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11B1 - 듀얼 구성 컴퓨터 - Google Patents

듀얼 구성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11B1
KR101690111B1 KR1020157014211A KR20157014211A KR101690111B1 KR 101690111 B1 KR101690111 B1 KR 101690111B1 KR 1020157014211 A KR1020157014211 A KR 1020157014211A KR 20157014211 A KR20157014211 A KR 20157014211A KR 101690111 B1 KR101690111 B1 KR 10169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ousing
touch
transparent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598A (ko
Inventor
니콜라스 더블유 오클리
치 순 류
빈 윤 순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일 측면에서, 폐쇄 구성에서 적어도 동작 기능(예를 들어, 몇몇 디스플레이 가시성, 몇몇 사용자 인터페이스 능력)의 서브세트를 유지하는 랩탑 컴퓨터가 제공된다. 베이스는 폐쇄 구성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보이도록 하는 투명 표면을 포함한다. 투명 표면은 폐쇄 구성에서 디스플레이와의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개방 구성에서 디스플레이와의 터치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터치 감지형이다. 투명 표면은 개방 구성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다양한 부분 및 가능하게는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랩탑 컴퓨터는 폐쇄 구성에서 태블릿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구성 컴퓨터{DUAL CONFIGUARTION COMPUTER}
종래의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보거나 또는 노트북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노트북 컴퓨터가 개방(open)될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들의 데스크에 있는 동안 또는 그들이 커피숍에 앉아 있을 때와 같이 그들이 고정적일 때에 단지 그들의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한다. 현재의 노트북 컴퓨터의 인체 공학적인 단점은 통상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의 덮개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만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가 보이므로 걷고 있을 때나, 또는 사용자가 서 있을 때와 같이, 사용자가 움직이면서 사용하는 것에는 기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태블릿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터치 감지형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태블릿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개방할 필요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게 한다. 따라서, 태블릿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움직이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호작용하기 위해 완전한 키보드 등이 존재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상에서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은 디스플레이의 가시 영역을 제한하므로 태블릿은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각종 실시예의 특징 및 장점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open)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를 도시하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closed)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표면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포맷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를 도시하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인 투명 표면을 도시하고,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데스크탑 액세서리(accessories)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투명 표면을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를 도시하고,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및 폐쇄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를 도시하고,
도 7a 내지 도 7b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가능한 랩탑/태블릿 컴퓨터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 구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능을 유지하는 랩탑 컴퓨터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 도면을 도시한다.
랩탑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는 폐쇄되어 있는 때 베이스로서 작동하는 키보드상에 놓이는 덮개로서 종종 작동한다. 디스플레이의 상측면(덮개)은 종종 A 표면으로서 지칭되고, 덮개의 디스플레이측은 종종 B 표면으로서 지칭되고, 베이스의 키보드측은 종종 C 표면으로서 지칭되고, 베이스의 하부면은 종종 D 표면으로서 지칭된다. 이들 문자는 도시, 설명, 및/또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이용될 수 있다.
폐쇄되어 있는 때 디스플레이(B 표면)나 키보드(C 표면)는 액세스 가능하지 않다(동작 기능이 없음). 적어도 그 동작 기능(예를 들어, 어떤 디스플레이 가시성,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 능력)의 서브세트를 유지하는 랩탑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로서 투명(transparent) 표면을 이용하는 것은 폐쇄 구성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D 표면을 통해) 바닥으로부터 보이게 할 수 있다. 투명 표면이 터치 감지형인 경우 폐쇄 구성에서 사용자가 그를 통해 보였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인터페이싱하게 할 수 있다. 개방 구성에서 터치 감지 측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패드)로서 작동할 수 있다. 투명 표면이 투명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인터페이싱 옵션을 컴퓨터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1a는 개방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100)를 도시한다. 컴퓨터(100)는 힌지(hinge) 등(참조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통해 서로 간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스플레이(110) 및 키보드(120)를 포함한다. 키보드(120)는 폐쇄되어 있는 때 키보드(120)가 전체 디스플레이(110)를 덮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10)의 높이(H1)보다 짧은 높이(H2)를 갖는다. 키보드(120)의 바닥으로부터 투명 표면(130)이 연장하고 있다. 베이스로서 작동하는 키보드(120) 및 투명 표면(130)의 결합된 높이(H3)는 대략 덮개로서 작동하는 디스플레이(110)의 높이이다. 투명 표면(130)은 양쪽 측면 상에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할 수 있다(이하 보다 상세하게 기술됨). 디스플레이(110)는 컨텐츠를 보기 위한 것이고, 키보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투명 표면(130)은 팜 레스트(palm rest)로서 작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또한 작동할 수 있다. 투명 표면(130)의 부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므로 터치 감지형이다(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 아래에 정의된 터치패드). 디스플레이(110)상에서 적절한 동작이 취해지도록 이러한 영역 내에서의 터치 및/또는 이동은 컴퓨터(100)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1b는 폐쇄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1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20)의 하부면(D 표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이 투명 표면(130)을 통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110)의 부분만을 덮는다. 사용자가 보이는 디스플레이(110)의 부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0)를 덮고 있는 투명 표면(130)은 터치 감지형일 수 있다. 투명 표면(130)은 디스플레이(110)상에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한다.
컴퓨터(100)는 투명 표면(130)을 통해 보기 위한 구성인 때를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키보드(120)의 바닥이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폐쇄되고 배향됨). 사용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또는 어떤 동작(예를 들어, 컴퓨터(100)를 흔듬)를 거쳐 투명 표면(130)을 통해 컨텐츠를 볼 수 있는 모드에 진입하고 및/또는 탈출할 수 있다. 컴퓨터(100)가 이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컴퓨터(100)는 디스플레이(110)의 동작을, 대략 투명 표면(130)을 통해 보이게 될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키보드(120)에 의해 덮여진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이 전원 차단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정의된 것일 수 있는) 정보의 표준 프리젠테이션일 수 있거나 또는 이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컴퓨터(100)가 어떤 모드이었는 지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100)가 개방 상태의 동작 구성이었고 그후 컴퓨터(100)가 닫히고 키보드(120)의 바닥(D 표면)이 사용자와 대면하고 있도록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이 전원 차단되고, 디스플레이(110)의 나머지 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전체 디스플레이(110)상에 제공된 것의 스케일 축소 버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고 있었던 문서의 축소 버전, 디스플레이되고 있었던 프로그램 각각의 축소 버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에 부가하여, 컴퓨터(100)는 폐쇄 모드에서 추가의 절전을 위해 백라이트(backlight)를 선택적으로 셧다운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100)는 이 모드에 진입하는 때 사용자가 컨텐츠와 무엇을 행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트래킹으로부터 인지한 것에 근거하여 초기에 컨텐츠를 어떻게 제공하는지에 대해 변경할 수 있다.
컴퓨터(100)가 폐쇄 상태의 오프 구성이엇고 사용자가 폐쇄 모드에서 컴퓨터(100)를 이용하기를 원할 것으로 판정된 경우, 투명 표면(130)에 의해 덮여진 디스플레이의 부분에는 전원이 공급(power on)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상에 제공되는 컨텐츠는 처음에는 특정의 원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캘린더, 클록)일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예를 들어, 이메일, 투 두 리스트(to do list))로의 액세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100)는 이 모드에 진입하는 때 사용자가 컨텐츠와 무엇을 행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트래킹으로부터 인지한 것에 근거하여 초기에 컨텐츠를 어떻게 제공하는지에 대해 변경할 수 있다.
컴퓨터(100)는 어떻게 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폐쇄 모드에서 배향(orientation)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표면(130)은 C 표면의 상측 에지를 따르고 컨텐츠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포맷으로 제공되는) 상측 에지를 따라 볼 수 있다. 투명 표면(130)이 우측 에지를 따르도록 컴퓨터(100)가 회전되면 제공된 컨텐츠는 이와 같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포트레이트(portrait)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랜드스케이프 포맷). 따라서, 컴퓨터(100)는, 예를 들어, 3축 가속기를 이용하여 그 배향을 결정할 수 있고, 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10)상에서의 컨텐츠의 프리젠테이션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예에서, 컴퓨터(100)가 포트레이트 구성으로 회전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컨텐츠는 포트레이트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표면(130)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투명 표면(130)은 용량성 터치 감지 기술, 저항성 터치 감지 기술,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 표면(130)은 제 1 터치 표면층(210), 터치 센서(220) 및 제 2 터치 표면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표면층(210)은 키보드의 상측(C 표면)에 대면하고 개방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터치 표면층(220)은 키보드의 하측(D 표면)에 대면하고 폐쇄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터치 표면층(210) 및 제 2 터치 표면층(230)은 하나 이상의 글래스 시트(sheets), 플라스틱 시트, 임의의 적절한 투명 시트(또는, 반투명 재료), 또는 몇몇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20)는 제 1 터치 표면층(210)과 제 2 터치 표면층(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20)는 제 1 터치 표면층(210)과 연관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1 터치 표면층(230)과 연관된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22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또는 몇몇 이들의 조합에 대해 터치 감지형일 수 있다.
제 1 터치 표면층(210) 및 제 2 터치 표면층(230)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또는 접촉)는 컴퓨터(100)가 개방 구성 또는 폐쇄 구성인지에 따라 컴퓨터(100)에 의해 상이하게 해석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100)가 개방 구성인 경우 제 1 터치 표면층상의 터치는 컴퓨터(100)에 의해 터치패드상의 터치로서 해석된다. 컴퓨터(100)가 폐쇄 구성인 경우 제 2 터치 표면층상의 터치는 컴퓨터(100)에 의해 디스플레이(110)상의 터치 스크린 터치로서 해석된다.
투명 표면(130)이 디스플레이인 경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고 도시된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이들 동작이 취해지게 할 수 있다.
도 3a는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00)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투명 디스플레이(300)는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310), 디스플레이층(320) 및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310)는 C 표면에 대면하고 개방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320)는 D 표면에 대면하고 폐쇄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310, 330)는 터치 표면층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층(320)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분야에서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투명 LCD는 이미지가 제공되는 글래스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어떠한 백라이팅도 포함하지 않는다. 투명 OLED는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팅(lighting)을 포함한다. 따라서, 투명 OLED는 보다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라이팅된 환경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00) 뒤가 어두워진 경우에(예를 들어, 어두운 표면상에 설정된 경우) 투명 OLED가 가장 잘 사용된다.
도 3b는 상이한 포맷 이미지(라이팅된 이미지 및 라이팅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예시적인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50)의 하이 레벨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투명 디스플레이(350)는 제 1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투명 LCD, 투명 OLED)(360), 제 2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투명 LCD, 투명 OLED)(38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터치 센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60)는 C 표면에 대면하고 개방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80)는 D 표면에 대면하고 폐쇄 구성에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가 개방 구성인 경우 터치 센서(370)는 제 1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60)와 연관된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터치 입력은 터치패드상의 터치로서 컴퓨터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컴퓨터가 폐쇄 구성인 경우 터치 센서(370)는 제 2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380)와 연관된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터치 입력은 터치 스트린상의 터치로서 컴퓨터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터치 센서(37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또는 몇몇 이들의 조합에 대해 터치 감지형일 수 있다.
개방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370, 380)는 백라이팅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선택은 컴퓨터가 사용되는 환경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라이팅이 이용 가능한 경우 이미지는 투명 LCD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환경이 희미하게 라이팅되는 경우 이미지는 투명 OLED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a는 개방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400)를 도시한다. 컴퓨터(400)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 표면(430)을 포함한다. 투명 표면(430)은 제공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투명 LCD(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면(430)은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110) 주위로 커서를 가이드하게 하는) 트랙패드(440) 및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된 이미지를 위아래로 또는 가능하게는 좌우로 스크롤하게 하는) 스크롤 바(445)를 포함한다. 트랙패드(440) 및 스크롤 바(445)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가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400)는 투명 표면(430)상에 제공된 이미지, 터치 상호작용, 및 그에 대한 응답을 조정할 수 있다.
투명 표면(430)상에 제공되는 이미지는 임의의 특정의 타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임의의 타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다.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사용 케이스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400)는 특정의 사용 케이스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40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의 사용은 게임 플레이에 대해 그리고 게임 플레이에서 투명 표면상에 특정의 이미지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컴퓨터 및/또는 그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기를 원하는지를 정의할 수 있고 및/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사용 케이스와 연관되기를 원하는지를 정의할 수 있다. 상이한 사용 케이스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관계없이, 컴퓨터(400)가 특정의 사용 케이스 하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때, 컴퓨터(400)는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는 음악 편집의 사용 경우에 대해 추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예시적인 투명 표면(430)을 도시한다. 투명 표면(430)은 트랙패드(440) 및 스크롤 바(445)에 부가하여 록커 휠(rocker wheel)(450) 및 페이더(fader)(460)를 포함한다. 컴퓨터(400)는 록커 휠(450) 및 페이더(460)와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및 그에 응답하여 취해진 응답을 조정할 수 있다. 음악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는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기를 원하는 때를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400)는 사용자가 음악 편집을 수행하고 있거나 또는 수행하려고 할 때를 결정하여, 그에 따라 음악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뮤지컬 키보드(musical keyboard)는 투명 표면(430)상에서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이다.
투명 표면(430)상에 제공되는 이미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임의의 타입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면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해방(free up)하도록 디스플레이(10)상에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특정의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400)는 (가능하게는 사용자가 어떤 액세서리를 이용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400)에 의해 선택된 프리젠테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떠한 데스크탑 액세서리 또는 데스크탑 액세서리들이 제공되기를 원하는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4c는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트랙패드(440))에 부가하여 데스크탑 액세서리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투명 표면(430)을 도시한다. 투명 표면(430)은 트랙패드(440) 및 스크롤 바(445)에 부가하여 계산기(또는 키패드)(470) 및 클록(48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상에 제공되는 데스크탑 액세서리와 함께 투명 표면(430)상에 제공되는 데스크탑 액세서리는 이들이 선택되고 및/또는 이용되는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도 5는 개방 구성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500)를 도시한다. 컴퓨터(500)는 이미지를 제공하고 라이팅을 제공하는 투명 표면(530)을 포함한다. 투명 표면(530)은 투명 LCD(별도로 도시하지 않음) 및 에지 라이팅(별도로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백라이팅을 제공하는 투명 OLED(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면(530)은 어두운 환경에서 제공된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 표면(530)은 임의의 개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개수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표면(530)은 트랙패드(540) 및 스크롤 바(545)에 부가하여 계산기(57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면(430, 530)은 키보드(120)의 바닥 에지(베이스의 바닥 에지)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투명 표면은 현재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키보드상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베이스의 다른 부분을 구성할 수 있음).
도 6a 및 도 6b는 개방 및 폐쇄 구성 각각에서의 예시적인 랩탑 컴퓨터(600)를 도시한다. 컴퓨터(600)는 디스플레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키보드(620)를 포함한다. 키 이외에 키보드는 터치패드(64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620)는 폐쇄되어 있는 때 키보드(620)가 전체 디스플레이(110)를 덮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10)의 폭(W1)보다 좁은 폭(W2)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표면(630)은 키보드(62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있다. 키보드(620) 및 투명 표면(630)의 결합된 폭(W2+W3)은 대략 디스플레이(110)의 폭이다. 개방 구성인 경우 투명 표면(630)은 계산기(670) 및 클록(680)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폐쇄 구성인 경우 투명 표면(630)은 자신을 통해 디스플레이(110)가 보여질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컴퓨터(600)가 폐쇄 구성에서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600)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해당 부분만을 전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팅이 선택적으로 셧다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부분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일반적인 정보(예를 들어, 캘린더, 클록)로부터 보다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투 두 리스트, 수신되는 이메일의 리스트, 작업되는 문서) 내지 축소된 크기로 작업되거나 보여지는 특정의 항목(예를 들어, 문서,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는 컴퓨터(600)가 어떻게 이러한 동작 모드로 진입하였는지에 의존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가 사용자 정의된 것이거나, 표준적인 것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컴퓨터(600)는 폐쇄 모드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 배향(예를 들어, 랜드스케이프, 포트레이트)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상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층은 키를 갖는 실제의 키보드가 요구되지 않도록 키보드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의 전체 베이스(C 및 D 표면)는 투명층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체 디스플레이는 폐쇄 환경에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개방 환경에서 랩탑으로서 그리고 폐쇄 환경에서 태블릿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e는 변환 가능한 랩탑/태블릿 컴퓨터(700)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는 개방 구성에서의 컴퓨터(700)를 도시한다. 컴퓨터(700)는 디스플레이(110)를 고정하는 상측 프레임(덮개)(715) 및 투명층(730)을 고정하는 하측 프레임(베이스)(735)을 포함한다. 투명층(730)은 디스플레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층(730)은 키보드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키보드(720)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명층(7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스크탑 액세서리 등으로서 작동할 수 있는 다른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층(730)은 터치패드(740) 및 클록(780)을 포함한다. 컴퓨터(700)는 투명 표면(730)상에 제공된 이미지, 터치 상호작용, 및 그에 대한 응답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층(730)상에 제공된 키보드(720)상에서 키를 누르면 해당 키가 선택될 것이다.
도 7b는 폐쇄 구성에서의 컴퓨터(700)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투명층(730)을 통해 보여진다. 투명층(730)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작동한다. 스타일러스(790)는 터치 스크린(73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사용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표면(터치 스크린)(73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또는 몇몇 이들의 조합에 대해 터치 감지형일 수 있다. 베이스(735)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측 표면에 내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7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c는 덮개(715)가 베이스(735)로부터 90도(90°)보다 큰 각도로 연장되는 개방 구성에서의 컴퓨터(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d는 덮개(715)가 베이스(735)상에 있는 폐쇄 구성에서의 컴퓨터(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e는 덮개(715) 내에 디스플레이(110)를 보여주고 투명 표면(730)이 베이스(735) 내에 키보드(720)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방 구성에서의 컴퓨터(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폐쇄 구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능을 유지하는 랩탑 컴퓨터(800)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 도면을 도시한다. 컴퓨터(800)는 투명 디스플레이(820), 하나 이상의 투명 터치 센서(810), 컴퓨터가 개방/폐쇄 구성인지를 판정하는 로직(830), 폐쇄 구성에서의 컴퓨터의 배향을 결정하는 로직(840),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50), 디스플레이(860), 디스플레이에 터치 상호작용을 매핑하는 로직(865), 전원 관리 로직(87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80), 및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890)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880)는 컴퓨터(8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890)는 프로세서(들)(88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가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개방/폐쇄 구성인지를 판정하는 로직(830)은 B 및 C 표면이 서로 간에 근접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B 및 C 표면의 코너에 위치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B 및 C 표면이 서로 근접하다는 판정은 컴퓨터(800)가 폐쇄 구성인 것을 나타내고 이들이 서로 근접하지 않는다는 판정은 컴퓨터(800)가 개방 구성인 것을 나타낸다.
컴퓨터(800)가 개방 구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50)는 디스플레이(860)상에서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개방 구성에서 C 표면과 연관된 터치 센서(810)가 활성화된다. 투명 디스플레이(82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되는 이미지는 컴퓨터(80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할 수 있다. 매핑 로직(865)은 터치 센서(81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터치패드 상호작용으로서 디스플레이(860)에 매핑할 수 있다.
컴퓨터(800)가 폐쇄 구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50)는 보이는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860)상에서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전원 관리 로직(870)은 베이스에 의해 덮여지는(D 표면의 투명 부분을 통해 보이지 않는) 디스플레이(860)의 부분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로직(880)은 또한 디스플레이(860)의 백라이팅을 선택적으로 전원 차단할 수 있다. 폐쇄 구성에서 D 표면과 연관된 터치 센서(810)가 활성화된다. 매핑 로직(865)은 터치 센서(81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터치 스크린 상호작용으로서 디스플레이(860)에 매핑할 수 있다. 배향 로직(840)은 폐쇄 구성에서 컴퓨터(800)의 배향(예를 들어, 랜드스케이프, 포트레이트)을 결정하는 3축 가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50)는 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860)상에 제공되는 컨텐츠의 배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내용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각종 부분에서의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란 어구의 출현은 반도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각종 실시예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폭넓게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0)

  1.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연결된 베이스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회전 가능함- 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 터치 감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터치 감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터치 감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함- 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명 터치 감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보이고,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보이는 적어도 일부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제 1 터치 스크린 표면 및 제 1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제 2 터치 스크린 표면 및 제 2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인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 또는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보이는 적어도 일부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비투명(non-transparen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비투명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정렬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분이 보이지 않는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치의 동작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데스크탑 액세서리(accessories)를 포함하는
    장치.
  17. 삭제
  18. 제 1 디스플레이가 지지된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지지된 베이스 하우징과,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상호작용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보이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상기 보이는 적어도 일부와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 또는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9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상기 보이는 적어도 일부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로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치의 동작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장치.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장치.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제 1 디스플레이가 지지된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지지된 베이스 하우징과,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상기 보이는 적어도 일부와 상호작용하도록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 또는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공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태블릿으로서 작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로직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장치의 배향을 결정하고 상기 장치의 상기 배향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로직을 더 포함하는
    장치.
  46.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랩탑 컴퓨터로서 작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으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로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로직을 더 포함하는
    장치.
  47. 삭제
  48.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치의 동작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장치.
  49.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데스크탑 액세서리를 더 제공하는
    장치.
  50. 삭제
KR1020157014211A 2012-12-28 2013-06-26 듀얼 구성 컴퓨터 KR10169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2005687 2012-12-28
MYPI2012005687 2012-12-28
PCT/US2013/047813 WO2014105182A1 (en) 2012-12-28 2013-06-26 Dual configuartion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598A KR20150080598A (ko) 2015-07-09
KR101690111B1 true KR101690111B1 (ko) 2016-12-27

Family

ID=510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211A KR101690111B1 (ko) 2012-12-28 2013-06-26 듀얼 구성 컴퓨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30068B2 (ko)
JP (1) JP6045715B2 (ko)
KR (1) KR101690111B1 (ko)
CN (1) CN104115098B (ko)
DE (1) DE112013000403T5 (ko)
GB (1) GB2526439C (ko)
TW (1) TWI539327B (ko)
WO (1) WO2014105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2014B2 (en) 2013-03-15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lace contextual menu for handling actions for a listing of items
KR102269779B1 (ko) * 2014-03-28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49075B2 (en) 2014-11-06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command control for small screen display
US20160132301A1 (en) 2014-11-06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ammatic user interface generation based on display size
WO2016153467A1 (en) 2015-03-20 2016-09-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adjustable transparency
US10149387B2 (en) * 2016-04-18 2018-12-04 The Boeing Company Active composite pane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9942466B2 (en) 2016-06-27 2018-04-10 Google Llc Transparent lens element in convertible base for camera capture pass-through
US10901462B2 (en) 2017-10-26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put
WO2019112601A1 (en) 2017-12-08 2019-06-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sided displays
JP2019197253A (ja) * 2018-05-07 2019-11-1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並びに画面表示プログラム
TWI690843B (zh) * 2018-09-27 2020-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模式切換方法
CN109408013B (zh) * 2018-09-30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设备
TWI739415B (zh) * 2019-05-07 2021-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多模式筆記型電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39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6618B2 (ja) * 1998-04-03 2008-03-0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5149109A (ja) 2003-11-14 2005-06-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6053629A (ja)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1789839A2 (en) * 2004-08-25 2007-05-30 Moondoggi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8471822B2 (en) * 2006-09-06 2013-06-25 Apple Inc. Dual-sided track pad
US20110047459A1 (en) * 2007-10-08 2011-02-24 Willem Morkel Van Der Westhuizen User interface
DE602008003680D1 (de) * 2008-05-29 2011-01-0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01771B1 (ko) 2008-07-1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EP2360665A3 (en)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6084B1 (ko) * 2010-05-24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KR101622683B1 (ko) * 2009-12-15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1008104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10242750A1 (en) * 2010-04-01 2011-10-06 Oakley Nicholas W Accessible display in device with closed lid
JP4956644B2 (ja) * 2010-05-31 2012-06-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入力制御方法
US9192066B2 (en) * 2010-08-27 2015-11-1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12047208A1 (en) * 2010-10-05 2012-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directional displa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79001B1 (ko) * 2010-10-14 201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05428A1 (en) * 2010-10-28 2012-05-03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configuration modes
US8941683B2 (en) 2010-11-01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interaction
EP2500814B1 (en) * 2011-03-13 2019-05-08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784960B2 (ja) * 2011-04-26 2015-09-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タッチパネル操作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US20120306749A1 (en) 2011-05-31 2012-12-06 Eric Liu Transparent user interface layer
CN109460118A (zh) * 2011-09-30 2019-03-12 英特尔公司 可变换的计算设备
KR20130046846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439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26439B (en) 2020-12-09
KR20150080598A (ko) 2015-07-09
GB2526439A (en) 2015-11-25
CN104115098A (zh) 2014-10-22
DE112013000403T5 (de) 2014-11-20
US20150286359A1 (en) 2015-10-08
CN104115098B (zh) 2017-02-22
GB2526439C (en) 2021-08-11
TWI539327B (zh) 2016-06-21
JP6045715B2 (ja) 2016-12-14
WO2014105182A1 (en) 2014-07-03
GB201508771D0 (en) 2015-07-01
TW201439815A (zh) 2014-10-16
JP2015536512A (ja) 2015-12-21
US9830068B2 (en)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11B1 (ko) 듀얼 구성 컴퓨터
US9411496B2 (en)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applying the same
US9423895B2 (en) Dual touch surface multiple function input device
CN105224166B (zh) 便携式终端及其显示方法
EP2677390B1 (en) Smart Cover Peek
US8619034B2 (en) Sensor-based display of virtual keyboard image and associated methodology
US201102856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RU233501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навигации по графическому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му интерфейсу на уменьшенном дисплее
JP5066055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5644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able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accessible touch operation
US9292114B2 (en) Dual touch surface multiple function input device
US872382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US200902130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pad Input Controller
TW201514837A (zh) 具有相應使用者介面之裝置輸入模式
JP201124846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3620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仮想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
JP200908707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U2012327241A1 (en) Smart cover peek
TW201317882A (zh) 觸控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