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462B1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Google Patents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5462B1 KR101695462B1 KR1020160035241A KR20160035241A KR101695462B1 KR 101695462 B1 KR101695462 B1 KR 101695462B1 KR 1020160035241 A KR1020160035241 A KR 1020160035241A KR 20160035241 A KR20160035241 A KR 20160035241A KR 101695462 B1 KR101695462 B1 KR 101695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ke
- main screen
- screen
- reverse rotation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000010637 Aquapor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10063290 Aquapor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79 Orbi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6 abrasiv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Other 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or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동부하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레이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 또는 구동부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고 별도의 작업 없이도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며,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간격유지부재,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인양측지지부를 통해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레이크의 역회전시에도 개폐스크린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의 역회전에 의한 끼인 협잡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elimination of buried contamin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 A gap holding member which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main screen to prevent breakage and failure of the rake or the driving unit and to remove the dirt adhered to the main screen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contaminant from a main scree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Possible self-removal of contaminants It relates to a rotary jejingi.
오ㆍ폐수 및 상ㆍ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 등에 일시에 많은 비가 내려 유량이 증가하거나 홍수가 발생하게 되면 하천 및 수로를 통해 각종 협잡물이 밀려와 처리시절 등의 전면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리게 된다. 이때, 협잡물은 쓰레기 등의 각종 부유물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협잡물은 하천 및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 및 수로의 상류 지역에 범람의 원인이 되거나, 하천 및 수로의 하류 지역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어 배수를 방해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When a large amount of rainfall occurs at the treatment facility or rainwater drainage pump station where the wastewater and wastewater and sewage are inflowed and purified, or when floods occur,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are pushed through the rivers and waterways, It is caught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impurities are composed of various floats such as refuse. Such impurities lower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river and the waterway, causing flooding in the upstream area of the river and the waterway, or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river and the waterway, It can cause accumulation and disturb drainage.
따라서, 제진기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주로 세목 협잡물을 제거하는 로타리식 제진기는 아래 특허문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ㆍ폐수 및 상ㆍ하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 등으로 유입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와, 레이크를 이송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The rotary type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moving the trickle dirts mainly includes a treatment facility in which ozone, wastewater, and wastewater are introduced and purified, or a rainwater drainage pump A screen for filter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ter, a rake for lifting the obstacles caught on the screen, and a driving device for transporting the rak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4678호(2012. 02. 29. 등록)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4678 (Registered on Feb. 29, 2012) "Electric rotary damper"
그러나 종래 로터리식 제진기는 스크린 사이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 레이크가 움직이지 않거나 무리한 힘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레이크가 스크린에 낀 협잡물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제진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레이크의 파손이나 구동장치의 고장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when the obstacle is caught between the screens, the rake often does not move or is damaged by an excessive force. Recently, when the rake is caught by the screen, Thereby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rake or the failure of the drive unit.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진기를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작업자가 물 속에 들어가 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거나 기타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번거로운 작업을 펼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directly enters the water to remove the dirt adhering to the screen or to perform troublesome work using other devices in order to operate the damper ag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레이크 또는 구동부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고 별도의 작업 없이도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damper capable of self-cleaning of an obstacle which can prevent damages and failures of a rake or a driving part and to remove a dirt trapped on a main screen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본 발명은 메인스크린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에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정상적인 작동이 계속되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cleaning of a buried object which allows normal operation to continue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even when a rough object is caught on the main screen.
본 발명은 역회전시에도 과부하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cleaning of a buried object to prevent breakage and failure due to overload even during reverse rotation.
본 발명은 협잡물이 수평바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elimination of a trapped object which prevents the obstacle from being caught by the horizontal bar.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의 마모가 방지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간격유지부재가 회전에도 쏠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removing of an abrasive which can prevent abrasion of a gap holding member and enable smooth rotation, and which allows a gap holding member to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without being rotated.
본 발명은 레이크의 역회전에도 차단부재의 원활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damper capable of smooth opening of a blocking member even in the reverse rotation of rake.
본 발명은 레이크의 역회전시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elimination of a trapping portion which is used to effectively remove a dirt trapped on a main screen during a reverse rotation of a rak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는 오·폐수 및 상·하수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의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메인스크린; 상기 메인스크린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여 배출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진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양측에 스크린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인양체인과, 상기 인양체인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와, 상기 인양체인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부하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인양체인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레이크가 역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creen installed on a water path of waste wate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or rainwater drainage pump station to filter out contaminants; And a damping portion for lifting and discharging the dirt trapped on the main screen, wherein the damp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rame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creen, A rake attached to the lifting chain for raising a dirt hang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chain to drive the lifting chai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driving load of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hoisting chain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overload exceeding the set reference occu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인양체인과 연결되어 인양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부하를 측정하는 구동부하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크가 상기 메인스크린의 전면에서 상승하도록 인양체인을 회전시키는 정회전모듈과,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구동모터의 구동부하값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과부하를 판단하는 과부하감지모듈과, 상기 과부하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레이크가 상기 메인스크린의 전면에서 하강하도록 인양체인을 회전시킨 후 역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tar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lifting chain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lifting chain, And a driving load measuring modul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orward rotation module that rotates the lifting chain so that the rake is lifted fro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a drive load measurement module that sets a drive load value of the drive motor measured by the drive load measurement module And a reverse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lifting chain so that the rake is lower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screen when an overload of the driving motor is detected by the overload detection modu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모듈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레이크를 역회전시킨 후 자동으로 다시 상기 정회전모듈에 의해 레이크가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rse rotation module rotates the rake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회전모듈의 작동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상기 과부하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정회전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레이크가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비상복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detect an overload of the drive motor by the overload detection modul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reverse rotation module And an emergency return module for activating the forward rotation module to raise the rake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다수의 수직바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바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수직바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수평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ain screen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each other; And a gap holding member inserted in the horizontal bar an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vertical bars, wherein the gap holding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은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수평바 사이에 삽입되는 절곡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싱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양측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ㄴ'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creen includes a bending bush inserted between the gap holding member and the horizontal bar, And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that is inserted into both sides and has a circumferential surface bent in a 'B'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스크린의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상기 메인스크린 사이를 통과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위스크린과; 상기 전위스크린의 상부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이크의 회전에 따라 자동 개폐되며, 상기 전위스크린과 메인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개폐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스크린은 상기 전위스크린의 상부에 힌지결합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전위스크린과 차단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메인스크린측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메인스크린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역회전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개방부는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재중 양측 끝단의 차단부재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oor surface,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to detect a potential A screen; And an opening / closing screen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ke and blocking a space between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and the main screen,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and the blocking member to pull the blocking member toward the main screen and a reverse rotation opening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member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screen, And the reverse rotation opening is formed only at the blocking members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상기 메인스크린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긁어 인양하는 레이크날과, 상기 레이크날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크날을 지지하는 레이크날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날은 상기 메인스크린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스크린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메인스크린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에 의해 메인스크린으로부터 제거된 협잡물을 인양하는 인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날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측지지부와, 상기 인양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인양측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측지지부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이크의 역회전시 메인스크린 사이에 끼인 협잡물이 함입부를 따라 메인스크린의 전측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ake includes a rake blade for raising and scooping the obstacles hu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The rake blade includes an inser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screen and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main screens, and a rake blade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screen, Wherein the rak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side support portion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lifting side support portion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lifting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formed by being embedded in a round manner inward, Along the contaminants stuck to the constriction between the main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to be removed before the main scree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레이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동부하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레이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 또는 구동부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고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driving load of a driving unit that drives a rake, and when an overload exceeding a set reference is generated, the rak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move the contaminants trapped in the main screen,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r failure of the rake or the driving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remove the clogged objects on the screen.
본 발명은 구동부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만 레이크를 역회전시키고 자동으로 다시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메인스크린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에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정상적인 작동이 계속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n overload of a driving unit is sensed and a rake is reverse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utomatically raised again along a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so that normal operation can be continued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
본 발명은 레이크의 역회전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구동부의 과부하가 다시 감지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다시 정회전을 실시하도록 하여 역회전시에도 과부하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overload of the driving unit is sensed again before the set time elapses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ake, the forward rotation is instantaneously performed again to prevent the breakage and the failure due to the overload have.
본 발명은 메인스크린의 수직바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재가 수평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수평바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aminants from being caught on the horizontal bars by allowing the spacing member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ars of the main screen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s.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와 수평바 사이에 절곡부싱을 포함하고, 절곡부싱은 간격유지부재의 양측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ㄴ'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간격유지부재의 마모가 방지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간격유지부재가 회전에도 쏠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ending bushing between a gap holding member and a horizontal bar, the bending bush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gap holding member,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bent in a " The abrasion is prevented and smooth rotation is enabled, and the gap holding member can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without being rotated.
본 발명은 개폐스크린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차단부재의 상측 끝단에 메인스크린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역회전개방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레이크의 역회전시 레이크가 차단부재를 밀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의 역회전에도 차단부재의 원활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verse rotation opening that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screen at an upper end of a block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 close screen, so that the rake pushes the blocking member during reverse rotation of the rak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locking member can be opened smoothly even when rotated.
본 발명은 레이크날의 인양부를 지지하는 인양측지지부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여, 레이크의 역회전시 메인스크린에 끼인 협잡물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main screen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ake by including a depressed portion formed by being embedded in a radially inward side edge portion supporting the lifting portion of the rake 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식 제진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제어부에 의한 로터리식 제진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의(a)는 메인스크린에 레이크가 삽입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참고도
도 5의(b)는 도 5의 레이크의 측단면도
도 6은 인양측지지부에 의해 협잡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메인스크린의 정면도
도 8은 전위스크린 및 개폐스크린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개폐스크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front view of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amper by the control unit of FIG.
5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ake is inserted into the main screen,
5 (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ake of Fig. 5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discharge of contaminants by the side edge supporting por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main screen
8 is a front view of the dislocation screen and the open /
9 is a side view of Fig. 8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en / close scre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capable of self-cleaning of a buried contamin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로터리식 제진기는 오·폐수 및 상·하수 처리시설 또는 빗물 배수펌프장의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메인스크린(3); 상기 메인스크린(3)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여 배출시키는 제진부(1);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상기 메인스크린(3) 사이를 통과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위스크린(5); 상기 전위스크린(5)의 상부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이크(15)의 이동에 따라 자동 개폐되며, 상기 전위스크린(5)과 메인스크린(3)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개폐스크린(7)을 포함한다. 1 to 9, a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self-removal of a buried impurity, will be described. The rotary type vibration damper includes a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 water / sewage treatment facility, A
종래 로터리식 제진기는 레이크가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무한궤도 회전을 하여 메인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메인스크린에 협잡물이 끼이는 경우 레이크가 협잡물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고 레이크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레이크의 구동장치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스크린(3)에 협잡물이 끼어 후술할 구동부(13)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레이크(15)를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을 메인스크린(3)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후술할 간격유지부재(33), 인양측지지부(152b)를 통해 레이크(15)의 역회전시 협잡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고, 후술할 역회전개방부(73)를 통하여 레이크(15)의 역회전시에도 상기 개폐스크린(7)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Conventionally, in the conventional rotary damper, the rake rises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rotates in an infinite orbit, so that the obstacle caught on the main screen is lifted up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when the main screen is clogged with di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ke is not caught by the dirt and the rake is damaged or the rake is overload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verload occurs in the
상기 제진부(1)는 상기 메인스크린(3)에 걸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스크린(3)의 양측에 메인스크린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인양체인(12)과, 상기 인양체인(12)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3)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15)와, 상기 인양체인(12)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구동부(13)와, 상기 구동부(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1, the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메인스크린(3)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스크린(3)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은 내측에 상기 인양체인(1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에는 상기 인양체인(12)이 감길 수 있는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인양체인(12)의 무한궤도 왕복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pair of frames 11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상기 인양체인(12)은 상기 프레임(11)의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감겨 상기 프레임(11)의 내측면을 따라 무한궤도 왕복 회전을 하며, 상기 인양체인(12)에는 상기 레이크(15)가 부착되어 인양체인(12)의 회전에 따라 레이크(15)도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인양체인(12)은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이를 정회전방향이라 하고, 본 발명에서는 정회전과는 반대 방향인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도 가능하도록 한다. The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인양체인(12)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인양체인(12)과 스프로킷, 구동축 등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131)로부터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하며, 스프로킷, 구동축 등에 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인양체인(1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구동부하를 측정하는 구동부하측정모듈(132)을 포함한다. The
상기 구동모터(131)는 상기 인양체인(1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양체인(12)과는 구동축, 스프로킷 등에 의해 연결되어 인양체인(1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31)는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132)에 의해 부하가 측정되어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장이 방지된다. The driving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132)은 상기 구동모터(131)에 주어지는 구동부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모터의 부하를 측정하는 토크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모터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132)은 실시간으로 상기 구동모터(131)에 주어지는 구동부하를 측정하며, 측정된 구동부하는 상기 제어부(14)의 후술할 과부하감지모듈(142)로 전달되어 설정된 구동부하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31)의 과부하가 감지된다. The driving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구동부(13),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모터(13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15)가 정회전 하도록 구동모터(131)를 작동시키는 정회전모듈(141),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132)에 의해 측정된 구동부하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과부하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감지모듈(142),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하도록 구동모터(131)를 작동시키는 역회전모듈(143),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모듈(143)에 의해 역회전하는 동안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다시 정회전모듈(141)에 의해 레이크(15)가 정회전하도록 하는 비상복귀모듈(144)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정회전모듈(141)은 상기 레이크(15)가 정회전하도록 구동모터(13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인양체인(12)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진부(1)의 작동개시시 실행된다. The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은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132)에 의해 측정된 구동부하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설정된 구동부하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131)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과부학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스크린(3)에 협잡물이 끼어 구동모터(13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역회전모듈(143)에 의해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하도록 한다. The
상기 역회전모듈(143)은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하도록 구동모터(13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레이크(15)의 역회전이라 함은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역회전모듈(143)은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구동모터(131)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작동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스크린(3)에 협잡물이 끼어 레이크(15)가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 곧바로 상기 레이크(15)를 역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레이크(15)가 파손되거나 구동부(13)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크(15)의 역회전에 의해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역회전모듈(143)은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하도록 한 후, 자동으로 상기 정회전모듈(141)을 작동시켜 상기 레이크(15)의 정회전이 계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스크린(3)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에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정상작동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역회전모듈(143)은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다시 구동모터(131)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비상복귀모듈(144)에 의해 정회전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시의 과부하에 따른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비상복귀모듈(144)은 상기 역회전모듈(143)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레이크(15)의 역회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구동모터(131)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상기 레이크(15)를 상기 정회전모듈(141)에 의해 다시 정회전시켜 역회전시의 과부하에 따른 파손 및 고장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15)는 구동모터(131)에 주어지는 부하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동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스크린(3)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에도 레이크(15)의 파손 및 구동부(13)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정상적인 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며 운영 및 유지의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14)에 의한 제진부(1)의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상승하던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구동모터(131)의 과부하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역회전모듈(143)이 작동되어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측의 레이크(15)가 하강하면서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을 치게 되고, 이를 메인스크린(3)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만약 역회전시에도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이 제거되지 않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과부하감지모듈(142)에 의해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복귀모듈(144)에 의해 레이크(15)가 다시 정회전을 하게 되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을 상측과 하측에서 반복하여 침으로써 레이크(15), 구동부(13)의 파손 또는 고장 없이도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고 별도의 조작 없이 정상적인 작동이 계속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상기 레이크(15)는 상기 메인스크린(3)의 양측에 형성되는 인양체인(12)에 부착되어 인양체인(12)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메인스크린(3) 사이의 공간,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수직바(31)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바(31)의 사이 공간에 상응하는 폭과 개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크(15)는 상기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상승하여 메인스크린(3)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상측으로 인양할 수 있으며, 역회전시에는 상기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과 접촉하여 협잡물이 메인스크린(3)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이크(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스크린(3)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긁어 인양하는 레이크날(151)과 상기 레이크날(15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크날(151)을 지지하는 레이크날지지부(152)를 포함한다. The
상기 레이크날(151)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31)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51a)와, 상기 삽입부(151a)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인양부(15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51a)는 수직바(31)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수직바(31)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내고, 상기 인양부(151b)는 상기 삽입부(151a)에 의해 긁어진 협잡물을 상측으로 인양하도록 한다. 5A, the
상기 레이크날지지부(152)는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15)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크날(151)을 지지하며, 상기 삽입부(151a)의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측지지부(152a)와, 상기 인양부(151b)의 하측에 형성되는 인양측지지부(152b)를 포함한다. 5, the rake
특히 상기 인양측지지부(152b)는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함입부(152b-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 사이에 끼인 협잡물에 걸려 역회전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레이크(15)에 걸린 협잡물이 함입부(152b-1)를 따라 메인스크린(3)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에 의해 협잡물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종래와 같이 인양측지지부(152b)가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함입되는 부분 없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인스크린(3)에 끼인 협잡물이 레이크(15)에 걸리더라도 하측으로만 이동하여 메인스크린(3)으로부터 제거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입되는 함입부(152b-1)를 형성하여, 하강하는 레이크(15)에 부딪히는 협잡물이 함입부(152b-1)를 따라 메인스크린(3)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Particularly, the lifting
상기 메인스크린(3)은 협잡물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수로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수로 또는 하수처리시설의 폭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스크린(3)의 양측으로는 상기 프레임(11)이 메인스크린(3)을 따라 형성되어 인양체인(12)이 메인스크린(3)의 양측에서 프레임(11)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레이크(15)는 메인스크린(3)의 전후면을 왕복하여 무한궤도 회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크린(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31); 상기 다수의 수직바(31)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32); 상기 수평바(32)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바(31)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수직바(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33); 상기 간격유지부재(33)와 수평바(32) 사이에 삽입되는 절곡부싱(34)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상기 수직바(31)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물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바(31)는 상기 수평바(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이크(15)가 수직바(31) 사이로 상승하여 수직바(31) 사이에 걸린 협잡물이 상측으로 인양되어 배출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바(31) 사이에 협잡물이 끼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크(15)가 역회전하여 수직바(31) 사이에 낀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바(31) 사이사이에는 수평바(32)에 삽입된 간격유지부재(33)가 형성되어 수직바(3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The
상기 수평바(32)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수직바(3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바(31)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바(32)에는 간격유지부재(33)가 삽입되며, 종래에는 용접방식에 의해 간격유지부재(33)가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부재(33)가 수평바(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승 및 하강하는 협잡물이 수평바(32)의 간격유지부재(33)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간격유지부재(33)는 상기 복수의 수직바(31)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재로, 상기 수평바(32)에 삽입되어 수직바(3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간격유지부재(33)는 종래의 각종 스크린에도 존재하던 구성이나 종래에는 상기 수평바(32)에 용접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레이크(15)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수직바(31) 사이에 낀 협잡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수평바(32)에 삽입된 간격유지부재(33)가 수평바(32)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수평바(32)에 걸리더라도 회전하는 간격유지부재(33)를 따라 수평바(3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서 레이크(15)를 하강시켜 메인스크린(3)에 낀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레이크(15)의 하강시 협잡물이 수평바(32)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는 간격유지부재(33)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여 메인스크린(3)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33)는 상기 수평바(32)와의 사이에 양측으로 절곡부싱(34)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간격유지부재(33)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에도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 The
상기 절곡부싱(34)은 상기 수평바(32)와 간격유지부재(33)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간격유지부재(33)의 마모를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싱(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이 둘레면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33)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간격유지부재(33)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싱(34)은 MC나일론(Mono Cast Nylon) 등의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형으로 수평바(32)에 삽입된다. The bending
상기 전위스크린(5)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스크린(3)의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상기 메인스크린(3) 사이를 통과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구성으로, 상기 메인스크린(3)의 수직바(31)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위스크린(5)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스크린(7)이 힌지결합하며, 상기 레이크(15)의 회전에 따라 개폐스크린(7)이 개폐되도록 하여 바닥면과 메인스크린(3)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개폐스크린(7)은 상기 전위스크린(5)의 상부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이크(15)의 회전에 따라 자동 개폐되며, 상기 전위스크린(5)과 메인스크린(3)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위스크린(5)의 상부에 힌지결합하는 차단부재(71)와, 상기 전위스크린(5)과 차단부재(7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재(71)를 메인스크린측으로 당기는 탄성부재(72)와, 상기 차단부재(71)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메인스크린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역회전개방부(73)를 포함한다. The opening and
상기 차단부재(71)는 상기 개폐스크린(7)의 상부에 힌지결합하며, 전위스크린(5)과 메인스크린(3)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부재(71)에는 전위스크린(5)과 연결된 탄성부재(72)가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재(71)가 최대한 상기 메인스크린(3) 측으로 근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이크(15)가 차단부재(71)를 지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차단부재(71)가 메인스크린(3)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71) 중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차단부재(71)는 상측 끝단에 상기 역회전개방부(73)를 형성하여 상기 레이크(15)의 역회전시에도 차단부재(7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locking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전위스크린(5)과 차단부재(7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71)를 메인스크린(3) 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부재(71)가 최대한 메인스크린(3)에 근접하고, 레이크(15)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역회전개방부(73)는 상기 차단부재(71)의 상측 끝단, 바람직하게는 차단부재(71) 중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차단부재(71)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메인스크린(3)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레이크(15)의 역회전시 상기 레이크(15)가 상기 역회전개방부(73)를 밀어 차단부재(7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71)는 레이크(15)의 정회전, 역회전에 상관없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메인스크린(3)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reverse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개폐스크린(7)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10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으로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재(71)가 레이크(15)에 걸려 @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상기 레이크(15)가 통과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당겨져 다시 메인스크린(3)과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이크(15)가 메인스크린(3)의 전면을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15)는 상기 역회전개방부(73)를 밀어 차단부재(71)가 @ 방향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하며, 역시 레이크(15)가 통과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당겨져 다시 메인스크린(3)과 근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역회전개방부(73)에 의하여 역회전시에도 차단부재(71)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레이크(15)의 역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메인스크린(3)에 낀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본원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제진부
11: 프레임 12: 인양체인
13: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구동부하측정모듈
14: 제어부 141: 정회전모듈 142: 과부하감지모듈
143: 역회전모듈 144: 비상복귀모듈
15: 레이크 151: 레이크날 151a: 삽입부 151b: 인양부
152: 레이크날지지부 152a: 삽입측지지부
152b: 인양측지지부 152b-1: 함입부
3: 메인스크린
31: 수직바 32: 수평바 33: 간격유지부재
34: 절곡부싱
5: 전위스크린
7: 개폐스크린
71: 차단부재 72: 탄성부재 73: 역회전개방부1:
11: Frame 12: Lifting chain
13: driving part 131: driving motor 132: driving load measuring module
14: control unit 141: forward rotation module 142: overload detection module
143: Reverse rotation module 144: Emergency return module
15: rake 151:
152:
152b: a raised
3: Main screen
31: vertical bar 32: horizontal bar 33:
34: Bending bushing
5: Dislocation screen
7: opening and closing screen
71: blocking member 72: elastic member 73: reverse rotation opening
Claims (8)
상기 제진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양측에 스크린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인양체인과, 상기 인양체인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스크린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와, 상기 인양체인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부하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인양체인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레이크가 역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스크린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복수의 수직바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바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각 수직바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수평바 사이에 삽입되는 절곡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수평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절곡부싱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양측에 삽입되고, 둘레면이 'ㄴ'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스크린은 상기 전위스크린의 상부에 힌지결합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전위스크린과 차단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메인스크린측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메인스크린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역회전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개방부는 상기 레이크의 역회전시 측면 모서리가 레이크와 접촉하여 메인스크린의 반대측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의 역회전시에도 역회전개방부 및 레이크의 손상 없이 개폐스크린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A main screen installed on a water channel of sewage, wastewater,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or a rainwater drainage pump station to filter out contaminants; A damping portion for lifting up and discharging the dirt trapped on the main screen; A disposable screen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screen to filter contaminants pass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main screen; And an open / close screen that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ke and blocks a space between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and the main screen,
The crush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rames fixedly installed along the screen on both sides of the main screen, a lifting chain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nd rotated, and a clogging portion attached to the lifting chai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driving load of the driving unit, reversely rotates the lifting chain when an overload occurs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The main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each other; A gap holding member inserted in the horizontal bar an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vertical bars; And a bending bush inserted between the gap holding member and the horizontal bar,
Wherein the gap holding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The bending bush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gap holding member and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bent in an '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screen comprises: a blocking member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electric potential screen and the blocking member to pull the blocking member toward the main screen; And a reverse rotation part formed by being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The reverse rotation opening portion allows the side edge of the rak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ake and rotat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screen,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screen without damaging the reverse rotation opening and the rake, even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ake Features a rotary damper.
상기 인양체인과 연결되어 인양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부하를 측정하는 구동부하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크가 상기 메인스크린의 전면에서 상승하도록 인양체인을 회전시키는 정회전모듈과, 상기 구동부하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구동모터의 구동부하값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과부하를 판단하는 과부하감지모듈과, 상기 과부하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레이크가 상기 메인스크린의 전면에서 하강하도록 인양체인을 회전시킨 후 역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lifting chain to provide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lifting chain; and a driving load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a driving load of the driving motor,
Wherein,
An overload detection module for comparing the driving load value of the driving motor measured by the driving load measurement module with a set value to determine an overload; And a reverse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lifting chain such that the rake is lower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when an overload of the driving motor is detected by the overload detection module.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레이크를 역회전시킨 후 자동으로 다시 상기 정회전모듈에 의해 레이크가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verse rotation module
So that the rake is caused to rise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by the forward rotation module automatically after the lap is reversed for the set time.
상기 역회전모듈의 작동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상기 과부하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정회전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레이크가 메인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는 비상복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overload of the drive motor is detected by the overload detection modul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reverse rotation module, the forward rotation module is operated to raise the rake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cree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comprise a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5241A KR101695462B1 (en) | 2016-03-24 | 2016-03-24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5241A KR101695462B1 (en) | 2016-03-24 | 2016-03-24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5462B1 true KR101695462B1 (en) | 2017-01-23 |
Family
ID=5798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5241A KR101695462B1 (en) | 2016-03-24 | 2016-03-24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546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969A (en) * | 2016-10-13 | 2018-04-23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1906201B1 (en) * | 2017-12-27 | 2018-10-11 | 주식회사 대진산업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Floating Waste on Waterway Equipped with Detector and Removal Device of Floating Waste in Rake |
KR102032657B1 (en) * | 2018-12-07 | 2019-10-15 | 정근수 | Foreign object removal equipment for rake of dust separator and dust separator comprising the same |
KR20200020041A (en) | 2018-08-16 | 2020-02-26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Equipped with Rotating Front Screen Working with Rake and Adulteration Removal Device |
KR102459781B1 (en) | 2022-09-01 | 2022-10-26 | 윤병화 | Rotary screen with hopper type rake for removal of underwater debri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6423A (en) * | 2003-07-16 | 2005-02-10 | Shin Meiwa Ind Co Ltd | Horizontal bar screen device |
KR20070022378A (en) * | 2007-02-06 | 2007-02-26 | 이종석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
KR101074826B1 (en) * | 2010-07-14 | 2011-10-19 | 이정애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a drainageway |
KR101250253B1 (en) * | 2012-11-23 | 2013-04-04 | 주식회사 아이엔텍 | Rotary type scraper |
-
2016
- 2016-03-24 KR KR1020160035241A patent/KR1016954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6423A (en) * | 2003-07-16 | 2005-02-10 | Shin Meiwa Ind Co Ltd | Horizontal bar screen device |
KR20070022378A (en) * | 2007-02-06 | 2007-02-26 | 이종석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
KR101074826B1 (en) * | 2010-07-14 | 2011-10-19 | 이정애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a drainageway |
KR101250253B1 (en) * | 2012-11-23 | 2013-04-04 | 주식회사 아이엔텍 | Rotary type scrap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969A (en) * | 2016-10-13 | 2018-04-23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1962440B1 (en) | 2016-10-13 | 2019-03-26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1906201B1 (en) * | 2017-12-27 | 2018-10-11 | 주식회사 대진산업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Floating Waste on Waterway Equipped with Detector and Removal Device of Floating Waste in Rake |
KR20200020041A (en) | 2018-08-16 | 2020-02-26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Equipped with Rotating Front Screen Working with Rake and Adulteration Removal Device |
KR102093753B1 (en) * | 2018-08-16 | 2020-04-23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Equipped with Rotating Front Screen Working with Rake and Adulteration Removal Device |
KR102032657B1 (en) * | 2018-12-07 | 2019-10-15 | 정근수 | Foreign object removal equipment for rake of dust separator and dust separator comprising the same |
KR102459781B1 (en) | 2022-09-01 | 2022-10-26 | 윤병화 | Rotary screen with hopper type rake for removal of underwater debri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5462B1 (en)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
KR100987812B1 (en) | dust removing machine for sewage and draining disposal | |
KR100540219B1 (en) | Adultration removing method of a link type dash pot and link type dash pot thereof | |
KR101893203B1 (en) | Screen for removing contaminants with spring cap embedded rake | |
KR101373531B1 (en) | Rotary dust separator using automatic unit separating scraps and running method thereof | |
KR101964591B1 (en) | Rotary type scraper | |
KR101544800B1 (en)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Coarse and Fine Dust | |
KR101751812B1 (en) | Lifting rotary type dust removing apparatus) | |
KR101074826B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a drainageway | |
KR101406712B1 (en) | Apparatus with double screen for removing trash | |
KR101254450B1 (en) | An apparatus for with drawing the sludge on a screen | |
KR101906201B1 (en)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for Floating Waste on Waterway Equipped with Detector and Removal Device of Floating Waste in Rake | |
KR101695428B1 (en) | Rotary type dust remover | |
US7220361B2 (en) | Torque-limited driv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creening system | |
KR101738353B1 (en) | Rotary type scraper | |
KR101331968B1 (en) | A rotary screen which is possessed of a cutting apparatus | |
KR102093753B1 (en) | A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Equipped with Rotating Front Screen Working with Rake and Adulteration Removal Device | |
KR101738635B1 (en) | Dust removing machine of Front screen front and rear reciprocating device | |
KR100746924B1 (en) | Screen for use of waste water treatment | |
KR101594101B1 (en) | In/out dust remover | |
KR101922149B1 (en) | Trash removing apparatus | |
KR101931526B1 (en) | Sewage pre-treatment station with screen and trash separator using the same | |
KR102132902B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with up-down structure of front scren | |
KR101789253B1 (en) | Vertical screen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 |
KR101824663B1 (en) | Dust removing machine with adulteration detecting sens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