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012B1 -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012B1
KR101076012B1 KR1020110033578A KR20110033578A KR101076012B1 KR 101076012 B1 KR101076012 B1 KR 101076012B1 KR 1020110033578 A KR1020110033578 A KR 1020110033578A KR 20110033578 A KR20110033578 A KR 20110033578A KR 101076012 B1 KR101076012 B1 KR 10107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ntenna
beam antenna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와, 상기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와,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스위치형 빔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음영 범위가 없어지고 링크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의해 전자적으로 안테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는 혼 안테나처럼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적으로 구동되므로, 외부 환경에 덜 민감하여 적응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SWITCHED BEAM ANTENNA APPARATUS FOR UNMANNED AIRCRAFT}
본 발명은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혼 안테나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혼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의 실물 예시도이다.
정찰용 무인 항공기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장착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종래에는 무인 항공기 상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지상 안테나로 데이터를 원활하게 전송하기 위해서 고 이득의 혼(horn) 안테나가 장착된다. 그리고 혼 안테나는 1축 구동에 의해 방위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혼 안테나는 정찰용 무인 항공기에 비하여 그 크기가 상당히 큰 편이다. 그리고 혼 안테나는 방위각 변경 시 모터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므로, 모터에 의한 무게의 증가도 상당하다. 이처럼 종래의 정찰용 무인 항공기는 혼 안테나 장치로 인해 그 용도에 반하여 크기나 무게의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혼 안테나 장치의 음영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인 항공기에는 혼 안테나 장치가 상단에만 1 개가 장착된다. 혼 안테나 장치는 방위각 방향으로는 고 이득을 갖지만, 장착 부위가 무인 항공기의 상단이어서 무인 항공기의 아래 방향으로 음영 범위가 발생한다. 도 1b에서 보듯이 정상적인 운영 도달 고도에서도 이러한 음영 범위로 인해 링크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의 이륙 시에도 거의 수직 이륙을 하기 때문에 음영 범위는 더욱 커지므로, 링크의 단절이 더욱 심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는,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와, 상기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와,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는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다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는,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와, 상기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1 스위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2 스위칭형 빔 안테나와, 상기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2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와,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 또는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는, 각각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스위치형 빔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음영 범위가 없어지고 링크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 의해 전자적으로 안테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는 혼 안테나처럼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적으로 구동되므로, 외부 환경에 덜 민감하여 적응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혼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혼 안테나 장치의 음영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가 무인 항공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는 종래와 달리 상단과 하단에 각각 2 개가 부착됨으로써, 무인 항공기 하방으로 발생하는 음영 범위가 없어진다. 또한, 종래의 크고 무거운 혼 안테나 장치 대신 작고 가벼운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가 장착됨으로써, 무인 항공기의 기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바람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을 기존보다 덜 받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에서는 음영 범위의 제거로 인해 링크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100)(이하, '스위치형 빔 안테나'라 함)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 스위치(120), 무지향성 안테나(130), 제어 스위치(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는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방위를 복수의 단일 섹터로 구분한다고 할 때,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는 각 단일 섹터를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된다. 실제 운용 시에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의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 중에서 지상 관제 센터를 지향하는 단일 섹터 안테나가 동작하게 된다.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는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microstrip array antenna)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111)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서 단일 섹터 안테나(111)는 22 mm X 22 mm 크기의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 섹터 안테나(111)에 의하면, 방위각 76 도와 고각 50 도 범위의 3 dB 빔폭이 형성될 수 있다. 방위각 범위가 76 도이므로, 전방위는 대략 5 개 정도의 섹터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단일 섹터 안테나(111)도 최소 5 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단일 섹터 안테나(111)는 해당 급전부(미도시)가 턴온됨으로써 동작하며, 어느 하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111)를 턴온하여 해당 섹터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다시 도 3에서 보면, 스위치(120)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의 단일 섹터 안테나(111)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좀 더 엄밀하게는 스위치(120)는 각 단일 섹터 안테나(111)의 급전부(미도시)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스위치(120)는 어느 하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111)가 급전되도록 스위칭하여 단일 섹터 안테나(111)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스위치(120)는 단일 섹터 안테나(111)의 개수에 1 X 5 또는 1 X 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혼 안테나를 1 축을 기준으로 기계적으로 구동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자적 스위칭을 통해 안테나가 특정 방향을 지향하도록 하고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130)는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하단에는 안테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으로 하단에 무지향성 안테나(130)가 부착된다. 이에, 기존에 발생하던 음영 범위가 제거된다. 특히, 수직 이륙 시에 발생되는 링크의 단절도 무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쉽게 제거된다.
제어 스위치(140)는 스위치(120) 및 무지향성 안테나(130)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좀 더 엄밀하게는, 제어 스위치(140)는 스위치(120)와 무지향성 안테나(130)의 급전부(미도시)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스위치(140)는 1 X 2 스위치로 구성된다. 제어 스위치(140)에 의해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 또는 무지향성 안테나(130) 중 동시에 어느 하나의 안테나만 동작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제어 스위치(140)가 스위치(120) 및 무지향성 안테나(130)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110) 및 무지향성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는 각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비교하여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높은 쪽의 안테나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스위치(120)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단일 섹터 안테나(111)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무인 항공기가 기동함에 따라 지상 관제 센터를 추적하고, 지상 관제 센터를 향하는 단일 섹터 안테나(111)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200)(이하,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라 함)는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 제1 스위치(220),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 제2 스위치(240), 제어 스위치(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는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일 섹터 안테나는 앞서 살펴본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섹터 안테나는 방위각 범위에 따라 360 도의 전방위를 커버할 수 있는 개수가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에 포함될 수 있음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제1 스위치(220)는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스위치(220)는 단일 섹터 안테나가 5 개이면 1 X 5 스위치로 구성된다. 제1 스위치(220)는 각 단일 섹터 안테나의 급전부(미도시) 간을 스위칭한다.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는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도 무인 항공기의 아래쪽 방향에 발생하는 음영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무지향성 안테나(230)와 달리 지향성을 갖는다.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 역시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섹터 안테나는 방위각 범위에 따라 360 도의 전방위를 커버할 수 있는 개수가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40)는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스위치(240)도 단일 섹터 안테나가 5 개이면 1 X 5 스위치로 구성된다. 제2 스위치(240)는 각 단일 섹터 안테나의 급전부(미도시) 간을 스위칭한다.
제어 스위치(250)는 제1 스위치(220) 및 제2 스위치(240)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단의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 또는 하단의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 중 동시에 어느 하나만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60)는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제어 스위치(250)가 제1 스위치(220) 또는 제2 스위치(240)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60)는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210) 및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2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비교하여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1 스위치(220) 및 제2 스위치(240)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인 항공기의 기동에 따라 변하는 지상 관제 센터의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하기 위해 단일 섹터 안테나를 선택하여 동작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무인 항공기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안테나를 부착한 경우,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고이득을 가는 방사 패턴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음영 범위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최소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스위치형 빔 안테나;
    상기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 및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는,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4. 무인 항공기의 상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
    상기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상기 무인 항공기의 하단에 부착되며 전방위 복수의 섹터를 각각 지향하는 복수의 단일 섹터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2 스위칭형 빔 안테나;
    상기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스위칭을 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 및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단일 섹터 안테나 간에 스위칭을 하도록 제어하는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형 빔 안테나 또는 제2 스위치형 빔 안테나의 단일 섹터 안테나는,
    각각 1 X 2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KR1020110033578A 2011-04-12 2011-04-12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KR10107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78A KR101076012B1 (ko) 2011-04-12 2011-04-12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78A KR101076012B1 (ko) 2011-04-12 2011-04-12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012B1 true KR101076012B1 (ko) 2011-10-21

Family

ID=4503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578A KR101076012B1 (ko) 2011-04-12 2011-04-12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2623A (zh) * 2016-11-24 2017-08-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天线组件及无人飞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2623A (zh) * 2016-11-24 2017-08-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天线组件及无人飞行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775B2 (en) Large aperture antenna with narrow angle fast beam steering
US10938105B2 (en) Conformal multi-band antenna structure
US20190131703A1 (e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ntenna beam on antenna tower
CN104868255B (zh) 无人飞机地面多波束电控扫描测控天线
US9379437B1 (en) Continuous horn circular array antenna system
US7474263B1 (en) Electronically scanned antenna
US8648768B2 (en) Conical switched beam antenna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33152A (ko) 감소된 탐색 시간을 갖는 페이즈드 어레이 레이더 안테나및 이의 사용방법
US10910712B2 (en)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AESA) antenna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iving of communication signals
KR101477985B1 (ko) 전방향 지향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KR101076012B1 (ko) 무인 항공기용 스위치형 빔 안테나 장치
WO2013122614A2 (en) Blade antenna array
US8564494B2 (en) Lightweight dual band active electronically steered array
US20200412426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n antenna element panel
JP7032352B2 (ja) アンテナ装置、通信中継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90009416A1 (en) Full-motion multi-antenna multi-functional pedestal
KR101691868B1 (ko) 간섭제거 시간 단축 타입 배열안테나
KR20220005553A (ko) 하이브리드 기계식 렌즈 안테나 위상 어레이를 위한 개선된 이득 롤-오프
Kretly et al. A hexagonal adaptive antenna array concep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JP4452588B2 (ja) 指向性アンテナ及びその指向性制御方法並びにアンテナシステム
AU2006327964B2 (en) Phased array antenna
CN207442848U (zh) 可移动设备
GB2607745A (en) Reconfigurable, flexible multi-user electrically steered antenna (ESA) terminal
RU2561238C1 (ru) Нестационарная перископическая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Fraz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broadside Omni antennas for UAV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