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120B1 -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120B1
KR101693120B1 KR1020150131432A KR20150131432A KR101693120B1 KR 101693120 B1 KR101693120 B1 KR 101693120B1 KR 1020150131432 A KR1020150131432 A KR 1020150131432A KR 20150131432 A KR20150131432 A KR 20150131432A KR 101693120 B1 KR101693120 B1 KR 10169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rner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광서
Original Assignee
구광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서 filed Critical 구광서
Priority to KR102015013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측면 보호부; 각각의 상기 측면 보호부 사이의 경계 부분인 모서리부; 상기 측면 보호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보호부; 상기 모서리부의 내측 면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인접하게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 보호부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함입 형성되는 충격 흡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CASE FOR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HOCK ABSORPTION}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의 일정 부분에 외부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충격 보호 수단을 구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시에 생길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점점 더 휴대하기 쉬워지도록 발전되면서, 사람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되고 있으며 거리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지나가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렇게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성이 증대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스마트폰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이 낙하되는 경우에는 외면의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은 물론이고 심할 경우 액정이 파손되거나 메인보드 등이 고장나기도 한다. 스마트폰의 부품인 액정이나 메인보드 등은 수리비가 비교적 고가로,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외부에 씌우는 보호 케이스 등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런 문제와 관련된 특허들도 다양하게 공개되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39281호 "완충부재와 장식부재가 분리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폰, PDA, MP3,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결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의 둘레를 감싸는 연질의 완충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외면을 감싸 완충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장식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식부재의 내면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고, 상호 암수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와 한 쌍의 결합 홈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부재와 장식부재에는 각각 상기 모바일기기의 기능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과 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식부재의 노출홀 주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노출공 내면에 접촉지지 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케이스는 완충부재와 장식부재라는 2개의 구조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바,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94288호 "충격 보호 홀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모서리부가 먼저 지면에 닿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모서리 부위가 유동적으로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찌그러지도록 하여 충격을 분산/흡수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4개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측면 보호부; 상기 측면 보호부에서 절곡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보호부; 상기 측면 보호부 사이의 경계 부위인 모서리부의 내측 면에 함입 형성된 충격 보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기술은 모서리부에 독특한 구조의 홀이 존재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있어 보이나, 강한 충격을 흡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서리부에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나아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수단을 구비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서리부의 내측 면에 함입 형성되는 충격 흡수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완충되는 것과 더불어 충격이 분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면 보호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자바라 구조를 형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서 연장 형성된 독특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단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측면 보호부; 각각의 상기 측면 보호부 사이의 경계 부분인 모서리부; 상기 측면 보호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보호부; 상기 모서리부의 내측 면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인접하게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 보호부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함입 형성되는 충격 흡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측면 보호부와, 상기 측면 보호부 사이의 경계 부분인 모서리부, 상기 측면 보호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보호부 및,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 면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함입 형성된 제 1 충격 흡수관을 포함하는 제 1 바디;상기 제 1 바디의 측면 보호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결합하되, 내측 면에 상기 제 1 충격 흡수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함입 형성된 제 2 충격 흡수관을 포함하는 제 2 바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충격 흡수관과 상기 제 2 충격 흡수관이 대응되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충격 흡수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충격 흡수 홀이 함입된 깊이만큼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 면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충격 흡수 홀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외측 면에는, 상기 충격 흡수 홀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릿 형태로 함임 형성된 제 1 충격 흡수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충격 흡수 슬릿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면 보호부의 가장자리 일 측 표면에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된 충격 흡수 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 홀의 하단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 하단 면이 주변 부위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 홀의 상단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상단 일 측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구비된 첨단부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첨단부의 좌우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 위치한 변곡점에 이르기까지 라운딩지게 연장되고, 상기 변곡점에서 상기 모서리부의 상단 일 측까지 라운딩지게 연장 형성된 라운딩부 및, 상기 첨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관통 형성된 제 2 충격 흡수 슬릿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파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라운딩부의 일 측에는, V자 형상의 절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1) 모서리부의 내측에 충격 흡수 홀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배면 보호부의 가장자리 부위의 주름진 구조 사이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3) 모서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할 수 있다.
4) 충격 흡수 홀의 하단에 위치한 하단 돌출부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 배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스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홀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 흡수 관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충격 흡수 슬릿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존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단 돌출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충격 흡수 슬릿 및 절개 홈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스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라 함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 휴대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전자기기를 말하며,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를 스마트폰 등 특정한 기기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측면 보호부(11)와 모서리부(12) 및 배면 보호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면 보호부(11)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패널 형상의 직육면체 형태를 가져 4개의 측면을 구비하기 때문에, 측면을 덮어 감싸는 상기 측면 보호부(11)도 4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통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단변과 단변에 비해 길게 형성된 장변이 각각 2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변의 측면 보호부(11a) 2개, 장변의 측면 보호부(11b)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보호부(11)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보통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은 평편한 면으로 되어있거나 라운딩진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측면 보호부(11)도 이에 대응되도록 평편한 면이거나 라운딩진 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에서의 측면 보호부(11)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측면 보호부(11)가 만나는 부위는 모서리부(12)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서리부(12)는 상기 측면 보호부(11) 서로 간의 경계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측면 보호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모서리부(12)는 단변의 측면 보호부(11)와 장변의 측면 보호부(11)가 만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의 각 귀퉁이 부분에 1개씩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배면 보호부(13)는 상기 측면 보호부(11)에서 절곡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대 측 면 전체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측면 보호부(11)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형상에 따라 편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라운딩진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 보호부(11)와 모서리부(12) 및 배면 보호부(13)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을 제외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부를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패널 일 측에 열고 닫힘이 가능한 개폐식의 커버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즉 전면을 보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 탄성력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어떤 특정한 재질로 본 발명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여러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공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 전원 단자. 볼륨 조절 버튼, 카메라 렌즈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의 통공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모서리부(12)에는 충격 흡수 홀(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의 내측 면이라 함은 모서리부(12)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접하는 면을 말하며, 이러한 내측 면을 따라 일정거리 마다 상기 충격 흡수 홀(20)이 복수 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 홀(20)은 상기 측면 보호부(1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함입 형성된다. 즉, 상기 모서리부(1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함입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서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의 상단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접한 위쪽 부위를 말하며, 하단이란 상단의 반대방향, 즉 대향에 위치한 부위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충격 흡수 홀(20)은 모서리부(12)의 내측 면에 함입되어 마치 반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입된 부분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서리 부위를 둘러싸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 흡수 홀(20)은 모서리부(12)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모서리부(12)의 외면이 상기 충격 흡수 홀(20)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찌그러지면서 상기 모서리부(12)가 직접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서리에 닿지 않고 수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서리부(12)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충격 흡수 홀(20) 내의 물리적 공간이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충격을 흡수하는 홀이 1개 구비된 공지의 기술에 비해, 유사한 역할을 하는 충격 흡수 홀(20)이 복수 개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더 효율적으로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분산하는 효과가 더해진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충격 흡수 홀(2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보다 인접한 부위에 추가의 충격 흡수 홀(20)이 존재하는 경우 충격을 나누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분산의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홀(20)은 모서리부(12)가 찌그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충격 흡수 홀(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서리부(12)의 전체적인 두께가 주변 부위에 비해 두꺼워 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 홀(20)이 함입된 깊이만큼 상기 모서리부(12)의 외측 면이 주변 부위에 비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구조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단 돌출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특히 상기 충격 흡수 홀(20)의 하단, 즉 모서리부(12)의 외측 면 하단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단 돌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돌출부(4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이 지면에 낙하할 때 먼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단 돌출부(40)는 상기 모서리부(12)의 외측 하단 면이 주변 부위 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층격 흡수 홀(20)은 상기 모서리부(12)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흡수 홀(20)은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격 흡수 홀(20)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에는 공기층이 존재하여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 홀(20)을 복수 개 인접하게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충격 흡수 홀(20)에서 인접한 충격 흡수 홀(20)로 충격이 분산되면서 점진적으로 충격을 완화해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 흡수 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다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케이스는 전술한 측면 보호부(11)와 모서리부(12), 배면 보호부(13) 및 제 1 충격 흡수 관(72)을 포함하는 제 1 바디(71)와 제 2 충격 흡수 관(74)을 포함하는 제 2 바디(73)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충격 흡수 관(72)은 상기 모서리부(12)의 외측 면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함입 형성되는 구조로 후술할 제 2 충격 흡수 관(74)과 결합되어 완전한 원기둥 형상의 충격 흡수 관(70)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관(70)이 원기둥의 형상이라면 제 1 충격 흡수 관(72)과 제 2 충격 흡수 관(74)은 각각 반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바디(73)는 상기 제 1 바디(71)의 측면 보호부(11)를 감싸면서 결합하는 것으로서, 내측 면에는 상기 제 1 충격 흡수관(7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함입 형성되는 제 2 충격 흡수 관(74)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충격 흡수 관(72)과 제 2 충격 흡수 관(74)은 제 1 바디(71)와 제 2 바디(73)가 결합하였을 때, 서로 대응되어 완전한 원기둥 형상의 충격 흡수 관(70)이 형성된다. 상기 충격 흡수 관(70)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전술한 충격 흡수 홀(20)처럼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충격 흡수 슬릿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에는 제 1 충격 흡수 슬릿(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충격 흡수 슬릿(30)이란 상기 모서리부(12)의 외측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모서리부(1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충격 흡수 슬릿(30)은 상기 충격 흡수 홀(20)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외측면의 양측, 즉 좌측과 우측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홀(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릿 형태로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충격 흡수 슬릿(3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2개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서리부(12)의 외측에 가해진 충격은 상기 충격 흡수 홀(20)을 거쳐 주변으로 전달될 수 있고, 그 주변 부위에 있는 제 1 충격 흡수 슬릿(30)의 내부 공간은 그 구조가 찌그러지거나 휘어지면서 전달되어 온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상기 제 1 충격 흡수 슬릿(30)도 전술한 충격 흡수 홀(20)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케이스가 찌그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면 보호부(13)에는 충격 흡수 존(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존(50)은 상기 배면 보호부(13)의 가장자리 일 측에, 바람직하게는 귀퉁이의 일 부분에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표면이 다른 주변 부위와 다르게 주름지게 형성된 것을 말한다. 주름진 형태는 그 사이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상기 공기층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름진 형태가 접혔다가 펴지면서 충격이 흡수 및 완화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충격 흡수 슬릿 및 절개 홈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홀(20)의 상단에는 첨단부(61)와 라운딩부(63) 및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파트(6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첨단부(61)는 상기 모서리부(12)의 상단 일 측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상방이라 함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서 위 방향을 말한다. 다시 말해, 상기 첨단부(61)는 모서리부(12)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의 끝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첨단부(61)에는 상기 첨단부(61)의 좌우에 위치한 변곡점(62)이 존재하고, 상기 첨단부(61)를 기준으로 상기 변곡점(62)에 이르기까지 변을 이루면서 라운딩지고, 상기 변곡점(62)에서 상기 모서리부(12)의 상단 일 측까지 변을 이루면서 라운딩지게 연장 형성된 구조인 라운딩부(63)가 존재한다. 즉 모서리부(12)에서 라운딩부(63)가 연장 형성되고 끝단에 첨단부(6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을 포함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은 상기 첨단부(61)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관통 형성되는 슬릿 형태의 구조를 말한다.
도 7(b)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전술한 충격 흡수 파트(60)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낙하되었을 때 상기 충격 흡수 파트(60)가 먼저 지면에 닿아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에 의해 벌어진 틈이 생기게 되고, 충격 흡수 파트(6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을 매개로 접히면서 이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파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7(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라운딩부(63)의 일 측에는 절개 홈(6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절개 홈(65)은 라운딩부(63)의 일 측의 일정 부분이 V자 형태로 절개된 구조를 말하며, 절개 홈(65)은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의 충격 흡수 기능을 더욱 보완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첨단부(61)는 전술하였듯이 제 2 충격 흡수 슬릿(64)을 매개로 접혀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라운딩부(63)에 상기 절개 홈(65)이 존재함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첨단부(61)가 접혀 질 수 있는 형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 홈(65)을 매개로 첨단부(6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한다.
이러한 절개 홈(65)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접혀질 수 있도록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외부 충격에 의해 접혀질 수 있는 한도 내에서 U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측면 보호부 12: 모서리부
13: 배면 보호부 20: 충격 흡수 홀
30: 제 1 충격 흡수 슬릿 40: 하단 돌출부
50: 충격 흡수 존 60: 충격 흡수 파트
61: 첨단부 62: 변곡점
63: 라운딩부 64: 제 2 충격 흡수 슬릿
65: 절개 홈 70: 충격 흡수 관
71: 제 1 바디 72: 제 1 충격 흡수 관
73: 제 2 바디 74: 제 2 충격 흡수 관

Claims (8)

  1.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측면 보호부;
    각각의 상기 측면 보호부 사이의 경계 부분인 모서리부;
    상기 측면 보호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덮는 배면 보호부;
    상기 모서리부의 내측 면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인접하게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 보호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어 함입 형성된 충격 흡수 홀;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홀의 상단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상단 일 측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구비된 첨단부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첨단부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부위에 위치한 변곡점에 이르기까지 라운딩지게 연장되고, 상기 변곡점에서 상기 모서리부의 상단 일 측까지 라운딩지게 연장 형성된 라운딩부 및,
    상기 첨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관통 형성된 제 2 충격 흡수 슬릿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파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충격 흡수 홀이 함입된 깊이만큼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 면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충격 흡수 홀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외측 면에는,
    상기 충격 흡수 홀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함입 형성된 제 1 충격 흡수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충격 흡수 슬릿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2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홀에 인접한 상기 배면 보호부의 가장자리 일 측 표면에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된 충격 흡수 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홀의 하단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 하단 면이 주변 부위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딩부의 일 측에는,
    V자 형상의 절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7. 삭제
  8. 삭제
KR1020150131432A 2015-09-17 2015-09-17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69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2A KR101693120B1 (ko) 2015-09-17 2015-09-17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2A KR101693120B1 (ko) 2015-09-17 2015-09-17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120B1 true KR101693120B1 (ko) 2017-01-04

Family

ID=5783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32A KR101693120B1 (ko) 2015-09-17 2015-09-17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1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87Y1 (ko) 2017-01-06 2017-07-27 위츠(주) 스마트폰 케이스
CN107910908A (zh) * 2017-10-31 2018-04-13 郑州爱派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防掉落的充电宝
KR20180083200A (ko) * 2017-01-12 2018-07-20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116885B1 (ko) * 2019-12-20 2020-06-01 (주)피에이치원 에어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WO2021216015A1 (en) * 2020-10-21 2021-10-28 Elitas Edip Ali A case structure for mobile phone, tablet, and similar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04B1 (ko)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35762B1 (ko) * 2012-09-28 2013-12-02 한국본코트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
US20140216953A1 (en) * 2013-02-05 2014-08-07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04B1 (ko) *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35762B1 (ko) * 2012-09-28 2013-12-02 한국본코트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
US20140216953A1 (en) * 2013-02-05 2014-08-07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87Y1 (ko) 2017-01-06 2017-07-27 위츠(주)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83200A (ko) * 2017-01-12 2018-07-20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07910908A (zh) * 2017-10-31 2018-04-13 郑州爱派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防掉落的充电宝
KR102116885B1 (ko) * 2019-12-20 2020-06-01 (주)피에이치원 에어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WO2021216015A1 (en) * 2020-10-21 2021-10-28 Elitas Edip Ali A case structure for mobile phone, tablet, and similar electronic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120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JP4528590B2 (ja) 電子機器
ES2855152T3 (es) Dispositivo de pantalla plegable
EP3024203A1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254023B2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KR101994889B1 (ko)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KR20160061078A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KR20160088067A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US10168743B2 (en) Casing and frame for touch display apparatus
US897651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impact-resistant display module
CN103349414A (zh) 借助弹性形变的气室减缓冲击力的保护套
US10165838B2 (en)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isplay device
JP2010067730A (ja) 緩衝構造
US20140339130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263014B1 (ko)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2252544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적용한 휴대폰
TWI538609B (zh) 具衝擊緩衝保護結構的可攜式電子裝置
KR101433009B1 (ko)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2018026664A (ja)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KR200468717Y1 (ko)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TWI459882B (zh) 電子裝置殼體
TWI450673B (zh) 電子裝置
KR101379936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TW201347317A (zh) 電子裝置保護套
KR200470206Y1 (ko) 모바일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