 등과 같이 소량 다품종 제품을 판매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제품의 종류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유닛을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딩롤러와 텐션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복수개의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는 크게 지지프레임(10), 스티커가 부착된 이형지를 거치하는 거치부(20), 상기 이형지(P)를 분리작동부(40)로 안내하는 가이드 공급부(30) 및 상기 가이드 공급부(30)에서 이형지와 스티커가 분리되도록 이형지를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분리작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거치부(20), 가이드 공급부(30), 분리작동부(40)가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부 일측에 상기 거치부(20)가 배치되고, 상부 타측에 상기 가이드 공급부(30)가 배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분리작동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티커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스트랩 형상의 이형지가 롤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롤 형태의 이형지가 거치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20)는 일정한 길이의 평판을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벤딩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 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거치부(20)도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공급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이드 공급부(30)는 상기 거치부(20) 일측, 다시 말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치부(20)에 거치된 스티커 부착 이형지를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공급부(3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31)과 상기 가이드핀(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분리유도핀(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31)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측면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핀(31)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핀(31a)과 제2가이드핀(31b) 두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20)로부터 연장된 이형지를 지지하면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31)의 형상은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일 수 있고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유도핀(32)은 상기 제2가이드핀(31b)와 평행하게 근접해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핀(31)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이형지가 상기 제2가이드핀(31b)과 분리유도핀(32) 사이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작동부(40)로 인입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분리작동부(40)로 인입된 이형지를 당겨 일정 거리만큼 하측으로 이송시키면 동시에, 상기 분리유도핀(32)을 기점으로 이형지는 내려가고 부착된 스티커는 분리되면서 상기 분리유도핀(32)의 상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티커만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분리작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딩롤러와 텐션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분리작동부(40)는 인입된 이형지를 1회 작동시 일정 거리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공급부(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작동부(40)는 크게 레버(41),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 그리고 인장스프링(44) 및 스토퍼(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41)는 대략 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고정된 고정축(46)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1)의 일단에는 손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레버(4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누름판(41a)이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판(41a)을 누름으로써 상기 레버(41)가 회전한다.
또 상기 레버(41)의 타단에는 일부가 절곡된 형상의 레버절곡부(41b)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41)가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레버절곡부(41b)에는 후술하는 인장스프링(44)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딩롤러(42)는 상기 레버(41)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피딩롤러(42)와 상기 고정축(46) 사이에는 클러치 베어링(Clutch bearing, 42a)이 개재되어 상기 피딩롤러(42)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로 할 때, 상기 피딩롤러(42)는 상기 고정축(4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딩롤러(42)의 측면은 상기 레버(41) 상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기 레버(41)에 힘을 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41)와 피딩롤러(42)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상기 피딩롤러(42)도 레버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버(41)가 원위치로 복귀(반시계방향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피딩롤러(42)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정지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42)의 일측에 상기 피딩롤러(42)와 밀착되도록 텐션롤러(43)가 구비되는데, 상기 텐션롤러(43)는 상기 레버 상에 고정된 텐션축(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텐션롤러(43)와 텐션축(47) 사이에 클러치 베어링(43a)이 개재되어 상기 텐션롤러(43)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텐션롤러(43)는 상기 피딩롤러(42)와 연동되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피딩롤러(42)와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텐션롤러(43)는 상기 텐션축(4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딩롤러(42)는 레버(41)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기 텐션롤러(43)는 상기 피딩롤러(42)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상기 레버(41) 상에서 레버(41)의 궤적을 따라 이동할 뿐이다. 그러나 상기 레버(41)가 원위치로 복귀(반시계방향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텐션롤러(43)가 정지한 상기 피딩롤러(42)에 접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딩롤러(42)의 직경은 상기 텐션롤러(4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의 외주에는 접촉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탄성재질의 오링(42b, 43b)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상기 피딩롤러(42)의 외주에 오링 대신 사선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텐션롤러(43)에 3개의 오링(43b)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b)와 같이 상기 피딩롤러(42)에는 외주 중앙에 1개의 오링(42b)이 결합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텐션롤러(43) 외주에는 오링(43b) 2개가 양측에 각각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이나 오링은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 사이에 인입되는 이형지가 마찰력 부족으로 슬라이딩되어 롤러들이 헛돌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레버(41)의 일측에, 다시 말해 상기 누름판(41a)과 반대편에 인장스프링(44)의 일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44)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스프링(44)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레버(41)를 잡아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44)이 상기 레버절곡부(41b)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41a)에 작은 힘을 가할 때 상기 레버(41)는 자유롭게 회전하기 어렵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상기 인장스프링(44)이 늘어나면서 상기 레버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1a)에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인장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41)가 원위치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공급부(30) 일측, 다시 말해 상기 레버(41)의 누름판 일측에는 스토퍼(45)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4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돌출되거나 블럭이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1)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45)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41)와 피딩롤러(42) 사이에 상기 텐션롤러(43)가 상기 피딩롤러(42)에 밀착되는 강도,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에 대해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조절부(50)는 텐션조절판(51), 조절볼트(52), 걸림판(53), 압축스프링(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판(51)은 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략 상기 레버(41)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판(51) 중앙에는 타원형의 구멍이 형상을 가지는 장공(51b)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레버(41)의 레버절곡부(41b)와 같이 'ㄴ' 형태로 절곡시킨 텐션절곡부(5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절곡부(51a)와 장공(51b) 사이에 직사각형의 걸림홈(51c)이 더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텐션롤러(43)가 장착되는 텐션축(47)이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텐션조절판(51)은 상기 장공(51b)으로 상기 고정축(46)이 삽입되면서 상기 레버(41)와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장공(51b)과 고정축(46)의 유격으로 인해 상기 텐션조절판(51)은 좌우로 일정 간격 왕복 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레버절곡부(41b)와 텐션절곡부(51a)에는 조절볼트(52)가 관통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52)는 단부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52) 단부에는 평판 형상의 걸림판(53)이 결합된다. 상기 걸림판(53)의 하단은 상기 텐션조절판(51)에 형성된 걸림홈(51c)에 삽입되어 좌우로 일정 간격이 이동 가능하면서 걸릴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텐션절곡부(51a)와 걸림판(53) 사이에는 압축된 상태의 압축스프링(54)이 더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54)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걸림판(53)은 상기 걸림홈(51c)에 걸린 상태로 정지하고 상기 텐션절곡부(51a)는 도 3을 참고할 때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텐션조절판(51)도 상기 장공(51b)의 유격이 있기 때문에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텐션롤러(43)도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딩롤러(42)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작업자가 상기 조절볼트(52)를 일부 풀어 상기 텐션절곡부(51a)와 걸림판(53)의 간격을 늘여주면 상기 압축스프링(54)의 압축상태가 완화되어 압축력이 줄어든다. 이때는 상기 텐션롤러(43)와 피딩롤러(42)간 텐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조절볼트(52)를 조절하여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 사이의 텐션, 즉 밀착되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텐션조절부(50)가 구비된 경우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는 상기 텐션조절판(51) 위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측, 다시 말해 상기 레버(41)가 회전 궤적 상의 어느 지점에 커팅블럭(60)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41)의 일측에는 레버(41) 회전시 상기 커팅블럭(60)과 접촉하는 가압블럭(70)이 결합되어, 스티커가 분리된 이형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롤 형태의 이형지는 스티커를 분리되고 난 후 처리해야 하는데, 길게 연결된 형태보다, 잘게 잘라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상기 커팅블럭(60)은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피딩롤러(42)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사각평판 형상이고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각 모서리를 관통하는 4개의 관통핀(62)과, 상기 각 관통핀(62)의 일단에 결합되는 사각평판 형상의 이탈방지판(63)과, 상기 각 관통핀(62)의 타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나이프홀(64a)이 형성된 사각평판 형상의 커팅지지판(64)과, 상기 베이스(61)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나이프홀(64a)에 삽입되는 나이프(65) 및 상기 베이스(61)와 커팅지지판(64)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각 관통핀(62)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커팅지지스프링(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팅지지판(64)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커팅지지스프링(66)이 압축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63)이 후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나이프(65)가 상기 나이프홀(64a)을 관통하여 정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블럭(7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면에 상기 나이프(65)를 수용할 수 있는 나이프수용홈(7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41)의 회전시 상기 가압블럭(70)도 그 궤적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커팅지지판(64)과 만나서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나이프(65)가 상기 나이프수용홈(70a) 내부로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거치부(20)에 스티커(S)가 부착된 롤 형태의 이형지(P)가 거치되고, 연장된 이형지(P)가 상기 제1가이드핀(31a)의 하부를 거쳐 상기 제2가이드핀(31b)의 상부로 연장된 후, 상기 제2가이드핀(31b)과 분리유도핀(32) 사이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 사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이형지(P)가 상기 제1가이드핀(31a)과 제2가이드핀(31b)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가이드핀(31b)과 분리유도핀(32) 사이로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41)의 누름판(41a)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레버(41)는 상기 고정축(4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피딩롤러(42)도 상기 레버(41)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마찰력에 의해 상기 레버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텐션롤러(43)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피딩롤러(42)와 텐션롤러(43) 사이에 인입된 이형지(P)는 두 롤러에 물린 상태로 하측으로 당겨져 일정 거리만큼 이송되고 상기 커팅지지판(64) 위에 도달하여 상기 나이프(65) 상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형지(P)가 이송되면 상기 가이드핀(31)과 분리유도핀(32) 사이에서 분리된 스티커(S)는 상기 분리유도핀(32) 상측으로 이송되어 작업자에게 공급된다. 즉, 이형지는 비닐이 코팅되어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이므로 잘 떨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핀(31b)에서 이형지(P)는 거의 90도 이상 방향을 전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티커(S)는 이형지(P)에서 쉽게 분리되어 상기 분리유도핀(32)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41)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누름판(41a)을 최대로 누르면, 상기 가압블럭(70)이 상기 커팅지지판(64)을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커팅지지스프링(66)이 압축되어 상기 커팅지지판(64)이 후퇴하게 되고, 연이어 상기 나이프(65)가 돌출되면서 상기 나이프수용홈(70a) 내부로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나이프(65) 상에 위치한 이형지(P)를 상기 커팅지지판(64)과 가압블럭(70)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나이프(65)가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누름판(41a)에서 힘을 제거하면, 상기 늘어난 인장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딩롤러(42)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되지만, 상기 텐션롤러(4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텐션롤러(43)가 상기 피딩롤러(42)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것과 같은 운동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이형지(P)는 이송되지 않고 상기 피딩롤러(42) 외주면에 밀착되어 정지한 상태이며, 상기 텐션롤러(43)가 이형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41)가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가압블럭(70)이 후퇴하면, 상기 커팅지지판(64)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돌출된 상기 나이프(65)가 나이프홀(64a)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하에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고자 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복수개의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는 1종류의 스티커만 분리시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다품종 소량의 제품을 제작, 생산하는 소규모 업체의 경우 다양한 스티커를 선택하여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스티커 수만큼의 스티커를 작업자가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술한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를 1개의 유닛(U)으로 하여 여러 유닛을 적층한 형태로 조립한 형태의 스티커 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케이스(80)와,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수평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U)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80)는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커버(82)와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82)와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84)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80) 상부에는 상기 사이드 커버(8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80)를 여닫을 수 있는 덮개(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U) 각각은 상기 사이드 커버(82) 사이에 서로 인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유닛(U)의 지지프레임(10)은 상기 케이스(80)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과 같은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축(46)은 하나가 상기 사이드 커버(82)와 각 지지프레임(10)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결합,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31)과 분리유도핀(32)도 상기 고정축(46)과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드 커버(82)와 각 지지프레임(10)을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84) 상단에 상기 레버(4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스토퍼(45)가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84) 상에 상기 유닛(U)의 갯수와 동일한 절개라인(8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라인(84a)은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있는 상기 레버(41)의 일단과 누름판(41a)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작업자는 돌출된 누름판(41a)을 눌러서 상기 레버(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유도핀(32)에 부착방지스프링(32a)이 감겨 분리되는 스티커가 상기 분리유도핀(32)에 부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누름판(41a)에는 여러 종류의 스티커를 구별하도록 인식수단(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밥 가게의 경우 각 누름판 마다 야채김밥, 새우김밥, 참치김밥, 소고기 김밥 등의 인식수단을 부착하거나 표시하여 각 유닛에서 공급되는 스티커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식수단을 상기 스토퍼(45)의 외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문에 따라 준비된 제품의 포장 외면에 그 제품을 표시하는 스티커를 부착하기 위해 그 제품에 해당하는 유닛의 누름판을 눌러 스티커를 분리시켜 부착할 수 있다. 이것은 스티커를 빠르게 부착할 수 있어 제품 제공시간이 절약되고 사전에 주문오류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지지프레임 20 : 거치부
30 : 가이드 공급부 31 : 가이드핀
31a : 제1가이드핀 31b : 제2가이드핀
32 : 분리유도핀 32a : 부착방지스프링
40 : 분리작동부 41 : 레버
41a : 누름판 41b : 레버절곡부
42 : 피딩롤러 42a : 클러치 베어링
42b : 오링 43 : 텐션롤러
43a : 클러치 베어링 43b : 오링
44 : 인장스프링 45 : 스토퍼
46 : 고정축 47 : 텐션축
50 : 텐션조절부 51 : 텐션조절판
51a : 텐션절곡부 51b : 장공
51c : 걸림홈 52 : 조절볼트
53 : 걸림판 54 : 압축스프링
60 : 커팅블럭 61 : 베이스
62 : 관통핀 63 : 이탈방지판
64 : 커팅지지판 64a : 나이프홀
65 : 나이프 66 : 커팅지지스프링
70 : 가압블럭 70a : 나이프수용홈
80 : 케이스 82 : 사이드 커버
84 : 프론트 커버 84a : 절개라인
90 : 덮개
S : 스티커
P : 이형지
U :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

Claims (6)

  1. 평판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스티커가 부착된 롤 형상의 이형지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대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하는 이형지를 일측으로 가이드 하면서 이형지로부터 낱개의 스티커를 분리시켜 공급하는 가이드 공급부와, 상기 가이드 공급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공급부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분리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고정축에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와 접하면서 상기 레버 상에 고정된 텐션축을 중심으로 상기 피딩롤러와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텐션롤러와,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레버에 텐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 공급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한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피딩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 사이에 인입된 이형지가 하측으로 이송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텐션롤러만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가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는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클러치 베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의 외주에는 각각 탄성재질의 오링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피딩롤러 사이에는,
    일측에 텐션절곡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텐션절곡부와 장공 사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텐션롤러가 결합되는 텐션축이 고정된 텐션조절판;
    상기 레버의 일측에도 레버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절곡부와 텐션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 단부에 체결되고 하단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판;
    상기 조절볼트가 관통하면서 상기 텐션절곡부와 걸림판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딩롤러와 텐션롤러 사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는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 회전시 상기 커팅날과 접촉하는 가압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커팅블러과 가압블럭 사이에 이송되는 이형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를 단위 유닛으로 하여,
    사이드 커버, 프론트 커버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유닛을 수평으로 적층 배치시키되,
    상기 고정축이 상기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에 상기 각 레버의 일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절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KR1020160151301A 2016-11-14 2016-11-14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KR10169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01A KR101695972B1 (ko) 2016-11-14 2016-11-14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01A KR101695972B1 (ko) 2016-11-14 2016-11-14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72B1 true KR101695972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01A KR101695972B1 (ko) 2016-11-14 2016-11-14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23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월드 라벨부착장치
CN114772371A (zh) * 2022-04-13 2022-07-22 日善电脑配件(嘉善)有限公司 一种适用范围广的自动剥料装置
CN115429593A (zh) * 2022-09-20 2022-12-06 刘开金 一种肿瘤科辅助贴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504A (ko) 1992-04-28 1993-11-22 김주용 라벨 공급 장치
KR200427126Y1 (ko) 2006-03-20 2006-09-20 김종근 자동 스티커공급 준비장치
KR100836148B1 (ko) 2007-06-07 2008-06-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스티커 분리장치
KR101187142B1 (ko) 2012-03-05 2012-09-28 김연태 라벨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504A (ko) 1992-04-28 1993-11-22 김주용 라벨 공급 장치
KR200427126Y1 (ko) 2006-03-20 2006-09-20 김종근 자동 스티커공급 준비장치
KR100836148B1 (ko) 2007-06-07 2008-06-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스티커 분리장치
KR101187142B1 (ko) 2012-03-05 2012-09-28 김연태 라벨 공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23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디월드 라벨부착장치
KR102111694B1 (ko) * 2018-01-19 2020-05-18 주식회사 디월드 라벨부착장치
CN114772371A (zh) * 2022-04-13 2022-07-22 日善电脑配件(嘉善)有限公司 一种适用范围广的自动剥料装置
CN114772371B (zh) * 2022-04-13 2023-08-08 日善电脑配件(嘉善)有限公司 一种适用范围广的自动剥料装置
CN115429593A (zh) * 2022-09-20 2022-12-06 刘开金 一种肿瘤科辅助贴药设备
CN115429593B (zh) * 2022-09-20 2023-09-26 青岛市胶州中心医院 一种肿瘤科辅助贴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972B1 (ko) 스티커 분리공급 장치
EP2660017B1 (en) Paper cutting device
EP3315421A3 (en) Wrapping machine printer arrangement
US672529A (en) Feeding mechanism for cards, &c.
KR20150003386A (ko) 운반 수단이 끼워맞춰진 공급 보드를 포함하는, 시트 형태의 요소를 처리하기 위한 기계
JP4639154B2 (ja) 搬送ローラ圧力調整装置
CN109843763B (zh) 用于包装物品的设备且其包括应对膜的卷绕的装置
US5916109A (en) Feed means for bottom wrap 3/4 wrap apparatus
US4235660A (en) Apparatus for repairing sprocket holes on strip material
US5930975A (en) Cutter/clamping means for bottom wrap 3/4 wrap apparatus
CA2682280C (en) Labeling machine
JP4860683B2 (ja) 包装用容器の封緘装置
US3647204A (en) Paper sheet feed device
TW201607786A (zh) 捆綁裝置
US11970302B2 (en) System for semi-automatically closing flexible containers
JPH08231069A (ja) 自動給紙装置
US20160272426A1 (en) Packaging Labeler Component Parts
JP6074451B2 (ja) フィルム連動機構および包装機
JP4488954B2 (ja) 軸保持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給紙装置
EP3653520A1 (en) Conveyance mechanism and label printer
JP3086319U (ja) 新聞雑誌折丁送出装置
JP2016204026A (ja) 包装機およびラベル貼付装置
JPS63300899A (ja) 薄肉材打抜きカツタ
JPS59185678A (ja) プリンタの給紙装置
US1951417A (en) Tag form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