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68B1 -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 Google Patents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68B1
KR101691868B1 KR1020150113936A KR20150113936A KR101691868B1 KR 101691868 B1 KR101691868 B1 KR 101691868B1 KR 1020150113936 A KR1020150113936 A KR 1020150113936A KR 20150113936 A KR20150113936 A KR 20150113936A KR 101691868 B1 KR101691868 B1 KR 10169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rray
interference
antenna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모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1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는 배열형상의 중앙에 위치되어 수직높이를 갖는 1개의 기준안테나(1)가 중심인 배열반경으로 원형을 이루는 9개의 보조안테나(10-1,...,10-9)로 수직형 배열안테나로 구성됨으로써 이동환경에서 간섭 입사방향의 빠른 변화에 의한 수신기 SINR 성능저감 현상을 개선하고, 특히 중앙의 기준 안테나(1)의 수직높이와 보조안테나(10-1,...,10-9)의 배열반경 조절로 undesired pattern null 생성억제와 개선된 null 조향시간으로 간섭제거 성능도 함께 향상시켜주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Interference Cancellation Time Reduction type Array Pattern Antenna}
본 발명은 배열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배열 형상을 이용한 null 조향 속도 개선으로 간섭제거 시간 단축이 이루어지는 배열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항법시스템은 지구로부터 2만 km 상공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성신호를 수신기로 수신함으로써 실시간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예측에 이용된다.
특히, 위성항법시스템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의 실시간 위치 및 시간 예측에 이용됨으로써 수신기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성능 중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다중경로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받은 수신기는 SINR 성능이 저감됨으로써 실시간 위치 및 시간 예측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수신기는 SINR 성능저감을 해소하도록 배열안테나로 구현되고, 특히 배열안테나에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일례로, 배열안테나를 CRPA(Controlled Reception Pattern Antenna)로 구현하고, STAP(Space-Time Adaptive Processing)알고리즘을 연동한 CRPA 배열안테나의 설계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CRPA 배열안테나와 STAP알고리즘의 연동으로 배열패턴의 null 방향을 간섭원 입사 방향으로 조향함으로써 간섭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10-2014-0134452(2014.11.24)
하지만, STAP알고리즘과 연동된 CRPA 배열안테나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와 같이 이동하는 물체에 장착될 경우 수시로 빠르게 변화하는 간섭 입사방향에 의해 null 조향 속도가 간섭의 입사방향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이는 간섭제거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CRPA 배열안테나 기술 분야에서는 null 조향 속도의 개선을 위한 빠른 null 조향 알고리즘 개발 혹은 개별소자 복사특성 개선을 통한 수신기의 SINR 특성을 개선하는 기술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수직하게 설치된 기준안테나를 원형으로 둘러싼 보조안테나의 최적 배열형상을 적용함으로써 이동환경에서 간섭 입사방향의 빠른 변화에 의한 수신기 SINR 성능저감 현상을 개선하고, 특히 중앙의 기준 안테나의 수직높이와 보조안테나의 배열반경 조절로 undesired pattern null 생성억제와 개선된 null 조향시간으로 간섭제거 성능도 함께 향상시킨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는 평면상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수직높이를 갖고, 배열형상의 중앙에 위치되는 기준안테나;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안테나가 중심인 배열반경으로 평면상에서 원형을 이루어 상기 기준안테나를 둘러싼 보조안테나;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준안테나와 상기 보조안테나는 적응형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과 결합하는 GPS안테나이다. 상기 기준안테나는 1개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안테나는 40도 각도의 동일간격으로 배열된 9개로 구성된다. 상기 기준안테나는 간섭제거시간 향상과 undesired pattern null 생성 억제를 위해 수직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보조안테나는 간섭제거시간 향상을 위해 배열반경이 조절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CRPA 배열안테나는 최적 배열형상을 이용한 간섭제거 성능 향상기법이 적용됨으로써 중앙 기준안테나의 장착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간섭제거 시간 및 undesired pattern null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CRPA 배열안테나의 간섭제거 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MS 간섭제거 알고리즘에 의한 간섭방향 이득 변화의 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반경에 따른 성능 변화가 간섭제거 시간대 배열반경로 나타낸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반경에 따른 성능 변화가 Undesired pattern null 이득대 배열반경으로 나타낸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제거 배열 방사패턴의 중앙 기준안테나 장착높이에 따른 성능 변화를 나타낸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제거 배열 방사패턴의 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제거 배열 방사패턴과 대비되는 평면 10소자 균일 원형배열형상의 간섭제거 배열 방사패턴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안테나는 1개의 기준안테나(1), 상기 기준안테나(1)를 원형으로 둘러싼 N개(N은 1이상의 정수)의 보조안테나로 구성되고, 상기 N개의 보조안테나는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배열안테나는 기준안테나(1)와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가 적응형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과 결합하는 GPS안테나이고, 1개의 기준안테나(1)를 중심에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9개의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가 평면상에서 원형으로 배열된 CRPA(Controlled Reception Pattern Antenna)이다. 이하, 상기 배열안테나는 수직형 배열안테나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는 기준안테나(1)와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의 배열형상은 r,h,φ n 을 설계변수로 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r은 배열의 반경으로 mm단위이고, h는 중앙의 기준안테나 높이로 mm단위이며, φ n 는 보조안테나의 위치로 deg 단위이다. 또한, 배열안테나의 SNR(Signal Noise Ratio)(또는 SINR)특성이 위성이 undesired pattern null 방향에 위치할 경우 저감되어 위성항법 시스템의 정확도를 크게 낮추므로 undesired pattern null은 특정한 값으로 제한한다.
일례로, 상기 수직높이 h와 상기 배열반경 r은 조절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기준안테나(1)와 상기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의 각각은 설치되는 부재에 탈장착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지며 높이 조절을 위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의 큰 배열반경 r은 간섭제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안테나(1)의 높이 h는 상기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의 큰 배열반경 r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undesired pattern null을 억제하기 위해 조절된다. 이때, undesired pattern null은 고도각 15ㅀ 이상의 배열패턴(0° < θ < 75°)에 발생하는 -20 dBic 이하의 배열이득으로 정의된다.
이하, 1개의 기준안테나(1)가 일정한 높이로 수직하게 솟아있고, 9개의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가 기준안테나(1)를 원형으로 둘러싼 배열형성을 갖는 수직형 배열안테나에 대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변수 r h φ 1 φ 2 φ 3 φ 4 φ 5 φ 6 φ 7 φ 8 φ 9
153.7 mm 55.9 mm 40° 80° 120° 160° 200° 240° 280° 320°
상기 표1은 설계변수들이 특정한 값으로 적용되어 수직형 배열안테나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일례로,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는 기준안테나(1)의 높이 h는 55.9 mm이고, 기준안테나(1)를 중심으로 한 제1,..,제9 보조안테나(10-1,...,10-9)의 배열 반경 r은 153.7 mm이며, 제1 보조안테나(10-1)의 φ 1 은 0°, 제2 보조안테나(10-2)의 φ 2 는 40°, 제3 보조안테나(10-3)의 φ 3 은 80°, 제4 보조안테나(10-4)의 φ 4 는 120°, 제5 보조안테나(10-5)의 φ 5 는 160°, 제6 보조안테나(10-6)의 φ 6 은 200°,제7 보조안테나(10-7)의 φ 7 은 240°, 제8 보조안테나(10-8)의 φ 8 은 280°,제9 보조안테나(10-9)의 φ 9 는 320°이다.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의 특징은 도 2내지 도 7을 통해 예시된다.
도 2는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가 보여주는 시간에 따른 간섭방향 이득의 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되는 배열 weight들에 의해 생성되는 배열패턴에서 간섭방향으로의 이득을 도식화하였으며, 제시된 배열형상의 성능평가를 위해 동일 배열크기를 가지는 평면 10소자 균일 원형배열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본 비교를 통해 기준안테나를 원형배열과 함께 배치시키는 것보다 중앙에 독립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간섭제거 시간의 단축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7번의 업데이트 iteration이 이루어 진 후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 배열형상의 간섭방향이득이 평면형 배열구조에 비해 약 15.5 dB 낮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는 위성항법시스템이 간섭전력을 15.5 dB 더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도 3과 도 4는 배열안테나가 각각 배열반경에 따른 간섭제거 시간과 undesired pattern null 이득의 변화를 나타낸다. 중앙안테나가 55.9 mm에 장착된 수직형 배열안테나 배열형상과 중앙안테나를 보조안테나와 동일한 평면에 장착한 평면형 배열형상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두 배열형상 모두 반경이 8 cm, 16 cm일 때 최소 간섭제거 시간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면형 배열구조의 경우 8 cm 배열반경에서 -62 dBic의 undesired pattern null을 가지므로 16 cm가 최적 배열반경임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가 중앙에 위치된 기준안테나(1)의 장착높이 h에 따른 간섭제거 시간 변화 및 undesired pattern null 이득의 성능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는 중앙에 위치된 기준안테나(1)의 장착높이 h가 높게 장착될수록 간섭제거 시간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undesired pattern null들이 깊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는 중앙에 위치된 기준안테나(1)의 장착높이 h를 조절함으로써 빠른 간섭제거와 높은 위성방향 이득의 유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간섭 전력이 방위각 (φ) 150°, 고도각 (θ) 5°로부터 입사할 경우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가 생성하는 배열 방사패턴이고, 도 7은 간섭 전력이 방위각 (φ) 150°, 고도각 (θ) 5°로부터 입사할 경우 비교대상인 평면형 배열안테나가 생성하는 배열패턴을 각각 나타낸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형 배열안테나의 경우 빠르게 간섭신호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간섭원이 입사하는 방향으로 깊고 좁은 null을 생성한다. 반면, 평면형 배열의 경우, 위성신호가 입사할 경우 위성항법 시스템의 정확도가 크게 저감되는 약 30ㅀ 주변에 undesired pattern null이 생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는 배열형상의 중앙에 위치되어 수직높이를 갖는 1개의 기준안테나(1)가 중심인 배열반경으로 원형을 이루는 9개의 보조안테나(10-1,...,10-9)로 수직형 배열안테나로 구성됨으로써 이동환경에서 간섭 입사방향의 빠른 변화에 의한 수신기 SINR 성능저감 현상을 개선하고, 특히 중앙의 기준 안테나(1)의 수직높이와 보조안테나(10-1,...,10-9)의 배열반경 조절로 undesired pattern null 생성억제와 개선된 null 조향시간으로 간섭제거 성능도 함께 향상시켜준다.
1 : 기준안테나
10-1,...,10-9 : 제1,..,제9 보조안테나

Claims (7)

  1. 평면상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수직높이를 갖고, 배열형상의 중앙에 위치되는 1개의 기준안테나;
    상기 기준안테나가 중심인 배열반경으로 평면상에서 원형을 이루어 상기 기준안테나를 둘러싼 9개의 제1 내지 제 9 보조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안테나와 상기 제1 내지 제9 보조안테나의 배열형상은 보조안테나 배열 반경 r, 기준안테나 높이 h, 제1 내지 제9 보조안테나 위치φ1,2,3,4,5,6,7,8,9 을 설계변수로 하고;
    상기 h는 55.9 mm이고, 상기 r은 153.7 mm이며, 상기 φ1 은 0°, 상기 φ2 는 40°, 상기 φ3 은 80°, 상기 φ4 는 120°, 상기 φ5 는 160°, 상기 φ6 은 200°, 상기 φ7 은 240°, 상기 φ8 은 280°, 상기 φ9 는 320°로 하여 수직형 배열안테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안테나와 상기 제1 내지 제 9 보조안테나는 적응형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과 결합하는 GPS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안테나는 간섭제거시간을 향상하도록 상기 수직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안테나는 undesired pattern null 생성을 억제하도록 상기 수직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 9 보조안테나는 간섭제거시간을 향상하도록 상기 배열반경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7. 삭제
KR1020150113936A 2015-08-12 2015-08-12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KR10169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36A KR101691868B1 (ko) 2015-08-12 2015-08-12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36A KR101691868B1 (ko) 2015-08-12 2015-08-12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68B1 true KR101691868B1 (ko) 2017-01-02

Family

ID=5781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36A KR101691868B1 (ko) 2015-08-12 2015-08-12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840B1 (ko) * 2018-05-30 2019-10-14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장치의 위성항법 안테나 구조체
WO2020106022A1 (ko) * 2018-11-20 2020-05-28 국방과학연구소 원형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방향 탐지 방법 및 장치
CN113991325A (zh) * 2021-12-27 2022-01-28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卫星通信地面站干扰对消空间取样天线设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93A (ko) * 1997-07-04 1999-02-05 서정욱 간섭제거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JP2004350242A (ja) * 2003-05-26 2004-12-09 Sharp Corp 受信装置
KR20140073303A (ko) *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다중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배열 방법
KR101443143B1 (ko) * 2013-07-12 2014-09-22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재밍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밍 회피 방법
KR20140134452A (ko) 2013-05-14 2014-11-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Crpa 배열을 위한 듀얼 밴드 gps 안테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93A (ko) * 1997-07-04 1999-02-05 서정욱 간섭제거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JP2004350242A (ja) * 2003-05-26 2004-12-09 Sharp Corp 受信装置
KR20140073303A (ko) *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다중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배열 방법
KR20140134452A (ko) 2013-05-14 2014-11-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Crpa 배열을 위한 듀얼 밴드 gps 안테나
KR101443143B1 (ko) * 2013-07-12 2014-09-22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재밍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밍 회피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840B1 (ko) * 2018-05-30 2019-10-14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장치의 위성항법 안테나 구조체
WO2020106022A1 (ko) * 2018-11-20 2020-05-28 국방과학연구소 원형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방향 탐지 방법 및 장치
CN113991325A (zh) * 2021-12-27 2022-01-28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卫星通信地面站干扰对消空间取样天线设计方法
CN113991325B (zh) * 2021-12-27 2022-04-08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卫星通信地面站干扰对消空间取样天线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3288B2 (en) Passive anti-jamming antenna system and method
EP3416243B1 (en) Small cell beam-forming antennas
AU2016206929B2 (en) Architecture for simultaneous spectrum usage by air-to-ground and terrestrial networks
KR101688628B1 (ko) 제어식 수신 패턴 안테나
US9319172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for air to ground systems
US11411316B2 (en) Anti-jamming and reduced interference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methods and devices
EP3794679B1 (en) Electronically beam-steerable full-duplex phased array antenna
KR20200004797A (ko) 개선된 통신 시스템을 위한 영점 조향 안테나 기술
KR101691868B1 (ko)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US8983420B2 (en) Circular antenna array for satellite communication interference rejection
US20110063171A1 (en) Antennas and methods to provide adaptable omnidirectional ground nulls
EP2274780A1 (en) Receiver interference protection and direction finding antenna system
CN103972662A (zh) 阵元间距可调的抗干扰天线阵
Byun et al. Optimum array configuration to improve null steering time for mobile CRPA systems
US10998946B2 (en) Minimizing uplink and downlink interference in mobile network connected drones
US7928924B1 (en) Variable position antenna shield
KR101776518B1 (ko) Crpa 배열안테나의 구조
KR101611757B1 (ko) Crpa 배열 안테나
Wang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handset MIMO antenna prototypes
Rezazadeh et al. GPS anti-jamming performance of multimode microstrip antennas
WO2003043123A1 (en) A cellular radio adaptive antenna array
Girma et al. Efficient co-channel interference suppression by hybrid of a binomial array and uniform linear array
Bartone et al. A multi-circular ring crpa for robust GNSS performance in an interference and multipath environment
Xu et al. Modified null broadening adaptive beamforming: constrained optimisation approach
KR101076012B1 (ko)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