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695B1 - 강판 클램프 - Google Patents

강판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695B1
KR101694695B1 KR1020150099819A KR20150099819A KR101694695B1 KR 101694695 B1 KR101694695 B1 KR 101694695B1 KR 1020150099819 A KR1020150099819 A KR 1020150099819A KR 20150099819 A KR20150099819 A KR 20150099819A KR 101694695 B1 KR101694695 B1 KR 10169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pring
body pieces
steel plat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김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기 filed Critical 김동기
Priority to KR102015009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ㄷ'형 개구부를 갖는 한 쌍의 제1,2바디편; 상기 개구부의 하단인 제1,2바디편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고정된 하부평판; 상기 제1,2바디편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힌지공과, 상기 힌지공을 기점으로 삼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링크공 및 하부링크공을 갖는 작동부재; 상기 하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작동블럭;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고정된 상부평판; 일단은 상기 상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바디편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구동부재; 상기 제1,2바디편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제1,2바디편 사이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조작부재;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의 선단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블럭이 사선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강판을 하부평판과 상부평판이 맞물어 면접촉 상태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판 클램프{STEEL PLATE CLAMP}
본 발명은 강판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LNG선 및 각종 화학탱크의 플랜트 제작에 소용되는 비철(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 금속자재에 클램프의 물림자국이 없도록 하면서 조작이 쉽고 무엇보다도 캠(cam)의 운동을 회전방식이 아닌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고 맞무는 면적을 넓게 하여 금속판을 들어올리는 것은 물론 세울 때 충분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Clamp)는 조선소나 건설현장 등에서 대형 혹은 중량의 철골이나 강판 등의 철판소재를 크레인으로 이송할 때 사용되거나 또는 조선, 해양, 각종 건축 플랜트의 철골 조립을 위한 체인블럭이나 레버블럭의 후크 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공구이며, 주로 스크류 방식으로 조이고 풀면서 클램핑하는 스크류형 죠(Jaw)를 갖는 스크류 클램프이다.
이러한 스크류 클램프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본 출원인은 다양한 종류에 따른 기술적 특징들을 갖는 다수의 스크류 클램프를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데, 이를 테면 등록실용 제0394167호, 등록특허 제0540139호, 등록특허 제1044278호, 등록특허 제1002943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스크류 클램프와 달리 캠(cam)을 일정 반경 내에서 회동시켜 강판을 물어 리프팅하는데 사용되는 비스크류형 클램프, 이를 테면 강판 클램프도 다수 사용된다.
이와 같은 회동식 강판 클램프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하단지지부(12)와 상단지지부(14)를 갖고 'ㄷ'형 홈을 구비한 클램프본체(10), 상기 하단지지부(12)에 고정된 하부죠(20), 상단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부캠(40), 상기 상부캠(40)을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링크(50), 상기 링크(50)를 작동시키는 회동섀클(60), 상기 회동링크(50)에 결속된 안전 잠금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섀클(60)을 밀면 캠(40) 및 링크(50)가 연동되면서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캠(40)을 축(3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하부죠(20)와의 사이 간격을 벌려 맞물림을 해소하고, 반대로 섀클(60)을 당기면 상부캠(40)이 축(3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죠(20)와의 사이 간격을 좁혀 맞물리게 된다.
때문에, 금속판, 즉 강판이 상기 상부캠(40)과 하부죠(20) 사이에 있게 되면 캠과 죠에 의해 맞물리게 되므로 클램핑이 가능하며, 클램핑된 상태로 리프팅되어 원하는 개소로 이동하거나 혹은 강판 설치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회동식 강판 클램프는 상부캠(40)이 회전되면서 맞물기 때문에 강판의 두께가 얇거나 두꺼운 것에 상관없이 두께별로 맞무는 위치가 달라지면서 맞물수 있어 그 효용성이 매우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회전하면서 생기는 상부캠(40)과 하부죠(20) 사이의 간격 변화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맞물리는 강판의 물림지점은 국부적으로 매우 협소하다.
즉, 그 만큼 파지력이 약하다는 의미가 된다.
때문에, 강판을 들어 올리는 데에는 거의 수직방향으로의 하중만 작용하므로 큰 문제가 없지만, 강판을 세울 때에는 파지력이 떨어져 작업환경에 따라 미끄러짐 발생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 하부죠(20)와 상부캠(30)에 다수의 톱니형 요철을 두어 미끄러짐을 방지해보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맞무는 면적이 적어 역시나 강판 세우기 작업에는 적당하지 않다.
한편, LNG선 혹은 화학용 탱크의 건조시 사용되는 강판을 이송하거나 파지할 때 상기 회전식 강판 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다.
즉, LNG선이나 화학용 탱크선의 경우에는 강판을 클램핑한 지점에 물린 자국이 남을 경우 건조 후 사용과정에서 충전된 LNG나 화학약품의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변동이 심할 때 내부저항(내부압)이 물린 자국에 집중되면서 폭발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들 선박의 경우에는 톱니형 요철을 가진 이빨 자국 생성이 가능한 클램프는 사용이 배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회동식 강판 클램프는 도 1의 예시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두께와 상관없이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클램핑하는 부위가 거의 선접촉에 불과하기 때문에 파지력이 떨어져 강판 리프팅에는 문제없지만 강판을 세우는 작업에는 사용키 어렵고, 이빨 자국이 생기기 때문에 LNG선이나 화학용 탱크선 등에는 작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커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시급한 당면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LNG선 및 각종 화학탱크의 플랜트 제작에 소용되는 비철(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 강판을 들어 올리거나 세울 때 클램프의 물림자국이 없도록 하면서 강판이 맞물리는 부위를 최대한 넓게 하고 맞물린 지점에서 수직하중을 직접 받도록 하여 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물림 자국도 발생하지 않도록 한 강판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ㄷ'형 개구부를 갖는 한 쌍의 제1,2바디편; 상기 개구부의 하단인 제1,2바디편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고정된 하부평판; 상기 제1,2바디편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힌지공과, 상기 힌지공을 기점으로 삼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링크공 및 하부링크공을 갖는 작동부재; 상기 하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작동블럭;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고정된 상부평판; 일단은 상기 상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바디편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구동부재; 상기 제1,2바디편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제1,2바디편 사이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조작부재;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의 선단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블럭이 사선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강판을 하부평판과 상부평판이 맞물어 면접촉 상태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를 고정하는 축 상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환형상의 스프링가이드가 끼워지고; 상기 제1,2바디편의 선단에는 스프링고정핀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블럭을 항상 수직하게 유지시키는 수직유도스프링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직유도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블럭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블럭의 상단은 상기 스프링고정핀 및 스프링가이드 보다 항상 아래에 위치되게 배열되어 수직유도스프링이 항상 스프링고정핀 쪽으로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평판은 일부 매립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평판의 저면 중심은 0.1-0.2mm의 범위에서 하방향으로 배부르게 설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캠의 유동을 수직 왕복운동에 가깝게 전환시켜 강판을 맞무는 면적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클램핑시 파지력을 현저히 증대시켜 강판을 들어올리는 것은 물론 세우는 작업도 원활하게 유지하며, 특히 톱니형 이빨이 없어 이빨 자국이 생기지 않으므로 LNG선은 물론 화학용 탱크선 제작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동식 강판 클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클램프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클램프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클램프의 예시적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클램프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클램프는 일측에 'ㄷ'형상의 개구부(OPEN)를 갖는 판형상의 제1,2 바디편(100,110) 한 쌍을 포함한다.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OPEN) 반대편에서 다수, 바람직하게는 하부고정핀(120a)과 상부고정핀(120b) 두 개를 통해 서로 간격이 유지된 채 결속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각 개구부(OPEN) 하단은 블럭 또는 편상의 연결부재(130)를 통해 연결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30)의 표면에는 일정깊이 요홈(132)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요홈(132)에는 하부평판(1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볼트(B1)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평판(134)은 종래 하부죠(lower jaw)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하부죠는 톱니형 이빨(치형)이 형성된 돌출형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평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평판(134)을 고정하는 제1볼트(B1)는 볼트머리가 상기 하부평판(134)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매립되게 설치되어 평판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강판이 안착되어 맞물을 때 강판의 하면에 스크래치 등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OPEN)측 제1,2바디편(100,110)의 단부 상면은 경사형성되고, 결속부재(140)를 통해 상호 제2볼트(B2)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개구부(OPEN)측 단부가 힘을 받았을 때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된다.
특히, 상기 결속부재(140)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결속부재(14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속부재(140) 속으로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개구부측 단부가 삽입되게 구성되며, 제1,2바디편(100,110)의 단부 상면에는 결속홈(142)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부재(140)가 상기 결속홈(142)에 끼워지도록 하는 이중 끼움구조를 갖추면 강한 힘에도 저항할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결속부재(140)측 단부에는 각각 제1축공(150)이 관통형성되고, 그 반대쪽 제2바디편(110)에는 제2축공(160)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축공(160)는 제1,2바디편(100,110)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면 되는데, 보통 오른손잡이가 많기 때문에 제2바디편(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왼손잡이를 위해 제1바디편(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1,2바디편(100,110) 모두에 제2축공(160)을 형성해 둔 후에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1축공(150)에는 제1축(152)이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제1축(152)은 작동부재(200)의 일부, 더 정확하게는 힌지공(2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200)는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 블럭으로서 외형은 모두 라운드처리되어 동작의 원활성 확보 및 동작시 간섭현상 배제를 위해 설계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3개의 구멍을 포함하는데, 3개의 구멍은 각 원중심을 가상선으로 연결했을 때 삼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3개의 구멍은 상기 제1축(152)이 관통되어 상기 작동부재(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공(210)을 비롯하여 조립배치상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링크공(220), 조립배치상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링크공(230)이 그것이다.
또한, 상기 제1축공(150) 주변에 위치되되, 제1축공(150) 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결속홈(142)이 형성된 단부에 이를 관통하여 핀공(170)이 형성되며, 상기 핀공(170)에는 스프링고정핀(172)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고정핀(172)에는 수직유도스프링(174) 한 쌍의 각 일단이 각각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축(152)에는 한 쌍의 스프링가이드(176)가 끼워지는데, 상기 스프링가이드(176)는 둘레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요입된 스프링홈(178, 도 5 참조)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20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홈(178)에는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가이드(176)는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이 유동될 때 이탈되지 않고 제위치를 고수하면서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스프링 가이드 베어링이다.
이때,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이 없어도 작동블럭(300)이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강판을 파지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동작원활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수직유도스프링(174)을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링크공(220)에는 작동블럭축(180)이 끼워진다.
상기 작동블럭축(180)은 상기 하부링크공(220)과 작동블럭(300)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재(200)에 작동블럭(300)을 결속시키기 위한 샤프트이다.
이때, 상기 작동블럭(3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블럭평판(310) 위에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고정편(320)이 일체를 이루면서 돌출된 대략 'ㅛ'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블럭평판(310)의 저면에는 홈(312)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홈(312)에는 상부평판(330)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평판(330)은 상술한 하부평판(134)과 대응되는 일종의 상부캠(Upper cam)로서 기존과 달리 알루미늄 평판상으로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하부평판(134)과 함께 강판을 물게 되면 평판끼리 접촉되므로 톱니형 이빨, 즉 치형이 없어 맞무는 지점에서 이빨 자국이 생기지 않는다.
더구나, 평판이 넓은 면적에 걸쳐 접지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선상으로 접지되는 것에 비해 현저히 큰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이에 더하여, 국부적으로 고정점이 생기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평판(330)의 중심이 약간 배부르게 구성하면 파지력, 즉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는데 이것은 배부른 지점의 정점에 국부적으로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강한 힘이 응집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렇다고, 배부른 부위를 크게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오는데, 그것은 접지면적인 다시 국소화되면서 파지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부르게 하는 정도는 평면에 비해 약 0.1-0.2mm 범위에서 라운드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거의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지만 국부적인 하중 집중을 유도하는데 큰 효과를 나타내며 미소하기 때문에 맞물은 지점이 움직이더라도 곧바로 배부른 지점은 넘어선 다른 평판면이 접지되므로 단순한 점접촉이나 선접촉과는 전혀 다른 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320)에는 이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작동블럭축공(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320)의 각 상단면에는 스프링고정슬릿(324)이 수직하방으로 일정깊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슬릿(324)을 각각 수직하게 관통하여 스프링고정축(326)이 끼워 고정된다.
때문에, 상술한 수직유도스프링(174)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고정슬릿(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고정축(326)에 의해 결속된다.
이렇게 조립되면, 수직유도스프링(174)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고정핀(172)에 결속되고, 수직유도스프링(174)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고정축(326)에 결속되며,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은 상기 스프링가이드(176)의 스프링홈(178)에 삽입된 상태로 이를 경유하여 배열되되, 상기 스프링고정핀(172)과 상기 스프링가이드(176)는 상기 스프링고정축(326) 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작동블럭(300)의 회전중심은 상기 작동부재(200)의 회전중심 보다 아래이면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은 항상 상기 스프링고정핀(172) 쪽으로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블럭(300)은 상기 수직유도스프링(174)의 작동에 따라 항상 똑바로 세워진 상태,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작동부재(200)의 상부링크공(230)에는 구동부재(400)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400)는 약간 '>'형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제1,2구동편(410,420)이 서로 간격을 유지한 채 결속되며, 제1,2구동편(410,420)의 선단에 결속된 선단결속핀(430)이 상기 상부링크공(230)에 끼워져 회동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작동부재(200)는 상기 제1,2구동편(410,4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선단결속핀(430)으로 핀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선단결속핀(430)과 간격을 두고 상측에는 코일스프링핀공(440)이 제1,2구동편(410,420) 각각에 대향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핀공(440)에는 코일스프링핀(45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코일스프링핀(450)에는 코일스프링(460)의 일단이 결속된다.
이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460)은 당연히 상기 제1,2구동편(410,4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400)의 후단은 결속공(410,420) 중간에 섀클(60)을 끼워 섀클핀(470)을 통해 상기 제1,2바디편(100,110)의 개방부(OPEN) 반대쪽 단부 내측 후단 결속핀의 가이드 홈에 핀이 고정되어 구동부재(400)와 섀클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섀클핀(470)에는 섀클(SCH)이 체결되어 크레인 줄걸이용으로 사용되도록 안내하는데, 도시 설명의 편의상 섀클(SCH)은 도 3에만 분해도시하였고, 나머지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술한 제2축공(160)에는 파지축(510)이 끼워지는데, 상기 파지축(510)은 상기 제2축공(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시상 제2바디편(110)을 사이에 두고 양단에 각각 조작부재(500)와 구동유도부재(520)가 끼워진 후 핀고정되어 파지축(510)과 일체를 이룬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유도부재(520)에는 고정돌기(530)가 돌출되는데, 상기 고정돌기(530)에는 코일스프링(460)의 타단이 걸림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강판을 개구부(OPEN)에 넣고 클램핑하기 위해 조작부재(500)를 잡고 누른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재(500)는 파지축(510) 및 구동유도부재(52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구동유도부재(520)에는 고정돌기(530)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530)에는 코일스프링(460)의 타단이 결속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460)이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460)의 일단이 당겨지는데, 이때 코일스프링(460)의 일단은 코일스프링핀(450)에 결속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핀(450)은 구동부재(440)의 선단(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구동부재(400)의 선단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것은 상기 구동부재(400)의 후단이 샤클핀(470)에 의해 제1,2바디편(100,110)의 후단, 즉 개구부(OPEN) 반대단 쪽 바디 양편 섀클핀 가이드 홈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400)의 선단이 들어 올려지면 구동부재(400)의 선단이 선단결속핀(430)으로 체결되어 있는 작동부재(200)가 따라 올라가려고 하는데, 상기 작동부재(200)는 제1축(152)에 의해 제1,2바디편(100,110)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이동하지는 못하고 상기 제1축(15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부재(400)가 이동한 만큼 높이를 보상한다.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200)의 하측인 하부링크공(220)에 링크되어 있던 작동블럭(300)이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블럭(300)은 상단이 한 쌍의 수직유도스프링(174)에 의해 당겨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 채 그대로 하강하게 된다.
다시 말해, 회전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작동부재(200)의 하단인 블럭평판(310)은 수평상태 그대로 하강하면서 블럭평판(31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평판(330)이 강판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접지되어 강한 힘으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상부캠이 회전하면서 강판 상면을 가압하여 맞물었던 것과 달리, 방향만 사선방향이지 직선운동, 더 정확하게는 사선방향으로 그대로 하강하면서 가압하여 압착하는 형태로 맞물게 된다.
때문에, 수평상태의 상부평판(330)이 수평상태 그대로 하강하여 눌러 맞물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매우 넓다. 즉, 상부평판(330) 전체면적이 그대로 접촉면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국부적인 접촉, 즉 선접촉에 불과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면접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면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안정성이 증대되어 강판을 들어올리는 것 뿐만 아니라, 세우는 작업도 가능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그만큼 급격히 향상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접지되는 면이 수평면이고 이빨이 없기 때문에 이빨 자국(스크래치)이 발생하지 않아 특히, LNG선 건조시 혹은 화학약품 탱크선 건조시 매우 유용한다.
반면에, 클램프를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500)를 반대방향으로 제끼면 상술한 반대동작이 일어나면서 상부평판(330)이 사선방향으로 상승하여 물었던 강판을 풀게 되므로 강판을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개념을 완전히 뒤집어서 회전운동으로만 국한되어 있던 종래 클램프 구조를 직선 왕복상하운동으로 바꿈으로써 선접촉에 불과했던 파지부위를 면접촉으로 전화시킬 수 있어 그 만큼 파지력을 증대시키고, 파지안정성을 높여 작업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제1바디편 110: 제2바디편
200: 작동부재 300: 작동블럭
400: 구동부재 500: 조작부재

Claims (3)

  1. 'ㄷ'형 개구부를 갖는 한 쌍의 제1,2바디편; 상기 개구부의 하단인 제1,2바디편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고정된 하부평판; 상기 제1,2바디편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힌지공과, 상기 힌지공을 기점으로 삼각형상으로 배열된 상부링크공 및 하부링크공을 갖는 작동부재; 상기 하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작동블럭;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고정된 상부평판; 일단은 상기 상부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바디편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구동부재; 상기 제1,2바디편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제1,2바디편 사이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갖는 조작부재;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의 선단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블럭이 사선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진 강판을 하부평판과 상부평판이 맞물어 면접촉 상태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고정하는 축 상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환형상의 스프링가이드가 끼워지고; 상기 제1,2바디편의 선단에는 스프링고정핀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블럭을 항상 수직으로 유지시키는 수직유도스프링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직유도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블럭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블럭의 상단은 상기 스프링고정핀 및 스프링가이드 보다 항상 아래에 위치되게 배열되어 수직유도스프링이 항상 스프링고정핀 쪽으로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평판은 일부 매립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평판의 저면 중심은 0.1-0.2mm의 범위에서 하방향으로 배부르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클램프.
KR1020150099819A 2015-07-14 2015-07-14 강판 클램프 KR10169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19A KR101694695B1 (ko) 2015-07-14 2015-07-14 강판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19A KR101694695B1 (ko) 2015-07-14 2015-07-14 강판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695B1 true KR101694695B1 (ko) 2017-01-10

Family

ID=5781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19A KR101694695B1 (ko) 2015-07-14 2015-07-14 강판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9866A (ja) * 1989-08-30 1991-08-05 Crosfield Electronics Ltd 入力スキャナ用の透明画体の装着方法およびフィルム状透明画体保持器
JPH0631154B2 (ja) * 1990-11-26 1994-04-27 株式会社スーパーツール 吊り下げクランプ
JPH07277669A (ja) * 1994-04-05 1995-10-24 Suupaa Tool:Kk 吊下装置
JP3179866B2 (ja) * 1991-06-03 2001-06-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放射性物質吸着剤
KR200336673Y1 (ko) * 2003-10-06 2003-12-18 김동기 수직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9866A (ja) * 1989-08-30 1991-08-05 Crosfield Electronics Ltd 入力スキャナ用の透明画体の装着方法およびフィルム状透明画体保持器
JPH0631154B2 (ja) * 1990-11-26 1994-04-27 株式会社スーパーツール 吊り下げクランプ
JP3179866B2 (ja) * 1991-06-03 2001-06-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放射性物質吸着剤
JPH07277669A (ja) * 1994-04-05 1995-10-24 Suupaa Tool:Kk 吊下装置
KR200336673Y1 (ko) * 2003-10-06 2003-12-18 김동기 수직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421A (en) Lifting clamp
US20130320686A1 (en) Magnetic lifting device
CN2897963Y (zh) 一种夹具
US4530536A (en) Lifting tongs
KR100777331B1 (ko) 스트래핑 재료의 두 부분 사이에 밀착부(seal)를 형성하고 이 스트래핑 재료의 상부층을 절단하기 위한 스트래핑 기계
CN107414359B (zh) 一种夹爪及取料机构
US7490882B2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KR102161788B1 (ko) 부품 이송장치용 그리퍼
US4452481A (en) Lifting tongs
US3336068A (en) Lifting clamp
US6609742B1 (en) Lifting apparatus for manipulating manhole castings and the like
KR101694695B1 (ko) 강판 클램프
WO2020053340A1 (de) Einbox-greifersystem
US7819448B2 (en) Plate lifting clamp
EP2142462B1 (en) Lifting clamp
US5873615A (en) Grapple
RU183551U1 (ru) Эксцентриковый захват
US3356406A (en) Lifting clamp
CA2504036A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landscaping and other similar materials
JP2006312530A (ja) 吊上げ治具
US2226456A (en) Post puller
US20200282523A1 (en) Interchangeable Jaw Pliers
GB2486200A (en)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tubular members
CN206798982U (zh) 一种高可靠性的汽车板簧移动装置
CN207104164U (zh) 一种定位加工工装和定位加工工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