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58B1 -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58B1
KR101693258B1 KR1020150164116A KR20150164116A KR101693258B1 KR 101693258 B1 KR101693258 B1 KR 101693258B1 KR 1020150164116 A KR1020150164116 A KR 1020150164116A KR 20150164116 A KR20150164116 A KR 20150164116A KR 101693258 B1 KR101693258 B1 KR 101693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base material
fastening hole
assembled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는, 차량용 내장재인 제1 모재와 제2 모재가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재에서 돌출형성되고 중앙에 개구된 중공이 마련된 보스; 상기 보스 아래쪽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 간 결합시 상기 제2 모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체; 상기 제2 모재에 형성되어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체결공; 및 상기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보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모재와의 조립시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면서 상기 보스를 상기 체결공 쪽으로 안내하는 조립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스에 조립유도체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모재 자체 구조의 단순화뿐만 아니라 보스 및 조립유도체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사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모재 상의 공간활용도를 증진할 수 있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A Boss Structure Having A Derivative Leads to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장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스와, 내장재 간 조립 위치의 정합을 유도하는 조립유도체를 통합한 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부프레임 내측에는 실내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각종 편의 구조를 형성하는 내장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내장재들은 차량의 경량화, 제조비용의 절감 및 신속한 조립성을 위해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내장재 상호 간의 결합은 열융착 보스 또는 스크류 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스크류 보스를 이용한 방식은 핀 형태의 보스가 형성된 제1 모재와 보스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2 모재를 서로 겹쳐서 보스의 단부가 제2 모재의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한 후 스크류를 통해 제2 모재를 가압하여 양측 모재가 서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식들은 모재의 부피가 커지고 단차를 갖는 복잡한 구조인 때에는 제1,2 모재에 형성된 다수 개의 보스와 보스 체결공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 위치에 정합(整合)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재 및 제2 모재에는 보스(3)와 별개로 형성되어 정확한 조립 위치를 잡아주는 용도(조립유도체)의 가조립용 후크(5)와 후크공(미도시)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조립용 후크(5)와 후크공은 보스(3) 구조와 별개로 형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모재 자체의 구조를 더욱 복잡하고, 사출성형의 효율성을 저감시키며, 모재 상의 공간활용 내지 공간이용을 저해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가조립용 후크(5)가 삽입되는 별도의 가조립용 후크공이 모재 상에 필요하고, 이렇게 협소한 슬릿 형상의 후크공에 가조립용 후크(5)를 정확히 위치시킨 후 삽입시켜야 전체적인 조립위치의 정합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조립 상의 어려움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조립용 후크(5)는 별도의 지지구조 없이 단독으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가조립시 부주의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45126호(공고일: 2008.07.09)는 '차량용 훅'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선행기술인 차량용 훅은, 보디(10)에 걸이홈(11)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배면 상부에 걸이편(12)을, 상기 걸이편(12)의 하부에 스크류 보스(13)를 형성하고, 센터 필라 트림(20)의 상부 후방 일측에 걸이편 삽입홀(21)과, 상기 걸이편 삽입홀(21)의 하부에 스크류 보스 삽입홀(22)을 형성하여서, 상기 걸이편(12)과 스크류 보스(13)를 상기 걸이편 삽입홀(21)과 스크류 보스 삽입홀(22)에 삽입한 후 센터 필라 트림(20)의 내측에서 스크류 보스(13)에 스크류(S)를 체결한 훅에 있어서, 상기 훅 보디(10)에 ㄷ형 탄성편(51)을 센터 필라 트림(20)을 센터 필라 인너 패널(36)에 결합할 때 센터 필라 인너 패널(36)에 형성한 플랜지(37)에 접촉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차량의 센터 필라 트림에 부설하여 코트, 핸드백, 쇼핑 백 등을 걸어 둘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업공수를 절감하며, 결합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본 선행기술의 구조는 조립위치의 정합을 보스와 별개로 형성된 걸이편을 통해 조립위치의 정합을 꾀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다를 바 없고, 걸이편을 걸이편 삽입홀에 끼워 넣어 조립위치의 정합을 이룬 후 스크류 보스를 다시 스크류 보스 삽입홀에 끼워넣는 2단계의 과정을 거침에 따라 걸이편이 없는 경우보다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등, 상술한 도 5의 문제를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45126호(공고일: 2008.07.09)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유도체를 별개로 단독 형성하지 않고 보스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모재 자체 구조의 단순화 및 강성증대를 이룰 수 있고, 사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모재 상의 공간활용도를 증진함과 아울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조립유도체와 보스 간의 통합을 이룬 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용 내장재인 제1 모재와 제2 모재가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재에서 돌출형성되고 중앙에 개구된 중공이 마련된 보스; 상기 보스 아래쪽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 간 결합시 상기 제2 모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체; 상기 제2 모재에 형성되어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체결공; 및 상기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보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모재와의 조립시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면서 상기 보스를 상기 체결공 쪽으로 안내하는 조립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조립유도체는,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하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재를 관통한 후 상기 제2 모재의 타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공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도록, 바깥쪽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두께로 상기 보스 주변에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걸림턱의 아래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되는 두께로 상기 후크부 주변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단차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억지 끼움 되는 끼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체결공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보스의 위쪽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스에 조립유도체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모재 자체 구조의 단순화뿐만 아니라 보스 및 조립유도체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고, 사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모재 상의 공간활용도를 증진할 수 있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립유도체가 끼워지는 별개의 결합홀을 요구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보스가 끼워지는 체결공에 보스 및 이에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된 조립유도체가 함께 끼워지도록 하는 것만으로 모재 간 조립위치의 정확한 정합을 이룸과 동시에 모재 간 조립이 완성됨에 따라 조립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고 조립공수가 감소될 수 있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스 구조가 결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의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보스와 가조립용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스 구조가 결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의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보스와 가조립용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100)는, 차량의 내장재, 즉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스(110)와, 제1,2 모재(10,20) 간 조립 위치의 정합(整合)을 유도하는 조립유도체(140)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보스 구조(100)로서, 차량의 제1,2 모재(10,20)에 형성된 모든 보스(110)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조립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 보스(110)에만 적용되어 제1,2 모재(10,20) 간 조립위치의 정확한 정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정확한 정합은, 기준 보스(110) 이외의 보스(110', 도 1 참조)들과 이들이 끼워지는 각각의 체결공(130')이 정확한 조립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제1,2 모재(10,20) 간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등의 상술한 효과들을 도출하게 된다.
여기서 제1,2 모재(10,20)에 형성된 모든 보스(110,110')에 조립유도체(140)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는 이유는, 모재 자체 구조의 단순화, 사출성형의 효율성 제고 및 모재 상의 공간활용도 증대라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기 때문이다. 또한, 조립의 기준이 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보스(110)에만 조립유도체(140)가 형성되더라도 모재 간 조립위치의 정확한 정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는 차량용 내장재로서 금속이나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등을 모두 망라하는 부재로서, 보스(110)가 형성되는 쪽과 체결공(130)이 형성되는 쪽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특별한 기술적 의미가 있는 구성요소는 아니며, 청구항이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과 달리 제1 모재(10)에 체결공(130)이 형성되고, 제2 모재(20)에 보스(11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100)는, 대략 보스(110), 지지체(120), 체결공(130) 및 조립유도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보스(110)는, 후술할 체결공(130)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S)와의 나사결합을 통해 제2 모재(20)를 가압하여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모재(10)에서 돌출형성되되 중앙에 개구된 중공(112)이 마련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체결공(13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110) 단부가 열융착기(30)에 의해 열변형되는 방식으로 제1,2 모재(10,20)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스(110)는 제1 모재(10)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장재인 제1,2 모재(10,20)의 용도나 구조에 따라서 경사지게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보스(110)의 형태나 횡단면 형상 등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스(110)는, 보스(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횡단면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되, 체결공(130)으로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제1 모재(10)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하게 된다.
보스(110) 중앙에 개구된 중공(112)은, 스크류(S) 등과 나사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임과 동시에 보스(110) 자체의 휨 강도를 증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모재(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보스(110,100') 중에서 어느 보스(110)를 조립유도체(140)와 일체로 형성해야 할지 선택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서, 조립의 기준이 되는 보스(110)인지 여부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재(10)에 3개의 보스(110,100')가 형성된 경우, 중앙 쪽 보스(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합하면, 중앙 쪽과 인접한 좌우 측에 형성된 보스(110')의 위치도 손쉽게 정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중앙 쪽 보스(110)가 조립의 기준이 되어 조립유도체(1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체(120)는,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 간 결합시 제2 모재(20)의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양자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후술할 체결공(130)에 보스(110)가 끼워지는 깊이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보스(110) 아래쪽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다수 개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체(120)는 상술한 구조를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공간이 확보되는 한도에서 보스(11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이격배치되는 5개의 수직판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공(130)은, 상술한 보스(110)가 끼워지게 되는 구멍으로서, 보스(110)가 형성된 제1 모재(10)와 결합하는 제2 모재(20)에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공(130)은 보스(110)가 형성된 위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 간 관통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체결공(130)의 크기는 관통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스(110)와 후술할 조립유도체(140)까지도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꼭 맞게 끼워진다.'라는 의미는 보스(110) 및 조립유도체(140)가 이루는 외측 테두리 공간과 체결공(130)의 내측 공간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일치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양측의 접촉면에서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유격이 최소화된 것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체결공(130)은 보스(110)만이 관통결합하는 종래의 체결공(130)을 본 발명을 위해 조립유도체(140)까지도 끼워질 수 있도록 변형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이 가조립용 후크(5, 조립유도체(140)와 동일한 구성, 도 5 참조)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별도의 후크공(미도시)을 필요로 한 점과 대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130)은 보스(110) 및 이와 인접 형성되는 조립유도체(140) 모두를 관통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 모재(10)에 형성된 조립유도체(140)의 안내 내지 유도에 따라 제2 모재(20)가 조립위치에 정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즉, 체결공(130)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일 형태로 변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10)와 조립유도체(140)가 이루는 테두리 영역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체결공(130)과 조립유도체(140)와의 구체적인 유기적 관계는 이하의 조립유도체(140)에 대한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조립유도체(140)는, 지지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를 이루고, 보스(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제2 모재(20)와의 조립시 체결공(130)에 끼워지면서 보스(110)를 체결공(130) 쪽으로 안내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부인 구성요소이다. 이는 종래(도 5)와 달리 보스(110) 측에 인접하여 일체로 사출형성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모재 자체의 구조의 단순화, 사출성형 효율성의 제고 및 공간 활용도의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유도체(140)가 체결공(13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조립유도체(140)와 일체화된 보스(110)뿐만 아니라 다른 주변의 보스들(110')까지도 이들이 끼워지는 체결공(130,130')과 각각 정합된 조립위치에 놓이게 되어 제1,2 모재(10,20) 간 조립의 용이성 및 편의성까지도 크게 증대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유도체(140)는, 탄성판(142) 및 후크부(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판(14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되, 보스(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판재형상인 탄성판(142)과 이와 마주하게 되는 체결공(130)의 일측은, 각각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가 정확한 조립위치에 정렬되었을 때, 서로 유격없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에 따라, 조립유도체(140)가 체결공(130)에 끼워지면서 탄성판(142)의 편평한 면과 체결공(130)을 이루는 테두리면 일측이 서로 유격 없이 밀착하게 되면, 제1 모재(10)의 모든 보스들(110,110')과 이에 대응하는 제2 모재(20)의 체결공(130,130')들은 각각 정확한 조립위치에 정렬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탄성판(142)의 편평한 면과 이와 마주하는 체결공(130)의 테두리면 일측의 형상이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가 정확한 조립위치에 정렬되었을 때 서로 유격 없이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탄성판(142)은 제1,2 모재(10,20) 간의 조립위치를 정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탄성판(142)은, 지지체(120)와 서로 교차하는 십자형태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유도체(140) 자체의 강성을 크게 증대하며, 제2 모재(20)의 체결공(13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소정범위에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고 제2 모재(20)와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는 체결공(130)의 테두리면 일측과 밀착되어 테두리면을 탄성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2 모재(10,20) 간의 결합력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후크부(144)는,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탄성판(142)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제2 모재(20)를 관통한 후 제2 모재(20)의 타면에 걸리는 걸림턱(144A)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걸림턱(144A)을 이루는 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모재(20)의 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탄성판(1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모재(20)의 타면을 가압고정하게 되며, 걸림턱(144A)의 끝 부분은 체결공(13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원활한 끼움을 유도하기 위해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144)의 상면에는, 바깥쪽을 향해 하향경사(도 3 참조)를 이루는 경사부(14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모재(20)에 형성된 체결공(130)이 대략 위쪽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후크부(144)에 끼워질 때, 후크부(144)의 위쪽 면과 저항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체결공(130)은 후크부(144)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후크부(144) 및 탄성판(142)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유도체(140)와 체결공(130)과의 유기적 관계를 도 3등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러한 조립유도체(140) 및 보스(110)가, 함께 끼워질 수 있게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체결공(130)은 제1 영역(132) 및 제2 영역(134)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공(130)의 가장자리 중에서 제1 영역(132)은,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보스(110)의 위쪽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보스(110)의 위쪽 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두께(L1, 보스(110)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두께)로 보스(110) 주변 일측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보스(110)가 사방(전후좌우)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체결공(130)의 가장자리 중에서 제2 영역(134)은, 제1 모재(10)와 제2 모재(20)가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턱(144A)의 아래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되도록 하는 두께(L2)로 탄성판(142) 주변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조립유도체(140)가 사방(전후좌우)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1 영역(132)과 제2 영역(134)은 서로 두께(L1, L2)를 달리하게 되면서 단차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첫째 제1 모재(10)에 제2 모재(20)를 끼울 때 작업자가 제2 모재(20)의 단차진 체결공(130), 즉 얇은 두께(L2)의 제2 영역(134)을 통해 후크부(14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정확한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로,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L2)의 제2 영역(134) 쪽으로 제2 모재(20)를 기울인 후 후크부(144)에 손쉽게 끼워지도록 한 다음, 후크부(144)를 축으로 두꺼운 두께(L1)의 제1 영역(132)이 보스(110) 쪽을 향해 회전하듯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손쉬운 조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강한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공(130)과 조립유도체(140)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제1,2 모재(10,20) 간 조립위치의 정합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며 종래와 비교시 조립공수의 실질적인 감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32)에 보스(110)가 정확하게 끼워지게 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32)의 상면은 보스(110)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스크류(S)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제2 영역(134)의 상면은 후크부(144)의 걸림턱(144A)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제1,2 모재(10,2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10)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공(130)과 억지 끼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부(114)는 체결공(130)(특히, 제2 영역(134))과 억지 끼움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록 형성되므로, 체결공(130)과 보스(110)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제1,2 모재(10,20) 간의 수평, 수직방향의 유동을 억제하고, 체결공(130)에 보스(1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며, 보스(110)의 측면을 보강하는 보강리브의 역할까지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끼움부(114)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례로, 끼움부(114)는 보스(1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을 이루는 돌출라인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스(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라인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114)는, 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보스(1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형성되어 체결공(130)에 억지 끼움 되도록 이루어지게 되며, 체결공(130)(특히, 제2 영역(134))으로의 삽입을 보다 원활히 유도하도록, 보스(110)의 위쪽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테이퍼면(114A)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114)는, 제1 모재(10)의 사출성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각각의 지지체(120)에서 위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지지체(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 스크류 10: 제1 모재
20: 제2 모재
100: 본 발명에 따른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110: 보스 112: 중공
114: 끼움부 114A: 테이퍼면
120: 지지체 130: 체결공
132: 제1 영역 134: 제2 영역
140: 조립유도체 142: 탄성판
144: 후크부 144A: 걸림턱
144B: 경사부

Claims (6)

  1. 차량용 내장재인 제1 모재와 제2 모재가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재에서 돌출형성되고 중앙에 개구된 중공이 마련된 보스;
    상기 보스 아래쪽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 간 결합시 상기 제2 모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체;
    상기 제2 모재에 형성되어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체결공; 및
    상기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보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모재와의 조립시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면서 상기 보스를 상기 체결공 쪽으로 안내하는 조립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유도체는,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변형하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모재를 관통한 후 상기 제2 모재의 타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공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도록, 바깥쪽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1 모재와 상기 제2 모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두께로 상기 보스 주변에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걸림턱의 아래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되는 두께로 상기 후크부 주변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억지 끼움 되는 끼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체결공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보스의 위쪽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KR1020150164116A 2015-11-23 2015-11-23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KR101693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16A KR101693258B1 (ko) 2015-11-23 2015-11-23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16A KR101693258B1 (ko) 2015-11-23 2015-11-23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58B1 true KR101693258B1 (ko) 2017-01-09

Family

ID=5781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16A KR101693258B1 (ko) 2015-11-23 2015-11-23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103A (ja) * 1997-12-26 1999-07-13 Ts Tech Co Ltd 軟質部位における部品取付構造
JP2000198465A (ja) * 1999-01-11 2000-07-18 Suzuki Motor Corp 車両用装飾部材の取付構造
KR100845126B1 (ko) 2007-10-09 200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훅
JP2009002466A (ja) * 2007-06-22 2009-01-08 Toyoda Iron Works Co Ltd 部材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103A (ja) * 1997-12-26 1999-07-13 Ts Tech Co Ltd 軟質部位における部品取付構造
JP2000198465A (ja) * 1999-01-11 2000-07-18 Suzuki Motor Corp 車両用装飾部材の取付構造
JP2009002466A (ja) * 2007-06-22 2009-01-08 Toyoda Iron Works Co Ltd 部材の取付構造
KR100845126B1 (ko) 2007-10-09 200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5541B2 (ja) シールをもつファスナ・クリップ
US10746218B2 (en) Fastener for securing a panel on a support
JP4683858B2 (ja) 物品支持具
JPH0828519A (ja) クリップ
KR20160083879A (ko) 터보팬
US20180304544A1 (en) Vehicular interior member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KR101693258B1 (ko) 조립유도체를 갖는 보스 구조
JP2005098437A (ja) 成形品組立体及び装着具
JP5862874B2 (ja) 留め具
CN105882369A (zh) 车门窗框
JP2019172187A (ja) 部品接合方法、車両外装品およびルーフスポイラのサイド部とその製造方法
US8636370B2 (en) Engagement assembly for connecting reflector and connecting rod
KR1016527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 커버 조립구조
JP2019038509A (ja) パネルの係止構造
JP2006264551A (ja) ガラス用の仮止め装置
KR20150058913A (ko) 차량용 훼스너
KR101691398B1 (ko) 미닫이 문틀
KR20150058694A (ko) 파스너
KR20140026444A (ko)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연결 장치
CN209305496U (zh) 一种前门中饰板与地图袋总成
KR101647599B1 (ko) 부채 손잡이의 부속물 결합장치 및 그 결합 구조 성형방법
US20200346415A1 (en) Fastener structure of fixing component and the fixing component
KR101188846B1 (ko)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EP3445614B1 (en) Cover by elastic member conne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