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47B1 -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147B1
KR101692147B1 KR1020150062265A KR20150062265A KR101692147B1 KR 101692147 B1 KR101692147 B1 KR 101692147B1 KR 1020150062265 A KR1020150062265 A KR 1020150062265A KR 20150062265 A KR20150062265 A KR 20150062265A KR 101692147 B1 KR101692147 B1 KR 10169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delete delete
user
signal
psych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116A (ko
Inventor
방승호
Original Assignee
방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승호 filed Critical 방승호
Priority to KR102015006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1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61B5/04012
    • A61B5/047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부, 및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치유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된 정보는 사용자의 뇌파 신호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뇌파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저감하여 전달한다.

Description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SYCHOLOGICAL DIAGNOSIS USING SKINSHIP PSYCHOLOGICAL COUNSELLING}
본 발명은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모와 자녀가 현재의 심리 상태에 맞는 교육방법과 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자신(초등학생,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이 자신의 내면적 자아 성찰과 부모가 자녀의 심리상태를 분석, 파악하여 심리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가정에서 손쉽게 자녀의 문제를 부모가 해결 할 수 있는 스킨쉽 심리 상담 방법을 온라인을 통하여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는 독일의 대안교육자였던 커트 한(Kurt Hahn)의 “아웃워드 바운드(Outward Bound)”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에 미국의 매사추세츠 해밀턴에 위치한 해밀턴-윈험 주니어/시니어 고등학교 교장 제리 피에(jerry pieh)가 아웃워드 바운드를 연구하여, 이것을 공립학교에 적용하도록 교육부에 제안 “프로젝트 어드벤처”라고 명명하였다.
“프로젝트 어드벤처”는 집단의 공동 해결과제를 신중하게 계열화시킴으로써 집단 내에서 재미, 협동심, 인내력, 창의력, 신뢰에 기초한 왕성한 의사소통과 역동적인 활동 과정을 통해 행동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이끌어내어 심리, 정신적 성장을 촉진하는 집단 상담이다.
미국이 청소년 스킨쉽 심리 상담, 치료 시스템인 Adventure Based Counseling를 한국에 들여와 한국에 맞게 토착화 시킨 것이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모험놀이 상담”이라고 명명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킨쉽 심리 상담, 치료는 심리 상태의 분석 과정이 수행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문제가 발생되기 쉽고, 분석 후에도 부모 등이 이를 손쉽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5310호(2009. 02. 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소년의 심리 및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이에 대한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부, 및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치유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된 정보는 사용자의 뇌파 신호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뇌파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저감하여 전달한다.
이때, 상기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뇌파 신호의 기 설정된 패턴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뇌파 신호와 기 설정된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적 강도에 대한 설정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증가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설정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뇌파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카테고리는 혼란, 안정 및 집중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는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상기 혼란, 안정 또는 집중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 또는 면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란의 정도는 베타파 또는 감마파에 기반하여 표시되고, 상기 안정의 정도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되고, 상기 집중의 정도는 SMR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를 상기 치유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유모듈은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분석된 정보가 UI(user interface)로 표시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UI을 입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된 정보는 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구조는 베이스 데이터와 적층 메타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데이터는 고정 UI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 메타 데이터는 변동 UI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입력을 터치 기반으로 수행하여 상기 적층 메타 데이터가 표시된 UI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뇌파 보강 신호 또는 뇌파 저감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뇌파를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에 접촉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면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유모듈은 제2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는 제1단계; 상기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는 제2단계; 상기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된 정보는 사용자의 뇌파 신호이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뇌파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저감하여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센싱된 뇌파 신호와 기 설정된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적 강도에 대한 설정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사용자는 설정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뇌파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상기 혼란, 안정 또는 집중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 또는 면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분석된 뇌파의 보강 신호 또는 뇌파 저감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하,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접촉 전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를 대변하는 뇌파를 센싱하고, 이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그 표시된 바에 따른 징후를 증가시키거나 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스킨쉽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기반으로 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제어부(10), 저장부(20), 통신부(30), 구동부(40), 센싱부(50), 화면부(60), 및 입력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석모듈(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말장치(200), 치유모듈(210) 및 서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센싱부(50)가 사용자를 센싱한 정보를 분석(프로세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석 정보는 화면부(60)가 표시(출력)하여 어떠한 상태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치유모듈(210)은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치유모듈(210)은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더욱 활성화시키거나 그 반대로 사용자의 상태를 둔화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센싱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뇌파 신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뇌파란, 인간의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생체신호를 말하며, 인간의 두피에 모든 영역에서 측정되고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로 주로 30Hz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된다. 델타파는 4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상적인 수면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세타파는 4∼8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하거나 주위가 산만할 때 주로 나타나며 학습장애가 있는 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난다.
알파파는 8∼12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대체로 정신적인 상태가 안정적이며 눈을 감고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취하고 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알파파는 주변의 상황에서 분리될 정도로 고도의 집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명상으로 인하여 심리적인 안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를 말하며 흥분 상태에서 나타난다.
베타파는 12∼3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지칭하며, 약간의 긴장상태나 일정 이상의 주의를 기울일 때 주로 나타난다. 베타파는 운동이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일 때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베타파는 12∼15Hz의 주파수를 갖는 SMR파,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 2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고 베타파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불안, 긴장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스트레스파라고도 한다.
주의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SMR파가 나타나며, 집중, 정상적인 활동을 할 때에는 좌측 뇌에서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가 나타나고 긴장과 불안이 계속될 때에는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이상과 같은 뇌파의 특징을 이용하여 센싱부(50)가 사용자의 현재 뇌파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10)가 분석(프로세싱)한 후 치유모듈(210)이 사용자의 현재 뇌파가 혼동 상태일 경우에는 안정 뇌파를 발생시켜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뇌파가 안정 상태일 경우이고 안정 상태가 더욱 심화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안정 뇌파를 더 증폭 전달하여 사용자의 안정을 더욱 지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50)는 다수의 전극을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전극 중 그라운드 전극이 사용자의 두피 중앙에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우뇌용 전극과 좌뇌용 전극이 동일한 개수로 사용자의 두피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수신한다. 이 때, 센싱부(50)는 사용자의 전두엽영역에 대한 뇌파 또는 전두엽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뇌파 등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센싱부(50) 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드셋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고, 스마트폰에 전극이 부착된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0)는 수신된 뇌파로부터 알파파, 베타파, SMR파, 세타파, 및 감마파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는 증폭 모듈(미도시)과 필터 모듈(미도시), AD 변환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증폭 모듈은 내부에 증폭기를 구비하고, 증폭기를 통해 뇌파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수십 μV~ 수십 mV의 뇌파를 3 ~ 5V로 증폭시켜, 수신된 뇌파 분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필터 모듈은 다수의 아날로그 필터를 구비하여 증폭 모듈(121)에서 증폭된 뇌파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이 때, 필터는 고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대역저지필터(band stop filter),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대역통과필터는 DC전압, 호흡, 몸 움직임, 눈 깜빡임 등에 의한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대역통과필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범위를 갖는 뇌파를 필터링한다.
대역저지필터는 50Hz 또는 60Hz의 전원공급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뇌파를 대역제한 시켜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뇌파 복원 시 발생하는 왜곡현상을 방지한다. AD 변환 모듈은 필터 모듈을 통해 추출한 아날로그 상태의 뇌파를 디지털화한다.
한편, 저장부(20)에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대변할 수 있는 뇌파의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 즉, 뇌파 신호의 기 설정된 패턴이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데, 제어부(10)는 센싱되어 디지털화된 뇌파의 증폭 신호를 기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여 그 일치 및 차이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기 설정된 패턴은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적 강도에 대한 설정값 또는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증가량으로 이루어진다.
즉, 현재의 뇌파 중 어느 하나의 상대적인 강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증가량을 함께 고려해야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분석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감마파 또는 고 베타파가 저감되면서 알파파가 증가된다는 것은 심리적인 안정상태로 변이한다고 할 수 있는데, 감마파 또는 고 베타파의 증가량을 감소하고 알파라의 증가량을 증가한다는 지표도 측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입력부(70)는 사용자가 뇌파의 센싱에 앞서 자신의 상태에 대하여 분석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상태를 선택 입력하도록 한다. 즉, 입력부(70)는 설정된 카테고리(혼란, 집중, 안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제어부(10)는 이러한 선택에 따라 뇌파 신호를 필터링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청소년의 심리 상태 진단 및 치유 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청소년이 심리 고백이라는 방법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혼란, 집중, 안정 중 어느 하나로 고백했다고 한다면, 입력부는 이를 혼란에 관계된 고 베타파 또는 감마파의 센싱 영역 또는 집중에 관계된 SMR 또는 세타파의 센싱 영역 또는 안정과 관계된 알파파의 센싱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화면부(60)는 제어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상태에 대하여 혼란, 안정 또는 집중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 또는 면적을 표시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에 알라밍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면부(6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설치된 가구 또는 방의 문에 부착될 수도 있다. 화면부(60)는 LC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OLED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부(60)가 문에 설치되면 거실에서도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부(60)가 가구에 설치된 경우에는 가구의 색상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분위기를 명확하게 알 수도 있다.
화면부(60)는 제어부(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미도시)과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색상 및 면적을 변화시키는 색상 변환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수신 모듈(미도시)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며,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색상 변환 모듈(미도시)은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색상 또는 면적을 변화시키는데, 예를 들어, 집중 상태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안정 상태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흥분상태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부(60)는 혼란의 정도는 베타파 또는 감마파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안정의 정도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집중의 정도는 SMR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한다.
한편, 통신부(30)는 제어부(10)가 분석한 정보를 치유모듈(2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치유모듈(210)은 단말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단말장치(200)는 분석된 정보를 UI(user interface)로 표시하게 되고, 단말장치(200)의 사용자는 UI을 입력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가 혼란 상태인 경우에 전술한 화면부(60)에 붉은색의 큰 면적 요소가 출력되고, 나아가 단말장치(200)에도 동일한 붉은색의 큰 면적 요소가 출력되는 경우, 단말장치(200)의 사용자는 화면을 쓰다듬는 동작을 수행한다던지, 화면에 터치(스킨쉽)를 통해 계속적인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던지, 화면의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입력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치유모듈(200)은 혼란 상태의 반대 제어 신호(알파파)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UI로 표시되는 분석 정보는 층구조(레이어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층 구조는 베이스 데이터와 적층 메타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데이터는 고정 UI로 이루어지고, 적층 메타 데이터는 변동 UI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태가 센싱되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고정 UI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변화에 관계되는 이미지가 변동 UI로 이루어져 그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아바타의 현재 상태와 같은 방법으로 보여지게 하여 매우 직관적인 사용자의 상태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터치 기반 입력을 수행하여 상기 적층 메타 데이터가 표시된 UI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방법으로 입력을 수행하고, 치유모듈(210)은 이러한 단말장치(20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뇌파 보강 신호 또는 뇌파 저감 신호를 발생시켜 최초 센싱된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40)는 이러한 전달을 위해 사용자에 접촉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40)는 센싱부(50)와 동일한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40)는 뇌파 발생 모듈(미도시)과 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근적외선 발생 모듈(미도시)과 근적외선을 머리에 조사하는 근적외선 조사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근적외선 조사 모듈은 사용자를 안정시킬 경우 뇌영역 중 두정엽(parietal lobe) 부분에 알파파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치유모듈은 다른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고, 이를 최초 센싱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구동할 수 도 있다. 즉, 치유모듈은 제2 사용자의 뇌파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최초 사용자의 치유에 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태를 대변하는 뇌파를 센싱하고, 이를 표시하고, 그 징후를 증가시키거나 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인데,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는 제1단계(S110),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는 제2단계(S120),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3단계(S130) 및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단계(S14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접촉 전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제2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여 이를 최초 센싱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개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활용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기반으로 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콘텐츠를 통해 그 과정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고, "침해지기+문제해결" 과정에서는 뇌파의 저감신호 또는 증폭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치유하는 활용예의 도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술한 개념을 서비스 제공수단(10) 및 서비스 중개수단(20)을 마련하고 이를 인터넷망(40)을 통하여 수행하고 그 진행 상태의 표시는 단말기(30)를 통해 수행하는 정도의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다양한 서버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뇌파 측정 및 전달에 기초하여 그 명칭을 스킨쉽 모험 놀이 시스템이라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치유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분석모듈
10: 제어부
20: 저장부
30: 통신부
40: 구동부
50: 센싱부
60: 화면부
70: 입려부
200: 단말장치
210: 치유모듈
300: 서버
1: 사용자

Claims (23)

  1. 사용자의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부;
    뇌파 신호의 기 설정된 패턴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치유모듈; 및
    상기 분석된 정보를 상기 치유모듈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된 정보는 사용자의 뇌파 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뇌파 신호와 기 설정된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적 강도에 대한 설정값, 및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또는 감마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증가량이고,
    상기 화면부는 상기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혼란, 안정 또는 집중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 또는 면적을 표시하고, 상기 혼란의 정도는 베타파 또는 감마파에 기반하여 표시되고, 상기 안정의 정도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되고, 상기 집중의 정도는 SMR파 또는 세타파에 기반하여 표시되며,
    상기 치유모듈이 발생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의 분석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뇌파 보강 신호 또는 뇌파 저감 신호이거나, 제2 사용자의 뇌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설정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뇌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유모듈은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분석된 정보가 UI(user interface)로 표시되고,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UI을 입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50062265A 2015-05-01 2015-05-01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9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65A KR101692147B1 (ko) 2015-05-01 2015-05-01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65A KR101692147B1 (ko) 2015-05-01 2015-05-01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251A Division KR20160130171A (ko) 2016-07-12 2016-07-12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116A KR20160130116A (ko) 2016-11-10
KR101692147B1 true KR101692147B1 (ko) 2017-01-02

Family

ID=5748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65A KR101692147B1 (ko) 2015-05-01 2015-05-01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1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549B1 (ko) * 1999-07-24 2001-04-16 박병운 뇌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두뇌개발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102B1 (ko) * 2011-09-22 2013-12-03 (주)넥스젠 뇌파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경혈 자극장치
KR102129464B1 (ko) * 2013-07-01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549B1 (ko) * 1999-07-24 2001-04-16 박병운 뇌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두뇌개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116A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0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ructing a behavior change in a user
CA2935813C (en) Adaptive brain training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20170215745A1 (en) Sensing Circuit with Cascaded Reference
US200802149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hysi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Monitoring and Uses Thereof
Kosmyna et al. AttentivU: Designing EEG and EOG compatible glasses for physiological sensing and feedback in the car
US20080281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uraging Physiological Change Through Physiological Control of Video Devices
KR101692147B1 (ko)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31757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장치
JP5150902B2 (ja) 生体行動反応解析システム
KR20170096285A (ko) 뇌파를 이용한 tv 구동 방법
KR20160130171A (ko)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7175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폰 페어링 방법
AU2019100848A4 (en) A system for leadership skills measurement
KR101612037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884450B1 (ko)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장치
KR101681985B1 (ko) 뇌파를 이용한 요람의 자동 제어 방법
KR20220070910A (ko) 스킨쉽 심리 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심리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96270A (ko) 뇌파를 이용한 에어컨 구동 장치
KR20160095652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방법
Poguntke Understanding stress responses related to digital technologies
KR101664027B1 (ko) 구동 패턴 및 뇌파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 방법
KR20160095243A (ko) 뇌파를 이용한 상태 표시 장치
KR20160095268A (ko) 뇌파를 이용한 it 디바이스 구동 방법
KR20170096290A (ko) 뇌파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의 구동 방법
Shic et al. Advancing technology to meet the needs of young children with ASD: Considerat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