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25B1 -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25B1
KR101693225B1 KR1020160005234A KR20160005234A KR101693225B1 KR 101693225 B1 KR101693225 B1 KR 101693225B1 KR 1020160005234 A KR1020160005234 A KR 1020160005234A KR 20160005234 A KR20160005234 A KR 20160005234A KR 101693225 B1 KR101693225 B1 KR 10169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retardant
retardant
ptfe film
porous pt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훈
Original Assignee
나라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예컨대, 소방복, 방호복과 같은 기능성 의복 제조에 사용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과,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은, 난연 섬유, 난연 접착제를 매개로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접합되는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 다공성 PTFE 필름의 상측면에 적층된,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된 난연 코팅층, 및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형성된 난연 인쇄층을 구비한다. 난연 인쇄층은 난연 코팅층의 상측면, 난연 섬유의 하측면, 및 난연 섬유의 상측면과 다공성 PTFE 필름의 하측면 사이 중의 한 곳에 적층 형성된다.

Description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Flame retardant clothes material with reinforced flame retardanc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컨대, 소방복, 방호복과 같은 기능성 의복 제조에 사용되는 난연 원단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의 특성에 맞춰 특화된 기능성 의복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특히, 소방 분야 및 내열 작업에 사용하는 소방복 또는 방호복은, 화염과 열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단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맡겨진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과 통기성을 제공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섬유에 실의 방사 과정에서 난연 물질을 혼입하여 재직하고, 이 난연 실로 직조하여 난연 섬유를 만드는 기술, 및 각종 기능성 물질을 적층하여 원단이 난연성, 통기성, 유연성, 내수성, 투습성 등의 필요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고온 환경,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난연 원단은 260? 이상의 고온에서 5분 이상 노출되는 경우 난연 원단을 구성하는 층간에 박리가 발생하여 난연 원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특히, 소방사와 같이 고온의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입는 소방복으로는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난연 원단의 난연 성능을 강화하고자 기능성 필름을 추가로 적층하게 되면, 난연 원단의 유연성, 통기성, 투습성 등이 저하되어 예컨대, 난연 원단으로 만들어진 소방복을 입고 작업을 하는 소방사 등의 작업자는 작업을 위한 이동과 몸의 움직임이 방해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난연 원단의 적용을 기피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4253호
본 발명은, 난연 원단으로 만들어진 작업복을 입고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의 불편 증대는 최소화하면서도 꼭 필요한 부분의 난연성을 강화하여 실제 화상의 위험은 줄일 수 있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난연 섬유, 난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접합되는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 상기 다공성 PTFE 필름의 상측면에 적층된,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된 난연 코팅층, 및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형성된 난연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난연 인쇄층은 상기 난연 코팅층의 상측면, 상기 난연 섬유의 하측면, 및 상기 난연 섬유의 상측면과 상기 다공성 PTFE 필름의 하측면 사이 중의 한 곳에 적층 형성된,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난연 접착제를 매개로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을 상기 난연 섬유에 부착하는 단계,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상기 다공성 PTFE 필름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 코팅층의 상측면 및 상기 난연 섬유의 하측면 중의 한 곳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다공성 PTFE 필름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PTFE 필름의 하측면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난연 인쇄층이 형성된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의 하측면과 상기 난연 섬유의 상측면을 접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난연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일 수 있다.
상기 난연 물질은, 무기계(無機系), 멜라민계, 인산에스테르계, 폴리인산염계, 및 적인(red phosphorous)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복과 같은 작업복을 만들 때 난연성이 특별히 보강될 필요가 있는 부분, 예컨대, 팔, 다리, 가슴을 덮는 부분 등을 난연 인쇄층으로 보강하여 작업복 착용자의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업복 착용자의 관절을 덮는 부분 등에는 난연 인쇄층이 인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복 착용자가 기동(機動)시에도 큰 불편 없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난연 원단의 특정한 부분에 난연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난연 원단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 체크 패턴(check pattern)과 같은 특정 패턴으로 난연 코팅제를 인쇄하는 경우에도, 난연 코팅제가 추가적으로 도포되어 난연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난연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난연 원단의 유연성, 통기성, 투습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 작업복 착용자가 기동(機動)하는데 불편을 가중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난연 원단은, 고온 환경, 예컨대, 260?에서 5분 이상의 시간 동안 노출되더라도 난연 원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간에 박리 및 수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내열성, 내구성, 고내수성, 및 고투습성 등의 기능이 기능 저하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 원단을 이용한 실험에서, 상기 난연 원단은 260℃의 고온에서 0.4 MPa의 고내수성을 가지며, 25,000 g/㎡/24hr의 고투습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 원단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 원단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난연 원단(10a, 10b, 10c)은 난연 섬유(1),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5), 난연 코팅층(7), 및 난연 인쇄층(9a, 9b, 9c)을 구비한다.
예컨대, 난연 섬유(1)는 난연 물질이 혼입된 소재로 난연 실을 재직하고, 상기 난연 실로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난연 섬유가 반드시 직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공성 PTFE 필름(5)은 난연 접착제(3)를 매개로 상기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접합된다. PTFE 필름을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면 내부에 다수의 미세공(micro pore)가 형성된 다공성 PTFE 필름(5)이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의 미세공을 통하여 물은 투과할 수 없으나, 수증기는 투과할 수 있게 되어 완성된 난연 원단(10a, 10b, 10c)이 내수성 및 투습성을 갖게 된다. 난연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으로 난연 코팅 가공 처리된 bi-component type 의 PTFE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난연 접착제(3)는 가열된 상태에서 도포 가능하게 유동(流動)하고, 방열되면 경화되는 핫멜트 접착제일 수 있다(hot melt adhesive)일 수 있다. 난연 코팅층(7)은 다공성 PTFE 필름(5)의 상측면에 적층되며,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된다. 난연 코팅층(7)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추후에 부연하여 설명한다.
난연 인쇄층(9a, 9b, 9c)은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형성된다. 난연 인쇄층(9a, 9b, 9c)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코팅층(7)의 상측면에 적층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섬유(1)의 하측면에 적층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섬유(1)의 상측면과 다공성 PTFE 필름(5)의 하측면 사이 중의 한 곳에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난연 인쇄층(9a, 9b, 9c)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추후에 부연하여 설명한다.
상기 난연 원단(10a, 10b, 10c)은, 소방복과 같은 작업복에서 난연성이 특별히 보강될 필요가 있는 부분, 예컨대, 팔, 다리, 가슴을 덮는 부분 등이 되는 난연 원단(10a, 10b, 10c)의 특정 영역을 난연 인쇄층(9a, 9b, 9c)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처럼 난연 인쇄층(9a, 9b, 9c)이 추가된 난연 원단(10a, 10b, 10c)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소방복과 같은 작업복을 만들면, 그 작업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업복 착용자의 관절을 덮는 부분 등이 되는 난연 원단(10a, 10b, 10c)의 다른 특정 영역에는 난연 인쇄층이 인쇄되지 않도록 하면, 작업복 착용자는 기동(機動)시에도 큰 불편 없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난연 원단(10a, 10b, 10c)의 특정한 부분에 난연 인쇄층(9a, 9b, 9c)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난연 원단(10a, 10b, 10c)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 체크 패턴(check pattern)과 같은 특정 패턴으로 난연 코팅제를 인쇄하는 경우에도, 난연 원단(10a, 10b, 10c)에 난연 코팅제가 추가적으로 도포되어 난연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난연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난연 원단(10a, 10b, 10c)의 유연성, 통기성, 투습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 작업복 착용자가 기동(機動)하는데 불편을 가중시키지는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난연 원단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난연 원단(10a)의 제조 방법은, 먼저, 난연 섬유(1)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하는 단계(S11)를 구비한다. 예컨대, 난연 섬유(1)는 난연 물질이 혼입된 소재로 난연 실을 재직하고, 상기 난연 실로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난연 섬유(1)가 반드시 직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난연 접착제(3)는 가열된 상태에서 도포 가능하게 유동(流動)하고, 방열되면 경화되는 핫멜트 접착제일 수 있다(hot melt adhesive)일 수 있다. 예컨대, 브러시(brush) 또는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난연 접착제(3)를 난연 섬유(1)의 상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도포 방법이 반드시 브러시 또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단을 적용하여 난연 접착제(3)가 도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난연 원단(10a)의 제조 방법은, 난연 접착제(3)를 매개로 다공성 PTFE 필름(5)을 상기 난연 섬유(1)에 부착하는 단계(S12)를 구비한다. PTFE 필름을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면 내부에 다수의 미세공(micro pore)가 형성된 다공성 PTFE 필름(5)이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의 미세공을 통하여 물은 투과할 수 없으나, 수증기는 투과할 수 있게 되어 완성된 난연 원단(10a)이 내수성 및 투습성을 갖게 된다. 난연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으로 난연 코팅 가공 처리된 bi-component type 의 PTFE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밀착된 롤러 사이에 난연 접착제(3)가 도포된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을 포개어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다공성 PTFE 필름(3)을 난연 섬유(1)에 부착할 수 있다. 합지된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3)은 4 내지 7일간 방치하여 경화 및 숙성할 수 있다.
다공성 PTFE 필름(5)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한 후에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을 접합하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난연 섬유(1)에 난연 접착제(3)가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여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의 접합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고온 환경에서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이 박리 및 수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난연 섬유(1)에 난연 접착제(3)를 먼저 도포하면 난연 접착제(3)가 난연 섬유(1)의 표면에 충분히 스며들고 채워지게 되며, 이후에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을 접합하면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이 난연 접착제(3)에 의해 빈틈 없이 접합된다. 따라서, 강한 접합력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도 난연 섬유(1)와 다공성 PTFE 필름(5)이 박리 및 수축되지 않고 접합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난연 원단(10a)의 제조 방법은,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7)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13)를 구비한다. 상기 난연 코팅제는 베이스 수지(base resin)와, 난연 물질과, 용제(solvent)와, 무기 물질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무게 기준으로 배합 비율은, 베이스 수지 1에 대해서 난연 물질 0.1 내지 0.3, 용제 0.25 내지 0.4, 무기 물질 0.1 내지 0.25, 기타 물질 0.01 내지 0.05 일 수 있다.
베이스 수지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용제로는 MEK(methyl ethyl ketone), DMF(dimethylformamide), 및 톨루엔(toluene) 중에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난연 물질은 무기계(無機系), 멜라민계, 인산에스테르계, 폴리인산염계, 및 적인(red phosphorous)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계 난연 물질로는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 붕산아연(zinc borat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등이 있다. 멜라민계 난연 물질로는 MPP(melamine polyphosphate), MC(melamine cyanurate) 등이 있다. 인산에스테르계 난연 물질로는 TCP(triphenyl phosphate), TXP(trixylenyl phosphate), TPP(triphenyl phosphate) 등이 있다. 폴리인산염계 난연 물질로는 APP(ammonium polyphosphate) 등이 있다. 적인계 난연 물질로는 적인(red phosphorous)가 있다.
구체적으로, 난연제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포스페이트,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등과 같이 질소 화합물과 인이 결합된 제품의 성질을 이용하고, 같이 복합반응 시키는 첨가 무기계 화합물은 알루미늄옥사이드나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옥사이드나 하이드록사이드, 삼산화 또는 오산화안티몬, 진크옥사이드나 진크하이드록사이드, 진크보레이트, 모리브덴옥사이드, 제올라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등 일반적으로 고분자에 쓰이거나 난연성을 나타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무기물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질소-인계 난연제인 멜라민이나 암모늄포스페이트계의 단점을 보완하는데 무기물계 비할로겐 난연제의 종류가 기여하게 하고 이것들을 인과 같이 반응시킴으로서 고분자에 있어서 물리적인 성질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브러시(brush) 또는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난연 코팅제를 다공성 PTFE 필름(5)의 상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도포 방법이 반드시 브러시 또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단을 적용하여 난연 코팅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도포된 난연 코팅제가 예를 들어, 상온에 방치하는 방법으로 경화되어 난연 코팅층(7)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난연 원단(10a)의 제조 방법은, 상기 난연 코팅층(7)의 상측면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9a)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14)를 구비한다. 상술한 난연 코팅층(7)을 형성하는 단계(S13)에서 난연 코팅제에 대해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난연 인쇄층(9a)의 형성에 사용되는 난연 코팅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난연 코팅층(7)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난연 코팅제와 난연 인쇄층(9a)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난연 코팅제가 반드시 같은 종류, 같은 조성으로 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난연 코팅제의 인쇄 방법은, 예컨대, 날염(textile printing), 잉크젯 인쇄(inkjet printing)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 인쇄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도 2의 난연 원단(10b)의 제조 방법은, 난연 섬유(1)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난연 접착제(3)를 매개로 다공성 PTFE 필름(5)을 상기 난연 섬유(1)에 부착하는 단계(S22),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7)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23), 및 난연 섬유(1)의 하측면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9b)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24)를 구비한다. 도 5에 개시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은, 도 4에 개시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난연 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난연 인쇄층(9b)을 적층 형성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방법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도 3의 난연 원단(10c)의 제조 방법은, 난연 물질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다공성 PTFE 필름(5)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7)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31), 상기 다공성 PTFE 필름(5)의 하측면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9c)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32), 난연 섬유(1)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하는 단계(S33), 및 상기 난연 접착제(3)를 매개로 상기 난연 인쇄층(9c)이 형성된 다공성 PTFE 필름(5)의 하측면과 난연 섬유(1)의 상측면을 접합하는 단계(S34)를 구비한다.
다공성 PTFE 필름(5) 상측면에 난연 코팅층(7)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31)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개시된 다공성 PTFE 필름(5) 상측면에 난연 코팅층(7)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13)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공성 PTFE 필름(5) 하측면에 난연 인쇄층(9c)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32)는 도 4에 개시된 난연 코팅층(7) 상측면에 난연 인쇄층(9a)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S14)에 대한 설명과 비교하여, 인쇄 대상이 난연 코팅층(7) 상측면 대신에 PTFE 필름(5)의 하측면이란 점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난연 섬유(1)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하는 단계(S33)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개시된 난연 섬유(1)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3)를 도포하는 단계(S1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공성 PTFE 필름(5) 하측면과 난연 섬유(1) 상측면을 접합하는 단계(S34)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개시된 난연 섬유(1)에 다공성 PTFE 필름(5)을 부착하는 단계(S12)에 대한 설명과 비교하여, 다공성 PTFE 필름(5)의 하측면에 난연 인쇄층(9c)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에 난연 원단(10a, 10b, 10c)은 난연 코팅층(7) 외에 난연 인쇄층(9a, 9b, 9c)을 추가로 구비하므로, 소방복과 같은 작업복에서 난연성이 특별히 보강될 필요가 있는 부분, 예컨대, 팔, 다리, 가슴을 덮는 부분 등이 되는 난연 원단(10a, 10b, 10c)의 특정 영역의 난연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처럼 난연 인쇄층(9a, 9b, 9c)이 추가된 난연 원단(10a, 10b, 10c)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소방복과 같은 작업복을 만들면, 그 작업복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업복 착용자의 관절을 덮는 부분 등이 되는 난연 원단(10a, 10b, 10c)의 다른 특정 영역에는 난연 인쇄층이 인쇄되지 않도록 하면, 작업복 착용자는 기동(機動)시에도 큰 불편 없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난연 원단(10a, 10b, 10c)의 특정한 부분에 난연 인쇄층(9a, 9b, 9c)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난연 원단(10a, 10b, 10c)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 체크 패턴(check pattern)과 같은 특정 패턴으로 난연 코팅제를 인쇄하는 경우에도, 난연 원단(10a, 10b, 10c)에 난연 코팅제가 추가적으로 도포되어 난연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난연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난연 원단(10a, 10b, 10c)의 유연성, 통기성, 투습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 작업복 착용자가 기동(機動)하는데 불편을 가중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난연 섬유 3: 난연 접착제
5: 다공성 PTFE 필름 7: 난연 코팅층
9a, 9b, 9c: 난연 인쇄층 10a, 10b, 10c: 난연 원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난연 물질(flame retardant material)을 포함하는 난연 코팅제를 다공성 PTFE 필름의 상측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난연 코팅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PTFE 필름의 하측면에 난연 코팅제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난연 인쇄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난연 섬유의 상측면에 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난연 인쇄층이 형성된 다공성 PTFE 필름(polytetrafluoroethylene film)의 하측면과 상기 난연 섬유의 상측면을 접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물질은, 무기계(無機系), 멜라민계, 인산에스테르계, 폴리인산염계, 및 적인(red phosphorous)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제조 방법.
KR1020160005234A 2016-01-15 2016-01-15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234A KR101693225B1 (ko) 2016-01-15 2016-01-15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234A KR101693225B1 (ko) 2016-01-15 2016-01-15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25B1 true KR101693225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234A KR101693225B1 (ko) 2016-01-15 2016-01-15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41A (ja) * 2007-04-23 2008-11-06 Fujikoo:Kk 消防服素材
KR20090126650A (ko) * 2008-06-05 2009-12-09 오은영 난연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1018U (ko) * 2009-04-30 2010-11-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핫멜트 필름을 이용한 난연성 원단
KR101304253B1 (ko) 2012-05-15 2013-09-05 주식회사 소포스 산업안전작업복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41A (ja) * 2007-04-23 2008-11-06 Fujikoo:Kk 消防服素材
KR20090126650A (ko) * 2008-06-05 2009-12-09 오은영 난연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1018U (ko) * 2009-04-30 2010-11-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핫멜트 필름을 이용한 난연성 원단
KR101304253B1 (ko) 2012-05-15 2013-09-05 주식회사 소포스 산업안전작업복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639B1 (ko) 난연성 복합 물품 및 방법
RU2470788C2 (ru) Огнестойкие ламинаты и издел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них
EP2525970B1 (en) Waterproof garment with invisible barrier seam
US8784968B2 (en) Waterproof breathable composite materials for fabrication of flexible membranes and other articles
US20180339487A1 (en) Waterproof Garment with Invisible Barrier Seam
JPH02217238A (ja) 耐火性並びに耐水性を有する複合布帛とこれで構成された衣服並びにシート
CZ54692A3 (en) Fireproof lining for garments
JP2007537074A (ja) フラッシュフレームおよび化学飛沫組み合わせ防護服のためのシート構造体ならびにそれの製造方法
CN103082533B (zh) 用于功能性防护服装面料的复合制备方法
US20200254740A1 (en) Flame resistant composite fabric
US20030044563A1 (en) Waterproof seam sealing tape
WO2014126676A1 (en) Exterior facing stretch and flame resistant seam tape
KR101693225B1 (ko) 난연성이 강화된 난연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US5624738A (en) Nonslipping laminate multifilament outer shell for firefighter garment
CN108778727A (zh) 特殊服装用多功能面料
US6680100B1 (en) Stitched seam for medical tape
CN104401101A (zh) 阻燃面料的制备方法
RU2294413C2 (ru) Огнестойкий текстильный материал
JP7379691B2 (ja) テキスタイル複合材料及び履物
JP2024512456A (ja) 難燃性複合材料のための水系水性結合剤系
JP6602221B2 (ja) 積層用難燃不織布及び難燃積層体
US20220363042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e articles and methods for reducing exposure to flames
KR20220062397A (ko) 내연성 물질
WO2001060602A1 (en) Waterproof seam s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