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441B1 -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441B1
KR101694441B1 KR1020150028544A KR20150028544A KR101694441B1 KR 101694441 B1 KR101694441 B1 KR 101694441B1 KR 1020150028544 A KR1020150028544 A KR 1020150028544A KR 20150028544 A KR20150028544 A KR 20150028544A KR 101694441 B1 KR101694441 B1 KR 10169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nozzle
pressure
injection uni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190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2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4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25Driving of pistons coacting within on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며, 개폐 가능한 유출구를 구비하여 액체의 외부 유출에 따라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인젝션 유닛; 및 인젝션 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인젝션 유닛의 액체 유출에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드라이빙 유닛을 포함하여, 액체 비주입시에는 액체가 대기로 증발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INJECTING APPARATUS OF FLUID FOR PREVENTING BEING VAPORIZED THEREFROM}
본 발명은 액체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인산염 처리를 위한 액체를 탱크로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인산염 시뮬레이터 가동시에는 탱크의 내부로 액체를 유입시키되, 비가동시에는 탱크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액체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하게 되는 액체 주입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철강의 화학적 처리를 위한 공정 중, 인산염 처리 공정은 탈지(Spray/침지), 세정, 표면 조정, 인산염 처리, 세정 및 건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탈지와 표면 조정, 인산염 처리는 일정한 비율로 제조된 용액을 탱크에 저장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탱크에 수용하고자 하는 액체는 외부의 기기나 장치들로부터 자동 유입시키거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는 경우, 유독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액체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의 발생의 우려가 존재하였으며, 자동 유입의 경우 역시 액체의 자연 기화 예컨대 증발과 같은 현상에 의해 현장의 공기는 각종 화학 물질로 오염될 수 있음은 물론, 유독하지 않은 액체라 할지라도, 자연 증발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액체를 특정 장치로부터 타 장치로 유입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적인 시도는 철강 제조 공정 뿐만 아니라, 기타의 약품, 식품, 혹은 화학 처리 공정 등에서도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예시로는 "무동력 공급액체 정량 주입 장치(공개 번호 제10-2014-0131404호)"가 있는데, 이는 저장조(110)와 공급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펀관(120); 사이펀관(120)의 타단 측부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체결되는 공기 조절관(130); 그리고 공기 조절관(130) 내부 압력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140); 사이펀관(12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액체(111)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50); 및 공기 조절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개폐밸브(170)을 구성으로 한다.
또한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토출 방법(공개 번호 제10-2014-7024929호)" 역시 존재하는데 이는 토출구와 연통되며,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액실; 피스톤과 연결되어 액실 내를 진퇴하는 플런저; 플런저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체; 피스톤실이 설치된 본체; 가압 기체를 피스톤실에 공급하는 전자 밸브;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공개 번호 제10-2012-0084917호)"도 하나의 유사 영역 기술로 분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2 주사기(20) 내부의 액체가 제 1 주사기(10)의 내부(11)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주사기들(10, 20)이 겹쳐진 후, 제 2 주사기(20)의 내부 용액이 제 1 주사기 내부(11)로 유입됨을 요지로 한다.
이들 종래 기술들은 자동으로 액체를 타 장치 등으로 유입하려는 시도는 작업자의 유해환경에 노출을 방지하는데는 효과적이기는 하나, 교반 혹은 혼합하려는 액체가 증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KR 10-2014-0131404 A KR 10-2014-7024929 A KR 10-2012-0084917 A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혼합하려는 대상 액체를 작업의 개시 여부에 따라 자연 증발을 원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며, 개폐 가능한 유출구를 구비하여 액체의 외부 유출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인젝션 유닛; 및 상기 인젝션 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젝션 유닛의 액체 유출에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드라이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인젝션 유닛은, 상기 인젝션 유닛의 보디를 이루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노즐을 통하여 유출시키는 실린더 케이스; 및 상기 드라이빙 유닛으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아,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액체를 가압하여, 액체를 상기 노즐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가압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유출관의 단면은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인젝션 유닛은, 상기 노즐의 외부단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의 출구를 개폐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캡은, 일측의 단면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며, 타측의 단면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일단이 상기 노즐의 외부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인젝션 유닛은, 일단이 상기 캡의 일측에 제공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 피스톤에 제공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유동에 따라 상기 캡이 유동되도록 하는 푸싱 로드(pushing ro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상기 가압 피스톤이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싱 로드의 일단에 제공된 상기 캡이 상기 노즐을 폐쇄하게 되며, 상기 가압 피스톤이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푸싱 로드는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유동되어 상기 캡을 상기 노즐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드라이빙 유닛은, 상기 가압 피스톤에 제공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플레이트부; 상기 가압 플레이트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부; 및 상기 압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압력을 상기 가압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압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상기 인젝션 유닛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수용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인젝션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액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하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된 부분의 저점에서 상기 액체를 유입하기 위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수용 탱크는, 상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힌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 가능한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상기 수용 탱크는, 하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실린더 케이스에 존재하는 액체를 가압 피스톤을 통하여 자동 주입하는바, 작업자의 유해환경으로의 노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액체의 탱크 유입시에만 노즐이 개방되도록 하여, 액체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가압 피스톤의 정확한 제어를 통하여,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고자 액체의 유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인젝션 유닛(injection unit, 100); 및 드라이빙 유닛(driving unit, 200)을 포함한다.
먼저, 대상 물질인 액체의 경우, 인젝션 유닛(100)에 수용되어 있다가, 인젝션 유닛(100)이 내부에 수용한 액체를 분출하는 경우, 도 1의 수용 탱크(300) 내부로 수용되고, 이후, 기타의 화학적 처리를 위한 작업이 수용 탱크(300) 내부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인젝션 유닛(100)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데, 수용 및 분출을 위한 액체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유출구(113)가 액체의 외부 유출시에만 개방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폐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드라이빙 유닛(200)은 인젝션 유닛(10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그 하부 및 측부에 제공되어, 인젝션 유닛(100)이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언급된 구성들을 설명하면, 인젝션 유닛(100)은 실린더 케이스(110); 및 가압 피스톤(120)을 포함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 케이스(110)는 인젝션 유닛(100)의 주요 몸체를 이루는 구성인데,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장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에는 액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용된 액체는 상부에 형성된 노즐(112)을 통해 배출된다.
실린더 케이스(110)는 다양한 액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는바, 내식성이 구비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평)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후술하게 되는 가압 피스톤(120)에 의해 밀봉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케이스(110)의 노즐(112)의 내부에는 유출구(11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출구(113)는 실린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의 단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111)에 수용된 액체가 빠른 속도로 배출되며, 동시에 외부에 액체가 적게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피스톤(120)으로 돌아가면, 가압 피스톤(120)은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아, 내부 공간(111)의 일측(도 2에서는 최하측을 의미하게 된다.)에서 타측(도 2에서는 최상측을 의미하게 된다.)으로 액체를 가압하여, 노즐(112)을 통하여 액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압 피스톤(120)의 둘레면은 실린더 케이스(110)의 내부면과 밀착성을 유지하며, 슬라이딩되며 액체를 가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가압 피스톤(120)의 둘레면에는 고무 패킹과 같은 내식성의 밀착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젝션 유닛(100)은 캡(13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캡(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12)의 외부단 즉, 도 2에서는 최상단에 제공되어, 노즐(112)의 출구를 개폐 가능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130) 역시 내식성의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캡(130)이 노즐(112)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노즐(112)의 유출구(113)를 봉쇄해야하는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3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혹은 측면에서 바라보면 역사다리꼴과 같이, 형성되어 하부의 면적보다 상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적은 면적의 하부는 노즐(112)의 유출구(113)에 일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노즐(112)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112)을 개폐하는 캡(130)은 단순히 노즐(112) 상에 얹혀 있거나 수작업을 통해 개폐하는 구성은 아니며, 그 개폐는 가압 피스톤(120)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인젝션 유닛(100)은 푸싱 로드(pushing rod,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로드(140)는 그 일단이 캡(130)의 일측(하면)에 제공되고, 그 타단이 가압 피스톤(120)에 제공되어, 가압 피스톤(120)이 상부로 이동하면, 푸싱 로드(140) 역시 상부로 이동되어, 캡(130)이 노즐(112)을 개방하도록 하게 된다.
즉, 가압 피스톤(120)이 내부 공간(111)의 일측(최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푸싱 로드(140)의 일단에 제공된 캡(130)이 노즐(112)을 폐쇄하고 있게 된다.
반면, 도 3(b), 3(c)와 같이, 가압 피스톤(120)이 내부 공간(111)의 타측(최상측)으로 소정의 거리(H)만큼 이동하는 경우, 푸싱 로드(140) 역시 소정의 거리(H)만큼 상향 유동되어 캡(130)을 노즐(112)로부터 이격시켜 노즐(112)을 개방시키게 된다.
역으로, 가압 피스톤(120)이 다시 내부 공간(111)의 최하측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푸싱 로드(140)는 캡(130)이 노즐(112)을 폐쇄하도록 압박시키게 된다.
드라이빙 유닛(200)은 가압 플레이트부(210); 압력 발생부(230); 및 압력 전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압 플레이트부(210)는 가압 피스톤(120)에 제공되어 가압 피스톤(120)압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가압 플레이트부(210)는 가압 피스톤(120)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가압 피스톤(120)의 단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가압 피스톤(120)이 내부 공간(111)의 내부로 잠입하는 경우에는 가압 플레이트부(210) 역시 내부 공간(111)으로 잠입할 수 있게 된다.
압력 발생부(230)는 가압 플레이트(210)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데, 전기 모터 혹은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압력 전달부(220)는 압력 발생부(230)가 발생시킨 압력을 가압 플레이트부(210)에 전달하는 구성인데, 압력 발생부(230)가 전기 모터와 같은 것으로 구현되면,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한 회전 운동을 1차원적 선형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켜, 이러한 전후 움직임에 의한 힘을 가압 플레이트부(210)로 전달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압력 발생부(230)가 유압 실린더와 같은 것으로 구현되면, 유압에 의한 전후 움직임을 가압 플레이트부(210)에 전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션 유닛(100), 보다 자세하게는 인젝션 유닛(100)의 노즐(112)에 연결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탱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탱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션 유닛(100)이 수직하게 기립하는 경우, 그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용 탱크(300)는 그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인젝션 유닛(100)이 분출하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수용 탱크(300)의 하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미도시)되어, 가장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인젝션 유닛(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 탱크(300)의 하면에 경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초기에 유입되는 적은 양의 액체라도 수용 탱크(300)의 하면에서 액체가 퍼지지 않고 한 부분에 모여 있도록 하여, 타 반응 액체들과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용 탱크(300)의 상면에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방구에는 힌지 연결되어 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32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용 탱크(300)의 하면의 일측에는 수용 탱크(300) 내 수용된 기타의 액체들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기(propelled stirrer, 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액체
100: 인젝션 유닛(injection unit) 110: 실린더 케이스
111: 내부 공간 112: 노즐
120: 가압 피스톤 130: 캡(cap)
140: 푸싱 로드(pushing rod) 200: 드라이빙 유닛(driving unit)
210: 가압 플레이트부 220: 압력 전달부
230: 압력 발생부 300: 수용 탱크
320: 커버 330: 교반기

Claims (12)

  1.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며, 개폐 가능한 유출구를 구비하여 액체의 외부 유출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인젝션 유닛; 및
    상기 인젝션 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젝션 유닛의 액체 유출에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드라이빙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젝션 유닛은,
    상기 인젝션 유닛의 보디를 이루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액체를 노즐을 통하여 유출시키는 실린더 케이스;
    상기 드라이빙 유닛으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아,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액체를 가압하여, 액체를 상기 노즐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가압 피스톤;
    상기 노즐의 외부단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의 출구를 개폐하는 캡; 및
    일단이 상기 캡의 일측에 제공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 피스톤에 제공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유동에 따라 상기 캡이 유동되도록 하는 푸싱 로드(pushing ro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유출구의 단면은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측의 단면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며, 타측의 단면은 상기 유출구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이 상기 노즐의 외부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피스톤이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싱 로드의 일단에 제공된 상기 캡이 상기 노즐을 폐쇄하게 되며,
    상기 가압 피스톤이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푸싱 로드는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유동되어 상기 캡을 상기 노즐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유닛은,
    상기 가압 피스톤에 제공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플레이트부;
    상기 가압 플레이트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부; 및
    상기 압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압력을 상기 가압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압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 장치는,
    상기 인젝션 유닛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수용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인젝션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액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탱크는,
    상기 하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된 부분의 저점에서 상기 액체를 유입하기 위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탱크는,
    상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힌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 가능한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탱크는,
    하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장치.
KR1020150028544A 2015-02-27 2015-02-27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KR10169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44A KR101694441B1 (ko) 2015-02-27 2015-02-27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44A KR101694441B1 (ko) 2015-02-27 2015-02-27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90A KR20160105190A (ko) 2016-09-06
KR101694441B1 true KR101694441B1 (ko) 2017-01-09

Family

ID=5694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544A KR101694441B1 (ko) 2015-02-27 2015-02-27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4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904A (ja) * 2001-08-30 2003-03-04 Pentax Corp 内視鏡用液体送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917A (ko) 2011-01-21 2012-07-3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140131404A (ko) 2013-05-02 2014-11-1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공급액체 정량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904A (ja) * 2001-08-30 2003-03-04 Pentax Corp 内視鏡用液体送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90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822B2 (ja) 安全操作噴霧機器
AU2009257142B2 (en) Rack and pinion drive for by-pass cartridge
JP7035003B2 (ja) 樹木注入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756130C (en) Syringe for single use
KR102048392B1 (ko) 이중 분배 장치
US20100108721A1 (en) Dispensing device for liquids
GB2310149A (en) Spray gun
KR101694441B1 (ko) 액체 증발 방지를 위한 액체 주입 장치
JP2012521235A5 (ko)
WO2002074390A1 (en) Apparatus for metering, mixing, and spraying component liquids
KR101158783B1 (ko) 약제 정량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약제 정량 분무장치
JP2021514828A5 (ko)
JP2015205242A (ja) 噴霧装置
KR20200015911A (ko) 오염 제거 장치, 시스템 및 오염 제거 방법
ES2930801T3 (es) Dispositivo de eyección de líquido para una instalación de lavado de vehículo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KR20210116935A (ko) 기액 혼합 분사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장치
US202103169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a first and a second agrochemical component
US20210341953A1 (en) Liquid ejection device for a vehicle washing facilit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H01317327A (ja) 薬液混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