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47B1 -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47B1
KR101691747B1 KR1020150103700A KR20150103700A KR101691747B1 KR 101691747 B1 KR101691747 B1 KR 101691747B1 KR 1020150103700 A KR1020150103700 A KR 1020150103700A KR 20150103700 A KR20150103700 A KR 20150103700A KR 101691747 B1 KR101691747 B1 KR 10169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component
sub
color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605A (ko
Inventor
다까유끼 나까니시
다쯔야 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1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7Improvement of perceived resolution by subpixel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Abstract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색으로서 적어도 1색이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색과 다른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와, 입력 화상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각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관련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7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149242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수하고, 그 일본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있어서 원용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화소가, 각 화소에의 입력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색 성분(적색, 청색, 녹색)의 부화소와, 이 색 성분 이외의 성분(백색)의 부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10-20241호 공보를 참조).
일본 특허공개 제2010-20241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가 (R, G, B=255, 255, 255)인 경우와 같이 백색의 재현이 요구되는 경우, 백색의 부화소만이 점등된다. 마찬가지로, 부화소의 색에 직접 대응하는 색 재현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색의 부화소만이 점등된다. 그러나, 적색, 청색, 녹색의 보색에 대응하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과 같이,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지 않는 색 재현이 요구되는 경우, 복수의 부화소가 점등되게 된다. 이 경우, 가령 해당 보색에 대응하는 부화소가 있으면, 그 부화소만을 점등시키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부화소의 색이 많을수록, 색 재현에 있어서의 화소의 점등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가 많아질수록,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색 재현에 사용되는 화소의 면적이 커진다. 이로 인해,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증감에 따른 부화소의 면적의 변화가 없는 경우,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가 많아질수록,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 출력에 있어서 외견상 해상감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화소의 컬러 수와 해상감을 양립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와, 입력 화상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각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방법은,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의 각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부의 화소가 포함하는 부화소의 점등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화소의 부화소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화소의 부화소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화소의 조 및 조를 이루는 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1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인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4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인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화소의 조 및 조를 이루는 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적색(R), 녹색(G)의 성분을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및 색 영역 외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가미된 제1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이 감산된 제1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출력의 성분에 휘도 조정 성분이 가미된 제2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옐로우(Y) 및 마젠타(M)의 성분으로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한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상기 색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값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변환에 의해 발생한 제2 화소의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로 옮긴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1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상기 색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한 변환 결과와 도 36에 도시한 변환 결과의 합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합성 결과가 나타내는 성분 중 백색으로 변환된 성분의 일부를 백색 이외의 성분으로 나눈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청색 성분의 사선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청색 성분의 사선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청색 성분의 사선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마젠타(M)로서 재현 가능한 성분의 50%를 조정 성분으로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마젠타(M)로서 재현 가능한 성분의 100%를 조정 성분으로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따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제2 화소로 재현하고자 한 경우에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킨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모든 화소가 제1 화소인 표시 영역에서 복수의 화소에 의해 원색의 문자가 1화소분의 폭의 선으로 묘화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도 48의 묘화 내용과 동일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단순히 색 영역 외 성분을 이동시킨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에지 어긋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48의 묘화 내용과 동일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킨 경우의 묘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제2 화소의 우측에 존재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로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질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제2 화소의 하측에 존재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로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질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에지에 대응하는 제2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색 영역 외 성분 및 출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사이에서 채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사이에서 휘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에서 색상의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검출에 사용되는 테이블이 나타내는 색상과 색상 허용량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화상의 에지에 관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9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위치 관계 및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변형예에 있어서 1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인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변형예에 있어서 4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인 표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적색(R), 녹색(G)의 성분을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은, 녹색(G), 마젠타(M)의 성분을 시안(C),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변형예의 제2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및 색 영역 외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는,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가미된 제1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1은, 도 70에 도시한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이 감산된 제1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2는, 도 68에 도시한 출력의 성분에 휘도 조정 성분이 가미된 제2 화소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3은,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4는,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5는,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6은,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폰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에 있어서, 발명의 주지를 유지한 적절한 변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형태에 비하여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기출 도면에 관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부(30)의 화소(31)가 포함하는 부화소(32)의 점등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부(3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100)는, 화상 처리 회로(20)와, 화상 표시 패널인 화상 표시부(30)와, 화상 표시부(30)의 구동을 제어하는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40)(이하, '구동 회로(40)'라고도 함)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 회로(2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기능이 실현되고 있으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 처리 회로(20)는, 화상 표시부(30)를 구동하기 위한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40)와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 회로(20)는, 신호 처리부(21)와, 에지 판정부(22)를 갖는다. 신호 처리부(21)는, 입력 화상 신호에 따라서 화상 표시부(30)의 각 화소(31)가 갖는 부화소(32)(후술)의 출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RGB 색 공간의 입력 화상 신호를, 4색으로 재현되는 RGBW의 재현값 또는 CMYW의 재현값으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생성한 출력 신호를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 신호는, 화소(31)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발광 상태)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에지 판정부(22)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에지 판정부(22)에 의한 판정의 상세는 후술한다.
구동 회로(40)는, 화상 표시부(30)의 제어 장치로서, 신호 출력 회로(41), 주사 회로(42) 및 전원 회로(43)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표시부(30)의 구동 회로(40)는, 신호 출력 회로(41)에 의해, 순차적으로 화상 표시부(30)의 각 화소(31)로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출력 회로(41)는, 신호선 DTL에 의해 화상 표시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30)의 구동 회로(40)는, 주사 회로(42)에 의해, 화상 표시부(30)에 있어서의 부화소(32)를 선택하고, 부화소(3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한다. 주사 회로(42)는, 주사선 SCL에 의해 화상 표시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43)는, 전원선 PCL에 의해 각 화소(31)의 후술하는 자발광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30)는, 화소(31)가, P0×Q0개(행 방향으로 P0개, 열 방향으로 Q0개), 2차원의 매트릭스 형상(행렬 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 A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부(30)는, 직선 형상의 변을 갖는 다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표시 영역을 갖지만, 이것은 표시 영역 A의 구체적 형상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화소(31)에는,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31A)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31B)가 포함된다.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를 각각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화소(31)라 한다. 화소(31)는, 복수의 부화소(32)를 포함하고, 도 2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점등 구동 회로가 2차원의 매트릭스 형상(행렬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점등 구동 회로는, 제어용 트랜지스터 Tr1과,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와, 전하 유지용 콘덴서 C1을 포함한다. 제어용 트랜지스터 Tr1의 게이트가 주사선 SCL에 접속되고, 소스가 신호선 DTL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전하 유지용 콘덴서 C1의 일단부가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소스가, 전원선 PCL과 접속되어 있으며,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드레인이, 자발광체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예를 들어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어용 트랜지스터 Tr1이 n채널형 트랜지스터,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가 p채널형 트랜지스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제어용 트랜지스터 Tr1 및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 각각의 극성을 정하면 된다.
제1 화소(31A)는, 예를 들어, 제1 부화소(32R)와, 제2 부화소(32G)와, 제3 부화소(32B)와, 제4 부화소(32W1)를 갖는다. 제1 부화소(32R)는, 제1 원색(예를 들어, 적색(R) 성분)을 표시한다. 제2 부화소(32G)는, 제2 원색(예를 들어, 녹색(G) 성분)을 표시한다. 제3 부화소(32B)는, 제3 원색(예를 들어, 청색(B) 성분)을 표시한다. 제4 부화소(32W1)는, 제1 원색, 제2 원색 및 제3 원색과는 다른 추가 색 성분으로서의 제4 색(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색(W) 성분)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 중 3색은, 적색, 녹색, 청색에 대응한다. 제1 화소(31A)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화소(32R), 제2 부화소(32G), 제3 부화소(32B) 및 제4 부화소(32W1)가 2행 2열(2×2)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화소(31B)는, 예를 들어, 제5 부화소(32M)와, 제6 부화소(32Y)와, 제7 부화소(32C)와, 제8 부화소(32W2)를 갖는다. 제5 부화소(32M)는, 제1 보색(예를 들어, 마젠타(M) 성분)을 표시한다. 제6 부화소(32Y)는, 제2 보색(예를 들어, 옐로우(Y) 성분)을 표시한다. 제7 부화소(32C)는, 제3 보색(예를 들어, 시안(C) 성분)을 표시한다. 제8 부화소(32W2)는, 제1 보색, 제2 보색 및 제3 보색과는 다른 추가 색 성분으로서의 제4 색(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색(W) 성분)을 표시한다. 제2 화소(31B)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 제7 부화소(32C) 및 제8 부화소(32W2)가 2행 2열(2×2)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수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수는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화소(31A) 또는 제2 화소(31B)의 한쪽(예를 들어 제2 화소(31B))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은, 다른 쪽의 화소(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의 보색이다. 이 관계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관계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수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수는 서로 달라도 된다.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의 보색이어도 된다. 제1 부화소(32R)와, 제2 부화소(32G)와, 제3 부화소(32B)와, 제4 부화소(32W1)와, 제5 부화소(32M)와, 제6 부화소(32Y)와, 제7 부화소(32C)와, 제8 부화소(32W2)를 각각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부화소(32)라 한다.
화상 표시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1)과, 절연층(52,53)과, 반사층(54)과, 하부 전극(55)과, 자발광층(56)과, 상부 전극(57)과, 절연층(58)과, 절연층(59)과, 색 변환층으로서의 컬러 필터(61)와, 차광층으로서의 블랙 매트릭스(62)와, 기판(5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51)은, 실리콘 등의 반도체 기판, 유리 기판, 수지 기판 등으로서, 전술한 점등 구동 회로 등을 형성 또는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절연층(52)은, 전술한 점등 구동 회로 등을 보호하는 보호막이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전극(55)은, 제1 부화소(32R)와, 제2 부화소(32G)와, 제3 부화소(32B)와, 제4 부화소(32W1)와, 제5 부화소(32M)와, 제6 부화소(32Y)와, 제7 부화소(32C)와, 제8 부화소(32W2)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양극)로 되는 도전체이다. 하부 전극(55)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의 투광성 도전 재료(투광성 도전 산화물)로 형성되는 투광성 전극이다. 절연층(53)은 뱅크라 불리며, 제1 부화소(32R)와, 제2 부화소(32G)와, 제3 부화소(32B)와, 제4 부화소(32W1)와, 제5 부화소(32M)와, 제6 부화소(32Y)와, 제7 부화소(32C)와, 제8 부화소(32W2)를 구획하는 절연층이다. 반사층(54)은, 자발광층(56)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금속 광택이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은, 알루미늄, 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발광층(56)은,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도시를 생략한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을 포함한다.
정공을 발생하는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아민 화합물과, 그 화합물에 대하여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란, 아릴아민 골격을 갖는 물질이다. 방향족 아민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트리페닐아민을 골격에 포함하고, 4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리페닐아민을 골격으로 갖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나프틸기와 같은 축합 방향환을 골격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페닐아민과 축합 방향환을 골격에 포함하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내열성이 좋아진다. 방향족 아민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약칭: α-NPD), 4,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비페닐(약칭: TPD),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약칭: TDATA),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약칭: MTDATA), 4,4'-비스[N-{4-(N,N-디-m-톨릴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비페닐(약칭: DNTPD), 1,3,5-트리스[N,N-디(m-톨릴)아미노]벤젠(약칭: m-MTDAB), 4,4',4"-트리스(N-카르바졸릴)트리페닐아민(약칭: TCTA), 2,3-비스(4-디페닐아미노페닐)퀴녹살린(약칭: TPAQn), 2,2',3,3'-테트라키스(4-디페닐아미노페닐)-6,6'-비스퀴녹살린(약칭: D-TriPhAQn), 2,3-비스{4-[N-(1-나프틸)-N-페닐아미노]페닐}-디벤조[f,h]퀴녹살린(약칭: NPADiBzQ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 아민 화합물에 대하여 전자 수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몰리브덴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약칭: TCNQ),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약칭: F4-TCNQ)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성 물질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약칭: Alq3), 트리스(4-메틸-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약칭: Almq3), 비스(10-히드록시벤조[h]-퀴놀리놀라토)베릴륨(약칭: BeBq2),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칭: BAlq), 비스[2-(2-히드록시페닐)벤족사졸라토]아연(약칭: Zn(BOX)2), 비스[2-(2-히드록시페닐)벤조티아졸라토]아연(약칭: Zn(BTZ)2) 등의 금속 착체 외에,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약칭: PBD), 1,3-비스[5-(p-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약칭: OXD-7), 3-(4-tert-부틸페닐)-4-페닐-5-(4-비페닐릴)-1,2,4-트리아졸(약칭: TAZ), 3-(4-tert-부틸페닐)-4-(4-에틸페닐)-5-(4-비페닐릴)-1,2,4-트리아졸(약칭: p-EtTAZ), 바소페난트롤린(약칭: BPhen), 바소큐프로인(약칭: BC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성 물질에 대하여 전자 공여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리튬,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에르븀, 이테르븀 등의 희토류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산화물(Li2O), 칼슘 산화물(CaO), 나트륨 산화물(Na2O), 칼륨 산화물(K2O), 마그네슘 산화물(MgO) 등, 알칼리 금속 산화물 및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전자 수송성 물질에 대하여 전자 공여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적색계의 발광을 얻고자 할 때에는, 4-디시아노메틸렌-2-이소프로필-6-[2-(1,1,7,7-테트라메틸줄롤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칭: DCJTI),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2-(1,1,7,7-테트라메틸줄롤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칭: DCJT), 4-디시아노메틸렌-2-tert-부틸-6-[2-(1,1,7,7-테트라메틸줄롤리딘-9-일)에테닐]-4H-피란(약칭: DCJTB)이나 페리플란텐, 2,5-디시아노-1,4-비스[2-(10-메톡시-1,1,7,7-테트라메틸줄롤리딘-9-일)에테닐]벤젠 등, 600㎚ 내지 680㎚에서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를 갖는 발광을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녹색계의 발광을 얻고자 할 때에는, N,N'-디메틸퀴나크리돈(약칭: DMQd), 쿠마린 6이나 쿠마린 545T,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약칭: Alq3) 등, 500㎚ 내지 550㎚에서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를 갖는 발광을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색계의 발광을 얻고자 할 때에는, 9,10-비스(2-나프틸)-tert-부틸안트라센(약칭: t-BuDNA), 9,9'-비안트릴, 9,10-디페닐안트라센(약칭: DPA), 9,10-비스(2-나프틸)안트라센(약칭: DNA),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4-페닐페놀라토-갈륨(약칭: BGaq),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약칭: BAlq) 등, 420㎚ 내지 500㎚에서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를 갖는 발광을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형광을 발광하는 물질 외에, 비스[2-(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디나토-N,C2']이리듐(Ⅲ)피콜리네이트(약칭: Ir(CF3ppy)2(pic)), 비스[2-(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N,C2']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FIr(acac)), 비스[2-(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N,C2']이리듐(Ⅲ)피콜리네이트(FIr(pic)), 트리스(2-페닐피리디나토-N,C2')이리듐(약칭: Ir(ppy)3) 등의 인광을 발광하는 물질도 발광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전극(57)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의 투광성 도전 재료(투광성 도전 산화물)로 형성되는 투광성 전극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성 도전 재료의 예로서 ITO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광성 도전 재료로서,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등의 다른 조성을 갖는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부 전극(57)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음극)로 된다. 절연층(58)은, 전술한 상부 전극(57)을 밀봉하는 밀봉층이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59)은, 뱅크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억제하는 평탄화층이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50)은, 화상 표시부(30) 전체를 보호하는 투광성의 기판이며,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하부 전극(55)이 애노드(양극), 상부 전극(57)이 캐소드(음극)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전극(55)이 캐소드 및 상부 전극(57)이 애노드이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하부 전극(5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동용 트랜지스터 Tr2의 극성을 적절히 바꾸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캐리어 주입층(홀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 캐리어 수송층 (홀 수송층 및 전자 수송층), 발광층의 적층순을 적절히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표시부(30)는, 컬러 표시 패널이며, 자발광층(56)의 발광 성분 중, 부화소(32)와 화상 관찰자의 사이에, 부화소(32)의 색에 따른 색의 광을 통과시키는 컬러 필터(61)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30)는, 적색(R), 녹색(G), 청색(B),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백색(W)에 대응하는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백색(W)에 대응하는 제4 부화소(32W1) 및 제8 부화소(32W2)와 화상 관찰자의 사이에 컬러 필터(61)가 배치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부(30)는, 자발광층(56)의 발광 성분이 컬러 필터(61) 등의 색 변환층을 통하지 않고, 제1 부화소(32R), 제2 부화소(32G), 제3 부화소(32B), 제4 부화소(32W1),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 제7 부화소(32C), 제8 부화소(32W2)의 각각의 색을 발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30)는, 제4 부화소(32W1)에는, 색 조정용 컬러 필터(61)의 대신에 투명한 수지층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부(30)는, 투명한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4 부화소(32W1)에 큰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화소(31) 및 부화소(32)의 구체적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표시부(30)는, 화소(31)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30)에 있어서,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는 인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부(30)에 있어서, 제2 화소(31B)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제2 화소(31B)에 인접하는 제1 화소(31A)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의미하는 「지그재그 형상」이란, 복수의 화소(31) 사이의 구획(윤곽)이 표시 영역 내에 격자를 그리는 매트릭스 형상의 배치에 있어서, 행 방향 및 열 방향(또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가리키며, 소위 바둑판 모양(체크 모양) 형상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32)로 구성되는 제1 화소(31A)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32)로 구성되는 제2 화소(31B)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30)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접」이란, 화상 표시부(30)의 행 방향(좌우 방향) 및 열 방향(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것을 가리키며,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방향의 화소(31)의 배치에 대해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6은,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32)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와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는, 소정의 대응 관계를 갖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와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상과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상을 대비한 경우에, 각 화소(31)에 있어서의 색상의 배치가 보다 근사하는 배치이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가 2행 2열(2×2)이며,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가, 좌상, 우상, 우하, 좌하의 순으로, 제1 부화소(32R), 제2 부화소(32G), 제3 부화소(32B), 제4 부화소(32W1)인 경우에,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가, 좌상, 우상, 우하, 좌하의 순으로,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 제7 부화소(32C), 제8 부화소(32W2)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를 색 상환으로서 보고 판단한 경우의 색상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원칙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의 배치가 지그재그 형상이며,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배치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배치의 관계가 색 성분에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도 8은,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또는 제2 화소(31B2))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또는 제2 화소(31B2))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32)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예를 들어 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화소(31A)의 열과 제2 화소(31B)의 열이 타 방향(예를 들어 행 방향)에 인접하는 배치이어도 된다. 또한, 부화소(32)의 배치에 대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에 의한 제1 화소(31A)의 휘도 분포와 제2 화소(31B2)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에 의한 제2 화소(31B2)의 휘도 분포가 보다 근사하도록,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2)의 부화소(32)의 배치를 결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와 제2 화소(31B2)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배치는, 각 화소(31)에 있어서의 부화소(32)끼리의 휘도의 고저 관계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휘도 분포는, 예를 들어 모든 부화소(32)가 미리 정해진 최대의 발광량(예를 들어 100%)으로 발광하는 경우의 휘도 분포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화소(31B2)가 지그재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의 부화소(32)의 배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와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는 동일한 배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4 부화소(32W1) 및 제8 부화소(32W2)는 모두, 화소(31)의 좌하에 배치되어 있다.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는 좌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소(31)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배치에 따라서,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에 대하여 개별로 출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색(R), 녹색(G), 청색(B), 백색(W)의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부화소(32R), 제2 부화소(32G), 제3 부화소(32B) 및 제4 부화소(32W1)의 발광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가 출력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젠타(M), 옐로우(Y), 시안(C), 백색(W)의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 제7 부화소(32C) 및 제8 부화소(32W2)의 발광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으로,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처리부(21)는, 하나의 제1 화소(31A)와 하나의 제2 화소(31B)를 1조의 화소(35)로서 취급하고, 예외 처리를 제외하고 조 단위로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한다. 즉, 신호 처리부(21)는, 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2개의 화소(31)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과 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의 조합에 의한 색 재현으로 표시 출력되도록 처리를 행한다.
도 9는, 화소의 조 및 조를 이루는 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화소(31A)와, 상기 제1 화소(31A)에 대하여 우측에 존재하는 하나의 제2 화소(31B)를 1조의 화소(35)로서 취급한다. 제2 화소(31B)를 기준으로 한 경우, 제2 화소(31B)는, 좌측에서 인접하는 제1 화소(31A)와 조를 이룬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의 화소는, 엇갈림(마구리쌓기 형상)의 위치 관계로 된다.
여기서, 표시 영역 A 중 적어도 1개 변에 인접하는 화소는 제1 화소(31A)이어도 된다. 도 10은, 1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인 표시 영역 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0의 변 인접 영역 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영역 A의 외측 테두리에 대응하는 1변에 인접하는 화소 열을 구성하는 화소가 모두 제1 화소(31A)이어도 된다. 이 경우, 해당 화소 열을 구성하는 제1 화소(31A) 중 우측에서 제2 화소(31B)와 인접하는 제1 화소(31A)는, 해당 제2 화소(31B)와 조를 이룬다. 한편, 해당 화소 열을 구성하는 제1 화소(31A) 중 우측에서 다른 제1 화소(31A)와 인접하는 제1 화소(31A)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2 화소(31B)가 없기 때문에, 해당 제1 화소(31A)는, 조를 이루지 않는다. 해당 제1 화소(31A)의 각각은, 단독으로 각각의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출력(예를 들어 발광)을 행한다.
또한, 표시 영역 A의 변 중 2변 이상의 변에 인접하는 화소를 제1 화소(31A)로 하여도 된다. 도 11은, 4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인 표시 영역 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1의 변 인접 영역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표시 영역 A의 모든 변에 인접하는 화소를 제1 화소(31A)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 등의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따라서 화면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100) 또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변 인접 영역 A2에 인접하는 제2 화소(31B)는, 반드시 제1 화소(31A)와 인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조의 화소(35)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 중 어느 한쪽에 따라서 설정되는 조건하에서, 4변에 대응하는 변 인접 영역 A2의 모든 화소가 제1 화소(31A)임으로써, 변 인접 영역 A2에 인접하는 제2 화소(31B)를 포함하는 모든 제2 화소(31B)는, 회전 상태에 관계없이, 해당 조건하에서 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부는, 예를 들어 지구 등이 갖는 보다 큰 중력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계측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회전 제어부는,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표시 영역 A의 상하 좌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하 좌우에 따른 출력을 신호 처리부(21) 또는 구동 회로(40)에 행하게 한다. 도 11에서는 4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이지만, 이 중 2변 또는 3변에 인접하는 화소만 제1 화소(31A)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00)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인 경우에, 그 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이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원칙으로서, 하나의 제1 화소(31A)와, 이 제1 화소(31A)에 대하여 우측에 존재하는 하나의 제2 화소(31B)가 1조로서 취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를 조로 할지는 임의이다. 도 12는, 화소의 조 및 조를 이루는 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를 이루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좌우 관계가 행마다 바뀌어도 된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제1 화소(31A)와, 이 제1 화소(31A)에 대하여 좌측에 존재하는 하나의 제2 화소(31B)의 조를 1조의 화소(35A)로 하고, 2행의 화소행 중 한쪽의 행(상측의 화소 행)에 1조의 화소(35)가 배치되고, 다른 쪽의 행(하측의 화소 행)에 1조의 화소(35A)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1조의 화소(35)와 1조의 화소(35A)의 행의 상하 관계는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체 가능하다. 도 1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3행 이상의 화소행의 경우, 행마다 1조의 화소(35)와 1조의 화소(35A)가 교체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가 인접하는 배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하나의 제1 화소(31A)와 하나의 제2 화소(31B)를 1조의 화소로 하도록 해도 된다.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의 방향 중 보다 해상감이 필요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조를 설정함으로써, 조가 설정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해상감을 보다 높은 레벨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58을 참조하여, 화상 처리 회로(20)에 의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인접하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 및 인접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이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인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으로부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제3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또한, 「부화소(32)의 출력」이란, 상기 부화소(32)로부터의 광의 출력 유무에 한하지 않고, 광의 출력이 있는 경우의 광의 강약을 포함한다. 즉,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라 함은, 각각의 부화소(32)로부터의 광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성분을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시킨다」라 함은, 해당 성분에 따른 광의 강도의 증감을 해당 부화소(32)의 광 출력에 있어서의 광의 강도의 강약에 반영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RGB 색 공간에 대응한 입력 화상 신호가 채용되어 있다. 이하, 입력 화상 신호가, 적색(R) 성분, 녹색(G) 성분, 청색(B) 성분의 각 계조가 8비트(256 계조)인 경우, 즉 (R, G, B)=(0, 0, 0) 내지 (255, 255, 255)의 범위 내에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은,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 중 3색에 대응한다. 이러한 입력 화상 신호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의 구체적인 수치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수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3은,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및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경우,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과,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은, 도 13에 도시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값의 조합이며, 이 조합에 의해 표현되는 색을 구성하는 성분(R, G, B)이다.
우선,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적색(R), 녹색(G)의 성분을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및 색 영역 외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 중 가장 채도가 낮은 성분(도 14의 경우, 청색(B))의 성분량에 대응하는 성분량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으로부터 뽑아내어 백색(W)으로 변환한다. 백색(W)은, 제8 부화소(32W2)의 색이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백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가 갖는 다른 부화소(32)의 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으로서, 백색(W)으로 변환되지 않은 적색(R), 녹색(G)의 성분 중 보다 작은 성분(도 15의 경우, 적색(R))의 성분량에 대응하는 성분량을 적색(R), 녹색(G)의 성분으로부터 뽑아내어 이 성분의 조합에 대응하는 색(도 15의 경우, 옐로우(Y))으로 변환한다. 옐로우(Y)는 제6 부화소(32Y)의 색이다. 이 결과,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은, 도 16에 도시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백색(W)의 성분이 된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적색(R), 녹색(G)의 성분을 옐로우(Y)로 변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변환 처리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으로부터 제2 화소(31B)가 갖는 다른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적색(R), 청색(B)의 성분을 마젠타(M)로 변환할 수 있다. 마젠타(M)는, 제5 부화소(32M)의 색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시안(C)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시안(C)은, 제7 부화소(32C)의 색이다.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변환 처리가 행해진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W) 및 옐로우(Y)로의 변환에 사용되지 않은 녹색(G)의 성분이 남게 된다. 여기서,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인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백색(W)에서는, 이 남은 녹색(G)의 성분을 재현할 수 없다. 이 남은 성분은, 색 영역 외 성분으로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된다. 도 16 및 후술하는 도 17에서는, 색 영역 외 성분에 부호 O1을 부여하고 있다. 즉, 이 경우,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으로부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제3 성분이란, 도 13에 도시한 성분(제2 성분)으로부터 색 영역 외 성분(도 16의 색 영역 외 성분 O1)을 제외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값의 조합이며, 이 조합에 의해 표현되는 색을 구성하는 성분(R, G, B)이다. 이 제3 성분에 의해 결정된 부화소의 출력은, 도 16에 도시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백색(W)의 성분에 따른 출력으로 된다.
다음으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가미된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제2 화소(31B)와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 중 가장 채도가 낮은 성분(도 14의 경우, 청색(B))의 성분량에 대응하는 성분량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으로부터 뽑아내어 백색(W)으로 변환한다. 백색(W)은 제4 부화소(32W1)의 색이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백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6에서 색 영역 외 성분으로 된 녹색(G)의 성분을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가미한다. 이 결과,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은, 도 18에 도시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성분이 된다. 즉, 이 경우, 제1 성분과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이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값의 조합이며, 이 조합에 의해 표현되는 색을 구성하는 성분(R, G, B)이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21)는, 2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인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31A)로 재현하도록, 1조의 화소(35)에 대응하는 2화소분의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한다. 이에 의해, 1조의 화소(35) 중 한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32)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이 있더라도, 1조의 화소(35) 단위로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8의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 백색의 부화소를 점등시키도록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각 화소(31)의 휘도를 백색의 부화소의 점등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즉, 휘도를 확보하는 관점에 있어서 다른 색의 부화소(32)의 출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더 높은 레벨의 전력 절약성을 실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성분을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로 하고, 도 16에 도시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백색(W)의 성분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로 하여,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로 출력하여도 된다. 여기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색 영역 외 성분이 제1 화소(31A)로 이동되고 있으므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의해 출력되는 휘도 중 색 영역 외 성분에 대응하는 만큼의 휘도가 제2 화소(31B)로부터 제1 화소(31A)로 옮겨지게 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21)는, 합산 성분 중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상승하는 제1 화소(31A)의 휘도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 성분을 합산 성분으로부터 감산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3 성분 및 휘도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휘도 조정 성분을 사용한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 사이의 휘도 조정을 행함으로써,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휘도를 제1 화소(31A)에서 출력함과 함께,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휘도를 제2 화소(31B)에서 출력할 수 있다. 즉,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각 화소(31)의 휘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1조의 화소(35)로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휘도 조정 성분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이 감산된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출력의 성분에 휘도 조정 성분이 가미된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처리부(21)는, 우선,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제1 화소(31A)에 가미되는 휘도를 산출한다. 이어서, 신호 처리부(21)는, 산출된 휘도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1 화소(31A)의 성분으로부터 감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로 재현 가능한 성분(도 19의 경우, 백색(W))을 감산함으로써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제1 화소(31A)에 가미되는 휘도에 대응하는 성분을 감산한다. 도 19에 도시한 예의 경우, 저감된 백색(W)의 성분이, 휘도 조정 성분이다. 도 19 및 도 20에서는, 휘도 조정 성분에 부호 P1을 부여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서 저감한 휘도 조정 성분을 제2 화소(31B)의 성분에 가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9에서 제1 화소(31A)의 성분으로부터 저감된 백색(W)의 성분량만큼, 제2 화소(31B)의 성분에 있어서의 백색(W)의 성분을 증가시킨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처리 후의 성분을 각각 제1 화소(31A)의 출력 신호 및 제2 화소(31B)의 출력 신호로 함으로써,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휘도를, 각각의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휘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휘도 조정 성분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로 재현할 수 있는 색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 조정 성분으로서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로 재현할 수 있는 색의 성분을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으로부터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재현 가능한 색 성분에 보다 가까운 색의 성분을 휘도 조정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중 녹색(G) 및 백색(W)의 성분의 조합은, 제2 화소(31B)가 갖는 시안(C) 및 옐로우(Y)의 성분의 조합으로서 옮길 수 있으므로, 휘도 조정 성분으로서 녹색(G) 및 백색(W)의 성분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중 백색(W)의 성분을, 상기 제1 화소(31A)의 녹색(G)의 성분과 제2 화소(31B)의 마젠타(M)의 성분으로 나누고, 이 마젠타(M)의 성분을 휘도 조정 성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휘도 조정 성분으로서 제1 화소(31A)로부터 백색(W)의 성분이 감산된 경우에, 제2 화소(31B)에서 해당 휘도 조정 성분을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로 나누어 반영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출력된 화상의 해상감이 증가함으로써 미관이 좋아진다. 또한, 제1 화소(31A)의 출력과 제2 화소(31B)의 출력에서 색이 근사하는 경우, 백색(W)의 출력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한 예에서는, 신호 처리부(21)는, 입력 화상 신호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다른 색의 부화소(32)보다도 우선적으로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키는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변환 처리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1)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 이외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백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화소(31B)의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31A)로 이동시키는 처리의 후에, 백색 또는 백색 이외로의 변환에 관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1은,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옐로우(Y) 및 마젠타(M)의 성분으로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분인 경우, 적색(R), 녹색(G)의 성분의 조합에 의해 옐로우(Y)의 부화소(제6 부화소(32Y))를 점등시킴과 함께 적색(R), 청색(B)의 성분의 조합에 의해 마젠타(M)의 부화소(제5 부화소(32M))를 점등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즉, 신호 처리부(21)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분 중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의 조합에 의해 백색(W)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를 발광시키도록 하여도 되지만,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발광을 우선하도록 해도 된다. 신호 처리부(21)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발광을 우선한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Y) 및 마젠타(M)의 부화소를 발광시키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백색(W)의 부화소보다도 백색(W) 이외의 부화소에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우선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표시 출력에 있어서의 해상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 이외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백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시키는 처리는, 제2 화소(31B)에 한하지 않고, 제1 화소(31A)에도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이 갖는 백색의 부화소 중 출력이 보다 작은 한쪽의 부화소의 출력에 따라서 다른 쪽의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23은,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의 입력 화상 신호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백색(W)의 성분으로 변환한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및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가령 백색(W)으로의 변환을 우선한 경우, 제1 화소(31A)의 출력을 나타내는 성분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R) 및 백색(W)만의 성분이 된다. 여기서, 제2 화소(31B)의 출력을 나타내는 성분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W)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의 발광을 수반하지 않는 성분인 경우, 제1 화소(31A)가 갖는 백색(W)의 부화소(제4 부화소(32W1))의 출력과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W)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의 출력의 차에 의해 표시 출력에 있어서의 입상감이 현재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의 일부를 백색(W)으로 변환하지 않고 적색(R), 녹색(G), 청색(B)에 할당함으로써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모든 부화소(제1 부화소(32R), 제2 부화소(32G), 제3 부화소(32B), 제4 부화소(32W1))가 발광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기초하여,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출력에 있어서의 입상감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한 예에서는, 백색(W)의 부화소의 출력이 보다 작은 제2 화소(31B)의 제8 부화소(32W2)의 출력에 따라서 제1 화소(31A)가 갖는 제4 부화소(32W1)의 출력을 결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이들 부화소의 출력의 대소 관계가 반대인 경우 등에, 제1 화소(31A)가 갖는 제4 부화소(32W1)의 출력에 따라서 제2 화소(31B)가 갖는 제8 부화소(32W2)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과 제1 화소(31A)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의 관계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이 관계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등)를 준비하고, 입력 화상 신호의 처리 시에 해당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신호 처리부(21)에 행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의 화소의 출력에 의한 휘도의 총량 중 한쪽의 화소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의한 휘도의 양에 기초하여,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입력 화상 신호의 색상 및 채도와 색 영역 외 성분의 휘도비에 따라서,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각 화소의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 방법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색 영역 외 성분의 휘도비란, 색 영역 외 성분을 이동시키기 전의 제2 화소의 휘도에 대한 색 영역 외 성분의 휘도비를 가리킨다. 도 25는,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해당 색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및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R, G, B)=(220, 220, 110)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했을 때,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백색(W)의 성분은, (R, G, B)=(110, 110, 110)에 대응한 성분(110)이 된다. 이때, (R, G, B)=(110, 110, 0)은, 백색(W)으로 변환되지 않은 성분으로서 남는다. 그 후, 제2 화소(31B)의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하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G, B)=(110, 110, 0)의 성분은, 옐로우(Y)의 성분(110)으로 변환된다. 이 예의 경우, 색 영역 외 성분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25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백색(W) 이외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했을 때,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G, B)=(220, 220, 0)의 성분은, 옐로우(Y)의 성분(220)으로 변환된다. 이때, 제2 화소(31B)의 성분 중, (R, G, B)=(0, 0, 110)의 성분은, 색 영역 외 성분(도 28에 도시한 색 영역 외 성분 O2)이 되어서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된다. 이 예의 경우,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R, G, B)=(220, 220, 110)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인 (R, G, B)=(0, 0, 110)의 성분이 가산되게 된다. 그 후,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이 백색(W)으로 변환된다. 즉, (R, G, B)=(220, 220, 220)의 성분은, 백색(220)으로 변환된다. 그 후, 색 영역 외 성분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이 행해짐으로써,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제4 부화소(32W1))의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에 대응하는 백색(W)의 성분(예를 들어, α)이 감산됨과 함께,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의 성분에 가미된다.
도 27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출력은, 도 30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출력에 비하여, 점등하는 부화소(32)가 보다 많은 점에서, 입상감의 저감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 도 30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출력은, 도 27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출력에 비하여, 점등하는 부화소(32)가 보다 적은 점에서, 전력 절약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
신호 처리부(21)는, 인접하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2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해당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출력 및 상기 제1 화소(31A)에 인접하는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의 출력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 제1 화소(31A)의 휘도 분포와 제2 화소(31B)의 휘도 분포가 보다 근사하는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출력 및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의 출력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점등 수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점등 수를 (A:B)로 대비한 경우에,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백색 성분으로 우선적으로 변환했을 때 (A:B)=(a:b)가 성립하고,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백색 이외의 성분으로 우선적으로 변환했을 때 (A:B)=(c:d)가 성립하였다고 하자. 여기서, a와 b의 차의 절댓값과 c와 d의 차의 절댓값 중 보다 작은 쪽의 결과를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각 화소의 부화소(32)의 점등 유무의 차가 보다 작은 출력 결과의 쪽이,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가 보다 근사하게 되어, 휘도의 치우침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와 같은 출력 결과를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각 화소에서 점등하는 부화소(32)의 배치 및 점등하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강약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의 휘도 분포와 제2 화소(31B)의 휘도 분포가 보다 근사하는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출력 및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의 출력을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도 31은,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값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변환에 의해 발생한 제2 화소(31B)의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31A)로 옮긴(이동시킨)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1에 도시한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상기 색으로 변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성분 중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변환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및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R, G, B)=(220, 110, 110)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백색(W)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으로 변환했을 때,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백색(W)의 성분은, (R, G, B)=(110, 110, 110)에 대응한 성분(110)이 된다. 이때, (R, G, B)=(110, 0, 0)은, 백색(W)으로 변환되지 않은 성분으로서 남는다. 여기서, (R, G, B)=(110, 0, 0)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으로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색 영역 외 성분(도 33에 도시한 색 영역 외 성분 O3)으로 되어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된다. 즉,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에 있어서 백색 이외의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되는 성분은 없어진다. 또한,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적색(R)의 성분은, 색 영역 외 성분이 가미된 성분(220)으로 된다. 색 영역 외 성분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이 행해짐으로써,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제4 부화소(32W1))의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에 대응하는 백색(W)의 성분(예를 들어, β)이 감산됨과 함께, 제2 화소(31B)가 갖는 백색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의 성분에 가미된다. 한편, 도 31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백색(W) 이외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우선하여 백색(W) 이외의 부화소(32)의 색으로 변환했을 때,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G, B)=(110, 110, 0)의 성분은, 옐로우(Y)의 성분(110)으로 변환된다. 또한, (R, G, B)=(110, 0, 110)의 성분은, 마젠타(M)의 성분(110)으로 변환된다. 이 예의 경우, 색 영역 외 성분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예의 경우,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의 성분 중, 제2 화소(31B)의 백색의 부화소(제8 부화소(32W2))의 출력에 반영되는 성분은 발생하지 않는다.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이 남아있는 경우, 해당 성분이 제8 부화소(32W2)의 출력에 반영된다. 한편, 제1 화소(31A)의 성분 중, (R, G, B)=(110, 110, 110)에 대응한 성분이 백색(W)의 성분(110)으로 변환되고, 나머지 (R, G, B)=(110, 0, 0)에 대응하는 성분이 적색(R)의 성분(110)으로서 남는다.
신호 처리부(21)는,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경우의 결과와,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 이외의 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경우의 결과의 양쪽에 기초하여,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각 화소(31)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한 변환 결과와 도 36에 도시한 변환 결과의 합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한 예에서는, 1조의 화소(35)가 갖는 8개의 부화소(32) 중 점등하는 부화소(32)가 3개(제1 부화소(32R), 제4 부화소(32W1), 제8 부화소(32W2))이다. 또한, 도 36에 도시한 예에서는, 1조의 화소(35)가 갖는 8개의 부화소(32) 중 점등하는 부화소(32)가 4개(제1 부화소(32R), 제4 부화소(32W1),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이다. 여기서, 도 34에 도시한 출력과 도 36에 도시한 출력을 각각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1:1)로 합성하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하는 부화소(32)가 5개(제1 부화소(32R), 제4 부화소(32W1), 제5 부화소(32M), 제6 부화소(32Y), 제8 부화소(32W2))가 된다. 이로 인해, 입상감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경우의 결과와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 이외의 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경우의 결과의 합성 비율은 임의이다. 이 합성 비율은, 입력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색상 및 각각의 변환 결과가 나타내는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각색상의 합성 비율을 나타내는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등)를 준비하고, 입력 화상 신호의 처리 시에 이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신호 처리부(21)에 행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합성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과의 합성에 수반해 발생하는 우수리의 처리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백색으로 변환된 성분의 일부를 백색 이외의 성분으로 나누어도 된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합성 결과가 나타내는 성분 중 백색으로 변환된 성분의 일부를 백색 이외의 성분으로 나눈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한 성분에 대하여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휘도 조정을 행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한 부화소(32)의 출력 중, 제4 부화소(32W1)의 출력에 반영되어 있는 성분의 일부(γ)를 제2 부화소(32G) 및 제5 부화소(32M)에 할당하도록 재배분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화소(32G) 및 제5 부화소(32M)에 할당된 성분(δ, ε)이 각각 제2 부화소(32G) 및 제5 부화소(32M)의 출력에 반영된다. 또한, 이 경우, 제5 부화소(32M)에 할당된 성분(ε)의 분만큼 제1 화소(31A)로부터 제2 화소(31B)로 휘도가 옮겨지게 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21)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부화소(32M)에 할당된 성분(ε)에 대응하는 휘도의 분만큼 제8 부화소(32W2)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ζ)을 감산함과 함께, 이 성분(ζ)을 제4 부화소(32W1)의 출력에 반영한다. 이와 같은 재배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재배분 전의 색의 성분에 대하여 재배분되는 성분의 비율은 임의이지만, 각 화소 간의 색상, 채도 및 휘도의 관계가 변환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39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등을 백색 또는 백색 이외의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하나의 스텝으로서 복수의 스텝을 실행하는 변환 방법이 채용되어 있지만, 이것은 변환 처리의 흐름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컬러 매니지먼트의 구조에 의해,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을 각 화소(31)의 부화소(32)의 색에 대응하는 임의의 색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예를 들면, 3×3 행렬의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을 제2 화소(31B)가 갖는 3색의 성분(C, M, Y)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컬러 매니지먼트의 방법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변환하고자 하는 성분의 비율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입력 화상 신호가 특정한 색에 대응하는 성분을 갖는 경우, 표시 영역 A에 특정 방향(예를 들어 경사 방향)의 선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도 40, 도 41 및 도 42은, 청색 성분의 사선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화소(31) 및 부화소(32)의 배치인 경우, 1조의 화소(35) 이상의 범위에 마젠타(M)에 대응하는 입력 화소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도 40,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서는 제1 부화소(32R)와 제3 부화소(32B)의 조합에 의한 마젠타(M)의 색 재현이 행해짐과 함께, 제2 화소(31B)에서는 제5 부화소(32M)에 의한 마젠타(M)의 색 재현이 행해진다. 이때, 다른 부화소(32)(제2 부화소(32G), 제4 부화소(32W1), 제6 부화소(32Y), 제7 부화소(32C), 제8 부화소(32W2))는 색 재현에 사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3 부화소(32B)로부터의 광이 갖는 청색 성분과, 제5 부화소(32M)로부터의 광이 갖는 청색 성분에 의해, 제3 부화소(32B)와 제5 부화소(32M)가 연속하는 경사 방향에 청색 성분의 사선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도 40은, 모든 화소(31)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R, G, B)=(192, 0, 128)인 경우의 도면다. 도 40에서는, 사선을 구성하는 부화소를 마킹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예는, 도 6에 도시한 화소(31) 및 부화소(32)의 배치인 경우에, 마젠타(M)에 대응하는 입력 화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경사 방향의 선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선이 나타나는 것은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화소(31) 및 부화소(32)의 배치 이외의 배치인 경우, 마젠타(M)에 대응하는 입력 화소 신호에서는 선이 나타나지 않지만, 다른 색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로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 중 1개의 색에 대응하는 부화소(32)(예를 들어, 제1 부화소(32R))와, 해당 색을 성분으로서 갖는 제2 화소(31B)의 부화소(32)(예를 들어, 적색(R)의 원색이 성분에 포함되는 마젠타(M) 또는 옐로우(Y)에 대응하는 제5 부화소(32M) 또는 제6 부화소(32Y))가 경사 방향으로 연속하는 경우, 마젠타(M) 또는 옐로우(Y)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적색 성분의 사선이 보이게 된다. 다른 화소(31) 및 부화소(32)의 배치와 입력 화상 신호의 경우에도, 어떠한 색으로 이와 같은 선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선은, 선을 구성하는 부화소(32)(도 6, 도 40, 도 41 및 도 42의 경우, 제3 부화소(32B)와 제5 부화소(32M))에 공통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마젠타(M)의 경우, 청색(B)의 성분)의 채도가 보다 높은 경우에 보다 보이기 쉬워진다. 또한, 선을 구성하는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부화소(32)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채도가 보다 낮을 때, 선은 보다 보이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일 직선 형상으로 연속하여 점등하는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화소의 선이 보이는 것은,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로부터의 출력과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부화소(32)로부터의 출력의 사이에 소정 이상의 차가 있는 경우이다. 선이 보이게 되는 소정 이상의 차는,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의 색 및 해당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부화소(32)의 색에 의해 서로 다른 차로 될 수 있으므로,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각각 갖는 부화소(32)의 배치에 따라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4색의 부화소(32)로 구성되는 제1 화소(31A)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4색의 부화소(32)로 구성되는 제2 화소(31B)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부화소(32)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30)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서, 신호 처리부(21)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 경우에, 동일한 색 성분(예를 들어, 마젠타(M)에 포함되는 청색 성분)을 포함하는 부화소(32)(예를 들어, 제3 부화소(32B) 및 제5 부화소(32M))가 일직선 형상으로 연속하여 점등하고, 또한,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로부터의 출력과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부화소(32)로부터의 출력의 사이에 소정 이상의 차가 있는 상태가 될 때, 표시 영역 A에 특정 방향(예를 들어 경사 방향)의 선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신호 처리부(21)는, 상기의 선의 시인성을 보다 저감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해당 처리로서,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제1 성분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성분으로서 동일한 색 성분을 포함하는 조정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성분 및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구체예로서, 도(40)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의 해당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의 경우,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192, 0, 128) 중 마젠타(M)로서 재현되는 성분으로서 소정의 비율의 성분을 조정 성분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의 비율이 50%인 경우, 즉, 조정 성분이, 제1 성분에 있어서의 동일한 색 성분의 절반의 성분에 대응하는 경우, 조정 성분은, (R, G, B)=(64, 0, 64)가 된다. 또한, 소정의 비율이 100%인 경우, 조정 성분은, (R, G, B)=(128, 0, 128)이 된다.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으로부터 조정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및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조정 성분에 의한 출력의 제어가 없는 경우, 제1 화소(31A)가 갖는 제3 부화소(32B) 및 제2 화소(31B)가 갖는 제5 부화소(32M)의 성분은, 각각 「128」 및 「128」이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어 소정의 비율이 50%이고, 조정 성분이 (R, G, B)=(64, 0, 64)인 경우, 제3 부화소(32B) 및 제5 부화소(32M)의 성분은, 각각 「64」 및 「192」로 된다. 또한, 소정의 비율이 100%이고, 조정 성분이 (R, G, B)=(128, 0, 128)인 경우, 제3 부화소(32B) 및 제5 부화소(32M)의 성분은, 각각 「0」 및 「255」가 된다. 이와 같이, 제3 부화소(32B)의 출력이 저감되도록 조정 성분을 설정함으로써, 경사 방향에 동등한 청색 성분이 연속하는 상태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즉, 마젠타(M)의 색 재현에 즈음하는 청색 성분의 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조정 성분에 관한 처리는, 다른 화소(31) 및 부화소(32)의 배열에 있어서 다른 색에 대응하는 출력이 행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43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마젠타(M)로서 재현 가능한 성분의 50%를 조정 성분으로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마젠타(M)로서 재현 가능한 성분의 100%를 조정 성분으로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과 조정 성분의 관계(예를 들어, 소정의 비율)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도 44에 도시한 예와 같이, 연속하는 부화소의 한쪽(제3 부화소(32B))의 출력이 없는 상태로 함으로써, 입상감이 증가하지만, 선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연속하는 부화소의 한쪽(제3 부화소(32B))의 출력을 내린 상태로 출력시킴으로써, 선의 발생 억제와 입상감의 발생의 억제 양쪽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과 조정 성분의 관계(예를 들어, 소정의 비율)는, 선의 발생 억제, 입상감 등의 균형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과 조정 성분의 관계(예를 들어, 소정의 비율)를 나타내는 데이터(테이블 데이터 등)를 준비하고, 입력 화상 신호의 처리 시에 해당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신호 처리부(21)에 행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의 발생의 억제를 위한 처리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조의 화소(35) 단위로의 처리에 한하지 않고, 각 화소(31)가 갖는 백색(W)의 부화소를 중심으로 하여, 이 백색(W)의 부화소의 주위에 존재하는 8화소(행 방향, 열 방향 및 경사 방향)에 대하여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조정 성분을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정 성분은, 제1 성분에 있어서의 동일한 색 성분의 절반의 성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선의 색 성분의 색상이나 채도에 따른 조정 성분의 정도(예를 들어 0 내지 100%의 사이에서 정해진 비율)를 나타내는 데이터(조정 성분의 테이블 등)를 설정하고, 해당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정 성분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표시부(30)는, 복수의 화소(31)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출력을 행함으로써 표시 영역 A에 화상을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각 화소(31)의 입력 화상 신호 간에서 발생하는 색의 경계(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성분(예를 들어, 상기의 색 영역 외 성분 등)을 다른 화소로 옮기는 처리를 행한 경우, 옮겨지는 성분에 의해 에지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에지란, 인접하는 화소 간에서의 색상, 채도, 휘도 중 적어도 1개를 크게 다르게 함으로써, 이들 인접 화소 간에는 명백하게 색의 경계가 존재한다고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배경을 흑색으로 한 경우의 백색이나 다른 색에 의한 문자나 선이나 도형(또는 그 반대)의 경계를 의미한다. 또한, 더 구체적인 에지의 판단(판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5는,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각각 독립하여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따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제2 화소(31B)로 재현하고자 한 경우에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각각 독립하여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따른 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경우, 어느 쪽의 화소(31)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이더라도 에지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R, G, B)=(0, 0, 0)이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R, G, B)=(255, 255, 255)인 경우, 어느 쪽의 화소도 독립하여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따른 출력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에지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에 있어서의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신호인 경우,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제2 화소(31B)로 재현하고자 한 경우에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하여 색 영역 외 성분이 제1 화소(31A)로 옮겨졌을 때, 도 46 및 후술하는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의 위치가 제2 화소(31B)로부터 제1 화소(31A)로 어긋나 출력되어버리는 에지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R, G, B)=(0, 0, 0)이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R, G, B)=(255, 0, 0)인 경우, 제2 화소(31B)에서 색 영역 외 성분이 되는 적색(R)의 성분(255)이 제1 화소(31A)로 옮겨짐으로써,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흑색 출력(제1 화소(31A))과 적색 출력(제2 화소(31B))의 위치에 대하여 흑색 출력이 행해지는 화소와 적색 출력이 행해지는 화소의 위치가 교체되는 에지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에지 어긋남은, 옮겨지는 성분(예를 들어 색 영역 외 성분 등)이 발생한 화소(예를 들어 도 46에 있어서의 제2 화소(31B))에 인접하지 않는 부화소(32)(예를 들어, 도 46에 있어서의 제1 부화소(32R))에 대하여 해당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발생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해당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 이동에 관한 예외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제2 화소(31B)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32)에 인접하지 않는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도 47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킨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이며, 또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R, G, B)=(0, 0, 220)인 경우, 신호 처리부(21)는, 해당 입력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청색 성분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청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32)(제5 부화소(32M) 및 제7 부화소(32C))의 양쪽에 반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색의 색상, 채도, 휘도 중, 색상 및 휘도를 유지하고, 채도만 저하되는 것을 허용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 성분을 포함하는 제5 부화소(32M) 및 제7 부화소(32C)의 각각을, 입력 화상 신호의 색상 및 채도를 유지하는 점등 상태(예를 들어, (C, M, Y)=(55, 55, 0))로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청색 성분(220)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보색인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휘도가 적색(R), 녹색(G), 청색(B)의 2배의 휘도를 갖고 있는 점에서, 이와 같은 출력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화소(31B)의 출력에 있어서 색 영역 외 성분과 동일한 색상으로 되는 보색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출력으로 한 경우, 입력 화상 신호의 완전한 색 재현으로는 되지 않지만, 에지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아, 입력 화상 신호에 보다 가까운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도 48은, 모든 화소가 제1 화소(31A)인 표시 영역 A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에 의해 원색의 문자가 1화소분의 폭의 선으로 묘화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은, 도 48의 묘화 내용과 동일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단순히 색 영역 외 성분을 이동시킨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에지 어긋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48의 묘화 내용과 동일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킨 경우의 묘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9 및 도 50은,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가 인접하고 있는 표시 영역 A에 있어서의 출력예이다. 예를 들어,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화소에 의해 원색(예를 들어 녹색)의 문자가 1화소분의 폭의 선으로 묘화되는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단순히 색 영역 외 성분을 이동시킨 경우, 도 49와 같이 에지 어긋남에 의한 문자의 뭉개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47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킴으로써,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 어긋남에 의한 문자의 뭉개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한 예에서는, 청색 성분을 포함하는 시안(C)과 마젠타(M)의 청색(B)에 대한 색상의 어긋남이 대략 동일한 것을 전제로, 청색 성분을 제5 부화소(32M) 및 제7 부화소(32C)의 2개의 화소에 할당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에 보다 가까운 색에 대응하는 부화소(32)가 하나로 좁혀지는 경우, 해당 하나의 부화소(32)의 출력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도록 하여도 된다.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이며, 또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어느 화소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킬지는, 색 영역 외 성분과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색의 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다른 처리 방법에 의해 제2 화소(31B)에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32)에 인접하지 않는 제1 화소(31A)의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부(30)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21)는,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해당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색 영역 외 성분을 해당 제2 화소(31B)에 인접하는 다른 조에 포함되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 중 해당 제2 화소(31B)에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부화소(32)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여 이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51은, 제2 화소(31B)의 우측에 존재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에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제2 화소(31B)의 하측에 존재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에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한 예에서는, 모든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는, (R, G, B)=(0, 0, 0)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1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는, (R, G, B)=(255, 100, 100)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2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는, (R, G, B)=(100, 255, 100)인 것으로 한다.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한 예는, 화소(31)의 배치가 도 6에 도시한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배치로서, 하나의 제1 화소(31A)와 해당 제1 화소(31A)에 대하여 우측에 존재하는 하나의 제2 화소(31B)가 1조의 화소(35)로서 취급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이며, 또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의해 발광하도록 제어되는 부화소(32)가 제5 부화소(32M)(100) 및 제6 부화소(32Y)(100)이며, 색 영역 외 성분이 적색 성분인 경우, 신호 처리부(21)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제6 부화소(32Y)의 우측에 인접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예를 들어 도 51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1 화소(31A))가 갖는 제1 부화소(32R)에 적색 성분의 색 영역 외 성분(55)을 반영시킨다. 또한,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의해 발광하도록 제어되는 부화소(32)가 제6 부화소(32Y)(100) 및 제7 부화소(32C)(100)이며, 색 영역 외 성분이 녹색 성분인 경우, 신호 처리부(21)는,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제7 부화소(32C)의 하측에 인접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예를 들어 도 52의 하측에 존재하는 제1 화소(31A))가 갖는 제2 부화소(32G)에 녹색 성분의 색 영역 외 성분(55)을 반영시킨다. 이와 같이, 제2 화소(31B)에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32)에 인접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킴으로써, 에지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보다 고정밀도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의해 발광하도록 제어되는 부화소(32)에 제6 부화소(32Y)가 포함되어 있으며, 색 영역 외 성분이 청색 성분인 경우,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의 상측에 존재하는 다른 조의 제1 화소(31A)가 갖는 제3 부화소(32B)에 청색 성분의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제2 화소(31B)와 해당 제2 화소(31B)의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제1 화소(31A)의 사이에 있어서의 채도 및 휘도의 역전과, 해당 제1 화소(31A)에 상기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과 해당 제1 화소(31A)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이 서로 다름에 따른 색상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이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53은, 에지에 대응하는 제2 화소(31B)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색 영역 외 성분 및 출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의 전제로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따라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C, M, Y) 및 색 영역 외 성분이 결정되게 한다. 도 53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 중,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하는 성분은, 녹색 성분(녹색(G))이다. 도 53 내지 도 56에서는, 색 영역 외 성분에 부호 O4를 부여하고 있다.
도 54는,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사이에서 채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31A)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에 도시한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분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성분은, 녹색 성분이다.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기 전의 녹색 성분을 비교하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보다도 크다. 즉,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기 전, 제2 화소(31B)는, 제1 화소(31A)보다도 채도가 높다. 한편, 색 영역 외 성분이 모두 옮겨진 후의 녹색 성분을 비교하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보다도 작다. 즉, 색 영역 외 성분이 모두 옮겨졌다고 가정하면, 제2 화소(31B)는, 제1 화소(31A)보다도 채도가 낮아진다. 이와 같이, 색 영역 외 성분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사이에서 채도의 고저 관계가 역전될 때, 신호 처리부(21)는, 채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색 영역 외 성분이 감산된 후의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녹색 성분 미만의 범위 내에서 제1 화소(31A)에 있어서의 녹색 성분을 높이도록 하여도 되며, 색 영역 외 성분을 모두 파기하여도 된다.
도 55는,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사이에서 휘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31A)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에 도시한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분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기 전의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휘도를 비교하면, 제2 화소(31B)의 휘도는, 제1 화소(31A)의 휘도보다도 높다. 한편, 색 영역 외 성분이 모두 옮겨진 후의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의 휘도를 비교하면, 제2 화소(31B)의 휘도는, 제1 화소(31A)의 휘도보다도 낮다. 이와 같이, 색 영역 외 성분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사이에서 휘도의 고저 관계가 역전될 때, 신호 처리부(21)는, 휘도의 고저 관계의 역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화소(31A)의 휘도를 색 영역 외 성분이 감산됨으로써 저감된 후의 제2 화소(31B)의 휘도 미만으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하도록 해도 되며, 색 영역 외 성분을 모두 파기하여도 된다.
도 56은,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진 경우에 제1 화소(31A)에서 색상의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제1 화소(31A)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에 도시한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분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색 영역 외 성분이 옮겨지기 전의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성분에 의한 색에 있어서 가장 채도가 높은 것은 적색이다. 한편, 색 영역 외 성분이 모두 옮겨진 후의 성분에 의한 색에 있어서 가장 채도가 높은 것은 색 영역 외 성분의 색(녹색)이다. 즉, 색 영역 외 성분이 모두 옮겨진 경우,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과 해당 제1 화소(31A)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이 바뀜에 따른 색상의 회전이 발생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이러한 색상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전후에서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이 바뀌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하도록 해도 되며, 색 영역 외 성분을 모두 파기하여도 된다.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입력 화상 신호 성분 및 색 영역 외 성분은 도 53 내지 도 56의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에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가 다른 입력 화상 신호, 색 영역 외 성분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즉,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라고 판단된 시점에서, 해당 제2 화소(31B)에 있어서의 색 영역 외 성분을 파기하고, 어느 쪽의 화소의 출력에도 반영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간편한 처리에 의해 에지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아닌 경우, 도 13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를 따라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즉,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아닌 경우,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 및 인접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해당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인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으로부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제3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1조의 화소(35)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1조의 화소(35)에 관한 처리란, 하나의 제1 화소(31A)와 하나의 제2 화소(31B)를 1조의 화소(35)로 하여, 해당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1조의 화소(35)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제1 성분 및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에 기초하여 해당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고, 해당 1조의 화소(35)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제2 성분으로부터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해당 1조의 화소(35)에 대응하는 제3 성분에 기초하여 해당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신호 처리부(21)는, 또한, 기타의 관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행하여도 된다. 그 밖의 관련 처리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휘도 조정 성분에 관한 처리,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처리 또는 화상 입력 신호의 성분을 백색 이외의 색으로 우선하여 변환하는 처리 또는 이들 처리의 합성, 백색으로 변환된 성분의 일부를 백색 이외의 성분으로 나누는 처리, 입력 화상 신호가 특정한 색에 대응하는 성분을 갖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표시 영역 A에 있어서의 특정 방향의 선의 시인성을 보다 저감하기 위한 처리 등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에지 판정부(22)에 의한 판정 처리 내용, 즉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행 방향에 대하여 하나의 제2 화소(31B)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2개의 제1 화소(31A)를 전제로 하여,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7은,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검출에 사용되는 테이블이 나타내는 색상과 색상 허용량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지 판정부(22)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 (1)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나타내는 색상을 산출한다. 식 (1)에 있어서의 H는, 색상을 나타낸다. R, G, B는 각각,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에 대응한다. MIN은,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 중 최소의 값을 나타낸다. MAX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R, G, B) 중 최대의 값을 나타낸다. 이어서, 에지 판정부(22)는, 도 57에 도시한 색상과 색상 허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된 제2 화소(31B)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 허용량의 값(HT)을 참조하여 취득한다. 또한, 에지 판정부(22)는, 이하의 식 (1)에 기초하여, 해당 제2 화소(31B)에 행 방향에서 인접하는 한쪽의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나타내는 색상을 산출한다. 에지 판정부(22)는, 산출된 제2 화소(31B)의 색상으로부터 한쪽의 제1 화소(31A)의 색상을 차감한 값의 절댓값을 ΔH1로서 산출한다. 그 후, 에지 판정부(22)는, ΔH1을 HT로 나눔으로써 제1 판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에지 판정부(22)는, 이하의 식 (1)에 기초하여, 해당 제2 화소(31B)에 행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쪽의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나타내는 색상을 산출한다. 에지 판정부(22)는, 산출된 제2 화소(31B)의 색상으로부터 다른 쪽의 제1 화소(31A)의 색상을 차감한 값의 절댓값을 ΔH2로서 산출한다. 그 후, 에지 판정부(22)는, ΔH2를 HT로 나눔으로써 제2 판정값을 산출한다. 에지 판정부(22)는, 제1 판정값과 제2 판정값 중, 더 큰 값을 판정값으로서 채용한다. 에지 판정부(22)는, 도 57에 도시한 색상과 색상 허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있어서, 제2 화소(31B)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 허용량을 특정한다. 에지 판정부(22)는, 판정값과 색상 허용량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판정값이 색상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 에지 판정부(22)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판정값이 색상 허용량 이하인 경우, 에지 판정부(22)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도 57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는, 인간의 감성에 기초한 일반적인 허용량 비율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구해진 판정값은, 이미 인간의 허용량은 고려된 값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에지 판정 방법은, 인간의 허용 특성의 테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레벨 조정을 가하여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허용값을 가미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판정값을 산출하고, 판정값과, 색상 허용량 및 기준값에 기초한 값의 관계에 의해 에지의 판정을 한다. 기준값은, 색상 허용량에 대한 계수이다. 허용값의 테이블을 그대로 결과에 반영시키는 경우, 기준값은 1.0(등배)으로 되지만, 허용값 테이블보다도 판정을 엄격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기준값을 보다 낮게 설정하고, 허용값 테이블보다도 판정을 느슨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기준값을 보다 높게 설정한다.
Figure 112015071206679-pat00001
또한, 휘도에 기초하여 에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에지 판정부(22)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으로부터, 해당 성분에 의한 휘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판정부(22)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각의 성분 휘도비로부터 휘도를 산출한다. 휘도비는, 성분량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에지 판정부(22)는, 행 방향에 대하여 하나의 제2 화소(31B)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2개의 제1 화소(31A)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각각 휘도를 산출한다. 에지 판정부(22)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의한 휘도와 해당 2개의 제1 화소(31A)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의한 휘도의 차 또는 비를 산출한다. 에지 판정부(22)는, 더 큰 휘도 차(또는 휘도비)와, 미리 정해진 휘도의 차(또는 비)의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값보다도 산출된 값의 쪽이 큰 경우,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산출된 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에지 판정부(22)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채도에 기초하여 에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에지 판정부(22)는, 예를 들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채도와, 행 방향에 대하여 그 제2 화소(31B)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2개의 제1 화소(31A)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채도의 차가 미리 정한 기준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에지 검출 방법에서는, 행 방향에 대하여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해당 제2 화소(31B)에 대하여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화소(31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판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 관계없이,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 중 어느 하나가 모노크롬(색상을 갖지 않는 백색∼(그레이스케일)∼흑색)이며, 또한, 다른 한쪽의 화소가 컬러일 때(색상을 갖고 있을 때), 에지 판정부(22)는, 해당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에지에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흑백인 경우, 에지 판정부(22)는, 해당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가 에지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양쪽의 화소 모두 W 부화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판정은 필요 없음). 에지 판정부(22)는, 상기에서 설명한 에지 검출 방법을 포함하는 이들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들 방법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에 대하여 색 영역 외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기된 경우, 파기된 색 영역 외 성분에 따른 휘도가 제2 화소(31B)로부터 상실되게 된다. 또한,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 영역 외 성분 중 다른 조의 제1 화소(31A)에 반영된 색 영역 외 성분에 따른 휘도가 제2 화소(31B)로부터 감산됨과 함께, 해당 다른 조의 제1 화소(31A)에서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에 따른 휘도가 증가되게 된다. 이 이유에 의해 발생한 제2 화소(31B)와 이 제2 화소(31B)에 인접하는 제1 화소(31A) 사이의 휘도 차를 저감할 목적으로, 제1 화소(31A)로부터 제2 화소(31B)로 휘도를 옮기기 위한 성분 조정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휘도 조정 성분을 사용하여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의 부화소(32)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해당 휘도 차를 저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7 및 식 (1)은 HSV 색 공간에 기초한 색상에 의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색상을 판정하기 위한 색 공간은 HSV 공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XYZ 표색계의 xy 색도도나 u*V* 색 공간의 백색(W)으로부터의 각도를 사용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58을 참조하여, 화상의 에지에 관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화상의 에지에 관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에지 판정부(22)는, 색상, 휘도 및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각 화소(31)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1조의 화소(35)가 모두 에지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 아니오), 신호 처리부(21)는, 해당 1조의 화소(35)에 대하여, 1조의 화소(35)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S3). 한편, 1조의 화소(35)에 포함되는 어느 쪽인가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에지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 예), 에지 판정부(22)는, 에지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입력 화상 신호가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제2 화소(31B)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즉, 입력 화상 신호가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경우(스텝 S4; 아니오), 신호 처리부(21)는, 해당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을 제1 화소(31A)에 그대로 반영시킨다(스텝 S5). 입력 화상 신호가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경우(스텝 S4; 예), 신호 처리부(21)는, 에지에 대응하는 화소의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해당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 이동에 관한 예외 처리를 행한다(스텝 S6). 예외 처리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47, 도 51 및 도 52 또는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중 어느 하나이다. 스텝 S3, 스텝 S5 또는 스텝 S6의 처리 후, 신호 처리부(21)는, 그 밖의 관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행하여도 된다(스텝 S7).
또한, 도 3,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31)는 정사각 형상이며, 부화소(32)는, 각 화소(31)에 있어서 2차원의 매트릭스 형상(행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화소(31) 및 부화소(32)의 형태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소(31)는, 해당 화소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부화소(32)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화소(31)가 갖는 부화소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소(31)는, 백색의 부화소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59 내지 도 7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2)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59, 도 6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30)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부화소를 갖는 제1 화소(31a)와, 스트라이프 형상의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부화소를 갖는 제2 화소(31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스트라이프 형상의 부화소의 배열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도 59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의 배열에 있어서의 색상의 회전순과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의 배열에 있어서의 색상의 회전순이 일치하도록 각각의 화소 부화소가 설치되어 있다. 도 60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의 배열에 있어서의 휘도순과 제2 화소(31b2)가 갖는 부화소의 배열에 있어서의 휘도순이 일치하도록 각각의 화소 부화소가 설치되어 있다. 도 59, 도 60 등에 도시한 예는, 세로 방향의 스트라이프를 그리게 설치된 부화소를 갖는 화소를 나타내고 있지만, 가로 방향의 스트라이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2행 2열이 아닌 부화소의 경우, 경사 방향의 선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부화소의 형상에 의해, 경사 방향의 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행 2열이더라도, 각 화소의 부화소를 화소의 중심 근처로 함으로써도, 경사 방향의 선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1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화소(31a)와 제2 화소(31b)의 위치 관계와 제1 화소(31a) 및 제2 화소(31b)의 각각이 갖는 부화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변형예에 있어서 1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인 표시 영역 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변형예에 있어서 4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31a)인 표시 영역 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소가 스트라이프 형상인 경우나,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가 3개인 경우에 있어서도, 2행 2열의 부화소를 갖는 화소와 마찬가지로, 제2 화소(31b)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이어도 된다. 또한, 도 62의 변 인접 영역 A3 및 도 63의 변 인접 영역 A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영역 A 중 적어도 1변에 인접하는 화소는 제1 화소(31a)이어도 된다. 도 61 내지 도 63에 도시한 화소의 배치 및 이하에 설명하는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처리는, 제2 화소(31b2)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며, 부화소(32)의 배치가 다른 배치인 제1 화소, 제2 화소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64 내지 도 72를 참조하여,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가 3개인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4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 내지 도 72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5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적색(R), 녹색(G)의 성분을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은, 녹색(G), 마젠타(M)의 성분을 시안(C), 옐로우(Y)의 성분으로 변환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변형예의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 및 색 영역 외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의 색으로 재현 가능한 성분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의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 중 가장 채도가 낮은 성분(도 65의 경우, 청색(B))의 성분량에 대응하는 성분량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으로부터 뽑아내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각각의 성분으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으로서, 도 65을 참조한 설명에서 변환되지 않은 적색(R), 녹색(G)의 성분 중보다 작은 성분(도 66의 경우, 적색(R))의 성분량에 대응하는 성분량을 적색(R), 녹색(G)의 성분으로부터 뽑아내어 이 성분의 조합에 대응하는 색(도 66의 경우, 옐로우(Y))으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제2 화소(31b)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동안 변환되지 않은 성분(도 67의 경우, 녹색(G))의 일부 또는 전부와,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의 색으로서 이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보색(도 67의 경우, 마젠타(M))으로 변환된 성분을 2:1의 비율로 사용하여 별도의 부화소의 색(도 67의 경우, 시안(C) 및 옐로우(Y))으로 변환한다. 도 67에 도시한 예에서는, 녹색(G)의 성분과, 상기 성분의 절반의 양의 마젠타(M)의 성분을 시안(C) 및 옐로우(Y)로 변환하고 있지만, 다른 색의 조합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즉, 이하의 식 (2) 내지 (4)에 나타내는 관계에 기초하여,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도 65 내지 도 67을 참조한 설명에 의한 처리의 결과,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은, 도 68에 도시한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의 성분이 됨과 함께, 녹색(G)의 성분이 색 영역 외 성분으로 결정된다. 도 68 및 후술하는 도 70에서는, 색 영역 외 성분에 부호 O5를 부여하고 있다.
2R+C=YM… (2)
2G+M=CY… (3)
2B+Y=CM… (4)
다음으로, 제1 화소(31a)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9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이 가미된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9 내지 도 72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모두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색 영역 외 성분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8에서 색 영역 외 성분으로 된 녹색(G)의 성분을 제1 화소(31a)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에 가미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가 3개인 경우에 있어서도, 휘도 조정 성분을 사용한 휘도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71은, 도 70에 도시한 성분으로부터 휘도 조정 성분이 감산된 제1 화소(31a)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2는, 도 68에 도시한 출력의 성분에 휘도 조정 성분이 가미된 제2 화소(31b)의 출력에 대응하는 성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우선,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제1 화소(31a)에 가미되는 휘도를 산출한다. 이어서, 신호 처리부(21)는, 산출된 휘도에 대응하는 성분을 제1 화소(31a)의 성분으로부터 감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31b)로 재현 가능한 성분(도 71의 경우, 서로 동등한 성분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휘도 조정 성분으로서 감산함으로써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제1 화소(31a)에 가미되는 휘도에 대응하는 성분을 감산한다. 신호 처리부(21)는, 제1 화소(31a)에서 저감한 휘도 조정 성분을 제2 화소(31b)의 성분에 가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21)는, 예를 들어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1에서 제1 화소(31a)의 성분으로부터 저감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량만큼, 제2 화소(31b)의 성분에 있어서의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각각의 성분을 증가시킨다. 도 71에서는, 휘도 조정 성분에 부호 P2를 부여하고, 도 72에서 상기 휘도 조정 성분에 의한 성분의 변화량을 (P2)로 나타내고 있다.
도 71 및 도 72를 참조한 예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을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각각의 성분으로 변환하여 휘도 조정을 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휘도 조정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성분 중 2색에 대응하는 성분을 휘도 조정 성분으로서 제1 화소로부터 감산하고, 상기 2색에 의해 재현되는 색을 제2 화소(31b)가 갖는 부화소에 반영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73은,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4, 도 75, 도 76은,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대응하는 색 공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예에서는, 도 7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 중 3색(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 중 3색(적색(R), 녹색(G), 청색(B))의 보색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은, 예를 들어,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도의 상한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에 의한 색 공간의 범위 외에 미치는 보색이어도 된다. 도 74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의한 색 공간의 범위에 대하여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의 모든 보색의 채도의 상한이 범위 외에 미치고 있지만, 범위 외에 미치는 채도의 상한을 갖는 색이 일부의 보색만이어도 된다. 또한,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의 일부 또는 전부는, 채도의 상한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의한 색 공간의 범위 내측에 존재하는 색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은, 에메랄드그린(Em) 등, 보색에 한정되지 않는 색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74,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의한 색 공간의 범위 외측에 미치는 색 공간이 구성되는 부화소의 색 조합을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채용함으로써, 적색(R), 녹색(G), 청색(B)의 조합만으로는 재현할 수 없는 보다 높은 색 영역의 색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청색(B)에 의한 색 공간에 있어서 사용되는 빈도가 보다 높은 색에 대응한 색 공간이 구성되도록,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73 내지 도 76에서는, 제1 화소의 색 공간에 부호 Z1을 부여하고, 제2 화소의 색 공간 부호 Z2를 부여하고 있다. 도 73 내지 도 76에 도시한 예의 경우, 백색(W)은 색 공간을 나타내는 삼각형의 내측 중심부((R, G, B)=(255, 255, 2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제2 화소의 부화소 색 중 일부의 색(예를 들어 백색(W))은 제1 화소의 부화소 색과 동일한 색이어도 된다. 제2 화소의 부화소 색은, 적어도 1색이 제1 화소의 부화소 색과 다르면 된다.
예시된 RGB 등의 색 영역은, XYZ 표색계의 xy 색도 범위 상에서, 삼각 형상의 범위로 나타내고 있지만, 정의 색 영역이 정의되는 소정의 색 공간은, 삼각 형상의 범위로 정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화소의 컬러 수에 따른 다각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의 범위로 정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7을 참조하여, 상기의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화상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그 밖의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혹은 내부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를,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폰(700)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폰(700)은, 예를 들어 그 하우징(710)의 한 면에 설치된 표시부(720)를 구비한다. 표시부(720)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 등에 의하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의 양쪽 색을 맞춘 컬러 수가 부화소의 컬러 수가 된다. 즉, 모든 화소의 부화소가 공통인 경우에 비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에 따른 수만큼 부화소의 컬러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컬러 수와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컬러 수를 색 재현에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채롭고 또한 효율적인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제1 화소와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함으로써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색 공간이 서로 다르게 됨으로써 한쪽의 화소로 재현할 수 없는 색의 성분이 발생한 경우에 다른 쪽의 화소로 해당 성분을 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을 단순히 증가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하나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 증가에 수반하는 해상감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부화소의 컬러 수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각 화소에 대응한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화소의 컬러 수와 해상감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 및 인접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해당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인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으로부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제3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조합에 의해, 제2 화소에 있어서의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2화소분의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합산 성분 중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상승하는 제1 화소의 휘도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 성분을 합산 성분으로부터 감산하여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3 성분 및 휘도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를 각각의 화소에 의해 고정밀도로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백색의 부화소를 가짐으로써, 입력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소가 제1 화소인지 제2 화소인지에 관계없이, 백색 및 휘도의 출력에 대하여 각 화소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 표시부(30)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출력(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명암에 관한 해상도를 화소(31)의 입도로 확보할 수 있다. 즉, 해상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 백색의 부화소를 점등시킴으로써, 각 화소의 휘도를 백색의 부화소의 점등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즉, 휘도를 확보하는 관점에 있어서 다른 색의 부화소의 출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더 높은 레벨의 전력 절약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화상 신호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다른 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킴으로써, 점등하는 부화소를 보다 적게 하여 전력 절약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백색의 부화소 중 출력이 보다 작은 한쪽의 부화소의 출력에 따라서 다른 쪽의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제1 화소가 갖는 백색의 화소와 제2 화소가 갖는 백색의 화소의 출력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미관이 좋은 표시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 이외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백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킴으로써, 백색을 우선하는 경우에 비해 점등하는 부화소를 보다 많게 하여 입상감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에 있어서의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와 제2 화소에 있어서의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가 동일한 배치임으로써, 백색의 부화소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의 해상감을 보다 규칙적인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미관이 좋은 표시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인접하는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2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해당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 및 상기 제1 화소에 인접하는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 제1 화소의 휘도 분포와 제2 화소의 휘도 분포가 보다 근사하는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 및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을 채용함으로써, 각 화소의 휘도 분포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미관이 좋은 표시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이,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3색에 대응함으로써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화소에서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한 경우에, 보다 확실하게 제1 화소로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색 재현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와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가 동일하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와 제2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가,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상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상을 대비한 경우에,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색상의 배치가 보다 근사하는 배치임으로써, 부화소의 각각의 색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영역에서의 색의 기복을 보다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와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가 동일하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와 제2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가, 각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끼리의 휘도의 고저 관계가 동일함으로써, 부화소의 각각의 색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영역에서의 휘도의 기복을 보다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된 표시 영역 내에서 제1 화소와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컬러 수와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컬러 수를 색 재현에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채롭고 또한 효율적인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각각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출력을 행하는 점에서, 부화소의 컬러 수 확보와 화소 수에 따른 해상감을 양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화소의 컬러 수와 해상감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 중 3색이, 적색, 녹색, 청색에 대응함으로써 RGB 색 공간에 대응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화소에서 색 영역 외 성분이 발생한 경우에, 보다 확실하게 제1 화소로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색 재현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이 직선 형상의 변을 갖고, 적어도 1변에 인접하는 화소가 제1 화소임으로써, 상기 변에 인접하는 제2 화소와 협동하여 색 재현을 행하는 제1 화소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2 화소에 인접하는 제1 화소의 수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화소와 협동하여 색 재현을 행하는 제1 화소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또는 제2 화소의 한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이,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의 보색임으로써, 다른 쪽의 화소에서 2개의 부화소를 사용하게 되는 보색의 색 재현을 한쪽의 화소가 갖는 하나의 부화소로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 높은 레벨의 전력 절약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한 경우에, 동일한 색 성분을 포함하는 부화소가 일직선 형상에 연속하여 점등하고, 또한,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로부터의 출력과 해당 동일한 색 성분을 갖는 부화소에 인접하는 부화소로부터의 출력의 사이에 소정 이상의 차가 있는 상태가 될 때, 제1 성분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성분으로서 동일한 색 성분을 포함하는 조정 성분을 제외한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제2 성분 및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색 성분의 연속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색 성분을 포함하는 부화소가 일직선 형상에 연속하여 점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선의 현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성분이 제1 성분에 있어서의 동일한 색 성분의 절반의 성분에 대응함으로써 선의 발생 억제와 입상감의 발생의 억제의 양쪽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미관이 좋은 표시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제2 화소에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에 인접하지 않는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에지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색 영역 외 성분을 포함하는 색인 부화소의 출력에 색 영역 외 성분을 반영시킴으로써, 에지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입력 화상 신호에 보다 가까운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1조의 화소에 포함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해당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색 영역 외 성분을 해당 제2 화소에 인접하는 다른 조에 포함되는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해당 제2 화소에서 광의 출력이 행해지는 부화소에 인접하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함으로써 에지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보다 고정밀도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1조의 화소에 포함되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 경우, 제2 화소와 이 제2 화소의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제1 화소의 사이에서의 채도 및 휘도의 역전과, 해당 제1 화소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과 해당 제1 화소에 해당 색 영역 외 성분이 반영되는 경우에 색상을 가장 강하게 결정하는 색이 서로 다름에 따른 색상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함으로써, 더 높은 색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색상, 휘도 및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에 기초하여,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의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에지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 시각적인 화소 어긋남이 보다 현재화하기 쉬운 화상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러한 화상의 에지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에지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색 영역 외 성분을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키지 않음으로써, 보다 간편한 처리에 의해 에지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시예로서 유기 EL 표시 장치의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그 밖의 적용예로서, 그 밖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혹은 전기 영동 소자 등을 갖는 전자 페이퍼형 표시 장치 등, 모든 플랫 패널형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중소형에서부터 대형까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화상 처리 회로가, 처리부로서 기능하는 신호 처리부(21)와, 판정부로서 기능하는 에지 판정부(22)를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부와 판정부는, 개별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다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본 명세서 기재로부터 명확한 것, 또는 당업자에 있어서 적절히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초래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100: 화상 표시 장치
20: 화상 처리 회로
21: 신호 처리부
22: 에지 판정부
30: 화상 표시부
31: 화소
31A, 31a: 제1 화소
31B, 31B2, 31b, 31b2: 제2 화소
32: 부화소
32R: 제1 부화소
32G: 제2 부화소
32B: 제3 부화소
32W1: 제4 부화소
32M: 제5 부화소
32Y: 제6 부화소
32C: 제7 부화소
32W2: 제8 부화소
35, 35A: 1조의 화소
A: 표시 영역
A1, A2, A3, A4: 변 인접 영역

Claims (20)

  1.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색으로서 적어도 1색이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색과 다른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와,
    입력 화상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각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1 성분 및 인접하는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 중 해당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로 색을 재현할 수 없는 성분인 색 영역 외 성분의 합산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인 제2 성분으로부터 상기 색 영역 외 성분을 제외한 제3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합산 성분 중 상기 색 영역 외 성분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제1 화소의 휘도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 성분을 상기 합산 성분으로부터 감산하여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성분 및 상기 휘도 조정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는, 백색의 부화소를 갖고,
    상기 처리부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 상기 백색의 부화소를 점등시키도록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입력 화상 신호 중 백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다른 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상기 백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각이 갖는 백색의 부화소 중 출력이 보다 작은 한쪽의 부화소의 출력에 따라서 다른 쪽의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백색 이외의 색으로 변환 가능한 성분을 백색의 부화소보다도 우선적으로 백색 이외의 색의 부화소의 출력에 반영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와 상기 제2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는 동일한 배치인,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의 양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한 해당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 및 해당 제1 화소에 인접하는 상기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점등 수와 상기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점등 수의 차가 보다 작은 상기 제1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 및 상기 제2 화소의 부화소의 출력을 채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은,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 중 3색에 대응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와 상기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는 동일하며,
    상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와 상기 제2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는,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상과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상을 대비한 경우에,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색상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배치인, 화상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와 상기 제2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수는 동일하며,
    상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와 상기 제2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의 배치는, 각 화소에 있어서의 부화소끼리의 휘도의 고저 관계가 동일한, 화상 표시 장치.
  13.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된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는 백색의 부화소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와 상기 제2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의 부화소의 배치는 동일한 배치인, 화상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 중 3색은, 적색, 녹색, 청색에 대응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직선 형상의 변을 갖고, 적어도 1변에 인접하는 화소는 상기 제1 화소인, 화상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또는 상기 제2 화소의 한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은,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색의 보색인, 화상 표시 장치.
  20. 제1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1 화소와, 제1 색 영역과는 다른 제2 색 영역에 포함되는 3색 이상의 부화소로 구성되는 제2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인접하는 화상 표시부의 각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을 결정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 중 한쪽의 화소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신호의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을 다른 쪽의 화소가 갖는 부화소의 출력의 결정에 사용하는, 화상 표시 방법.
KR1020150103700A 2014-07-22 2015-07-22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101691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9242 2014-07-22
JP2014149242A JP6462259B2 (ja) 2014-07-22 2014-07-22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05A KR20160011605A (ko) 2016-02-01
KR101691747B1 true KR101691747B1 (ko) 2016-12-30

Family

ID=5516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00A KR101691747B1 (ko) 2014-07-22 2015-07-22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160027404A1 (ko)
JP (1) JP6462259B2 (ko)
KR (1) KR101691747B1 (ko)
CN (1) CN105321449B (ko)
TW (1) TWI6345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6710B (zh) * 2014-02-21 2016-05-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像素阵列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16024382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462259B2 (ja) * 2014-07-22 2019-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229625B2 (ja) * 2014-09-24 2017-11-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色域変換装置、色域変換方法および色域変換プログラム
WO2016199544A1 (ja) * 2015-06-08 2016-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N113192459A (zh) * 2015-09-02 2021-07-30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2017173415A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280009B1 (ko) 2017-05-24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재그 연결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573217B2 (en) * 2017-07-21 2020-02-25 Rockwell Collins, Inc. Pixel design and method to create formats which extends OLED life
KR20200007625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EP3594934A3 (en) * 2018-07-13 2020-03-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855387A4 (en) * 2018-09-18 2022-02-23 Zhejiang Uniview Technologie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A
US11087673B2 (en) * 2018-12-27 2021-08-10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preventing burn in
CN110223622A (zh) * 2019-06-11 2019-09-10 惠科股份有限公司 数据显示的控制电路及补偿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8604A (ja) * 2004-08-20 2006-03-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カラーフィルタ、及び電子機器
JP2010097170A (ja) * 2008-09-17 2010-04-30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7276C (zh) 2001-06-11 2008-07-30 格诺色彩技术有限公司 用于彩色显示的设备、系统和方法
CN101840687B (zh) * 2002-04-11 2013-09-18 格诺色彩技术有限公司 具有增强的属性的彩色显示装置和方法
JP2005062833A (ja) 2003-07-29 2005-03-10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26799B1 (ko) * 2003-11-11 2011-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6색 액정 표시 장치
US7969448B2 (en) * 2003-11-20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ting image signal for six color display device, and six color display device having optimum subpixel arrangement
JP2006018926A (ja) * 2004-07-01 2006-01-19 Sony Corp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8093B1 (ko) * 2004-07-09 201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06018926A1 (ja) 2004-08-19 2006-02-23 Sharp Kabushiki Kaisha 多原色表示装置
US7738975B2 (en) * 2005-10-04 2010-06-1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Analytical server integrated in a process control network
KR101157960B1 (ko) * 2005-12-02 2012-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07116589A1 (ja) 2006-04-10 2007-10-18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91621B2 (en) 2006-04-18 2010-09-07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riving voltages to RGBW display panels
US7742128B2 (en) 2006-11-22 2010-06-22 Canon Kabushiki Kaisha Hybrid color display apparatus having large pixel and small pixel display modes
JP5408863B2 (ja) * 2006-11-22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08090845A1 (ja) 2007-01-25 2008-07-31 Sharp Kabushiki Kaisha 多原色表示装置
US8717268B2 (en) * 2007-06-14 2014-05-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01377904B (zh) 2007-08-31 2011-12-1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4683343B2 (ja) * 2007-12-27 2011-05-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色信号生成装置
JP2010020241A (ja) 2008-07-14 2010-01-28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用集積回路、駆動用集積回路による駆動方法及び信号処理方法
EP2391982B1 (en) * 2009-01-28 2020-05-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image collage
US20110285713A1 (en) * 2010-05-21 2011-11-24 Jerzy Wieslaw Swic Processing Color Sub-Pixels
KR101982795B1 (ko) * 2012-07-24 2019-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26114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화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JP2016024382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462259B2 (ja) * 2014-07-22 2019-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8604A (ja) * 2004-08-20 2006-03-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カラーフィルタ、及び電子機器
JP2010097170A (ja) * 2008-09-17 2010-04-30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05A (ko) 2016-02-01
US20190122634A1 (en) 2019-04-25
CN105321449B (zh) 2018-05-01
CN105321449A (zh) 2016-02-10
US20170229097A1 (en) 2017-08-10
US20180018935A1 (en) 2018-01-18
US10235966B2 (en) 2019-03-19
US9852710B2 (en) 2017-12-26
US10672364B2 (en) 2020-06-02
TWI634539B (zh) 2018-09-01
JP6462259B2 (ja) 2019-01-30
US20160027404A1 (en) 2016-01-28
JP2016024380A (ja) 2016-02-08
TW201610966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47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US965304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964652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986519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US10255837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773448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9947268B2 (en) Display device and color conversion method
JP6504798B2 (ja) 表示装置、及び色変換方法
US20160019832A1 (en) Display device
JP6514482B2 (ja) 表示装置及び色変換方法
JP6389729B2 (ja) 表示装置及び色変換方法
JP201808131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