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972B1 -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72B1
KR101691972B1 KR1020160011531A KR20160011531A KR101691972B1 KR 101691972 B1 KR101691972 B1 KR 101691972B1 KR 1020160011531 A KR1020160011531 A KR 1020160011531A KR 20160011531 A KR20160011531 A KR 20160011531A KR 101691972 B1 KR101691972 B1 KR 10169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ulture
liquid
mycel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332A (ko
Inventor
박용만
신은지
김윤수
윤성균
Original Assignee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Publication of KR2016009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각종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 CANCER COMPRISING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CERIPORIA LACERAT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무제한 증식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된 종괴 또는 종양이 주위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을 파괴시킴으로써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군을 총칭한다. 암에 대한 화학요법은 강한 세포독성을 보이는 항암물질 투여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는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면서 치료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종래 천연물, 특히 자생식물, 식물 생약으로부터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천연물 유래 항암제에는 주목나무에서 분리한 택솔(Taxol; 파클리탁셀)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암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신체 내 다른 정상세포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는 백색 부후균의 일종으로서, 생태계에서 셀룰로오스, 헤미 셀룰로오스, 기타 다당류 및 글리세롤 등의 탄소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리그닌 분해라는 공동대사(co-metabolism)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이용한 의학적 치료 용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31605 호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의 당뇨 치료 용도만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을 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이 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31605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종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간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위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폐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자궁경부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피부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7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구강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8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전립선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9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췌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1).
도 10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체의 갑상선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11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피부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12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구강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13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전립선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1).
도 14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췌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1).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세포외다당체(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란, 균류 등 미생물의 세포벽의 일부로서, 다당류가 세포 외로 분비되어 그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점질물로서 세포주위나 배지로 분비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미생물이 항체, 독성물질, 원생동물 및 박테리오파지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된다.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40 내지 60 중량%의 당과 30 내지 40 중량%의 단백질, 40 내지 50 중량%의 당과 32 내지 38 중량%의 단백질, 43 내지 47 중량%의 당과 33 내지 36 중량%의 단백질, 또는 약 45 중량%의 당과 약 34 중량%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은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100 내지 150 kDa, 110 내지 140 kDa 또는 115 내지 125 kDa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20 kDa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a)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및 (c)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 분말을 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고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액체 배양을 위한 배지는 설탕, 포도당, 전분, 수수분, 대맥분, 대두분, 황산마그네슘(MgSO4), 1인산칼륨(KH2PO4), 2인산칼륨(K2HPO4) 및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수소이온농도(pH)가 4.5 내지 6.0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지는, 설탕 0.2 내지 3 중량%, 포도당 0.2 내지 3 중량%, 전분 0.2 내지 4 중량%, 수수분 0.1 내지 0.5 중량%, 대맥분 0.1 내지 0.5 중량%, 대두분 0.2 내지 3 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0.05 내지 0.1 중량%, 1인산칼륨(KH2PO4) 0.05 내지 0.25 중량%, 2인산칼륨(K2HPO4) 0.05 내지 0.2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액체 배양은 청색 LED 광원 하에서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액체 배양은 청색 LED 광원 하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1,000 내지 2,000 ppm으로 유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배양은 예를 들어, 20 내지 28 ℃에서, 수소이온농도는 4.5 내지 6.0, 광원은 청색 LED, 조도는 0.1 내지 0.8 LUX를 유지하며 공기는 0.5 내지 2.0 kgf/㎠으로 주입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1,000 내지 2,000 ppm으로 유지하면서 8 내지 13일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25 ℃, pH 4.5 내지 6.0, 0.5 내지 2.0 kgf/㎠의 공기 주입 및 1,000 내지 2,000 ppm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건에서 5 내지 15일간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액체 배양할 경우,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의 함량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 모균주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상태로 1 내지 5 ℃에 보관중인 우량 균주를 삼각플라스크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를 사용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5 ℃의 항온을 유지하며 7 내지 9 일간 배양과정을 거친 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모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액 또는 수득한 균사체를 접종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접종원으로 투입될 균사체의 양은 배양할 용액의 양을 기준으로 0.5 %(w/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균사체량(%/100 ㎖, w/v)이 많다고 세포외다당체의 함량도 같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므로 배지 조성은 균사체의 성장에 가장 양호한 영양 비율 및 환경조건이 아닌, 세포외다당체의 함량을 가장 높게 형성시키는 선택적 배양조건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액은 균사체와 수용액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정제는 원심분리기로 균사체를 제거한 용액을 다중필터프레스(multi-sheet filter press)와 진동원심막분리기(PALLSEP)로 반복하여 정제한 후, 1분간 자외선(UV)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산소를 제거한 후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는 배양액 속에 균사가 존재할 경우 균사의 성장으로 유효성분의 함량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균사체 배양액을 건조시켜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유효물질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40 ℃ 이하의 온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 이하의 온도에서 48 내지 96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의 건조는 증발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진공건조기보다 진공동결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물질 함량 변화가 최소화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는 (b) 단계에서 얻은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을 용매로 추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세포외다당체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 분말 3 내지 10 g에 증류수 100 ㎖를 첨가하여 잘 현탁한 후,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 내지 3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에 그 양의 2 내지 3 배에 해당하는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1 내지 5 ℃의 냉장고에 넣어 10 내지 15 시간 정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정치물에서 상등액만을 다시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 내지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회수하여 조(crude) 세포외다당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 세포외다당체를 30 ℃ 이하에서 진공동결건조하여 세포외다당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99 %(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함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80 중량%, 또는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이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은 상기 세포외다당체의 함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적절히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포외다당체; 이를 포함하는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의 유효 함량은 약학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제형으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유화액제, 주사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불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담체를 이용하여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제형이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및 경질 캡슐제인 경우,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전분 또는 그 유도체, 탈크, 칼슘 카보네이트, 젤라틴, 스테아르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연질 캡슐제인 경우, 식물성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형이 용액 또는 시럽 형태인 경우, 물, 폴리올, 글리세롤, 및/또는 식물성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의 담체 외에도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병증의 정도, 투여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인 세포외다당체를 기준으로 5 내지 1,000 mg/kg체중의 양,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600 mg/kg체중의 양을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우수한 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거의 없어 항암제로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암, 예를 들어, 간암, 대장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유방암, 난소암, 갑상선암, 중추신경암, 뇌암, 피부암, 췌장암, 직장암, 식도암, 신장암, 상피암, 혈액암, 구강암, 전립선암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고, 캔디, 초콜릿, 껌, 차, 비타민복합체, 건강보조식품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중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외다당체; 이를 포함하는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건강 음료 조성물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또는 0.3 내지 1 g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본 발명의 세포외다당체; 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과 함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제조예 1.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제조
경북 상주시(한국)에서 채취한 참나무 변제부 속에서 분리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계대배양을 통해 육성한 모균을 -80 ℃에 냉동보관하였고, 보관중인 균주를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87 플라스틱 배양구; 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서 2 내지 3회 계대 후 균주(이하 "PDA 배양균주"라 함)를 4 ℃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삼각플라스크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600 ㎖를 조성한 후, 여기에 PDA 배양균주 1개를 넣고 25 ℃에서 8일간 진탕배양하여, PDB 배양균주를 수득하였다.
한편, 균주의 배양을 위해, 설탕 1.5 중량%, 포도당 0.5 중량%, 감자전분 0.5 중량%, 수수분 0.25 중량%, 대맥분 0.25 중량%, 대두분 0.75 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0.05 중량%, 1인산칼륨(KH2PO4) 0.05 중량%, 2인산칼륨(K2HPO4) 0.0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액체 배양 배지를 800 ℓ 발효조에서 121 ℃의 공기를 1.5 kgf/㎠로 주입하여 20 분간 살균한 후, 23℃로 냉각한 상태에서 스타터로 상기 PDB 배양균주 600 ㎖를 접종하고, 공기를 0.5 내지 1.5 kgf/㎠으로 통기시키면서, 광원은 청색 LED, 조도는 0.5 LUX를 유지하며,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000 ppm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23 ℃의 항온에서 10 일간 액체 배양함으로써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건조분말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25 ℃에서 72 시간 동안 진공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5 g에 증류수 100 ㎖를 첨가하여 잘 현탁한 후, 8,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이의 상등액에 그 양의 2 내지 3배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첨가하고 4 ℃에서 12 시간 정치시켰다. 이후 정치물에서 상등액을 취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으로부터 세포외다당체(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이하 "EPS"라 함)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수득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다시 8,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회수하여 조(crude) EPS를 얻었다. 상기 조 EPS를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25 ℃에서 72 시간 진공동결건조시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EPS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1. EPS의 특성 평가
1.1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를 이용한 EPS의 분자량 측정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EPS를 0.1 M Na2SO4/0.05 M NaN3[빙초산(glacial acetic acid)으로 pH를 4로 조정] 용액에 1 %(w/v)가 되도록 녹인 다음, 4,000 rpm으로 0.5 시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을 0.45 ㎛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GPC로 분석하였다.
GPC 분석조건은 검출기로 굴절지수를 이용하였으며, GPC 칼럼은 OHpak SB 805 HQ(Shodex, Japan)를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0.1 M Na2SO4/0.05 M NaN3[빙초산으로 pH를 4로 조정]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의 유속은 1.0 ㎖/분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표준곡선은 각기 다른 분자량(130 kDa, 400 kDa, 770 kDa 또는 1,200 kDa)을 가진 덱스트란(American Polymer Corporation,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굴절지수(refractive index, RI) 측정기 Knauer K-2310(Germany)를 이용하여 EPS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분자량의 측정
GPC 시스템 Knauer K-501 시스템
컬럼 OHpak SB 805 HQ(Shodex, Japan)
이동상 0.1 M Na2SO4/0.05 M NaN3/pH 4
유속 0.1 ㎖/분
측정기 RI(Knauer K-2310)
그 결과, 본 발명의 EPS 분자량은 약 120 kDa으로 나타났다.
1.2 EPS의 당 및 단백질 함량 측정
제조예 4에서 제조한 EPS를 2차 정제하고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당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정제된 EPS(제조예 4에서 제조한 EPS)를 증류수에 녹이고 8,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등액에 그 양의 2 내지 3배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첨가하고 4 ℃ 냉장고에 넣어 12 시간 정치시켰다. 그 후, 정치물에서 상등액만을 취해 이를 다시 8,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회수하여 2차 정제된 EPS를 획득하였다. 상기 2차 정제된 EPS를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알칼레이즈(alcalase)를 0.5%(w/v)의 농도로 50 ℃에서 30 분간 처리하였다.
당 함량은 페놀-황산법(phenol-sulfuric acid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1 ㎖에 80 %(v/v) 페놀을 25 ㎕ 첨가한 후, 황산 2.5 ㎖를 첨가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4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당 함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BCA 방법(Smith PK et al., Analytical Biochemistry, 150(1):76-85, 1985)에 의해 측정되었고 표준품으로 소혈청알부민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한 당 함량 및 단백질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냈으며, 당 함량은 45 내지 51 중량%이고 단백질 함량은 33 내지 34 중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율(%) 총 당 함량(%) 총 단백질 함량(%)
EPS 1.22±0.03 45.32±1.41 34.17±0.73
2차 정제된 EPS 0.78±0.01 50.49±0.52 33.50±2.79
효소 처리된 EPS* 0.24±0.06 51.39±1.32 34.61±1.51
*효소 처리: 알칼레이즈 0.5 %, 50 ℃, 30 분.
각 수치는 평균±SE(n≥3)임.
또한, EPS의 당 구성성분 분석 결과, EPS는 주로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EPS의 항암 효과 검증 Ⅰ
2.1 MTT 어세이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EPS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EPS의 처리 농도별 MTT 어세이를 시행함으로써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MTT(3-(4,5-dimet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연쇄효소에 의해 개열하고 암청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며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포르마잔의 생성량은 생세포수 측정에 이용된다(관련문헌: Van de Loosdrecht, A.A., et al., J. Immunol . Methods, 141(1):15-22, 1991).
먼저,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입수한 Hep3B(간암세포주), DLD-1(대장암세포주), AGS(위암세포주), A549(폐암세포주) 및 HeLa(자궁경부암세포주)를 각각 24 웰 플레이트에 5 × 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한 후 37 ℃, 5 % CO2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각 암세포주의 배양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Hep3B(간암세포주):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10 %(v/v) FBS(Fetal Bovine Serum), 1 %(v/v) P/S (Penicillin/Streptomycin Solution)
- DLD-1(대장암세포주), AGS(위암세포주) 및 A549(폐암세포주):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10 %(v/v) FBS, 1 %(v/v) P/S
- HeLa(자궁경부암세포주): MEM(Minimum Essential Medium), 10 %(v/v) FBS, 1 %(v/v) P/S
세포부착을 확인한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바꾸어 주고, 증류수에 녹여 각각 5, 10 또는 20 mg/㎖의 농도가 되도록 EPS를 각 웰에 처리하고, 3일 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여기에, 전체 배지의 1/10(v/v) 되는 양의 MTT 용액을 각각 처리하고, 배양기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포르마잔 형성을 확인하고, 포르마잔이 흩어지지 않게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그 후, 각 웰에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 ㎕씩 넣고 세포 내에 형성된 포르마잔을 용해시켰다. 엘리사(ELISA) 판독기로 57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2.2 간암 치료 효과 분석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의 처리 농도가 5 mg/㎖에서 20 mg/㎖로 증가함에 따라 Hep3B(간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97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EPS의 탁월한 간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종류 농도
(mg/㎖)
OD (570 nm) 세포 생존률(%) 세포 생존률의 표준편차(%)
1회 2회 평균 표준편차
control 0 0.747 0.754 0.751 0.00 100.00 0.66
EPS 5 0.024 0.025 0.025 0.00 3.26 0.09
10 0.005 0.004 0.005 0.00 0.60 0.09
20 0.005 0.004 0.005 0.00 0.60 0.09
2.3 대장암 치료 효과 분석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EPS의 처리 농도가 5 mg/㎖에서 20 mg/㎖로 증가함에 따라 DLD-1(대장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98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EPS의 탁월한 대장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종류 농도
(mg/㎖)
OD (570 nm) 세포 생존률(%) 세포 생존률의 표준편차(%)
1회 2회 평균 표준편차
control 0 0.480 0.488 0.484 0.01 100.00 1.17
EPS 5 0.011 0.011 0.011 0.00 2.27 0.00
10 0.010 0.009 0.095 0.00 1.96 0.15
20 0.006 0.005 0.006 0.00 1.14 0.15
2.4 위암 치료 효과 분석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EPS의 처리 농도가 5 mg/㎖에서 20 mg/㎖로 증가함에 따라 AGS(위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85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EPS의 탁월한 위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종류 농도
(mg/㎖)
OD (570 nm) 세포
생존률(%)
세포 생존률
표준편차(%)
1회 2회 3회 평균 표준편차
control 0 0.902 0.844 0.973 0.906 0.065 100.00 7.13
EPS 5 0.124 0.126 0.124 0.125 0.001 13.8 0.13
10 0.113 0.112 0.113 0.113 0.001 14.0 0.06
20 0.101 0.110 0.115 0.109 0.007 12.0 0.78
2.5 폐암 치료 효과 분석
하기 표 6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EPS의 처리 농도가 5 mg/㎖에서 20 mg/㎖로 증가함에 따라 A549(폐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43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EPS의 탁월한 폐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종류 농도
(mg/㎖)
OD (570 nm) 세포
생존률(%)
세포 생존률
표준편차(%)
1회 2회 3회 평균 표준편차
control 0 0.804 0.795 0.825 0.808 0.015 100.0 1.91
EPS 5 0.425 0.503 0.459 0.462 0.039 57.2 4.84
10 0.152 0.162 0.160 0.158 0.005 19.6 0.65
20 0.100 0.109 0.114 0.108 0.007 13.3 0.88
2.6 자궁경부암 치료 효과 분석
하기 표 7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EPS의 처리 농도가 5 mg/㎖에서 20 mg/㎖로 증가함에 따라 HeLa(자궁경부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점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96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EPS의 탁월한 자궁경부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종류 농도
(mg/㎖)
OD (570 nm) 세포
생존률(%)
세포 생존률
표준편차(%)
1회 2회 평균 표준편차
control 0 0.429 0.437 0.433 0.01 100.00 1.31
EPS 5 0.016 0.016 0.016 0.00 3.70 0.00
10 0.013 0.013 0.013 0.00 3.00 0.00
20 0.008 0.008 0.008 0.00 1.85 0.00
실시예 3. EPS의 항암 효과 검증 Ⅱ
3.1 MTT 어세이
EPS의 처리 농도를 0.25, 0.5 또는 1 mg/㎖로 하고, 암세포로서 Melanoma B16(피부암세포주), CRL-1628(구강암세포주), PC-3(전립선암세포주), SNU-410(췌장암세포주) 및 SNU-790(갑상선암세포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EPS의 항암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암세포주의 배양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Melanoma B16: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10 %(v/v) FBS(Fetal Bovine Serum), 1 %(v/v) P/S (Penicillin/Streptomycin Solution)
- CRL-1628, PC-3, SNU-410 및 SNU-790: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10 %(v/v) FBS, 1 %(v/v) P/S
3.2 피부암 치료 효과 분석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의 처리 농도가 0.25 mg/㎖에서 1 mg/㎖로 증가함에 따라 피부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1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14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3.3 구강암 치료 효과 분석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를 1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15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EPS의 처리 농도 0.25 및 0.5 mg/㎖의 MTT 어세이 결과 미기재).
3.4 전립선암 치료 효과 분석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의 처리 농도가 0.25 mg/㎖에서 1 mg/㎖로 증가함에 따라 전립선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1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49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3.5 췌장암 치료 효과 분석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의 처리 농도가 0.5 mg/㎖에서 1 mg/㎖로 증가함에 따라 췌장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1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14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EPS의 처리 농도 0.25 mg/㎖의 MTT 어세이 결과 미기재).
3.6 갑상선암 치료 효과 분석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EPS의 처리 농도가 0.5 mg/㎖에서 1 mg/㎖로 증가함에 따라 갑상선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EPS를 1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14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EPS의 처리 농도 0.25 mg/㎖의 MTT 어세이 결과 미기재).
실시예 4.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의 항암 효과 검증
4.1 MTT 어세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이하, 표 및 도면에서 CL01로 표기함)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L01의 처리 농도를 1, 2.5 또는 5 mg/㎖로 하여 실시예 2.1에서와 같이 MTT 어세이를 시행함으로써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암세포로서 Melanoma B16(피부암세포주), CRL-1628(구강암세포주), PC-3(전립선암세포주) 및 SNU-410(췌장암세포주)를 사용하였고, 각 암세포주의 배양액의 조성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4.2 피부암 치료 효과 분석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CL01의 처리 농도가 1 mg/㎖에서 5 mg/㎖로 증가함에 따라 피부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CL01을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14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4.3 구강암 치료 효과 분석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CL01의 처리 농도가 1 mg/㎖에서 5 mg/㎖로 증가함에 따라 구강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CL01을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48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4.4 전립선암 치료 효과 분석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CL01의 처리 농도가 1 mg/㎖에서 5 mg/㎖로 증가함에 따라 전립선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CL01을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48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4.5 췌장암 치료 효과 분석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1의 MTT 어세이 결과 본 발명의 CL01의 처리 농도가 1 mg/㎖에서 5 mg/㎖로 증가함에 따라 췌장암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CL01을 5 mg/㎖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약 54 %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EPS뿐만 아니라, 상기 EPS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및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도 항암제로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암은 대장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유방암, 난소암, 갑상선암, 중추신경암, 뇌암, 피부암, 췌장암, 직장암, 식도암, 신장암, 상피암, 혈액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40 내지 60 중량%의 당 및 30 내지 40 중량%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100 내지 15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43 내지 47 중량%의 당 및 33 내지 36 중량%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115 내지 125 kDa의 분자량을 갖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이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a)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및
    (c)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 분말을 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고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양을 위한 배지가 설탕, 포도당, 전분, 수수분, 대맥분, 대두분, 황산마그네슘(MgSO4), 1인산칼륨(KH2PO4), 2인산칼륨(K2HPO4) 및 물을 포함하고, 수소이온농도(pH)가 4.5 내지 6.0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양이 청색 LED 광원 하에서 수행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양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1,000 내지 2,000 ppm으로 유지하여 수행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액;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건조분말; 또는 상기 균사체 배양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암은 대장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유방암, 난소암, 갑상선암, 중추신경암, 뇌암, 피부암, 췌장암, 직장암, 식도암, 신장암, 상피암, 혈액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인,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11531A 2015-01-30 2016-01-29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1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4887 2015-01-30
KR1020150014887 2015-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332A KR20160094332A (ko) 2016-08-09
KR101691972B1 true KR101691972B1 (ko) 2017-01-02

Family

ID=5654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31A KR101691972B1 (ko) 2015-01-30 2016-01-29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91972B1 (ko)
CN (1) CN107182201B (ko)
WO (1) WO2016122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36B1 (ko) 2016-12-23 2017-03-31 한상선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항암, 각종 암 예방,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3357A (zh) 2011-12-22 2013-06-26 高冬 撕裂蜡孔菌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05B1 (ko) 2010-11-11 2011-04-27 김병천 당뇨병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CN102807956B (zh) * 2012-07-12 2014-04-16 华东理工大学 一株撕裂蜡孔菌菌株及其用途
GB2529557A (en) * 2013-01-18 2016-02-24 Fugenbio Co Ltd Method for preparing extract from culture medium of ceriporia lacerat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KR20140128712A (ko) * 2013-04-29 2014-1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kuc8111 균주, 상기 균주의 바이오매스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뮴 제거 방법
KR20160008425A (ko) * 2014-07-14 2016-01-22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3357A (zh) 2011-12-22 2013-06-26 高冬 撕裂蜡孔菌及其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8: 669-678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82201A (zh) 2017-09-19
WO2016122261A1 (ko) 2016-08-04
KR20160094332A (ko) 2016-08-09
CN107182201B (zh)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414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US10226494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using Ceriporia lacerata as active ingredient
KR20160008425A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55878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69197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12590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증진용 조성물
KR20160008431A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 개선용 조성물
KR101308539B1 (ko) 신규한 푸사리세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682108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682093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101682101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682104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보호용 조성물
KR101737626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잉 면역 억제용 조성물
KR101682096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안정용 조성물
KR101691975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17354B1 (ko) 해조류 유래 올리고당, 상기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및사용방법
KR10165588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KR101755338B1 (ko) 2단 발효된 잎새버섯 자실체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암기능성 잎새버섯 자실체 발효물
CN107001487B (zh) 含有由撕裂蜡孔菌生成的胞外多糖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性功能的组合物
KR20050100718A (ko)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득한 베타글루칸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20170062017A (ko) 큰실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011243A (ko) 사코리자 더마토디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2719A (ko)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