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62B1 -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062B1
KR101692062B1 KR1020140176220A KR20140176220A KR101692062B1 KR 101692062 B1 KR101692062 B1 KR 101692062B1 KR 1020140176220 A KR1020140176220 A KR 1020140176220A KR 20140176220 A KR20140176220 A KR 20140176220A KR 101692062 B1 KR101692062 B1 KR 10169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body part
mixture layer
layer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948A (ko
Inventor
최다미
김진래
송주동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취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휘발성 황화합물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과 결합하면 그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형태의 몸체부에 구취 가스의 주요 성분인 황화수소, 메틸멜캅탄 및 디메틸설파이드와 같은 휘발성 황화합물과 결합하는 CaCO3, Di-thio-nitrobenzoic acid 및 Pararosaniline hydrochloride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화합물이 적층된 것으로,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색 변화가 발생하여 육안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취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취 측정 장치에 비하여 값이 저렴하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가 용이하기에, 평상시 소지하다가 필요시에 본인의 구취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어, 개인의 위생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halitosi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취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휘발성 황화합물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과 결합할 경우 그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구취 정도를 간편하게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나오는 악취 또는 입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로 정의되며 주된 요인은 인체의 치아 질환, 잇몸 질환, 혀의 설태 등의 치주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이 진행되면 구강 내에는 그람 음성 혐기성 세균의 수가 증가하며, 이 세균은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휘발성 황화합물은 구취의 주된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종류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틸멜캅탄(Methyl mercaptan) 및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등을 들 수 있다.
구취는 대인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평상시 개인의 이미지 관리 측면과 더불어 구강 내 원인인 설태 및 치주질환의 표시자로서 예방 차원에서 구취를 관리하고 구취의 정도를 파악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구취의 임상적 치료를 위해 구취클리닉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사람의 후각을 이용해서 직접 환자의 입냄새를 맡는 관능 검사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관능 검사는 냄새의 유무 및 그 정도를 2명 이상의 의료진이 개인적인 주관에 따라 냄새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관능 검사는 측정결과에 대한 객관성이 부족하며, 의료진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냄새가 확인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취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취측정장치가 연구되고 있으며, 공개특허 제2006-0044048호(2006년 5월 16일, 공개)에는 구취 가스 중의 황화수소와 메틸멜캅탄 가스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취 가스의 농도 측정 장치가 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09-0129833호 (2009년 12월 17일, 공개)에는 호흡에 의한 호기 가스 및 장치에 포집된 구강 가스 내의 황화수소 또는 메틸멜캅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구취 측정기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취 측정 장치는 매우 고가이며, 그 방법이 복잡하고, 휴대가 불가능하므로, 구취 측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통해서만 구취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공개특허 제 2006-0044048호(2006년 5월 16일, 공개) 공개특허 제 2009-0129833호 (2009년 12월 17일, 공개)
본 발명은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취 가스의 주요 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과 결합하여 그 농도에 따라 고유의 색을 나타내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이용한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서 종래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하여,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스스로 구취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취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적층된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 및 상기 혼합물 층 위에 코팅된 당알코올 층;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로서,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은 CaCO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부직포, 플라스틱, 유리, 종이 및 이들의 복합재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된 필름형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구취 측정 물질로는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당알코올은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 층은, 단일의 구취 측정 물질이거나, 구역을 나누어서 복수 개로 각각 개별적으로 적층된 형태의 구취 측정 물질의 혼합물 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는데,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몸체부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몸체부 일측에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 상기 적층된 혼합물 층을 건조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혼합물 층 위에 당알코올 층을 코팅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은 CaCO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을 단일의 혼합물 층으로 형성하거나, 구역을 나누어서 복수개로 각각 적층된 혼합물 층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은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에서는 0.1 ~ 10 M CaCO3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CaCO3는 몸체부의 1 ㎠ 당 0.01 ~ 0.1 g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될 수 있는 구취 측정 물질인 상기 Di-thio-nitrobenzoic acid는 몸체부의 1 ㎠ 당 0.099 ~ 0.396 g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ararosaniline hydrochloride는 몸체부의 1 ㎠ 당 0.081 ~ 0.324 g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 층은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혼합물 층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형성되며, 분사의 조건은 몸체부로부터 5 ~ 20 ㎝의 거리 내에서 0.2 ~ 0.6 MPa의 압력 하에서 5 ~ 20초간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30 ~ 40 ℃에서 2 ~ 6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당알코올로 코팅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 층이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혼합물 층이 한꺼번에 코팅되거나 또는 하나의 혼합물 층에 대하여 개별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는 필름 형태의 몸체부에 구취 가스의 주요 성분인 황화수소, 메틸멜캅탄 및 디메틸설파이드와 같은 휘발성 황화합물과 결합하는 CaCO3, Di-thio-nitrobenzoic acid 및 Pararosaniline hydrochloride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화합물이 적층된 것으로,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색 변화가 발생하여 육안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취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취 측정 장치에 비하여 값이 저렴하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평상시 소지하다가 필요시에 본인의 구취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어, 개인의 위생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구취 표시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aCO3가 적층된 휴대용 구취 표시자의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 대비 색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Di-thio-nitrobenzoic acid가 적층된 휴대용 구취 표시자의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 대비 색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Pararosaniline hydrochloride가 적층된 휴대용 구취 표시자의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 대비 색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적층된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 및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 위에 코팅된 당알코올 층;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를 제시한다.
상기 몸체부는 부직포, 플라스틱, 유리, 종이 및 이들의 복합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필름형태이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흡착 및 흡수가 용이하도록 표면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은 CaCO3,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각 화합물마다 검출할 수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아래 표 1과 같다. 하나의 몸체부에 하나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구취 측정 물질이 검출할 수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몸체부에 구역을 나누어서 둘 이상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이 적층될 경우 검출할 수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무기 화합물의 경우 검출할 수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낮은 범위 내에 있으며, 유기 화합물의 경우 검출할 수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범위 내에 있어, 무기 화합물과 유기 화합물을 각각 적층함으로써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를 제조할 경우에는, 낮은 농도에서부터 높은 농도까지의 다양한 농도 범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몸체부에 적층된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 위에 코팅되는 당알코올 층은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뿐, 특정 반응을 나타내는 유효한 물질은 아니며, 구취 측정시 입안의 수분에 의해 당알코올 층은 용해되어 사라진다. 이때 상기 당알코올 층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은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몸체부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몸체부 일측에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 상기 적층된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을 건조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 위에 당알코올 층을 코팅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은 CaCO3,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CaCO3,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는 0.1 mM ~ 10 M 농도로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M 보다 낮은 농도의 용액을 흡수시켜 제조할 경우 검출한계에 미치지 못하여 발색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반대로 10 M 농도를 초과하는 높은 농도의 용액을 흡수시켜 제조할 경우 용매가 증발 후 고상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이 석출되어 성상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에, 0.1 ~ 1 M 농도로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에서 CaCO3는 몸체부의 1 ㎠ 당 0.01 ~ 0.1 g 적층되고, 상기 Di-thio-nitrobenzoic acid는 몸체부의 1 ㎠ 당 0.099 ~ 0.396 g 적층되며, 상기 Pararosaniline hydrochloride는 몸체부의 1 ㎠ 당 0.081 ~ 0.324 g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각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은 상기 범위 내에서만 황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색변화를 나타내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시점부터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높아져도 더 이상의 색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부 일측에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이 분사되어 형성되는 경우의 조건은 몸체부로부터 5 ~ 20 ㎝의 거리 내에서 0.2 ~ 0.6 MPa의 압력 하에서 5 ~ 20초간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30 ~ 40 ℃에서 2 ~ 6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당알코올 층으로 코팅시키는 데, 바람직하게는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만니톨을 이용하였다. 이때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이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이 한꺼번에 코팅되거나 또는 하나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층에 대하여 개별 코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몸체부는 종이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몸체부의 한쪽 표면에는 하기 표 1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분사하여 적층하였다.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적층되는 양
(1 ㎠당)
황화합물의 검출 농도 범위
실험예 1 CaCO3 0.050 g 5 ~ 2000 ppb
실험예 2 Di-thio-nitrobensoic acid 0.198 g 1000 ~ 8000 ppb
실험예 3 Pararosaniline hydrochloride 0.162 g 1000 ~ 7000 ppb
상기 표 1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은 수용액에 용해시켜 0.5 M 농도가 되도에 분사하여 적층 하였다. 이때, 상기 분사 적층된 양은 몸체부의 1 ㎠ 에 대하여 상기 표 1과 같고, 필름으로부터 10㎝ 떨어진 거리에서, 0.4 MPa의 압력하에 10초간 분사 하였으며, 이후 35 ℃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켜 주었다. 건조된 이후 그 위에 몸체부 단위 면적(1 ㎠)당 약 0.030g의 양으로 만니톨이 코팅되었으며, 각각의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이 몸체부에 흡착이 잘 되어 고정되고, 몸체부에 흡착된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외부 오염 또는 자극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는 실험예 1 내지 3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조성 및 검출가능한 황화합물 범위가 나타나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예 1의 CaCO3-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를 이용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도 1과 같고, 실험예 2의 Di-thio-nitrobensoic acid-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를 이용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도 2와 같으며, 실험예 3의 Pararosaniline hydrochloride-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를 이용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도 3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따르면 각각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가 검출가능한 황화합물의 최소 농도 미만에서는 아무런 색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검출가능한 황화합물의 최대 농도를 초과하는 시점부터는 더 이상의 색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때, 무기화합물인 CaCO3가 적층된 실험예 1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경우 검출 가능한 황화합물의 농도 범위는 5 ~ 2000 ppb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기 화합물인 Di-thio-nitrobensoic acid(실험예 2)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실험예 3)이 적층된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경우는 각각 1000 ~ 8000 ppb 및 1000 ~ 7000 ppb의 범위에서 황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정량적인 구취의 측정에서, CaCO3와 같은 무기 화합물의 경우에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낮은 범위(즉, 약한 정도의 구취 측정)에 효과적이고, Di-thio-nitrobens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와 같은 유기 화합물은 높은 농도 범위의 휘발성 황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황화합물의 검출 농도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필름 형태의 몸체부에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적층할 때,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적층되는 필름 형태의 몸체부의 적층 구역을 반으로 나누어 아래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유기 화합물 1종과 무기 화합물 1종이 각각 적층되도록 하였다.
화합물 종류 화합물 명 황화합물의 검출 농도 범위
실험예 4
무기 화합물 CaCO3 5 ~ 2000 ppb
유기 화합물 Di-thio-nitrobensoic acid 1000 ~ 8000 ppb
실험예 5
무기 화합물 CaCO3 5 ~ 2000 ppb
유기 화합물 Pararosaniline hydrochloride 1000 ~ 7000 ppb
상기 표 2에 따른 실험예 4 내지 5는 낮은 농도 범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무기 화합물과 높은 농도 범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동시에 적층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예 1 내지 3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농도 범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는 구취의 주요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과 결합하여 그 농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황화합물을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육안으로 구취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필름형태의 몸체부에 상기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단일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낮은 농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무기 화합물과 높은 농도의 황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양한 황화합물의 농도 범위에서 정량적으로 구취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6)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일측에적층된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 및
    상기 혼합물 층 위에 코팅된 당알코올 층;을 포함하고,
    상기 구취 측정 물질은 CaCO3이며,
    상기 CaCO3는 몸체부의 1 ㎠ 당 0.01 ~ 0.1 g 의 양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 측정 물질에는,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가 추가로 더 포함되고,
    상기 혼합물 층은 몸체부 일측에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구역을 나누어서 복수개로 각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필름 형태이고, 부직포, 플라스틱, 유리 또는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 층은,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6.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몸체부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몸체부일측에 구취 측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
    상기 적층된 혼합물 층을 건조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혼합물 층 위에 당알코올 층을 코팅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에서는0.1 ~ 10 M CaCO3 수용액을 사용하여 구취 측정 물질로 CaCO3가 사용되고,
    상기 CaCO3는 몸체부의 1 ㎠ 당 0.01 ~ 0.1 g 의 양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 측정 물질에는, Di-thio-nitrobenzoic acid 또는 Pararosaniline hydrochloride가 추가로 더 포함되고,
    상기 혼합물 층은 몸체부 일측에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구역을 나누어서 복수개로 각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i-thio-nitrobenzoic acid는 몸체부의 1 ㎠ 당 0.099 ~ 0.396 g 의 양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ararosaniline hydrochloride는 몸체부의 1 ㎠ 당 0.081 ~ 0.324 g 의 양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층을 적층하는 단계(S20)는, 상기 몸체부 일측에 CaCO3 수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는 필름형태의 몸체부로부터 5 ~ 20 ㎝의 거리 내에서 0.2 ~ 0.6 MPa의 압력하에서 5 ~ 20초간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S30)는 30 ~ 40 ℃에서 2 ~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 층을 코팅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혼합물 층이 몸체부 일측에 구역을 나누어서 복수 개로 적층될 경우에는, 상기 당알코올 층은 한꺼번에 코팅되거나 각각이 개별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 층은,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말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의 제조방법.
KR1020140176220A 2014-12-09 2014-12-09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20A KR101692062B1 (ko) 2014-12-09 2014-12-09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20A KR101692062B1 (ko) 2014-12-09 2014-12-09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48A KR20160069948A (ko) 2016-06-17
KR101692062B1 true KR101692062B1 (ko) 2017-01-03

Family

ID=5634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220A KR101692062B1 (ko) 2014-12-09 2014-12-09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9545B2 (ja) * 2017-03-15 2021-06-02 株式会社タニタ 生体ガス検知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5B1 (ko) * 2003-10-16 2012-02-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구취에 대한 가시 지시 장치
EP2687846A1 (en) * 2008-06-13 2014-01-22 Alt Bioscience, Llc. Device for rapid determination of disease-associated thiol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541A (ja) * 1989-04-29 1990-11-30 Konica Corp 分析素子
KR100608434B1 (ko) 2004-11-11 2006-08-0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구취 가스의 농도 측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100981300B1 (ko) 2008-06-13 2010-09-10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구취측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5B1 (ko) * 2003-10-16 2012-02-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구취에 대한 가시 지시 장치
EP2687846A1 (en) * 2008-06-13 2014-01-22 Alt Bioscience, Llc. Device for rapid determination of disease-associated thio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48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6966T2 (de) Neue verwendung
AU777817B2 (en) Mark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o monitor drug compliance
US10213344B2 (en) Dressing with moisture indicator
EP3565641B1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Serpe et al. Influence of salivary washout on drug delivery to the oral cavity using coated microneedles: An in vitro evaluation
RU2016136846A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олимерная пленка с разделительным действием
JP6170171B2 (ja) 水分表示性親水性ポリウレタン
WO2016189053A1 (de) Sensoranordnung
KR20140029482A (ko) 로피니롤 함유 첩부제 및 그 포장체
KR101692062B1 (ko) 휴대용 구취 측정 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EP0060723A1 (en) Indicator for detecting ethylene oxide
KR20150056852A (ko) 포장재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구조
Patel et al. Wearable electronics for skin wound monitoring and healing
US20130244316A1 (en) Paper strip for determining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ntibiotics
ES2603748T3 (es) Tira de papel para la determinación de concentraciones mínimas inhibidoras de antibióticos
Jahn Leachables and extractables: from regulatory expectations to laboratory assessment
DE102021102490A1 (de) Gesichtsmaske mit Indikator für Krankheitserreger
JP5709049B2 (ja) 水分蒸散量測定パッチ
US11903939B2 (en) Patch preparations with accidental use prevention features
DE602006008903D1 (de) Cholesterin imitierende pyrensonden
Alagusundaram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ovel trans-buccoadhesive bilayer tablets of Famotidine
CN109125913A (zh) 一种含药物的医用疤痕贴及其制备方法
ES2368164T3 (es) Artículo absorbente desechable.
KR102557320B1 (ko) 저자극성 점착제 기반 환자 모니터링용 유연패치
JP7363341B2 (ja) 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および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付外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