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704B1 -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704B1
KR101689704B1 KR1020140188557A KR20140188557A KR101689704B1 KR 101689704 B1 KR101689704 B1 KR 101689704B1 KR 1020140188557 A KR1020140188557 A KR 1020140188557A KR 20140188557 A KR20140188557 A KR 20140188557A KR 101689704 B1 KR101689704 B1 KR 10168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raight
parking
target area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977A (ko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704B1/ko
Priority to PCT/KR2015/014257 priority patent/WO2016105160A1/ko
Publication of KR2016007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차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는 직진광원을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직진광원만으로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Parking identification system using straight light and imag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주차여부 식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직진광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차량에 의해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주차여부를 식별하는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주차장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초음파기술에 의한 주차면 관제기술은 단가가 높고 내구성이 낮아 주차면 원격관제시장의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한국공고특허: 10-10-0567725)'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직진광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차량에 의해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주차여부를 식별하는 주차여부 식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직진광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차량에 의해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주차여부를 식별하는 주차여부 식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는 직진광원을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직진광은 레이져 또는 엘이디 중 하나이거나, 상기 직진광은 점, 숫자, 또는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주차면에 설치된 복수의 직진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복수의 직진광이 상기 목표영역에 모이도록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목표영역에 조사된 직진광을 촬영하는 촬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직진광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직진광을 난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직진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진광은 상기 반사부를 통해 상기 목표영역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면에 위치하여, 반사부를 향해 직진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직진광원; 및 상기 직진광들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히지 않는 경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모든 직진광들에 의해 제 1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들 중 하나 이상의 직진광의 직진광원으로부터 반사부까지의 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반사부는 경로가 차단된 직진광 이외의 직진광들에 의해 제 2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진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방출된 직진광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직진광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진광원은 주차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에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직진광원만으로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가가 저렴한 레이저발광장치와 높지 않은 화소수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시스템화할 경우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훨씬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의 주차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의 주차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또는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은 주차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는 직진광원을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100)은 직진광원(110)으로 구성되고, 촬상수단(130) 또는 반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100)은 실내 또는 실외 주차장에 사용될 수 있다.
직진광원(110)은 주차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목표영역(120)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직진광을 이용한다. 상기 직진광은 직진성을 가지는 광이면 어떠한 광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진광은 레이져 또는 엘이디 중 하나일 수 있다. 직진광원(110)은 직진광은 소정의 목표영역(120)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한다. 직진광원(110)은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할 경우, 차량에 의해 경로가 차단될 수 있는 목표영역(120)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한다. 직진광원(110)은 바닥, 천정, 또는 주차면 주변 벽에 설치될 수 있고, 목표영역(120)은 천정, 바닥, 또는 직진광의 경로가 차량에 의해 차단되는 어떠한 영역도 가능하다.
직진광원(110)이 직진광을 목표영역(120)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는 상태에서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한다. 도 2와 같이, 직진광은 경로가 차단되면 목표영역(120)까지 도달하지 못하므로, 목표영역(120)에 직진광이 조사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도 2(a)와 같이,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직진광원(110)에서 조사된 직진광은 목표영역(120)에 잘 도달한다. 하지만, 도 2(b)와 같이,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직진광원(110)에서 조사된 직진광은 목표영역(120)에 도달하지 못한다. 목표영역(120)에 대한 확인만으로 쉽게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직진광은 점, 숫자, 또는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직진광은 점의 형태로 촬상수단에 의해 구분이 쉬운 형태이거나, 해당 주차면 등에 부여된 숫자 또는 주차면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주차면에 설치된 복수의 직진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복수의 직진광이 상기 목표영역(120)에 모이도록 조사될 수 있다. 주차장의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의 직진광원(110)을 설치하고, 직진광원 모두 또는 일부가 하나의 목표영역(120)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여 하나의 목표영역(120)에서 복수의 직진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목표영역(120)에서 복수의 직진광을 확인함으로써 쉽게 복수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하나의 목표영역(120)에 조사되는 직진광들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다. 직진광들은 일렬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직진광은 복수의 상을 동시에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수단(130)은 목표영역(120)에 조사된 직진광을 촬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진광을 주차면 제공자 또는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지만, 촬상수단(130)을 이용하여 주차면의 주차여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촬상수단(130)은 카메라일 수 있고, 화소수가 높지 않은 카메라를 이용하여도 주차여부 식별이 가능하다. 촬상수단은 하나의 목표영역(120)을 촬영하거나 회전하여 복수의 목표영역(120)을 촬영할 수도 있다. 복수의 직진광이 조사되는 목표영역(120)을 촬영하여 복수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한번에 식별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복수의 직진광원(110)을 하나의 목표영역(120)에 조사하고, 촬상수단(130)을 이용하여 목표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쉽게 복수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촬상수단(130)에 의해 촬영된 직진광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상수단(130)에 의해 촬영된 직진광을 관리자가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고, 촬영된 직진광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이 있는지는 판단하는 처리부를 이용하여 쉽게 주차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부(140)는 상기 직진광을 난반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면 사용자가 쉽게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직진광을 난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유리재질로 된 구와 같이 빛을 받아 사방으로 난반사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직진광을 난반사함으로써 멀리서도 주차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반사부(140)를 천장에 설치하여, 주차면 사용자가 쉽게 주차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상기 직진광을 반사하고, 상기 직진광은 상기 반사부를 통해 상기 목표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복수의 직진광을 목표영역(120)에 모이도록 조사하는 경우와 같이, 직진광을 목표영역(120)에 직접 조사하기 어려운 경우, 반사부(140)를 이용하여 목표영역에 조사할 수 있다. 직진광원(110)이 바닥에 위치하고, 목표영역이 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 운행중인 차량에 의해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될 수도 있고, 직진광에 의해 보행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는바, 직진광은 천장에 설치된 반사부(140)를 향해 조사되고, 반사부(140)를 통해 반사된 직진광은 천장에서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이유에 의해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거나, 보행자가 불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거울 또는 반사판과 같이, 빛을 받아 반사하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은 주차면에 위치하여, 반사부를 향해 직진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직진광원 및 상기 직진광들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히지 않는 경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모든 직진광들에 의해 제 1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들 중 하나 이상의 직진광의 직진광원으로부터 반사부까지의 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반사부는 경로가 차단된 직진광 이외의 직진광들에 의해 제 2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광원이 색을 지니는 경우, 색을 지닌 광원들이 섞이면 다른 색을 만들어낸다. 이를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주차면에 2 개 이상 복수의 직진광원을 설치하고, 하나의 반사부에 각각의 직진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반사부는 직지광을 난반사하거나 목표영역을 향해 직진광을 반사할 수 있다. 직진광원 각각이 다른 색을 지닌 직진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차량에 의해 경로가 차단되는 직진광이 없는 경우, 반사부에서 모이는 직진광에 의해 혼합되는 광은 제 1 색을 띄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직진광들 중 하나 이상의 직진광은 차량에 의해 경로가 차단되도록 하여, 도 5(b)와 같이, 차량에 의해 경로가 차단되는 직진광이 있는 경우, 나머지 직진광에 의해 혼합되는 광은 제 2 색을 띄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색은 녹색이고, 제 2 색은 적색일 수 있다. 직진광원은 R(적색)G(녹색)B(청색)의 엘이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여부 식별방법의 흐름도이다.
610 단계는 직진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방출된 직진광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진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목표영역을 향해 방출된 직진광을 촬상수단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상기 직진광원은 주차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에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된다. 복수의 직진광이 상기 목표영역에 모이도록 조사될 수 있다. 본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의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620 단계는 상기 촬영된 직진광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610 단계에서 촬영된 직진광 이미지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할 수 있다. 직진광이 조사될 위치를 설정하고, 직진광이 조사되지 않는 위치가 있는 경우 해당 위치의 주차면에 차량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직진광이 조사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주차면은 빈 주차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복수의 주차면에 설치되어 하나의 목표영역을 향해 직진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직진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진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복수의 직진광은 상기 목표영역에 모이도록 조사되며,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광은 레이져 또는 엘이디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광은 점, 숫자, 또는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영역을 촬영하는 촬상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목표영역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광을 난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진광은 상기 반사부를 통해 상기 목표영역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9. 주차면에 위치하여, 반사부를 향해 직진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직진광원; 및
    상기 직진광들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모든 직진광들에 의해 제 1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하고,
    차량이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들 중 하나 이상의 직진광의 직진광원으로부터 반사부까지의 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반사부는 경로가 차단된 직진광 이외의 직진광들에 의해 제 2 색을 띄는 광을 반사하며,
    상기 광의 색을 이용하여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 시스템.
  10. 복수의 직진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복수의 직진광이 모이는 하나의 목표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목표영역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해 빈 주차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진광원은 주차면에 설치되어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의해 상기 직진광원으로부터 상기 목표영역까지의 직진광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여부 식별방법.
  11. 삭제
KR1020140188557A 2014-12-24 2014-12-24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57A KR101689704B1 (ko) 2014-12-24 2014-12-24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14257 WO2016105160A1 (ko) 2014-12-24 2015-12-24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57A KR101689704B1 (ko) 2014-12-24 2014-12-24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77A KR20160077977A (ko) 2016-07-04
KR101689704B1 true KR101689704B1 (ko) 2017-01-02

Family

ID=5615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557A KR101689704B1 (ko) 2014-12-24 2014-12-24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9704B1 (ko)
WO (1) WO2016105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031B1 (ko) 2017-09-29 2019-11-04 소프트온넷(주) Cctv 주차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주차칸 영상객체 인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10766970B (zh) * 2018-07-27 2022-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服务器、移动终端、人脸识别器及寻车控制方法
KR20220022948A (ko) 2020-08-19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룩 보상 방법 및 얼룩 보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8U (ja) * 1993-05-31 1995-01-17 日新電機株式会社 駐車場管理装置
JP2000020895A (ja) * 1998-07-07 2000-01-21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080009619A (ko) * 2006-07-28 2008-01-29 홍 종 노 자동 주차 공간 확인기
JP5397282B2 (ja) * 2010-03-17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位置ず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296780B1 (ko) * 2011-02-15 2013-08-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장치 및 방법.
JP5958304B2 (ja) * 2012-11-29 2016-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160A1 (ko) 2016-06-30
KR20160077977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010B2 (en) Vehicle sensor calibration using sensor calibration targets
US11557061B2 (en) Extrinsic calibration of multiple vehicle sensors using combined target detectable by multiple vehicle sensors
EP2026104B1 (en)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id device
US11644350B2 (en) Illuminated vehicle sensor calibration target
JP4985651B2 (ja) 光源制御装置、光源制御方法および光源制御プログラム
ES2647738T3 (es) Dispositivo, sistema y método para punto de control de entrada
CN108475145B (zh) 图像识别装置、图像识别方法以及图像识别单元
US20200209886A1 (en) Method for guiding path of unmanned autonomous vehicle and assistant system for unmanned autonomous vehicle therfor
KR101689704B1 (ko) 직진광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여부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EP3181996A1 (en) Vehicle lamp and vehicle irradiation system
CN108136600A (zh) 系统
WO2019174484A1 (zh) 一种充电座识别方法及移动机器人
KR101800591B1 (ko)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US20210025834A1 (en) Image Captur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9003645A (ja) 自動運転車両ナビゲーション
JP2017528691A (ja) 降雨検出装置
JP6648963B2 (ja) 光学システム
US11180072B2 (en) Vehicle lamp system that simultaneously turns on a territory lamp and a stop lamp in response to detected third party on projected course of vehicle
JP2016200528A (ja) 物体検出装置、移動体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物体検出用プログラム
JP2016110808A (ja) 光学装置
JP2023007604A (ja) 信号認識装置
JP2006258507A (ja) 前方物体認識装置
CN115769258A (zh) 用于漫射照明和结构光的投影仪
JP2020177854A (ja) 車両用灯具及び路面状態検知システム
US20190347502A1 (en)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