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876B1 -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0876B1 KR101690876B1 KR1020150075167A KR20150075167A KR101690876B1 KR 101690876 B1 KR101690876 B1 KR 101690876B1 KR 1020150075167 A KR1020150075167 A KR 1020150075167A KR 20150075167 A KR20150075167 A KR 20150075167A KR 101690876 B1 KR101690876 B1 KR 101690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ott
- channel information
- service
- remote con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21/4220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OTT(Over-The-Top)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동기화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변화에 따라 방송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지상파 위주에서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 그리고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방식인 소위 IP-TV 서비스, 지상파 및 위성 DMB 서비스 등으로 방송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어 스포츠, 영화, 홈쇼핑,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DMB 등의 다양한 방송 형태가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환경 하에서는 종래의 단순한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전송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송망 내에 포함된 데이터 또는 리턴 채널을 통하여 부가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의 연동으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제공도 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36834호는 이러한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제공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정보만이 아니라 기초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동적으로 추출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방송 채널과 관련된 정보와 실시간 서비스는 마련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접근하려면 별도의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채널을 검색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TV, 셋톱박스, 동글, 리모트 컨트롤러, 스마트 기기 등이 모두 어우러진 통합서비스 환경이 부족하며, 사용자에게 방송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외의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은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채널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TV, OTT 장치(셋톱박스, 동글), 리모트 컨트롤러, 및 스마트 기기 등을 동시 제어를 통해 통합서비스 환경 구축을 도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편리한 조작과 더불어 스마트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방송마다 최적의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OTT(Over-The-Top)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동기화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OTT 장치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 상기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OTT(Over-The-Top) 장치;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동기화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전달 받아,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전달 받은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OTT 장치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콘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채널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TV, OTT 장치(STB, 동글), 리모트 컨트롤러, 및 스마트 기기 등을 동시 제어를 통해 통합서비스 환경 구축을 도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편리한 조작과 더불어 스마트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방송마다 최적의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통합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연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연동되는 부가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연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연동되는 부가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통합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정보를 바탕으로 스마트 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설치 또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방송 홈페이지 또는 채널 정보 페이지, 구매 가능한 쇼핑몰 페이지 등을 바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구매에서 결제까지 이어지는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이 가능한 TV에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가능한 동글 및/또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를 연결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및 IR로 TV, 동글 및 셋톱박스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케이블 또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과 셋톱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츠를 필요에 따라 동시에 조작 가능한 통합서비스를 구현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정보를 계속해서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와 동글 및 셋톱박스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동기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Web) 형태 등의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통합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TV(200), 셋톱박스(Set-Top Box; STB, 300), 동글(Dongle, 4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IR 신호 혹은 무선 통신 신호가 필요한지 파악하여, TV(200)와 셋톱박스(300) 및 동글(4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Set-Top Box, 300)는 IPTV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및 무선의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TV(200) 등과 같은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일종이다.
동글(Dongle, 400)은 케이블 TV 등 유료방송사의 TV 서비스로, 기존 스마트 기기(500)에서 이용하던 영상 콘텐츠를 TV 등 대화면으로 옮겨 그대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제품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통상 다수의 기능키(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에 구비된 기능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TV(200), 셋톱박스(300), 동글(4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00)에서 TV(200)와 셋톱박스(300)를 제어하기 위해 적절한 IR 적외선 코드값의 IR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IR 신호(적외선 신호)는 소정 범위 이내에서만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와 소정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00)에서 동글(400)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동글(4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BL) 또는 WLAN(Wireless LAN)(Wi-Fi) 등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동글(400) 간에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통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가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TV(200), 셋톱박스(300), 동글(400) 등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형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스마트 기기(500)에서 지원될 수 있으며, 내장된 IR 모듈 또는 외부의 IR 모듈 등과 연결되어, 스마트 기기(500)를 통해 IR 신호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TV(200), 셋톱박스(300), 동글(40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및 버튼 등을 통해 명령을 입력 받고, TV(200)와 셋톱박스(3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 및 무선 통신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500)는 스마트 폰, PDA, 휴대단말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과 같은 다양한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TV 또는 OTT 장치로부터 채널 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200)의 HDMI 입력 단자에 HDMI 스틱을 연결하고,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는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이용함으로써,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의 끊김 없는(seamless) 채널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에 대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내부 구조는, 예를 들어, 입력부(110), IR 모듈(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사용 기기 변경 및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등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R 모듈(120)은 TV(200)와 셋톱박스(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TV(200)와 셋톱박스(300)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입력부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IR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글(400)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의 제어 대상 기기는 동글(400)을 더 포함하여, 저장부(130)는 동글(400)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는 스마트 기기(5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00) 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부, 제어부, 및 저장부가 구성되어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TV(200), OTT 장치(300, 400), 리모트 컨트롤러(100), 및 스마트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TV(200)는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HDMI 입력이 가능하다.
OTT(Over-The-Top) 장치는 TV(200)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OTT 장치(300, 400)는 동글(400) 및 셋톱박스(30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TV(200)와 OTT 장치(300, 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OTT 장치(300, 400)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TV(200)와 OTT 장치(300, 400)에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500)는 동기화된 채널 정보를 OTT 장치(300, 400)에서 전달 받아, 채널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push)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500)는 전달 받은 채널 정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하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200)를 통한 제1 스크린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정보를 제공 받으며, 시청 중인 채널 정보가 스마트 기기(500)에 전달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500)의 제2 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적인 부가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비콘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통합서비스 환경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 또는 스마트 기기(500)에서 채널이 바뀔 때마다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을 감지하고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이 감지되면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TV(200) 채널 및 IP 채널 시청 시 IR/블루투스(BL 또는 BLE)를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TV 채널 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거나, 채널 전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OTT 장치(300, 400)인 동글(400) 또는 셋톱박스(300)로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통신으로 현재 채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0)에서 OTT 장치(300, 400)로 IR 채널 정보를 전달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OTT 장치(300, 400) 간에 블루투스 기반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OTT 장치(300, 400)인 동글(400) 또는 셋톱박스(300)가 IR 채널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집하여,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함께 스마트 기기(5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OTT 장치(300, 400)인 동글(400) 또는 셋톱박스(300)를 통해서 스마트 기기(500)로 제2 스크린 부가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특정 URL 정보, 또는 쿠폰 등 광고가 연계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OTT(Over-The-Top)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TV와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리모트 컨트롤러와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동기화된 채널 정보를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TV, 셋톱박스, 동글, 리모트 컨트롤러, 스마트 폰 등을 동시 제어를 통해 통합서비스 환경 구축을 도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편리한 조작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방송마다 최적의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410)에서,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OTT(Over-The-Top)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는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TV와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서, TV와 OTT 장치에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와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OTT 장치로 IR 채널 정보를 전달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와 OTT 장치 간에 블루투스 기반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OTT 장치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집한 동기화된 채널 정보를 스마트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채널 정보를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기 위해서, 스마트 기기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채널 정보에 따라 OTT 장치에서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마켓 페이지로 이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할 수 있다.
기존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러가 동글 또는 셋톱박스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IR/블루투스 채널 정보 전달하여 특정 URL 이동하여, 방송 홈페이지 또는 채널 정보 페이지, 구매 가능한 쇼핑몰 페이지 등을 바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구매에서 결제까지 이어지는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쿠폰 푸시 알람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를 통한 제1 스크린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정보를 제공 받으며, 시청 중인 채널 정보가 스마트 기기에 전달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제2 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적인 부가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연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V(200), OTT 장치(300, 400), 리모트 컨트롤러(100), 및 스마트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비콘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V(200)는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HDMI 입력이 가능하다.
OTT(Over-The-Top) 장치(300, 400)는 TV(200)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OTT 장치(300, 400)는 동글(400) 및 셋톱박스(30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TV(200)와 OTT 장치(300, 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OTT 장치(300, 400)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TV(200)와 OTT 장치(300, 400)에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500)는 동기화된 채널 정보를 OTT 장치(300, 400)에서 전달 받아, 채널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push)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500)는 전달 받은 채널 정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하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콘 서비스부는 스마트 기기(500)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채널 정보에 따라 OTT 장치(300, 400)에서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은 블루투스 등의 신호를 활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500)를 인식하여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저전력, 저비용 무선 센서이다. 즉, 특정 장소에 비콘을 설치하면 블루투스를 탑재한 스마트 폰이 비콘에 접근하여 비콘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비콘 서비스부는 스마트 기기(500)가 비콘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특정 ID 값을 보내고, 스마트 기기(500)는 이러한 ID 값을 인식하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ID를 가지고 있는 서버는 그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 설정된 정보나 이벤트를 스마트 기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으로 연동되는 부가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합서비스 환경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 또는 스마트 기기(500)에서 채널이 바뀔 때마다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을 감지하고 채널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이 감지되면 채널 정보에 따라 스마튼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YTN 날씨(weather) 채널을 시청 중이라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YTN 날씨(weather) 공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마켓 페이지로 이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고,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홈쇼핑 채널을 시청 중이라면 홈쇼핑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물량과 가격, 남은 시간 등의 상품 정보 및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바로 결제하여 구매까지 진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채널 정보, 방송편성표 등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리모트 컨트롤러
200: TV
300: 셋톱박스
400: 동글
500: 스마트 기기
200: TV
300: 셋톱박스
400: 동글
500: 스마트 기기
Claims (10)
-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OTT(Over-The-Top)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동기화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push)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TV와 상기 셋톱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IR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동글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채널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의 사용 전환 시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이 동시 요구되는 경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IR 신호와 블루투스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동시에 제어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끊김 없는(seamless)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상기 TV의 제1 스크린을 이용하여 1차적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청 중인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OTT 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2 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적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OTT 장치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방법. -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TV;
상기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OTT(Over-The-Top) 장치;
IR과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OTT 장치와의 양방향 송수신을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동기화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동기화된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OTT 장치에서 전달 받아,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웹(Wep), 푸시 알람, 방송 편성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OTT 장치는 동글(Dongle)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TV와 상기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IR 모듈;
상기 동글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TV, 상기 셋톱박스, 및 상기 동글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IR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TV와 상기 셋톱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동글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을 모드 지원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의 사용 전환 시 상기 IR과 블루투스 통신이 동시 요구되는 경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TV와 상기 OTT 장치에 IR 신호와 블루투스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동시에 제어하여 지상파 수신 RF 채널과 IP 채널 서비스 간 끊김 없는(seamless) 채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TV의 제1 스크린을 이용하여 1차적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청 중인 상기 채널 정보가 상기 OTT 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2 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적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비콘(Beacon) 신호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OTT 장치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비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콘 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167A KR101690876B1 (ko) | 2015-05-28 | 2015-05-28 |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167A KR101690876B1 (ko) | 2015-05-28 | 2015-05-28 |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396A KR20160141396A (ko) | 2016-12-09 |
KR101690876B1 true KR101690876B1 (ko) | 2016-12-29 |
Family
ID=5757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5167A KR101690876B1 (ko) | 2015-05-28 | 2015-05-28 |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087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4755A (ko) * | 2020-01-22 | 2021-07-30 | 메틴 아탈란 | Usb를 이용한 동글방식의 유료 디지털 방송 수신 변환 시스템 |
US11228803B1 (en) | 2020-09-24 | 2022-01-18 | Innopia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section divided heterogeneous image recognition service in a single image recognition service operating environ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21091A (zh) * | 2019-04-24 | 2019-08-13 | 珠海东之尼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无线语音遥控器的控制方法及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2411B1 (ko) * | 2012-02-17 | 2012-10-17 | (주)씨어스테크놀로지 | Iptv 셋탑박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0052A (ko) * | 2009-07-14 | 2011-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송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633032B1 (ko) * | 2009-10-27 | 2016-07-11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근거리 영역 내에서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KR20120100684A (ko) * | 2011-03-04 | 2012-09-12 | 김창환 |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티브이의 제어 및 부가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 |
-
2015
- 2015-05-28 KR KR1020150075167A patent/KR1016908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2411B1 (ko) * | 2012-02-17 | 2012-10-17 | (주)씨어스테크놀로지 | Iptv 셋탑박스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4755A (ko) * | 2020-01-22 | 2021-07-30 | 메틴 아탈란 | Usb를 이용한 동글방식의 유료 디지털 방송 수신 변환 시스템 |
KR102327019B1 (ko) * | 2020-01-22 | 2021-11-17 | 메틴 아탈란 | Usb를 이용한 동글방식의 유료 디지털 방송 수신 변환 시스템 |
US11228803B1 (en) | 2020-09-24 | 2022-01-18 | Innopia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section divided heterogeneous image recognition service in a single image recognition service operating environ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396A (ko) | 2016-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46842B2 (en) |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US10349110B2 (en) |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JP7297737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 |
US9239837B2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 |
US9900657B2 (en) | Network TV and method for operating network TV | |
US9390714B2 (en) | Control method using voice and gesture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 |
US922602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538245B2 (en) |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 |
US8542320B2 (en) |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 |
CN103369389A (zh) | 连接到至少一个电子设备的多媒体设备及其控制方法 | |
US890442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about service provider | |
CN102792679A (zh) | 使用无线通信装置提供媒体引导应用功能的系统和方法 | |
US9326020B2 (en) |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KR101690876B1 (ko) | 제2 스크린으로 부가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
US11012754B2 (en) |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384350A (zh) | 用于控制应用和装置的广播接收设备和方法 | |
US20170064396A1 (en) | Broadcast receiv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KR101486544B1 (ko)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639938B1 (ko) |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 |
KR20110077315A (ko) | 터치 스크린 기기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av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기기 | |
KR101791847B1 (ko) | 단방향 방송 시청자에 대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20190123174A (ko) |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 |
WO2016006087A1 (ja) | 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50035220A (ko) | 라우터를 이용한 방송 신호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297289A1 (en) |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