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935B1 -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935B1
KR101695935B1 KR1020150076430A KR20150076430A KR101695935B1 KR 101695935 B1 KR101695935 B1 KR 101695935B1 KR 1020150076430 A KR1020150076430 A KR 1020150076430A KR 20150076430 A KR20150076430 A KR 20150076430A KR 101695935 B1 KR101695935 B1 KR 101695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hant
user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cash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63A (ko
Inventor
오영석
송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Priority to KR102015007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좌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d)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사용자 단말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의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결제 금액에서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ASHBACK SERVICE}
본 발명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가 개발 및 이용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단말에서 결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간편 결제 서비스가 출시되고는 있으나, 결제 방식이 소비자의 구매 규모 및 결정 자체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때, 구매 규모 및 결정에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는 캐시백(CashBack), 페이백(PayBack) 또는 포인트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8325호(2015.01.22 공개)에는, 가맹점에서 카드가 사용되면 결제 금액의 일부를 포인트로 적립시키고, 이후 카드를 사용할 때,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매 규모를 늘리거나 결정을 빠르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캐시백, 페이백 및 포인트는 카드별, 개인별, 가맹점별로 설정된 비율이 정해져 있거나, 사용자가 카드사 또는 가맹점에서 설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행위를 해야만 비율이 변동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맹점에서 캐시백, 페이백 및 포인트의 비율을 조정하는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서비스에 가맹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수수료를, 해당 가맹점 단말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맹점의 매출 규모의 증가 및 고객의 구매 결정을 촉진할 수 있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좌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d)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사용자 단말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의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결제 금액에서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판매량 또는 실적이 부진한 가맹점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수료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캐시백된 금액이 입금되는 경우 고객에게 바로 알림 및 추천 상품 목록을 함께 송신함으로써, 캐시백된 금액의 빠른 소진 및 매출 연계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핀테크와 관련한 간편 결제 서비스로는 변경하지 못했던 구매 규모나 구매 결정을 증가시키거나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캐시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정보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캐시백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등록하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구매할 때, 간편 결제 수단으로 수신된 캐시백 카드를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닐지라도,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된 가맹점인 경우에는, 수신된 캐시백 카드를 사용하여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캐시백 카드는, 특정 계좌와 연계된 카드일 수 있고, 연계된 계좌에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설정한 기 설정된 비율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증가시킨 비율에 기초하여 캐시백 카드를 사용한 금액에 기반한 캐시백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자의 해당 계좌로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계좌로 입금이 되었다는 메세지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LBS(Location Based Service)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 승인된 사용자에 대하여 계좌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캐시백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계좌는 사용 승인된 사용자 명의의 계좌로서 임의의 계좌번호로 생성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번호(예를 들어 휴대전화번호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는 번호)로 이뤄진 계좌번호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생성 계좌는 사용자 명의로 생성된 은행의 실계좌일 수도 있고, 사용자 명의로 생성된 가상계좌일 수도 있다.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캐시백 카드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캐시백 카드를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캐시백 카드, 사용자 및/또는 캐시백 카드와 연동되어 생성된 계좌의 계좌 정보,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비율의 캐시백 비율을 증가시키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키는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건을 등록시킨 경우, 등록한 조건과 해당 가맹점 단말(400)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 단말(400)에서 설정한 캐시백 비율대로 사용자의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이 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금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연동된 계좌의 밸런스(Balance) 또는 입금된 금액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해당 가맹점의 정보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비수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비수기에 자동으로 기 설정된 비율의 캐시백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온라인 가맹점 또는 오프라인 가맹점을 보유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의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되는 금액의 비율인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킬 경우, 미리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키는 조건을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캐시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수신부(310), 전송부(320), 제 2 수신부(330), 저장부(340), 입금부(350), 데이터베이스화부(360), 조정부(370), 소진 촉진부(380) 및 LBS 제공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캐시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캐시백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이름, 나이, 주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입력될 경우, 제 1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 획득에 대한 승인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텍스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신할 수도 있고, 기 저장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전송부(3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좌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캐시백 카드는, 체크카드형 선불카드로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연동시킨 계좌에 입금된 금액만큼 결제가 가능한 카드일 수 있다.
그리고, 캐시백 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온라인 가맹점인 경우,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오프라인 가맹점인 경우, POS 단말(미도시) 또는 카드 리더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프라인용 실물 카드일 수 있다.
여기서,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이용될 경우, 캐시백 카드가 이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캐시백 카드의 사용자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카드 번호 입력을 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하며, 오프라인에서 사용될 경우에도 연동된 계좌에 밸런스가 결제 금액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제 2 수신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캐시백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 대한 결제를 수행했다면, 결제 금액에 대한 기 설정된 비율에 대한 금액을 다시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계좌로 입금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 이때, 캐시백 서비스의 재원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캐시백 서비스를 제 2 수신부(330)로 신청할 때, 가맹점을 유지하기 위한 수수료에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가맹점이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가맹점 등록을 한 후, B 사용자로부터 만원의 결제 금액이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가맹점에 대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수수료는 2.7%라고 가정한다. 또한, VAN사 수수료가 0.35%, 신용카드사의 수수료가 0.1%라고 가정하면, 결제금액의 2.25%의 수익이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때, 2.25% 중 2%를 캐시백 비율로 설정, 즉 기 설정된 비율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2.25%의 수익도 결국에는 가맹점에서 제공한 수수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므로, 캐시백 서비스의 재원은 가맹점의 수수료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2%는 기 설정된 비율(가정된)이지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비율은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불경기여서 물건이 잘 팔리지 않는 경우, 마진을 감소시키고서라도 재고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가맹점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한 수수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증가시킨만큼, 사용자 단말(100), 즉 고객에게 돌아가는 캐시백 비율을 높임으로써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를 인용하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한 수수료를 5%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VAN사 수수료가 0.35%, 신용카드사의 수수료가 0.1%인 경우, 0.25%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취하는 이익이라고 가정하면, 4.3%의 비율의 캐시백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예의 경우에는 백만원을 결제한 경우, 2%의 캐시백이므로, 2만원이 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백만원을 결제한 경우, 4.7%의 캐시백이므로, 4만7천원이 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비율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증감가능하고, 저장부(34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증감되는 기 설정된 비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입금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의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결제 금액의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의 결제는, 오프라인 결제 또는 온라인 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금액의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은,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입금될 수 있고, 입금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입금된 금액 및 입금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수 있고, 캐시백 카드는 연동된 계좌의 밸런스(Balance)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시백 서비스는 한 달에 한 번 제공될 수 있다.
조정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하는 프로모션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모션 이벤트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증가된 기 설정된 비율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정렬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캐시백 서비스의 금액을 고려하여 결제 금액이 최저가인지를 웹 크롤러를 통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캐시백의 비율을 높이는 대신 결제 금액, 즉 원가를 더 높여 소비자를 속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제 금액에서 캐시백 금액을 감액한 금액을 기준으로 동일 제품에 대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조정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하는 프로모션 이벤트를 실행하는 실행 조건을 수신하고, 실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프로모션 이벤트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증가된 기 설정된 비율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정렬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캐시백 서비스의 금액을 고려하여 결제 금액이 최저가인지를 웹 크롤러를 통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캐시백의 비율을 높이는 대신 결제 금액, 즉 원가를 더 높여 소비자를 속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제 금액에서 캐시백 금액을 감액한 금액을 기준으로 동일 제품에 대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조정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에 기반하여, 비수기를 시간별, 요일별, 월별 또는 분기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비수기 및 판매감소율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비율의 증가율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증가율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프로모션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모션 이벤트는, 캐시백 비율을 증가시키는 이벤트로 정의하고, 이는 가맹점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한 수수료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화부(360)는, 전송부(3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계좌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캐시백 카드에 대한 등록이 발생하면, 캐시백 카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을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된 캐시백 카드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간편 결제 서비스의 지불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소진 촉진부(380)는, 입금부(35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의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결제 금액의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입금된 금액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출하고, 추출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LBS 제공부(39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LBS 제공부(39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실시하고, 필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LBS 제공부(390)는, 필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때, 기 설정된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지점과 근거리인 순서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상에 사용자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디스플레이하되, 기 설정된 비율을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상에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다. 또한, 가격 정보 뿐만 아니라, 가맹점의 평가 정보, 응대 성실도 정보 등 실제 가맹점 이용자의 후기에 기반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프로모션에 의해 구매 또는 방문하긴 했지만, 물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이 가격에 상응하지 못한 경험으로 인하여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신뢰도마저 잃게 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은 공유가능하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그룹 또는 가족원 간에 캐시백 서비스에 대응하는 금액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의 소비 크기가 크지 않을 경우, 캐시백 금액은 다소 낮아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구매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가격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캐시백 서비스의 효용성 및 메리트를 사용자는 체감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가족간 또는 그룹원 간 기 설정된 비율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결제가 곧 다른 물품의 구매 수단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하고, 캐시백 서비스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캐시백 카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딩 또는 스캔가능한 카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캐시백 카드를 리딩하기 위한 리딩 또는 스캔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캐시백 카드가 리딩되는 경우,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캐시백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캐시백 카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캐시백 카드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딩 또는 스캔한 경우, 캐시백 카드를 사용하였을 때, 캐시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맹점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캐시백 카드의 적극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단순히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만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가맹점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리스트 출력이 곧 구매 및 결제로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실행되는 캐시백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이하의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정보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b)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c)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을 통하여 캐시백 카드를 사용자에게 및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캐시백 카드를 등록하도록 한다.
한편, (d)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신청을 한 경우,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캐시백 비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조건을 입력한 경우, 이 역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e) 판매량이 기 설정된 판매량 이하이면, 자동으로 캐시백 비율을 높이도록 자동으로 설정한 경우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비율을 수동으로 입력한 경우, (f)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조정된 기 설정된 비율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정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한 경우,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g)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지도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정보는, 캐시백 비율, 업종, 거리, 위치, 캐시백 비율이 적용되는 잔여 시간,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인증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h) 사용자 단말(100)에서 캐시백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한 경우,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기에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을 할 수 있고, 입금된 이벤트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금된 금액 또는 계좌의 밸런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천 목록으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금된 금액 또는 계좌의 밸런스에만 대응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00)의 취향 및 소비 패턴을 반영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천 목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취향 또는 소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고, 저장된 이미지 및 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마이닝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 소비 패턴 및 소비 금액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의 구동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S4100),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S420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210).
그리고 나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캐시백 카드의 등록이 발생한 경우(S4300), 계좌 정보, 사용자 단말(100) 및 캐시백 카드를 저장하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캐시백 카드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별도로 등록하지 않아도 바로 이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4400).
한편,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면(S441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가맹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우(S4500),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한 자동 증가인 경우(S4510),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한 후(S4530), 증가 이벤트를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S4600), 수동 증가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증가된 비율을 전송하도록 한다(S4600).
여기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증가율에 기반하여 가맹점을 정렬하고(S4700), 정렬된 가맹점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80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디스플레이하고(S4810), 구매가 발생한 경우(S4900),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매 이벤트를 전송한다(S4910).
이때,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 금액의 기 설정된 비율의 캐시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S4920), VAN 사(미도시) 및 신용카드사(미도시)로부터 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 대하여 대금 결제를 한다(S493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 입금된 금액은, 구매 금액에서 캐시백 금액 및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수수료, VAN 사의 수수료, 신용카드 사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일 수 있다(S4940).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 및 밸런스에 기초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검색하고(S4950), 캐시백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하고, 입금된 이벤트 및 밸런스로 구매가능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960). 이때, 사용자 단말(100)는, 메세지를 출력하고, 검색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디스플레이한다(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임장 단말로부터 커뮤니티의 공용 계좌를 개설하는 개설 이벤트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단말로부터 연동 계좌 데이터를 포함한 구성원 데이터를 수신하고(S6200), 모임장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단말의 연동 계좌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용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용 계좌와 모임장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단말을 매핑하여 저장한다(S6300).
여기서,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커뮤니티에 회비를 모금하는 모금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모금 이벤트를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수집하고(S6400), 회비가 발생된 모임에 참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단말로 회비에 대한 알람 데이터를 전송한다(S6500).
이때,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는, 모임에 참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과 연동된 계좌로부터 회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출금 처리하고(S6600), 출금 처리된 금액을 생성된 공용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S6700).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좌와 연동되는 캐시백 카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캐시백 서비스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와 상기 캐시백 서비스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캐시백 카드를 이용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의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결제 금액에서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상기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에 기반하여, 비수기를 시간별, 요일별, 월별 또는 분기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으로 추출하여 파악하는 단계;
    상기 추출 및 파악된 비수기 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판매감소율에 기반하여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증가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프로모션 이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키는 프로모션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을 증가시키는 프로모션 이벤트를 실행하는 실행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모션 이벤트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증가시킨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정렬 및 디스플레이하되, 가맹점의 제품에 대한 결제 금액에서 캐시백 금액을 감액한 금액을 기준으로 동일 제품에 대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캐시백 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리딩 또는 스캔한 경우, 상기 캐시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맹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의 결제는, 오프라인 결제 또는 온라인 결제를 포함하는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캐시백 카드에 대한 등록이 발생하면, 상기 캐시백 카드 및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캐시백 카드는 상기 캐시백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간편 결제 서비스의 지불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증감가능한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은, 상기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로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입금되고,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이 입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입금된 금액 및 입금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캐시백 카드는 상기 캐시백 카드와 연동된 계좌의 밸런스(Balance)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카드인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입금된 금액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물품 또는 서비스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점과 근거리인 순서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상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상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것인,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76430A 2015-05-29 2015-05-29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30A KR101695935B1 (ko) 2015-05-29 2015-05-29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30A KR101695935B1 (ko) 2015-05-29 2015-05-29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63A KR20160140163A (ko) 2016-12-07
KR101695935B1 true KR101695935B1 (ko) 2017-01-13

Family

ID=5757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30A KR101695935B1 (ko) 2015-05-29 2015-05-29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3561A (zh) * 2017-12-29 2019-07-09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其系统、计算机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0333A1 (en) 2009-03-31 2010-09-30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ing cashback rat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43A (ko) * 2002-05-03 2002-07-10 김명호 실시간캐쉬백시스템
KR100974658B1 (ko) * 2003-03-10 2010-08-09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할인 카드를 이용한 소규모 상점에서의 가격 할인 및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91199B1 (ko) * 2015-01-19 2017-1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최적결제방법 추천시스템 및 최적결제방법 추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0333A1 (en) 2009-03-31 2010-09-30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ing cashback 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63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7887A1 (en) Selected place on maps associate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selected place associated merchant account based payment transactions, connections, offers, order, deals, reservation and call-to-actions
US10755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customized order interface
US20240086988A1 (en)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user specific data distribution of crowd-sourced data
JP5918866B2 (ja)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送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092866A1 (en) Providing frictionless push payments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JP6293908B2 (ja) キオスク管理システムによるモバイル取引
US11354712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ed cause marketing using mobile devices
US2013034623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ching of Shopping Items
KR101996798B1 (ko)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08284B1 (ko) 모바일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US20190042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Booking And/Or Sharing A Travel Itinerary
KR101695935B1 (ko) 캐시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43228A (ko)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구매자 리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매 결제 정보를 연계하여 리뷰를 작성하는 방법
KR20200092234A (ko) 코즈 마케팅을 이용한 구매자 직접 기부 시스템
TWI778335B (zh) 資訊推薦方法、行動裝置及電腦程式產品
KR102163620B1 (ko) 통합 장바구니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공유 및 선물하기 제공 방법
KR20210117692A (ko) 지역 기반 상품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25835A (ko) 전자 영수증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647383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7282417B1 (ja) 返礼装置、返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81355B1 (ko) 외상결제를 이용한 최저가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401317B1 (ko) 공정하고 투명한 기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