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958B1 -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 Google Patents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958B1
KR101687958B1 KR1020150047358A KR20150047358A KR101687958B1 KR 101687958 B1 KR101687958 B1 KR 101687958B1 KR 1020150047358 A KR1020150047358 A KR 1020150047358A KR 20150047358 A KR20150047358 A KR 20150047358A KR 101687958 B1 KR101687958 B1 KR 10168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arbon
filter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8751A (en
Inventor
전재강
함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4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958B1/en
Publication of KR2016011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46/0019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공기가 일측으로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의 타측에 위치하는 카본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본 하우징 및 내부에 카본 입자가 충진되며, 상기 카본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본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filter housing into which intake air flows into one side, a prefilter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and a carbon filter modul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filter, And a plurality of carbon cartridge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in the interior of the carbon housing and arranged in a direction diagonally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Description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 부스의 담배 연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that sucks and filters contaminated air containing cigarette smoke in a smoking booth.

담배 연기는 많은 유해 물질들과 냄새 유발 물질과 같은 오염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해 성분들은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등이 대표적인 성분이며, 냄새 유발 물질들은 아세트산, 암모니아, 톨루엔, 알데히드등이 대표적인 성분이다. 또한, 오염 물질들은 유해 물질과 냄새 유발 물질을 가스 상태 또는 입자 상태로 포함하고 있다.Tobacco smoke contains pollutants such as many harmful substances and odor inducing substances, and harmful components are typical components such as nicotine, tar, carbon monoxide, etc., and odor inducing substances are typical components such as acetic acid, ammonia, toluene and aldehyde . Contaminants also contain hazardous and odorous substances in gaseous or particulate form.

최근에는 금연 지역이 확대되면서 간접 흡연의 피해를 줄이고자 공장, 빌딩, 음식점 또는 길거리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 흡연 부스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 흡연 부스는 별도의 필터링 장치를 구비하여,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다시 내부로 공급하며, 일부를 외부로 배출한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moking booths has been increasing in places where many people, such as factories, buildings, restaurants, and streets, gather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of secondhand smoke as the number of smoking areas is expanded. The smoking booth is equipped with a separate filtering device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side air and supply it to the inside again, and a part thereof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필터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리 필터와 카본 필터 및 미디엄 필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필터는 흡입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필터링 장치는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터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있으나, 필터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요구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배출 모듈의 파워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한다.The filtering device generally includes a pre-filter, a carbon filter, and a medium filter, and each filt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The filtering devic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filter to increase the filtering efficiency but increases the cost of the exhaust module with the required blower as the thickness of the filter increases.

또한, 상기 필터링 장치는 흡입 공기에 대한 필터링 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환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필터링 장치는 필터의 청소 주기 또는 교환 주기가 짧아 유지 비용이 증가된다.In addition, the filtering device needs to periodically clean or replace each filter in order to maintain filtering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intake air. However, the filtering device has a short cleaning period or replacement period of the filter, thereby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상기 필터링 장치는 필터의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되기 어려워, 필터의 교환 주기를 필터의 상태와 관계없이 가동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장치는 조기에 필터의 상태가 저하되는 경우에 필터링 효율이 떨어지며, 필터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된다.Also, since the state of the filter is difficult to be accurately grasped by the filtering apparatus, the filter replacement period is managed based on the operation perio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filter. Therefore, the filtering apparatus has a low filtering efficiency when the state of the filter is deteriorated early, and unnecessary cost is required when the state of the filter is good.

본 발명은 흡연 부스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고, 필터의 교환 주기를 증가시키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that effectively filters contaminated air in a smoking booth and increases the frequency of filter replacement.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흡입 공기가 일측으로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의 타측에 위치하는 카본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필터 모듈은 내부에 카본 입자가 충진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본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housing into which intake air flows into one side, a pre-filt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and a carbon filter modul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 And a plurality of carbon cartridge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또한, 상기 카본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카본 하우징과,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카본 카트리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 슬롯 및 상기 카트리지 슬롯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졉촉되는 슬롯 차단바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삽입 유닛 및 상기 카트리지 슬롯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정 차단바와, 상기 고정 차단바의 일측단에 상기 고정 차단바와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 지지바와, 상기 고정 지지바를 상기 카본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지지바를 상기 고정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고정 유닛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arbon filter module may include a carbon housing in which the carbon cartridge is installed, the filter housing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disposed in a direction dia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A cartridge inser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cartridge slots and a slot blocking bar located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slot and touching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and a cartridge insertion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rtridge slot, A fixing block for fixing the fixing support bar to the inside of the carbon housing and a fixing block for fixing the fixing support bar to the fixing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fixed blocking bar at one end of the fixing blocking bar, And a fixing bolt And may include a cartridge fixing unit.

또한, 상기 카트리지 슬롯은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서로 교대로 접촉되어 전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슬롯 차단바는 인접하는 슬롯 차단바와 타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각각 접하며, 상기 고정 차단바는 인접하는 고정 차단바와 일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slots are alternately arrang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he cartridge slots are arranged so as to be alterna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form a zigzag shap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lot blocking bar is formed so that the adjacent slot blocking bars and the other sid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 '⊃' or ' The blocking ba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djacent fixed blocking bar and one side end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formed to have a shape of '<', '⊂', or '[' 'and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carbon cartridge .

또한, 상기 카본 카트리지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카트리지 탄성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 차단바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에 접촉되며, 상기 고정 차단바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cartridge has a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slot blocking bar being in contact with the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And may be formed to abut the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또한, 상기 카본 카트리지는 케이스 전후면과 케이스 양측면 및 케이스 상하면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 전후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에는 각각 서로 다른 오염 물질을 포집하는 카본 입자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흡입 공기가 카본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간에는 표면에 인산(H3PO3)이 점착되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와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고, 제 2 공간에는 수산화칼륨(KOH) 또는 요오드화칼륨(KI)이 점착되는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와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에는 표면에 인산(H3PO3)이 점착되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공간에는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며, 상기 분리막은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이온 교환 수지로 형성되며, 표면에 수산화칼륨(KOH) 또는 요오드화칼륨(KI)이 점착되는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cartridge may include a cartridge case having a front and rear surface, a case side surface, and a case upper surface, and a cartridge cas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inside the cartridge case,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may be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that collect different contaminant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space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into the carbon cartridge, the second spac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pace, and phosphoric acid (H 3 PO 3 ) (KOH) or potassium iodide (KI) is adhered to the second space, and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an acid component and a substance on the surface are filled with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lkaline component to be adhered and the carbon particles to which the surface is not adhered, The unattached carbon particles can be filled. The first space i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alkaline components to which phosphoric acid (H 3 PO 3 ) is adhered on the surface, and the second space i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whose surface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KOH) or potassium iodide (KI)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ion-exchange resin, which is folded in a zigzag fashion.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카본 카트리지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카본 입자의 양을 증가시켜, 카본 필터 모듈의 필터링 효율 및 교환 주기를 증가시키고 운영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carbon particles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arbon cartridge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filtering efficiency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arbon filter module, and reducing the operat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카본 입자가 카본 카트리지에 충진되어 카트리지 형태로 장착 및 교환되므로 교환 용이성을 증가시키고 운영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ing device fo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ase of exchange and reducing the operating cost since the carbon particles are filled in the carbon cartridge to be mounted and exchang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또한,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흡입 공기의 카본 카트리지 통과 속도를 저하시켜 흡입 공기와 카본 입자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iltering device fo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iltering efficiency by decreasing the passing speed of the carbon cartridge through the intake air and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carbon particles.

또한,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흡입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하시킴으로써 흡입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모듈의 파워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운영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ressure loss of the intake ai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power of the exhaust module for discharging the intake air,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카본 카트리지에 충진되는 카본 입자의 표면에 다양한 물질이 코팅되므로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carbon particles filled in the carbon cartridge is coated with various substances, the filtering device for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llecting and removing various polluta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C"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의 흡입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카본 필터 모듈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본 필터 모듈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카본 필터 하우징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카본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카본 필터 모듈의 카트리지 지그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배출 모듈의 정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s a detailed view of "B" in Fig.
4 is a detailed view of "C" i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cover of Fig.
Figure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ure 1;
7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
Fig. 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carbon filter housing of Fig. 6;
9 is a front view of the carbon cartridge of Fig.
10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DD of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cartridge jig unit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
1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Figure 13 is a front view of the drain modu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ltering apparatus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a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C"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의 흡입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카본 필터 모듈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본 필터 모듈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카본 필터 하우징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카본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카본 필터 모듈의 카트리지 지그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배출 모듈의 정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filtering device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s a detailed view of "B" in Fig. 4 is a detailed view of "C" i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cover of Fig. Figure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ure 1; 7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 Fig. 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carbon filter housing of Fig. 6; 9 is a front view of the carbon cartridge of Fig. 10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DD of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cartridge jig unit of the carbon filter module of Fig. 1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Figure 13 is a front view of the drai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100)과 프리 필터(Pre-Filter)(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과 미디엄 필터(MB Filter)(400) 및 배출 모듈(5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1 to 13, a filtering apparatus for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housing 100, a pre-filter 200, a carbon filter module 300, (MB filter) 400 and a discharge module 500. [

한편, 미설명 부호인 600은 프리 필터(Pre-Filter)(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와 미디엄 필터(MB Filter)(400) 사이에서 흡입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스페이서들이다. 미설명 부호인 610은 스페이스(600)들과 각 필터 사이에서 외측으로 흡입 공기가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용 패킹들이다. 미설명 부호인 620은 실링용 패킹(610)들을 스페이서(600)들 및 각 필터와 밀착시키기 위한 볼트들이다.The reference numeral 600 denotes spacers for smoothly flowing the intake air between the pre-filter 200 and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and the MB filter 400. Reference numerals 610 denote sealing packings for preventing intake air from flowing outwardly between the spaces 600 and the respective filters. Reference numerals 620 denote bolts for sealing the sealing packings 610 with the spacers 600 and the respective filters.

상기 필터링 장치는 흡연 부스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흡연 부스의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공기를 필터링한 후에 흡연 부스(미도시)의 내부로 재공급한다. 이때, 상기 필터링 장치는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일부를 흡연 부스의 외부로 배출하여 흡연 부스의 내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일정 부분 유입되도록 한다.
The filtering devic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r a side portion of the smoking booth, and the suction air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smoking booth is filtered and then re-supplied into the smoking booth (not shown). At this time, the filtering device discharges a part of the discharged exhaust air to the outside of the smoking booth, so that fresh air from outside flows into a certain part of the inside of the smoking booth.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의 흡입홀(110)과 타측의 배출홀(120)을 구비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상부에 각 필터의 교환과 청소를 위한 필터 교환홀(1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흡입홀(110)에 결합되는 흡입 커버(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내부에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및 미디엄 필터(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내부에 설치되는 각 필터들의 형상에 따라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100 is hollow and has a box shape having a suction hole 110 on one side and a discharge hole 120 on the other side. The filter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filter exchange hole 130 for exchanging and cleaning each filter. The filte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cover 140 coupled to the suction hole 110. The filter housing 100 provides a space in which a pre-filter 200, a carbon filter module 300, and a medium filter 400 are installed. Therefore, the filter housing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in vertical section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filters installed therein.

상기 흡입홀(110)은 필터 하우징(10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일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110)은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by opening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one side may be opened or partially opened. The suction hole 11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suction air flows.

상기 배출홀(120)은 필터 하우징(100)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타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0)은 필터 하우징(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출 모듈(500)의 구조에 따라 적정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20)은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및 미디엄 필터(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필터링된 흡입 공기가 배출 모듈(500)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discharge hole 120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opened or partially opened. The discharge hole 120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module 50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The exhaust hole 12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200,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and the medium filter 400 in order,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module 500.

상기 필터 교환홀(130)은 필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및 미디엄 필터(400)의 수평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교환홀(130)은 각각의 필터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1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교환홀(130)은 별도의 커버(미도시)에 의하여 밀폐되며, 필터의 교환시에 개방된다. 상기 필터 교환홀(130)은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또는 미디엄 필터(400)를 교환할 때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또는 미디엄 필터(40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filter exchange hole 130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a horizontal area of the prefilter 200,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and the medium filter 400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100 . The filter exchange holes 13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locations corresponding to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filters are mounted. The filter exchange hole 130 is closed by a separate cover (not shown) and is opened when the filter is exchanged. The filter replacement hole 130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prefilter 200 and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or the medium filter 400 are moved when the prefilter 200 is exchanged with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or the medium filter 400. [ Path.

상기 흡입 커버(140)는 커버 본체(141)와 흡입관(14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흡입 커버(140)는 필터 하우징(100)의 흡입홀(110)에 결합되며, 흡연 부스와 연결되는 별도의 흡입 배관(145)과 연결되어 오염되어 흡연 부스의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공기가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흡입 커버(140)는 필터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cover 140 is formed to include a cover body 141 and a suction pipe 143. The suction cover 1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110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suction pipe 145 connected to the smoking booth so that the suction air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smoking booth is filtered. And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is introduced. Meanwhile, the suction cover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ter housing 100.

상기 커버 본체(14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흡입홀(110)을 밀폐하도록 흡입홀(11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 본체(141)는 흡입관(143)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버홀(142)을 구비한다.The cover body 14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suction hole 110 to seal the suction hole 110. The cover body 141 has a plurality of cover holes 142 to which the suction pipe 143 is coupled.

상기 흡입관(143)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 본체(141)의 커버 홀(142)에 결합된다. 상기 흡입관(143)은 흡연 부스와 연결되는 별도의 흡입 배관(145)과 연결된다.
The suction pipe 143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cover hole 142 of the cover body 141. The suction pipe 143 is connected to a separate suction pipe 145 connected to the smoking booth.

상기 프리 필터(200)는 부직포와 같은 판상 필터가 프리 필터 케이스에 장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리 필터(200)는 필터 하우징(100)의 수직 단면적에 대응되는 면적과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리 필터(200)는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흡입홀(11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프리 필터(2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흡입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크론 크기 이상의 미세 입자를 주로 제거한다. 상기 프리 필터(200)는 필터링 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리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filter 200 is formed by mounting a plate-like filter such as a nonwoven fabric to a pre-filter case. The pre-filter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re-filter 200 is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10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hole 110. The prefilter 200 mainly removes fine particles having a micron size or more contained in the intake air while passing the intake ai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pre-filter 200 may be formed of a general pre-filter used in a filtering device.

상기 카본 필터 모듈(300)은 카본 하우징(310)과 카트리지 삽입 유닛(320)과 카본 카트리지(330) 및 카트리지 고정 유닛(3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카본 필터 모듈(300)은 프리 필터(200)의 타측에 설치되며, 프리 필터(200)를 통과한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를 유발하는 오염 물질과 수분을 포집하여 제거한다.The carbon filter module 300 includes a carbon housing 310, a cartridge insertion unit 320, a carbon cartridge 330, and a cartridge fixing unit 340.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filter 200 and collects and removes contaminants and moisture that cause the odor contained in the intak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200.

상기 카본 필터 모듈(300)은 복수 개의 카본 카트리지(330)가 흡입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어 전체 카본 입자의 양을 증가시키고 흡입 공기의 통과 속도를 감소시켜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킨다.The carbon filter module 300 has a plurality of carbon cartridges 330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total carbon particles and decreasing the passing speed of the intake air, thereby increasing the filtering efficiency.

또한, 상기 카본 필터 모듈(300)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는 복수 개의 카본 카트리지(330)가 카본 하우징(310)에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카본 입자의 수명이 다 된 경우에 카본 카트리지(330)만을 교체하여 카본 입자를 교체할 수 있다.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carbon cartridges 330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rbon housing 310 so that only the carbon cartridges 330 can be replaced So that the carbon particles can be replaced.

또한, 상기 카본 필터 모듈(300)은 알카리 성분과 산성 성분과 접촉하는 경우에 색상이 변하는 씨비티(Color Break Tool: CB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씨비티는 초기 상태에는 황토색을 띄고 있으나 알카리 성분과 접촉하는 경우에 남색 계열로 변하며, 산성 성분과 접촉하는 경우에 자색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씨비티는 카본 입자의 필터링 성능을 상대적으로 표시하여 카본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알려준다. 상기 씨비티는 카본 필터 모듈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비티는 필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색상 관찰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하우징(110)과 카본 하우징(310)에 각각 투명창(미도시)이 형성되고 씨비티가 투명창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color break tool (CBT) that changes color when in contact with an alkali component and an acid component. The sity has an ocher color in its initial state but turns into a dark blu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 alkaline component and turns into a purpl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 acidic component.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viscosity indicates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carbon particles relatively to indicat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arbon cartridge. The viscosity may be mounted inside the carbon filter module. In addition, the viscosity may be formed so as to allow color observ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That is,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110 and the carbon housing 310, respectively, and a sealan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window.

상기 카본 하우징(310)은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의 카본 유입홀(311)과 타측의 카본 유출홀(312)을 구비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본 하우징(310)은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직 단면적이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 수직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본 하우징(310)은 내부에 카트리지 삽입 유닛(320)과 카본 카트리지(330) 및 카트리지 고정 유닛(34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arbon housing 310 is hollow and has a box shape including a carbon inlet hole 311 on one side and a carbon outlet hole 312 on the other side. The carbon housing 310 is formed with an area smaller than the internal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ter housing 100 such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rbon housing 310 is received in the interior of the filter housing 100. The carbon housing 3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artridge inserting unit 320, the carbon cartridge 330, and the cartridge inserting unit 340 are accommodated.

상기 카본 유입홀(311)은 카본 하우징(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프리 필터(200)를 통과한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carbon inlet hole 3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200 flows.

상기 카본 유출홀(312)은 카본 하우징(3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카본 카트리지(330)를 통과한 흡입 공기가 유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카본 유출홀(312)은 카본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카트리지 삽입 유닛(320) 사이로 복수 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The carbon outlet hole 3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passing through the carbon cartridge 330 flows out. The carbon discharge hole 31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between the cartridge insertion units 320.

상기 카트리지 삽입 유닛(320)은 카트리지 슬롯(321)과 슬롯 차단바(3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삽입 유닛(320)은 카본 카트리지(330)가 카트리지 슬롯(32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교체시에 카트리지 슬롯(321)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The cartridge inserting unit 320 is formed to include a cartridge slot 321 and a slot blocking bar 325. The cartridge inserting unit 320 allows the carbon cartridge 330 to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artridge slot 321 and removed from the cartridge slot 321 at the time of replacement.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면을 이루는 전후판(322)과 상하면을 이루는 상하판(323)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삽입되는 카본 카트리지(330)의 수직 단면적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판(322)은 카본 카트리지(330)의 전후면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하판(323)은 카본 카트리지(330)의 상하면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slot 321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may include a front and rear plate 322 constituting front and rear faces, and upper and lower plates 323 constituting upper and lower faces. The cartridge slot 321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rbon cartridge 330 to be inserted. That is,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ar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rbon cartridge 330,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323 may b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rbon cartridge 330 have.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들은 복수 개가 일측단을 기준으로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들은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서로 교대로 접촉되어 전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들은 서로 인접하여 다음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슬롯(321)과 일측단에서 전후판(322)이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음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슬롯(321)은 서로 인접하여 다음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슬롯(321)과 타측단에서 전후판(322)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들은 인접하는 카트리지 슬롯(321)과 '<' 형상과 '>' 형상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들은 일측을 향하는 전후판(322)을 통하여 흡입 가스가 유입되며, 타측을 향하는 전후판(322)을 통하여 흡입 가스가 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서로 인접하는 카트리지 슬롯(321)의 전후판(322) 사이로 흡입 공기가 흘러가는 것을 감소시킨다. A plurality of the cartridge slots 321 are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with reference to one end. In other words, the cartridge slot 321 is arranged at an acute angle alternately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In addition, the cartridge slots 321 are alterna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the cartridge slots 321 are formed so that the cartridge slots 321 positioned next to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e side. The cartridge slot 321 located next to the cartridge slot 321 is formed so that the cartridge slot 321 positioned next to the cartridge slot 32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cartridge slots 321 are coupled with the adjacent cartridge slots 321 so that the &quot; &quot; shape and the &gt; &gt; The cartridge slots 321 are configured such that a suction gas flows in through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toward one side and a suction gas flows out through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toward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cartridge slot 321 reduces the flow of intake air between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of the cartridge slots 321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전후판(322)은 흡입 공기가 카본 카트리지(330)로 흘러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슬롯 유입홀(322a)을 구비하여 형성된다.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are formed with a slot inflow hole 322a for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flows to the carbon cartridge 330. [

상기 상하판(323)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후판(3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상하판(323)은 삽입되는 카본 카트리지(330)를 고정하는 볼트가 결합되는 슬롯 고정홀(323a)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lates 323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plates 323 may include a slot fixing hole 323a to which a bolt for fixing the inserted carbon cartridge 330 is coupled.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전후판(322)의 어느 하나가 카본 하우징(310)의 타측 내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상하판(323)이 카본 하우징(31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슬롯(321)은 카본 카트리지(330)가 카트리지 슬롯(32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슬롯 차단바(325)와 접촉되도록 한다.
One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322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and is fixed to the cartridge slot 321. In addition, the cartridge slot 321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323 ar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Thus, the cartridge slot 321 allows the carbon cartridge 330 to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slot 32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ot blocking bar 325.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높이가 카본 카트리지(33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측이 카트리지 슬롯(321)의 타측을 향하도록 카본 하우징(3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카트리지 슬롯(321)의 타측에 위치한다.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인접하는 슬롯 차단바(325)와 타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차단바(325)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삽입되는 카본 카트리지(330)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흡입 공기가 서로 인접하는 카본 카트리지(330)의 타측단 사이를 통하여 흘러가는 것을 차단한다.
The slot blocking bar 325 is formed into a bar shape or b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slot blocking bar 325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carbon cartridge 330. The slot blocking bar 325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such that one side of the slot blocking bar 325 faces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slot 3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rtridge slot 321. That is, the slot blocking bar 325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slot 321. The slot blocking bars 325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rtridge slots 321. The slot blocking bar 325 may be formed so that the adjacent slot blocking bars 325 and the other sid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 '⊃' or ']'. The slot blocking bar 325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330 inserted into the cartridge slot 321 to block the intake air from flowing between the other side ends of the carbon cartridge 33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카트리지 케이스(331)와 카본 입자(335) 및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분리막(33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arbon cartridge 330 is formed by including a cartridge case 331, carbon particles 335, and a cartridge elastic block 337. In addition, the carbon cartridge 33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membrane 333.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카트리지 슬롯(321)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카본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는 카트리지 케이스(331)에 수용되어 있는 카본 입자(335)의 흡착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카트리지 슬롯(321)으로부터 분리되어 교환된다.The carbon cartridge 3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artridge slot 321 and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rtridge slot 321. The carbon cartridge 330 is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from one side of the carbon housing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carbon cartridge 330 is disposed at an acute angle alternately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The carbon cartridge 330 is detached from the cartridge slot 321 and exchanged when the adsorption capability of the carbon particles 335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case 331 is lowered.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331)는 케이스 전후면(331a)과 케이스 양측면(331b) 및 케이스 상하면(331c)을 구비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331)는 내부가 중공이며 카본 입자(33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cartridge case 331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case front and rear surface 331a, a case both side surfaces 331b and a case upper surface 331c. The cartridge case 331 is hollow inside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arbon particles 335 are accommodated.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331)는 케이스 전후면(331a)에 흡입 공기가 흐르는 카트리지 홀(331d)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홀(331d)은 내부에 수용되는 카본 입자(335)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카본 입자(33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홀(331d)은 케이스 전후면(331a)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메쉬망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필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cartridge case 331 is formed with a cartridge hole 331d through which suction air flows on the front and rear faces 331a of the case. The cartridge hole 331d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carbon particles 335 so that the carbon particles 335 received therein do not flow out to the outside. The cartridge hole 331d may be formed entirely on the case front and rear surface 331a and may be formed by joining a porous film such as a mesh net or a nonwoven fabric.

상기 분리막(333)은 판상 또는 지그재그로 절곡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막(333)은 흡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막(333)은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케이스 전후면(331a)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 전후면(331a) 사이에 케이스 전후면(331a)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막(333)은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333a)과 제 2 공간(333b)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간(333a)은 카본 카트리지(330) 내부에서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공간이며, 제 2 공간(333b)은 제 1 공간(333a)과 반대측인 흡입 공기가 유출되는 측에 위치하는 공간이다.
The separation membrane 333 is formed as a plate-like or zigzag bent plate. The separation membrane 333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can pas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n ion exchange resin. The separation membrane 333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ase front and rear surface 331a of the cartridge case 331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case front and rear surface 331a between the case front and rear surfaces 331a. Therefore, the separation membrane 333 separates the inner space of the cartridge case 331 into the first space 333a and the second space 333b. Here, the first space 333a is a space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intake air flows in the carbon cartridge 330, and the second space 333b is a space where the intake air opposite to the first space 333a flows out As shown in Fig.

상기 카본 입자(335)는 다공성의 카본 입자로 형성된다. 상기 카본 입자(335)는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내부에 충진되며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유발 물질과 수분을 흡착하여 제거한다.The carbon particles 335 are formed of porous carbon particles. The carbon particles 335 are filled in the cartridge case 331 and adsorb and remove odor causing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take air and moisture.

상기 카본 입자(335)는 제거하고자 하는 가스 상태인 오염 물질의 성분에 따라 특정 물질이 표면에 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본 입자(335)가 알카리성 성분의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표면에 인산(H3PO3)과 같은 물질을 점착시킨다. 또한, 상기 카본 입자(335)가 산성 성분의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표면에 수산화칼륨(KOH) 또는 요오드화칼륨(KI)과 같은 물질을 점착시킨다. 한편, 상기 카본 입자(335)는 표면에 추가적인 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경우에 주로 유기(organic)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한다. The carbon particles 335 may be formed by adhering a specific substance to the surface depending on the component of the contaminant in a gaseous state to be removed. For example, a substance such as phosphoric acid (H 3 PO 3 ) is adhered to the surface such that the carbon particles 335 efficiently remove the contaminants of the alkaline component. In addition, a substance such as potassium hydroxide (KOH) or potassium iodide (KI)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particles 335 to efficiently remove contaminants of the aci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bon particles 335 are not coated with an additional material on the surface, the carbon particles 335 mainly collect and remove the organic material.

상기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 및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는 카본 카트리지(330)에서 서로 독립된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 및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와 혼합되거나 독립된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카본 카트리지(330)가 분리막(333)에 의하여 제 1 공간(333a)과 제 2 공간(333b)으로 분리되는 경우에, 제 1 공간(333a)에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충진되고 제 2 공간(333b)에는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는 제 1 공간(333a)과 제 2 공간(333b)에 함께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는 제 1 공간(333a)에 충진되고, 유기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는 제 2 공간(333b)에 충진되며, 산성 제거용 카본 입자는 분리막(333)에 소정 두께로 코팅되어 충진될 수 있다.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lkaline component and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cid component may be filled in the space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the carbon cartridge 330. Further, the organic component removing carbon particles may be mixed with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lkaline component and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cid component, or may be filled in a separate spac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bon cartridge 33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space 333a and the second space 333b by the separation membrane 333, the first space 333a is filled with the alkaline component The removing carbon particles may be filled, and the second space 333b may be filled with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cid component. At this time, the organic component removing carbon particles may be filled together in the first space 333a and the second space 333b.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lkaline component are filled in the first space 333a and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organic component are filled in the second space 333b, And can be filled.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은 블록 형상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이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케이스 양측면(331b)과 동일한 면적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은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케이스 양측면(331b)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 중에서 카트리지 케이스(331)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탄성 블록(337)은 슬롯 차단바(325)와 접촉된다.
The cartridge elastic block 337 is formed in a block shape or a bar shape so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have the same area or a small area as both side surfaces 331b of the case 331 of the cartridge case 331. The cartridge elastic block 337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The cartridge elastic block 337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331b of the case 331 of the cartridge case 331. Among the cartridge elastic blocks 337, the cartridge elastic block 337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case 331 is contacted with the slot blocking bar 325.

상기 카트리지 고정 유닛(340)은 고정 차단바(341)와 고정 지지바(343)와 고정 블록(345) 및 고정 볼트(347)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cartridge fixing unit 340 is formed to include a fixed blocking bar 341, a fixing support bar 343, a fixing block 345, and a fixing bolt 347.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높이가 카본 카트리지(33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타측이 카트리지 슬롯(321)의 일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카트리지 슬롯(321)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인접하는 고정 차단바(341)와 일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슬롯 차단바(325)와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차단바(341)는 흡입 공기가 서로 인접하는 카본 카트리지(330)의 일측단 사이를 통하여 흘러가는 것을 차단한다.
The fixed blocking bar 341 is formed into a bar shape or b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fixed blocking bar 341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carbon cartridge 330. The stationary blocking bar 34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rtridge slot 321 so that the other side faces the one side of the cartridge slot 321. The fixed blocking bars 341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rtridge slots 321. The fixed blocking bar 34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djacent fixed blocking bar 341 and one end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 '⊃' or ']'. The fixed blocking bar 341 may be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the slot blocking bar 325. The fixed blocking bar 341 blocks the intake air from flowing through one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33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고정 차단바(341)의 일측단에 고정 차단바(341)와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며, 상하로 이격되어 고정 차단바(341)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전후측이 가장 전후측에 위치하는 고정 차단바(341)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고정 차단바(341)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카본 카트리지(330)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지지한다. The fixed support bar 343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ationary support bar 343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strength. The fixed support bar 34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ed shut-off bar 3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fixed shut-off bar 341. The fixed support bar 343 is formed of at least two pieces and is vertically spaced to be coupled with the fixed bar 341. At this time, the fixed support bar 343 is form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protrude from the fixed blocking bars 341 located at the most front and rear sides. The fixed support bars 343 support the fixed cut-off bars 34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330.

또한, 상기 고정 지지바(343)는 돌출되는 전후측부에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고정홀(344)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홀(344)에는 고정 볼트(347)가 삽입된다.
The fixed support bar 343 has a fixing hole 344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front and rear side portion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fixing bolt 347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44.

상기 고정 블록(345)은 평행바(345a)와 수직바(345b)가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345)은 강도 보강을 위하여 평행바(345a)와 수직바(345b)를 연결하는 보강판(345c)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345)은 카본 하우징(310)의 내측에 결합되며, 고정 지지바(343)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평행바(345a)는 카본 하우징(310)의 전후면의 내면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바(345b)는 카본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평행바(345a)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바(345b)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수직홀(346)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홀(346)은 고정 지지바(343)의 고정홀(344)과 관통된다. 상기 고정 블록(345)은 카본 하우징(310)의 전후면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지지바(343)의 전후측을 각각 지지한다.  The fixing block 345 is formed by combining the parallel bars 345a and the vertical bars 345b so as to have a letter shape. The fixing block 345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345c connecting the parallel bars 345a and the vertical bars 345b to reinforce the strength. The fixing block 34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and the fixing support bar 343 is coupled and fixed. The parallel bars 345a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rbon housing 310. [ The vertical bar 345b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parallel bar 345a so as to extend to the inside of the carbon housing 310. [ The vertical bar 345b has a vertical hole 346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vertical hole 346 penetrates the fixing hole 344 of the fixing support bar 343. The fixing block 34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rbon housing 310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xing support bar 343, respectively.

상기 고정 볼트(347)는 고정 지지바(343)의 고정홀(344)과 고정 블록(345)의 수직홀(346)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 볼트(347)는 고정 지지바(343)를 고정 블록(345)에 고정하여 지지한다.
The fixing bolt 347 is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344 of the fixing support bar 343 and the vertical hole 346 of the fixing block 345. The fixing bolt 347 fixes and supports the fixing support bar 343 to the fixing block 345.

상기 미디엄 필터(400)는 헤파(HEPA) 필터 또는 세파(SEPA) 필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카본 필터 모듈(300)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미디엄 필터(400)는 필터 하우징(100)의 수직 단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디엄 필터(400)는 냄새와 수분이 제거된 흡입 공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시키면서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크론 이하의 미세 입자 또는 담배 연기를 포집한다. 상기 미디엄 필터(400)는 일반적인 헤파 필터 또는 세파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edium filter 400 is formed to include a HEPA filter or a SEPA filter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The medium filter 4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ter housing 100. The medium filter 400 collects fine particles or cigarette smoke of micron or less contained in the intake air while passing the intake air from which odor and moisture are re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medium filter 400 may be formed of a general HEPA filter or a SEPA filter.

상기 배출 모듈(500)은 배출 하우징(510)과 배출 팬(5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exhaust module 500 is formed to include an exhaust housing 510 and an exhaust fan 520.

상기 배출 모듈(500)은 필터 하우징(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필터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홀(110)을 통하여 내부로 흡입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 모듈(500)은 프리 필터(200)와 카본 필터 모듈(300) 및 미디엄 필터(400)를 통과한 배출 공기를 필터 하징의 배출홀(120)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The exhaust module 5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so that the intake air is sucked into the filter housing 100 through a suction hole 110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The exhaust module 500 discharges the exhaust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200, the carbon filter module 300 and the medium filter 400 through the exhaust hole 120 of the filter housing.

상기 배출 하우징(510)은 내부가 중공인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출 유입홀(511)과 배출 유출홀(5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출 유입홀(511)은 일측면에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배출홀(120)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 유입홀(513)은 필터 하우징(100)으로부터 배출 팬(520)으로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 유출홀(513)은 배출 하우징(510)의 전후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 유출홀(513)은 배출 팬(520)으로부터 유출되는 배출 공기가 배출 하우징(5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discharge housing 510 is formed in a hollow box shape and includes a discharge inlet hole 511 and a discharge outlet hole 513. The discharge inlet hole 511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0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00. The exhaust inlet hole 513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flows from the filter housing 100 to the exhaust fan 520. The discharge outlet hole 513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ischarge housing 510. The discharge outlet hole 513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exhaust air flowing out from the discharge fan 5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housing 510.

상기 배출 팬(520)은 일반적인 배출팬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 팬(520)은 배출 하우징(5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구가 배출 하우징(510)의 배출 유입홀(511)에 연결되고, 배출구가 배출 하우징(510)의 배출 유출홀(513)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 팬(520)은 필터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홀(110)을 통하여 내부로 흡입 공기를 흡입하며, 배출 하우징(510)의 배출 유출홀(513)을 통하여 배출 공기를 배출한다.The discharge fan 520 is formed as a general discharge fan. The discharge fan 520 is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housing 510 and has a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inlet hole 511 of the discharge housing 510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outlet hole 513 of the discharge housing 510, Lt; / RTI &gt; The discharge fan 520 sucks in the sucked air through the suction hole 110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100 and discharges the discharged air through the discharge hole 513 of the discharge housing 510 do.

100: 필터 하우징
200: 프리 필터
300: 카본 필터 모듈
310: 카본 하우징 320: 카트리지 삽입 유닛
330: 카본 카트리지 340: 카트리지 고정 유닛
400: 미디엄 필터
500: 배출 모듈
100: Filter housing
200: Pre-filter
300: carbon filter module
310: Carbon housing 320: Cartridge inserting unit
330: Carbon cartridge 340: Cartridge fixing unit
400: medium filter
500: Exhaust module

Claims (7)

흡입 공기가 일측으로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프리 필터의 타측에 위치하는 카본 필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필터 모듈은
내부에 카본 입자가 충진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본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본 카트리지는
케이스 전후면과 케이스 양측면 및 케이스 상하면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 전후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에는 각각 서로 다른 오염 물질을 포집하는 카본 입자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And a carbon filter modul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filter, wherein the pre-filter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filter housing,
The carbon filter module
And a plurality of carbon cartridge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arranged in an oblique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The carbon cartridge
A cartridge case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a cas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separation membrane, coup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inside the cartridge case, for separ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artridge cas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Where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re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that collect different contaminant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카본 하우징과,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카본 카트리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 슬롯 및 상기 카트리지 슬롯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졉촉되는 슬롯 차단바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삽입 유닛 및
상기 카트리지 슬롯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정 차단바와, 상기 고정 차단바의 일측단에 상기 고정 차단바와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 지지바와, 상기 고정 지지바를 상기 카본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지지바를 상기 고정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rbon filter module
A carbon housing which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in which the carbon cartridg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cartridge slots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opened and which are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and in which the carbon cartridg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slots in a vertical direction, A cartridge inserting unit having a slot blocking bar and
A fixed stop ba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cartridge slot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a fixed support bar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ed stop bar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xed stop bar, And a cartridge fixing unit having a fixing block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 fixing bolt fixing the fixing support bar to the fixing bloc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슬롯은 상기 흡입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서로 교대로 접촉되어 전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슬롯 차단바는 인접하는 슬롯 차단바와 타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각각 접하며,
상기 고정 차단바는 인접하는 고정 차단바와 일측단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단면이 '<', '⊂' 또는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tridge slots are alternately arranged at acute angl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and are arranged so as to be alterna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form zigzag-
The slot blocking bar is formed so that the adjacent slot blocking bars and the other side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 '⊃' or ']', and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carbon cartridges,
The fixed blocking bar is formed such that the adjacent fixed blocking bar and one side end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 '⊂' or '[' And a filtering device for the smoking boo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카트리지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카트리지 탄성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 차단바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에 접촉되며,
상기 고정 차단바는 상기 카본 카트리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 탄성 블록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rbon cartridge has a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respectively,
Wherein the slot blocking bar is in contact with the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Wherein the fixed blocking bar is formed to contact the cartridge elastic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bon cartrid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흡입 공기가 카본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간에는 표면에 인산(H3PO3)이 점착되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와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고, 제 2 공간에는 수산화칼륨(KOH) 또는 요오드화칼륨(KI)이 점착되는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와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ace is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 air flows into the carbon cartridge and the second spac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pace,
The first space i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alkaline components to which phosphoric acid (H 3 PO 3 ) is adhered to the surface and carbon particles to which no substance is adhered to the surface, and potassium hydroxide (KOH) or potassium iod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the acid component to which the KI is adhered and the carbon particles whose surface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are fi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표면에 인산(H3PO3)이 점착되는 알카리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공간에는 표면에 물질이 점착되지 않은 카본 입자가 충진되며,
상기 분리막은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이온 교환 수지로 형성되며, 표면에 수산화칼륨(KOH) 또는 요오드화칼륨(KI)이 점착되는 산성 성분 제거용 카본 입자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ace i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for removing alkaline components to which phosphoric acid (H 3 PO 3 ) is adhered on the surface, and the second space is filled with carbon particles whose surface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of an ion exchange resin which is folded in a zigzag shape and is coated with carbon particles for removal of acid component which is coated with potassium hydroxide (KOH) or potassium iodide (KI) on the surface thereof. Device.
KR1020150047358A 2015-04-03 2015-04-03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KR101687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58A KR101687958B1 (en) 2015-04-03 2015-04-03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58A KR101687958B1 (en) 2015-04-03 2015-04-03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51A KR20160118751A (en) 2016-10-12
KR101687958B1 true KR101687958B1 (en) 2016-12-21

Family

ID=5717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358A KR101687958B1 (en) 2015-04-03 2015-04-03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9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61764A1 (en) * 2022-08-10 2024-03-13 Diantech Solutions S L AIR FILTER AND LABORATORY CABIN ASSOCIATED WITH IT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102526250B1 (en) * 2023-01-07 2023-04-27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a paint drying booth by heat treatment of a c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02Y1 (en) * 2001-02-07 2001-07-04 (주)거산하이테크 Filter for removing cigarette smoke
JP2003102818A (en) * 2001-09-28 2003-04-08 Akushii:Kk Deodorizing filter
KR100852882B1 (en) 2007-05-28 2008-08-19 (주) 솔티 Medium filter for media ex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28A (en) * 1996-07-02 1998-01-20 Akushii:Kk Air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02Y1 (en) * 2001-02-07 2001-07-04 (주)거산하이테크 Filter for removing cigarette smoke
JP2003102818A (en) * 2001-09-28 2003-04-08 Akushii:Kk Deodorizing filter
KR100852882B1 (en) 2007-05-28 2008-08-19 (주) 솔티 Medium filter for media ex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51A (en)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37355B (en) Air cleaner
US68330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contaminated air
KR101769538B1 (en) Demister filter module
CN103857966A (en) Filter and air purifier
KR102416087B1 (en) Inertial filter system for outdoor air purification of railway station connected with dust box equipped with suction fan
KR102231447B1 (en) Air-cleaning equipment
US6451093B1 (en) Centripetal demister
KR101687958B1 (en) Filter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EP2550081A1 (en) Filter assembly
KR20100012376A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50110233A (en) Air cleaner
DE60120701D1 (en) AIR FILTER FOR FILTERING PARTICLES INCLUDING AIR
KR102527858B1 (en) Air cleaner using water
KR101210092B1 (en) Art Wall with Air Filtering
KR20160003897U (en) Local Exhaust air purification system is available
KR200388724Y1 (en) Air purifier
KR102139306B1 (en) The filter for the air cleaner
CN210003155U (en) Cleaning
KR20170022963A (en) Dust collector having distributed multi-layered filter
KR101827984B1 (en) Air cleaning system
CN110250076B (en) Aquarium
KR20160025210A (en) Air cleaner for smoking booth using CO2 catalysis filter
KR20140087354A (en) Apparatus for cleaning air
CN215866560U (en) Malodorous gas monitoring device
KR20020097444A (en) Wet type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