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938B1 -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938B1
KR101639938B1 KR1020150015488A KR20150015488A KR101639938B1 KR 101639938 B1 KR101639938 B1 KR 101639938B1 KR 1020150015488 A KR1020150015488 A KR 1020150015488A KR 20150015488 A KR20150015488 A KR 20150015488A KR 101639938 B1 KR101639938 B1 KR 10163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target
target device
signal
opera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호
이상훈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1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21/422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IR 모듈; 상기 TV와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 Parallel to the Multiple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컨트롤 장치로 복수의 기기에 동시에 명령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은 특정 기기, 예컨대 가전기기, 센서, 조명기기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리모컨은 다수의 입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입력키 조작에 따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무선 신호로는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최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IPTV 서비스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TV 수상기 통해 인터넷 검색은 물론,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들, 예를 들어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IPTV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TV 수상기 및 IP 셋톱박스가 요구된다. 이때 IP 셋톱박스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표준 TV 신호로 변환하여 TV 수상기로 송신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 TV 수상기와 연결된 IP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IP 셋톱박스의 제어를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전용 리모컨이 요구되었다. 왜냐하면, IP 셋톱박스는 TV 리모컨을 통한 연동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IP 셋톱박스에 탑재된 브라우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TV 수상기와 IP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을 사용하더라도 TV 수상기의 제어를 위한 IR 신호와 IP 셋톱박스의 제어를 위한 IR 신호를 분리해야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컨트롤 장치로 복수의 기기에 동시에 명령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TV와 셋톱박스 등 다수의 장치를 모두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나의 컨트롤 장치로 IR 신호와 무선 통신을 통해 TV와 셋톱박스에 병렬적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IR 모듈; 상기 TV와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OTT 동글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OTT 동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는 상기 OTT 동글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 제어부, 및 저장부는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저장된 TV, 셋톱박스, OTT 동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OTT 동글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IR 모듈에서 IR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되, 사용 전환 시 각각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TV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TV의 제조사를 파악하여 상기 제조사의 IR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셋톱박스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의 서비스 제공자를 파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IR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OTT 동글에 적용되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TV와 셋톱박스 등 다수의 장치를 모두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나의 컨트롤 장치로 IR 신호와 무선 통신을 통해 TV와 셋톱박스에 병렬적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IR 신호와 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한 하나의 장치로 TV와 셋톱박스를 병렬적으로 제어했을 경우, 각 동작을 단계적으로 수행했을 경우에 비해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와 셋톱박스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와 OTT 동글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100)(편의상 아래에서는 '컨트롤 장치'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는 TV(200), 셋톱박스(Set-Top Box; STB, 300), OTT 동글(dongle, 4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IR 신호 혹은 무선 통신 신호가 필요한지 파악하여, TV와 셋톱박스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Set-Top Box)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변환하여 TV로 그 내용을 표시해 주는 장치로, 유선 및 무선의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TV 등과 같은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일종이다. 이러한, 셋톱박스는 종류에 따라 IPTV, 케이블TV, 위성TV, 지상파TV 등을 각각 제공하거나 복수의 매체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OTT 동글(Over-The-Top Dongle; OTT dongle)은 케이블TV 등 유료방송사의 TV 서비스로, 기존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로 인터넷기반 방송이나 다시보기 콘텐츠 등의 동영상 서비스를 TV 등 대화면으로 옮겨 그대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제품이다. 일 예로, 구글 크롬캐스트 동글제품이 대표적이며, HCN이 에브리온TV 캐스트, CJ 헬로비전이 티빙스틱 등을 제공하고 있다.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100)는 통상 다수의 기능키(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통상, 리모트 컨트롤(컨트롤 장치)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에 구비된 기능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TV(200), 셋톱박스(300), OTT 동글(400)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장치(100)에서 TV(200)와 셋톱박스(300)를 제어하기 위해 적절한 IR 적외선 코드값의 IR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IR 신호(적외선 신호)는 소정 범위 이내에서만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컨트롤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와 소정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컨트롤 장치(100)에서 OTT 동글(400)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때 컨트롤 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OTT 동글(4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BL) 또는 WLAN(Wireless LAN)(Wi-Fi) 등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장치(100)와 OTT 동글(400) 간에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00)는 통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가 리모콘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100)는 TV, 셋톱박스, OTT 동글 등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형 리모트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될 수 있으며, 내장된 IR 모듈 또는 외부의 IR 모듈 등과 연결되어 스마트 기기를 통해 IR 신호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TV, 셋톱박스, OTT 동글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는 스마트 기기(1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및 버튼 등을 통해 명령을 입력 받고, TV와 셋톱박스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 및 무선 통신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PDA와 같은 휴대단말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과 같은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와 셋톱박스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컨트롤 장치, 100)는 TV(200)와 셋톱박스(STB, 300)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채널,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TV(200)와 셋톱박스(300)는 미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TV에 연결된 셋톱박스를 컨트롤 장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사전 등록 절차가 필요하다.
컨트롤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TV(200)와 셋톱박스(300)의 사용 전환을 하기 위해, TV와 셋톱박스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명령을 기초로, TV와 셋톱박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IR 모듈을 통해 TV 및 셋톱박스로 각각 IR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되는 IR 신호는 병렬적으로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TV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에 셋톱박스를 미리 연결하고, 공중파를 신청하는 중 사용자가 컨트롤 장치에서 셋톱박스 채널을 선택했을 경우, TV에 입력 전환 명령을 IR 신호로 전달하고 셋톱박스에 채널 전환 명령을 IR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 장치의 입력부에 채널 번호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각각의 IR 신호는 병렬적으로 송신되어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와 OTT 동글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컨트롤 장치, 100)는 TV(200)와 OTT 동글(dongle, 400)에 IR 신호 또는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채널,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TV(200)와 OTT 동글(400)은 미리 연결되어 있으며, OTT 동글(400)은 USB 형태로 TV(200)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TV(200)와 OTT 동글(400)의 사용 전환을 하기 위해, TV와 OTT 동글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명령을 기초로, TV와 OTT 동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IR 모듈을 이용하여 TV로 IR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의 HDMI에 OTT HDMI dongle(OTT 동글)을 연결하고 유튜브(YouTube)를 시청하는 중, 사용자가 컨트롤 장치에서 공중파 채널을 선택했을 경우, TV에는 입력 전환 명령과 채널 전환 명령을 IR 신호로 전달하고, 동시에 OTT 동글(dongle)에는 재생 멈춤 명령을 무선 통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 장치의 입력부에 채널 번호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각각의 IR 신호와 무선 통신 신호는 병렬적으로 송신되어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100)는 입력부(110), IR 모듈(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사용 기기 변경 및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등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R 모듈(120)은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TV와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입력부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IR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OTT 동글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의 제어 대상 기기는 OTT 동글을 더 포함하여, 저장부(130)는 OTT 동글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부, 제어부, 및 저장부가 구성되어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버튼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사용 기기 변경 및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등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OTT 동글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저장부에 기 저장된 TV, 셋톱박스, OTT 동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명령을 기초로, 제어부에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대상 기기가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IR 모듈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 대상 기기가 OTT 동글인 경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IR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 대상 기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IR 모듈에서 IR 신호를 송신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되, 사용 전환 시 각각의 제어 대상 기기에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제어 대상 기기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은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설명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의 단계(520)에서 제어 대상 기기를 판단하고, 제어 대상 기기의 제조사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파악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610)에서, 입력부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620)에서, 제어부는 셋톱박스와 OTT 동글 중 명령을 전달할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두 개가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630)에서, 동작 명령이 셋톱박스에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는 셋톱박스의 서비스 제공자를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맞는 IR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동작 명령이 OTT 동글에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제어부는 TV의 입력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60)에서, 동작 명령이 TV에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는 TV의 제조사를 파악하여 해당 제조사의 IR 코드값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670)에서, IR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은 TV, 셋톱박스, OTT 동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병렬적으로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TV와 셋톱박스 등 다수의 장치를 모두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나의 컨트롤 장치로 IR 신호와 무선 통신을 통해 TV와 셋톱박스에 병렬적으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IR 신호와 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한 하나의 장치로 TV와 셋톱박스를 병렬적으로 제어했을 경우, 각 동작을 단계적으로 수행했을 경우에 비해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110: 입력부
120: IR 모듈
130: 저장부
140: 제어부
200: TV
300: 셋톱박스
400: OTT 동글

Claims (7)

  1.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IR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IR 모듈;
    상기 TV와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OTT 동글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OTT 동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는 상기 OTT 동글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는 스마트 기기에 구현되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또는 버튼을 통해 상기 동작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버튼을 통해 채널 정보에 대한 하나의 상기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TV, 상기 셋톱박스, 상기 OTT 동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IR 신호와 무선 통신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 또는 채널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과 동시에 상기 채널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기 저장된 TV, 셋톱박스, OTT 동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동작 명령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동작 명령을 기초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TV와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IR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대상 기기가 상기 OTT 동글인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병렬적으로 송신하여 전원 및 채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IR 모듈에서 IR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 시 채널 정보에 대한 하나의 상기 동작 명령을 입력 받아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IR 신호와 무선 통신 신호를 병렬적으로 전달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 또는 채널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 전환과 동시에 상기 채널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TV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TV의 제조사를 파악하여 상기 제조사의 IR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셋톱박스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의 서비스 제공자를 파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IR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 명령이 상기 OTT 동글에 적용되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방법.
KR1020150015488A 2015-01-30 2015-01-30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63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88A KR101639938B1 (ko) 2015-01-30 2015-01-30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88A KR101639938B1 (ko) 2015-01-30 2015-01-30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938B1 true KR101639938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488A KR101639938B1 (ko) 2015-01-30 2015-01-30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798A (ko) * 2017-08-29 2019-03-08 벨로시티, 더 그레이티스트 폰 컴퍼니 에버,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1040072A1 (ko)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05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을 이용한 디지털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방법
KR100991315B1 (ko) * 2010-03-10 2010-11-01 (주)엔에스티 복합 통신 방식의 리모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05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을 이용한 디지털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방법
KR100991315B1 (ko) * 2010-03-10 2010-11-01 (주)엔에스티 복합 통신 방식의 리모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798A (ko) * 2017-08-29 2019-03-08 벨로시티, 더 그레이티스트 폰 컴퍼니 에버,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79319B1 (ko) 2017-08-29 2020-02-19 벨로시티, 더 그레이티스트 폰 컴퍼니 에버,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1040072A1 (ko)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17238B2 (en) 2019-08-27 2024-02-2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429B2 (en) Aggregated control and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JP729773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8542320B2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US8618917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learning
US9024894B1 (en) Remote control including touch-sensing surface
KR101886209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001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및 그 셋톱박스
KR101639938B1 (ko) 복수의 기기에 대한 병렬식 제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5459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3037263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13237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80070125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146251A1 (en) Search filter push
EP410991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150086609A (ko) 컨텐츠 리스트를 정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9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71784A (ko) 셋톱박스의 채널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901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with a remote control
US11095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gress of the presentation of content
JP6302062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7173B1 (ko)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345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condary media
KR101853961B1 (ko) 포스 입력의 식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03048A (ko)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가 탑재된 셋톱박스용 앱 사용 설정 및 제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