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458B1 -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 Google Patents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58B1
KR101690458B1 KR1020160047493A KR20160047493A KR101690458B1 KR 101690458 B1 KR101690458 B1 KR 101690458B1 KR 1020160047493 A KR1020160047493 A KR 1020160047493A KR 20160047493 A KR20160047493 A KR 20160047493A KR 101690458 B1 KR101690458 B1 KR 10169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ing
block
grooves
fib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호
Original Assignee
최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호 filed Critical 최일호
Priority to KR102016004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8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100)는 원통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상기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상기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직선 줄홈(30) 및 상기 다수의 직선 줄홈(30)을 교차하도록 상기 섬유 본체(10)를 둘러싸는 형태의 환형 줄홈(40)을 포함하며, 모르타르에 상기 강화섬유(100)를 혼합하여 성형 및 소성시켜 구성되되,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각각 중공홈(220, 230)을 형성하여 상하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projection-block having reinforced fiber with line groove}
본 발명은 강화섬유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여 더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할 수 있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건축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모르타르이다.
모르타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시멘트와 세골제와 물의 혼합물로,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되어 시멘트, 세골재, 모래 이외에도 플라이애쉬, 유동화재 등의 많은 혼화제들을 혼합한 형태의 모르타르들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모르타르의 단점인 인장 강도가 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멘트, 세골제, 물과 전술한 여러 가지 혼화제들 이외에 인장강도가 강한 보강용 단섬유를 포함한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토목 및 건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 보강 모르타르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2를 비롯하여 다양한 것이 있으며, 이들 중 특허문헌 1은 무기 결합제 및 유성 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며, 섬유성 물질은 낮은 초기 장경비, 약 200 ㎟ 이하의 초기 표면적을 특징으로 하고, 배합물의 교반 동안 점진적인 피브릴화를 진행하여 약20 % 이상의 표면적의 평균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빌딩 제품 배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경화제 및 석분 슬러지 혼합액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조성물 80 내지 95 중량부에 첨가물로 난연 스티로폼 알갱이 5 내지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 내지 섭씨 50도로 1시간 내지 2시간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혼합물을 벽돌금형틀에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축내장재용 벽돌의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섬유 보강 건축재 또는 그 제조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보강 섬유를 사용하고 있고, 이들 강화섬유가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강하게 하되,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섬유 보강 구조물에 사용되는 섬유는 선형(線形)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에 균열이 발생하였을 경우 강화섬유가 콘크리트로부터 빠져나와 균열된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4589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89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줄홈 강화섬유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성형 및 소성시켜 블록을 만들고 블록의 상,하면에는 중공홈을 형성하고 좌,우측 면에는 줄눈을 형성한 보강 블럭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블록은 줄홈 강화섬유로 인하여 강도가 더 보강되도록 하고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된 중공홈과 좌,우면에 형성된 줄눈에 의하여 블록과 블록 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인 보강 블럭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다수의 줄홈이 형성된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여 더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할 수 있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100)는 원통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상기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상기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직선 줄홈(30) 및 상기 다수의 직선 줄홈(30)을 교차하도록 상기 섬유 본체(10)를 둘러싸는 형태의 환형 줄홈(40)을 포함하며, 모르타르에 상기 강화섬유(100)를 혼합하여 성형 및 소성시켜 강도가 보강된 블록을 구성하고,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각각 중공홈(220, 230)을 형성하여 블록을 적재할 때 상,하단의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 줄홈(30) 및 환형 줄홈(40) 내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줄홈(310)은, 그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마이크로홈(311) 및 상기 마이크로 줄홈(310)의 측면 상에 대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마이크로홈(315)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 줄홈(30)은 상기 섬유 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중공홈(220,230)들 중 블록 하단에 형성된 하부 중공홈(230)은 상부 중공홈(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부 중공홈과 같은 깊이로 형성하여 만들 수도 있다.
상기 보강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줄눈용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한편, 결합홈(210)은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는 줄홈을 구비하여 모르타르나 아스콘과의 결합력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강화섬유를 이용한 구조물이나 벽돌은 강화섬유가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기존의 제품과 대비할 때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를 줄일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보다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시공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블록의 시공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강화섬유와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강화섬유(100) 상에 다수의 줄홈(20)을 형성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100)는 표면에 다수의 줄홈(20)을 형성하여 모르타르 또는 아스콘 등이 상기 줄홈(20)에 메꿔지고 소성되는 과정에 의해 강화섬유와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한다.
다수의 줄홈(20)이 형성된 강화섬유는 금속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고무 섬유, 나일론 섬유, 플라스틱 섬유, 아라미드 섬유로 만들어지며,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보강블록은 상기 1종류 이상의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100)는 원통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직선 줄홈(30) 및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 줄홈(40)을 포함한다. 직선 줄홈(30)은 섬유 본체(10)의 원주 방향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섬유 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환형 줄홈(40)은 섬유 본체(10) 상에서 다수의 직선 줄홈(30)을 가로질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 줄홈(40)은 섬유 본체(10)의 전체 길이 상에서 2개 이상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다수의 줄홈(20) 상에는 별도의 미세한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직선 줄홈(30)은 그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직선 줄홈(30)의 내부 저면 및 외곽면 상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줄홈(310)은 그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마이크로 줄홈(311) 및 마이크로 줄홈(310)의 측면 상에 대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마이크로 줄홈(315)을 포함한다. 직선 줄홈(30)은 다른 한편으로 그 단면이 반원형일 수 있다.
한편, 환형 줄홈(40) 상에도 직선 줄홈(30)에 형성된 마이크로 줄홈과 유사한 형태로 미세한 마이크로 줄홈이 형성된다.
마이크로 줄홈은 직선 줄홈(30) 및 환형 줄홈(4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섬유 본체(10)의 외면 상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섬유 본체(10) 상에는 다수의 직선 줄홈(20)과 환형 줄홈(30)을 대체하여 다수의 홈 또는 돌기체의 형성이 가능하며, 마이크로 줄홈 또한 마이크로 홈 또는 마이크로 돌기체로 대체하여 형성 가능하다.
섬유 본체(10) 상에는 다수의 줄홈(20), 다수의 홈 또는 다수의 돌기체가 선택적으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강화섬유(100)는 섬유 본체(10)의 외면 상에 다수의 줄홈, 홈, 돌기체, 마이크로 줄홈, 마이크로 홈 및 마이크로 돌기체를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모르타르와의 혼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섬유(100)는 사각기둥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축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직선 줄홈(30) 및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서 복수의 직선 줄홈(30)과 교차하도록 섬유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 줄홈(40)을 포함한다. 직선 줄홈(30)은 사각 기둥 형상의 섬유 본체(10)의 각 면 상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직선 줄홈(30)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섬유 본체(10)의 둘레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섬유 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환형 줄홈(40)은 섬유 본체(10) 상에서 다수의 직선 줄홈(30)을 가로질러 교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 줄홈(40)은 섬유 본체(10)의 전체 길이 상에서 2개 이상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수의 줄홈(20) 상에는 별도의 미세한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된다.
마이크로 줄홈의 배치 구조 및 형태는 상술한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섬유(100)는 사각기둥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축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직선 줄홈(30) 및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서 복수의 직선 줄홈(30)과 교차하도록 섬유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 줄홈(40)을 포함한다.
한편, 직선 줄홈(30)은 사각 기둥 형상의 섬유 본체(10)의 마주보는 한쌍의 각 면 상에 두개씩 배치되고, 다른 마주보는 한쌍의 각 면 상에는 한개씩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마이크로 줄홈의 배치 구조 및 형태는 상술한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강화섬유(100)는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줄홈(310), 마이크로 홈(320) 및 마이크로 돌기(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줄홈(20)을 비롯하여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전체적으로 미세한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는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홈(320)은 반구(321) 또는 원기둥(325)의 형태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줄홈(20)에는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는 마이크로 홈(320)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는 전체적으로 마이크로 돌기(330)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돌기(330)는 반구(331) 또는 원기둥(335)의 형태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줄홈(20)에는 마이크로 줄홈(310)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는 마이크로 돌기(330)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의 마이크로 줄홈(310), 마이크로 홈(320) 및 마이크로 돌기(330)는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강화섬유(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르타르에 혼합된 상태에서 아스콘이나 모르타르가 소성되는 경우에 구조물에 묻혀 아스콘들 사이 또는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고, 이렇게 구조물의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구조물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구조물에 중공부 등을 형성하여 재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강화섬유는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고무 섬유, 나일론 섬유, 플라스틱 섬유, 아라미드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화섬유(100)는 그 직경, 두께 내지 너비가 1mm 내지 30mm 의 범위이고, 길이는 2cm 내지 30cm의 범위이다. 환형 줄홈의 최대 직경은 0.3mm 내지 10mm가 바람직할 수 있다.
마이크로 줄홈의 직경은 5 ㎛ 내지 500 ㎛ 정도이며, 홈, 돌기의 직경과 높이 또한 5 ㎛ 내지 500 ㎛ 가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는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이렇게 강화섬유를 이용한 구조물로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크게 도로나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의 바닥이나 기둥이나, 조적용 블록이 있다.
블록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를 이용한 강화섬유 보강 블록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르타르에 강화섬유를 혼합하여 성형 및 소성시켜 구성되되, 상하면에 각각 중공홈(220, 230)을 형성하여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 보강 블록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에 다수의 강화섬유(100)가 혼합되어 있으며, 이들 강화섬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줄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화섬유(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모르타르에 혼합되어 서로 엉키거나 겹쳐져 모르타르를 조성하는 시멘트나 골재들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렇게 강화섬유(100)를 사용함으로써 블록의 강도가 기존의 블록보다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록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같은 체적을 갖더라도 블록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경량화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공간은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시켜 방음 및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중공홈(220, 230)이고, 중공홈(220, 230) 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중공홈(220)이 하부중공홈(230) 보다 얕게 형성된다.
하부중공홈(2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방음 및 방열 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상부중공홈(220)은 블록을 조적하였을 때 모르타르가 채워져 상하의 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부중공홈(220)을 깊게 형성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모르타르의 양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부중공홈(220)은 가능한 얕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블록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하부중공홈(230)은 상부중공홈(220)과 같이 동일한 깊이로 얕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200)의 양측 단부에는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줄눈 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이 조적되었을때, 블록들 사이의 좌,우측면 줄눈 결합홈(201)에 모르타르가 채워져 두 블록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록(200)에 있어서, 블록에 혼합되는 강화섬유(100)의 배합비율은 블록 전체 중량의 0.01 내지 2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섬유의 종류, 무게, 사용 용도에 따라서 강화섬유의 사용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강화섬유의 양이 너무 적으면 강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너무 많으면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강화섬유의 양은 상기한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지는 블록에는 황토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렇게 황토를 혼합함으로써, 황토의 속성에 의해 습도조절이 가능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섬유 본체
20 : 줄홈
30 : 직선 줄홈
40 : 환형 줄홈
100 : 강화섬유
200: 콘크리트 블록
210 : 결합홈
220: 상부중공홈
230: 하부중공홈

Claims (4)

  1.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100)는 원통 형상의 섬유 본체(10) 및 상기 섬유 본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줄홈(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줄홈(20)은 상기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직선 줄홈(30) 및 상기 다수의 직선 줄홈(30)을 교차하도록 상기 섬유 본체(10)를 둘러싸는 형태의 환형 줄홈(40)을 포함하며,
    모르타르에 상기 강화섬유(100)를 혼합하여 성형 및 소성시켜 구성되되,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각각 중공홈(220, 230)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하고,
    상기 중공홈(220,230)은 상기 보강 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중공홈(230)및 상기 보강 블록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중공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중공홈(230)은 하단일부가 결합재로 채워지고 나머지는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본체(10)에 직선 줄홈(30), 환형 줄홈(40), 홈, 돌기체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마이크로 줄홈(310), 마이크로 홈, 마이크로 돌기체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복수개 형성되는, 보강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본체(10)의 표면 상에 마이크로 줄홈(310), 마이크로 홈, 마이크로 돌기체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복수개 형성되는, 보강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중공홈(230)은 상기 상부 중공홈(220)과 동일한 깊이 또는 더 깊게 형성되는, 보강 블록.

KR1020160047493A 2016-04-19 2016-04-19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KR10169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93A KR101690458B1 (ko) 2016-04-19 2016-04-19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93A KR101690458B1 (ko) 2016-04-19 2016-04-19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458B1 true KR101690458B1 (ko) 2016-12-27

Family

ID=5773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93A KR101690458B1 (ko) 2016-04-19 2016-04-19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15Y1 (ko) * 2003-03-18 2003-06-25 박경희 건축용 경량 블록
JP5457565B2 (ja) * 2011-02-18 2014-04-02 大成建設株式会社 繊維補強セメント系混合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15Y1 (ko) * 2003-03-18 2003-06-25 박경희 건축용 경량 블록
JP5457565B2 (ja) * 2011-02-18 2014-04-02 大成建設株式会社 繊維補強セメント系混合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609B1 (ko) 조적 유닛의 성형방법
IL189909A (en) Modular elements, grid, supporting structure,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KR102229817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토목 및 건축 벽체 건설용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KR200384157Y1 (ko) 경량 콘크리트 블록
KR101670630B1 (ko) 다수의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 상기 강화섬유가 혼합된 모르타르 및 아스콘
KR101690458B1 (ko)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를 이용한 보강 블록
WO2017007435A1 (en) A multi-hollow, cement based, lightweight building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TRM20070212A1 (it) Calcestruzzo cellulare autoclavato a ridotto fenomeno di ritiro per la realizzazione di blocchi e/o solaio e/o pannelli armati e non armati da costruzione.
KR100988352B1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어셈블리
KR200394271Y1 (ko) 지관을 이용한 경량 조립식 블록,패널 또는 벽체 및 그제조방법
CN1191419C (zh) 一种保温隔热墙体砌块
US20170009452A1 (en) Retaining wall system using interlocking concrete masonry units
JP6231519B2 (ja) 構築用組みブロック
EP3568275B1 (en) Building br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138593U1 (ru) Самоориентирующийся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с опорными вкладышами "легкострой"
KR101386210B1 (ko)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CN1181249C (zh) 一种砼填充用轻质管
JPH0575708B2 (ko)
US9045893B2 (en) Cut stone construction and masonry method
RU2724648C1 (ru) Пустотообразующий модуль
KR20220077475A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슬래브
CN201268912Y (zh) 高强度蜂窝锁扣抗震砖
CN206707104U (zh) 一种新型房屋建筑用砖
CN206859462U (zh) 一种具有强化结构的减重灰砂砖
WO2022220698A1 (en) Heat-insulating inserts eliminating thermal bridges in walls made of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