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968B1 -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968B1
KR101687968B1 KR1020140126636A KR20140126636A KR101687968B1 KR 101687968 B1 KR101687968 B1 KR 101687968B1 KR 1020140126636 A KR1020140126636 A KR 1020140126636A KR 20140126636 A KR20140126636 A KR 20140126636A KR 101687968 B1 KR101687968 B1 KR 10168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otating
plate
semi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271A (ko
Inventor
오영태
김정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9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amping the waves, e.g. by pouring oil o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로서,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폰툰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일단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은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자항(self-propulsion)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서 계류될 때에는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켜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Heaving Reduction Device for Offshore Platform}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하 동요 감쇄판이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라 각종 자원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바, 그 중에서 원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자원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탐사 및 시추를 위한 장비를 탑재한 특수선박, 예를 들면 드릴쉽,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 등이 개발되어 심해로부터 각종 자원의 생산을 위한 탐사와 채굴 작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 내에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라이저(riser) 또는 드릴 파이프(drill pipe)등을 고정시켜 해저면까지 내려보내어 시추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라이저 또는 드릴 파이프 등은 해저 수천미터를 내려가므로 파도나 해상 조건에 의한 해상 구조물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라이저 또는 드릴 파이프 등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시추작업의 중단을 초래하여 많은 재정적인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극한파도조건에서도 해상 구조물의 안정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해상 구조물의 트러스 상하 동요 감쇄판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959호(공고일자 2012년 09월 25일) 미국 특허공보 US8444347 (등록일자 2013년 5월 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02호(공고일자 2014년 02월 05일)
특허문헌 1은 기둥형상의 몸체에 관통홀부를 갖는 감쇄 부재가 설치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원통형 FPSO)을 제안하나, 견인선(tug boat)으로 견인되어 이동될 경우에 감쇄 부재에 의한 저항 증가로 선속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감쇄판을 하강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특허문헌 3은 수면상에 계류시에는 풍랑이나 조류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켜 운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수면을 이동시에는 추진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항 가능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제안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 및 3은 상하 동요 감쇄판의 크기가 복수의 칼럼부 사이의 거리 이하로 제한되어 상하 동요 감쇄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하 동요 감쇄판이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상부로 접을 수 있고,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내려서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로서,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폰툰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일단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은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삽입부의 단면은 도브테일(dove tai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의 내부 표면과 상기 삽입부의 외부 표면은 탄성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칼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로서, 상기 폰툰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 일단부에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상하 동요 감쇄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폰툰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 지지판; 상기 폰툰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 지지판; 및 상기 상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이 내려져서 수평하게 되면, 상기 상부 지지판은 하면이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의 상면과 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은 상면이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의 하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 및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폰툰부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폰툰부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래크 기어와 치합(齒合)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 또는 상기 하부 지지판을 상기 폰툰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에 의하면,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하 동요 감쇄판이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자항(self-propulsion)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서 계류될 때에는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상부로 접을 수 있어 상하 동요 감쇄판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내려서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여 상하 동요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상하 동요 감쇄판이 내려져서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는,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및 일단부에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는 삽입부(41)가 마련되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는 복수의 칼럼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20)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은, 예를 들어 세미리그(반잠수식 시추선, Semi-submersible drilling Rig)와 같이 자항능력을 구비하여 추진 가능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은, 작업데크와, 작업데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 복수의 칼럼부(10)와, 복수의 칼럼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데크는 복수의 칼럼부(10)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칼럼부(10) 상부에 설치되며,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드릴파이프나 머드 모듈(mud module) 등과 같은 각종 장비와 설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작업데크에는 헬기 착륙장이나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거주시설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칼럼부(10)는 다각 기둥이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다각 기둥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한 평면상에 여러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횡단면으로 하는 모든 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작업시에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폰툰부(20)는 수중에 잠기고 복수의 칼럼부(10)는 수면 위로 돌출하여 상부구조를 지지하므로,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고유 운동 주기가 파도의 주기에 비해 크게 길어지고 외력의 작용면적이 감소하여 파도 중 구조물의 작업 성능을 크게 개선시키게 된다.
폰툰부(20)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이 해상에 계류된 때에 각 상황별 하중분포에 따라 해상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형을 맞추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칼럼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선체의 요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발라스트 탱크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폰툰부(20)는 작업데크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폰툰부(20) 상에는 장방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칼럼부(10)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칼럼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폰툰부(20) 상에는 복수의 칼럼부(10) 중 절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칼럼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4개의 칼럼부(10)가 배치된 경우, 하나의 폰툰부(20) 상에는 2개의 칼럼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상하 동요 감쇄판(40)과 결합되어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폰툰부(20)의 측면에 결합되며, 폰툰부(20)외 결합되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31)이 형성된다.
고정부재(30)는 폰툰부(20)의 측면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부(20)의 측면에 결합되는 면의 수직 방향 길이가 결합홈(31)이 형성되는 면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길어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결합홈(31)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삽입부(41)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하 동요 감쇄판(40)은 고정부재(30)와 결합되어 수면상에 정박하거나 계류되는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자세를 유지하고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결합홈(31)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4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이 상하운동을 할 때, 폰툰부(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모서리부에 와류가 발생하여 반잠수식 해상구조물의 상하운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1) 및 삽입부(41)의 단면은 도브테일(dove tai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삽입부(41)가 고정부재(30)의 결합홈(31)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면, 파도에 의해 상하 동요 감쇄판(40)에 힘이 가해져도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부재(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홈(31)의 내부 표면과 삽입부(41)의 외부 표면은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탄성체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체로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적용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소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동요 감쇄판(40)은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고정부재(3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예인선(tug boat)이나 크레인 등으로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고정부재(30)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와 분리된 상태로 대상 해역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자항(self-propulsion)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게 되며, 대상 해역에서 계류될 때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에 결합되어 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는바,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하 동요 감쇄판(4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개구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상하운동을 할 때, 상하 동요 감쇄판(40)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48)를 통해 해수가 유출입되면서 추가적인 와류가 발생하여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상하운동 저감효과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는, 고정부재(30)와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결합시키는 체결수단(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저지하여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고정부재(30) 및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관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에 고정부재(30) 및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관통하도록 볼트와 너트 등을 체결하여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고정부재(3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상하 동요 감쇄판이 내려져서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1)는, 지지 브라켓(25); 상하 동요 감쇄판(40); 회전수단(50); 상부 지지판(60); 하부 지지판(70); 및 구동부(80);를 포함한다.
지지 브라켓(25)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일단부에 구비된 회전축(4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폰툰부(20)의 측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일단부에는 회전축(45)이 구비되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이러한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수단(50)은 회전력 전달수단(51) 및 회전 모터(52)를 포함한다(도 5 참조).
회전력 전달수단(51)은 회전 모터(52)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을 회전축(45)으로 전달하여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기어 또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업데크의 측면에는 잠금장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상단부를 작업데크의 측면에 고정시켜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의도하지 않게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부 지지판(60)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내려져서 수평하게 된 때에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상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자항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폰툰부(20) 내측으로 삽입된다.
하부 지지판(70)은,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내려져서 수평하게 된 때에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자항시에는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폰툰부(20)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내려져서 수평하게 되면, 상부 지지판(60)은 돌출되어 하면이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하부 지지판(70)은 돌출되어 상면이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하면과 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 지지판(60)의 하면과 하부 지지판(70)의 상면, 그리고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상부 지지판(60) 및 하부 지지판(70)과 접하게 되는 부분의 외부 표면은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탄성체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체로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적용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소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판(60) 및 하부 지지판(70)이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부 지지판(60)과 하부 지지판(70)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판(60)의 상면 일측에는 폰툰부(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61)가 형성되고, 하부 지지판(70)의 하면 일측에는 폰툰부(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71)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80)는 피니언 기어(81); 및 구동 모터(82);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81)는 래크 기어(61, 71)와 치합(齒合)되어 상부 지지판(60) 또는 상기 하부 지지판(70)을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82)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으로 이동될 때에는 회전수단(50)을 이용하여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상부로 접은 상태로 대상 해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내린 후 구동부(80)를 작동시켜 상부 지지판(60) 및 하부 지지판(70)을 돌출시켜서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수면 아래에 잠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상부로 접힌 상태로 대상 해역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자항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내려서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여 상하 동요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 상하 동요 감쇄판이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자항(self-propulsion)시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서 계류될 때에는 상하 동요(heave)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대상 해역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상부로 접을 수 있어 상하 동요 감쇄판에 의한 항력이 생기지 않으며, 대상 해역에 도착한 후에는 상하 동요 감쇄판을 내려서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여 상하 동요를 저감시키고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10: 칼럼부
20: 폰툰부 25: 지지 브라켓
30: 고정부재 31: 결합홈
40: 상하 동요 감쇄판 41: 삽입부
45: 회전축 48: 개구부
50: 회전수단
51: 회전력 전달수단 52: 회전 모터
60: 상부 지지판 61: 래크 기어
70: 하부 지지판 71: 래크 기어
80: 구동부
81: 피니언 기어 82: 구동 모터(82)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칼럼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면상이나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폰툰부(20)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로서,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25);
    일단부에 상기 지지 브라켓(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5)을 구비한 상하 동요 감쇄판(40);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0);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 지지판(60);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 지지판(70); 및
    상기 상부 지지판(60)과 상기 하부 지지판(70)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내려져서 수평하게 되면, 상기 상부 지지판(60)은 하면이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상면과 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70)은 상면이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의 하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상부 지지판(6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6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7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래크 기어(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은,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4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51); 및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51)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 모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래크 기어(61, 71)와 치합(齒合)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60) 또는 상기 하부 지지판(70)을 상기 폰툰부(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피니언 기어(81); 및
    상기 피니언 기어(81)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동요 감쇄판(4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개구부(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KR1020140126636A 2014-09-23 2014-09-23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KR10168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36A KR101687968B1 (ko) 2014-09-23 2014-09-23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36A KR101687968B1 (ko) 2014-09-23 2014-09-23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71A KR20160035271A (ko) 2016-03-31
KR101687968B1 true KR101687968B1 (ko) 2016-12-20

Family

ID=5565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636A KR101687968B1 (ko) 2014-09-23 2014-09-23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77A (ko) 2017-08-10 2019-02-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유체력 감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980A (ko) * 2016-05-13 2017-1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동 감쇠 기능을 구비한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CN107499468B (zh) * 2017-09-06 2024-02-06 大连理工大学 一种单柱型平台
KR101984914B1 (ko) 2017-11-03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하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188A (ja) 1999-01-29 2000-08-08 Yamaha Motor Co Ltd 分割式ビルジキールとこれを備える小型船舶
JP2006176068A (ja) 2004-12-24 2006-07-06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59B1 (ko) 2009-12-21 2012-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
US8444347B2 (en) 2010-08-03 2013-05-21 Technip France Truss heave plate system for offshore platform
KR101259129B1 (ko) * 2011-01-11 2013-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양력 핀과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58302B1 (ko) 2012-03-22 2014-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101454775B1 (ko) * 2012-09-27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동요 억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188A (ja) 1999-01-29 2000-08-08 Yamaha Motor Co Ltd 分割式ビルジキールとこれを備える小型船舶
JP2006176068A (ja) 2004-12-24 2006-07-06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77A (ko) 2017-08-10 2019-02-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유체력 감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71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636B2 (en) Ring-wing floating platform
EP2726362B1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US4966495A (en) Semisubmersible vessel with captured constant tension buoy
US8707882B2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6666624B2 (en) Floating, modular deepwater platform and method of deployment
US8251005B2 (en) Spar structures
WO2009111767A1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with motion dampers
KR101687968B1 (ko) 해상 구조물의 상하 동요 저감장치
AU2004218479A1 (en) Riser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101358302B1 (ko)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Xie et al. A new concept of a deepwater tumbler platform
KR200485188Y1 (ko) 해양 구조물의 문풀 플랩 잠금 장치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101686231B1 (ko)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KR20150070513A (ko) 반 잠수형 시추선의 상하동요 안정장치
OA16697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